KR101507143B1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7143B1 KR101507143B1 KR1020130165940A KR20130165940A KR101507143B1 KR 101507143 B1 KR101507143 B1 KR 101507143B1 KR 1020130165940 A KR1020130165940 A KR 1020130165940A KR 20130165940 A KR20130165940 A KR 20130165940A KR 101507143 B1 KR101507143 B1 KR 101507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bellows
- locking
- type pipe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 F16L37/24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 F16L37/25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the coupling being co-axial with the pipe the male part having lugs on its periphery penetrating in the corresponding slots provided in the female pa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는, 골부와 산부를 갖는 플렉시블 주름관의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주름관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바디에 결합되어 주름관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바디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하우징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주름관의 골부 중 선택된 하나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는 다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지지하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록킹부재가 포함된 바디록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는, 주름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록커로 하여금 주름관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록커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주름관을 매우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주름관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신뢰성이 높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는, 주름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록커로 하여금 주름관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록커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주름관을 매우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주름관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신뢰성이 높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란, 예컨대,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또는 기기 내부 유닛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부품으로서 모양과 기능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커넥터는 접속시켜야 할 부분의 접속을 안정적으로 유지시켜,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의 커넥터에 관한 연구로는, 체결성능 향상을 위한 FPCB 커넥터의 형상 설계나, 협피치 Board to Board 커넥터의 체결력 향상을 위한 수치해석 등이 있다. 그런데, 이들은 주 대상이 전기적 장치와 관련된 것으로서, 가령, 전자기기의 단자가 서로 맞닿는 부분의 커넥터의 체결 성능향상을 연구한 것이었으며, 체결성능의 결과를 도출하는 것 역시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해 연구한 것이었다.
한편, 전기전자 분야에서와 마찬가지로 기계관련 산업에서도 많은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를테면, 대형 기계들에 연결되는 배선을 보호하는 플렉시블튜브와 기계를 연결하는 부분, 배관계의 팽창과 수축이 발생하는 곳, 진동 및 소음에 의한 배관계 충격방지가 되어야 하는 곳 등에 커넥터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산업 현장에는 유류나 폐수 등 이물질이 많이 있고 또한 날카로운 물체들이 곳곳에 산재해 있으므로, 기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력선이나 또는 각종 유공압 라인 등(이하, 배선)은 별도의 보호용 플렉시블튜브를 이용하여 보호하고 있다. 즉, 배선을, 플렉시블한 주름관의 내부에 수용하여 외부환경에 의해 손상을 입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플렉시블튜브는 배선을 그 내부에 수용한 상태로 배선과 함께 연장되어, 그 연장단부가, 배선이 접속되는 기계에 물리적으로 고정된다. 이 때 커넥터가 사용되는 것이다. 플렉시블튜브(이하, 플렉시블 주름관)만으로는 기계와 플렉시블튜브와의 연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커넥터를 사용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11)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11)는, 주름관(10)의 연장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며 너트결합부(13a)를 가지고 관통로(13b)를 통해 축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바디(13)와, 상기 바디(13)의 외부에 채워지며 누름부(19a)를 눌렀을 때 조여져 바디(13) 내부에 박혀있는 주름관(10)을 죄는 홀더(19)를 포함한다.
상기 너트결합부(13a)는, 주름관(10)의 연장단부를 고정시킬 대상물의 소정 부위에 미리 형성한 구멍(미도시)에 끼워진 상태로, 반대편에서 너트(17)와 결합한다. 상기 너트(17)는 상기 구멍의 테두리부에 걸린 상태로 너트결합부(13a)와 결합함으로써, 바디(13)를 대상물의 외벽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도면부호 15는 밀폐와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한 고무링이다.
한편, 상기 바디(13)의 측부에는 관통구멍(미도시)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더(19)의 내측면에는 상기 관통구멍을 통과해 주름관(10)의 골부(10a)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미도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돌기는 골부(10a)에 끼워진 상태로 주름관(10)을 죄어 산부(10b)의 상하 이동을 차단한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커넥터(11)는, 주름관(10)에 대한 홀더(19)의 결합 능력이 다소 떨어져, 이를테면 공작기계의 반복적 움직임이나 진동에 의해 주름관(1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상기 홀더(19)가 외력에 의해 쉽게 벗겨져 헐거워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홀더(19)가 헐거워지면, 커넥터(11)가 더 이상 주름관(10)을 붙잡고 있지 못하여 주름관이 기계로부터 분리되고, 그에 따라 기계에 동력을 공급하던 전력선이나 유공압호스나 기타 배선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전력선 등이 외부로 노출되면 습기나 먼지 등에 의해 배선에 전기적인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장비의 고장을 야기할 수 도 있으며, 또한 감전사고로 이어질 수 도 있다. 경우에 따라 주변에 유증기가 많은 환경일 경우에는 화재를 발생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주름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록커로 하여금 주름관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록커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주름관을 매우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주름관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신뢰성이 있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는, 골부와 산부를 갖는 플렉시블 주름관의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주름관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바디에 결합되어 주름관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바디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하우징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주름관의 골부 중 선택된 하나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는 다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지지하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록킹부재가 포함된 바디록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여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원통형 바디본체와, 상기 바디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부재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와 바디록커의 사이에는, 바디에 대한 바디록커의 결합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바디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준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서,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기준돌기를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기준돌기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돌기수용공간은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기준돌기를 고정시키는 탄력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돌기수용공간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기준돌기가 탄력홀더에 고정되는 잠금위치와, 탄력홀더로부터 벗어난 해제위치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팁은; 상기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바디록커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을 잠금위치로 축회전시킴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킹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삽입틈새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압팁은 일정폭을 가지며, 그 내향면에는, 상기 삽입틈새보다 얇은 두께의 진입부와, 상기 삽입틈새보다 두꺼워 삽입틈새에 끼워져 삽입틈새를 벌리는 가압부와, 상기 진입부와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진입부와 가압부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내에 바디본체가 진입할 때 바디본체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내에 바디본체가 진입할 때, 상기 가압팁이 바디록커의 측부에서 정지되도록 더 이상의 진입을 차단하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준돌기에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탄력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바디를 외부의 고정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는, 주름관을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다수의 록커로 하여금 주름관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게 하고, 더 나아가 상기 록커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함으로써, 주름관을 매우 안정적이고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주름관으로부터 분리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신뢰성이 높다.
도 1은 종래의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디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디록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디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디록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31)는, 플렉시블주름관의 단부를, 대상물 가령 공작기계나 각종 장비 또는 구조물 등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장치이다. 아울러 상기 플렉시블 주름관(10)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골부(10a)와 산부(10b)가 형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관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3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가압팁(33e)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디록커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절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31)는, 상기 플렉시블주름관(도 1의 10)의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33)와, 상기 주름관(10)을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바디(33)에 결합함으로써 주름관(10)을 죄어 고정하는 바디록커(35)와, 상기 바디(33)에 고정되는 너트(17)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33)의 대상체에 대한 결합은 도 1을 통해 설명한 바디(13)의 결합방식과 동일하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바디(33)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그 하단부에 다수의 가압팁(33e)을 갖는 바디본체(33c)와, 상기 바디본체(33c)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며 너트(17)와 결합하는 너트결합부(33a)로 이루어진다. 상기 너트결합부(33a)의 기능은 도 1에서 설명한 너트결합부(13a)와 동일하다.
상기 너트결합부(33a)의 중앙에는 관통로(3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로(33b)는 주름관(10)에 의해 보호되는 배선(미도시)이 통과하는 통로이다. 상기 배선은 바디(33)를 통과하여 대상체 가령 공작기계의 동력발생부에 접속된다.
상기 바디본체(33c)는 일정두께의 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기준돌기(33p)를 갖는다. 상기 기준돌기(33p)는 대략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는 돌출부로서 후술할 통로(35b)를 통해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의 내부로 삽입지지 된다. 상기 기준돌기(33p)는 바디본체(33c)를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도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기준돌기(33p)의 상부에는 돌기홈(33q)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홈(33q)은, 기준돌기(33p)가 기준돌기수용공간(35d)에 수용된 상태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탄력홀더(35c)의 하단을 수용하는 것이다. 상기 돌기홈(33q)에 탄력홀더(35c)의 하단이 끼워지면, 기준돌기(33p)가 (작업자가 의도적으로 힘을 가하지 않는 한) 반대방향으로 빠질 염려가 없다.
한편, 상기 가압팁(33e)은, 바디본체(33c)의 하부로 연장되며 일정폭을 가지고, 바디본체(33c)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을 이룬다. 특히 상기 가압팁(33e)의 내향면에는, 진입부(33f)와 경사부(33k)와 가압부(33m)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압팁(33e)은, 바디록커(35)의 내부로 삽입된 바디본체(33c)가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도 3의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며, 삽입틈새(도 4의 35n)의 내부로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가압팁(33e)은 삽입틈새(35n)의 내부로 들어가며 록킹부재(35k)를 내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하튼, 상기 가압팁(33e)의 진입부(33f)와 경사부(33k)와 가압부(33m)는, 가압팁(33e)이 상기 삽입틈새(35n)에 용이하게 삽입됨과 아울러 록킹부재(35k)를 가압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진입부(33f)는 상기 삽입틈새(35n)의 틈새간격(z)보다 그 두께가 얇은 부분이다. 또한 가압부(33m)는 삽입틈새(35n)의 틈새간격(z) 보다 두꺼운 부분이고, 경사부(33k)는 진입부(33f)와 가압부(33m)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경사부(33k)는 가압부(33m)가 삽입틈새(35n)로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게 틈새를 벌려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바디록커(35)는, 상기 주름관(10)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바디에 결합될 때, 상기 가압팁(33e)의 작용에 의해 주름관(10)을 그 자리에 죄어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바디록커(35)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바디를 수용하는 하우징(35a)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록킹부재(35k)와 가이드바(35g)와 받침블록(35p)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35a)의 상단부 양측에는 통로(35b)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통로(35b)의 하부에는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로(35b)는 일정폭을 가지며 상부로 개방된 통로로서,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을 상부로 개방시키며 상기 기준돌기(33p)를 통과시킨다. 또한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은 일정폭을 가지며 하우징(35a)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구멍이다.
상기 기준돌기(33p)는 통로(35b)를 하향 통과하여 기준돌기수용공간(35d)에 수용된다. 상기 기준돌기수용공간(35d)으로 들어간 기준돌기(33p)는,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화살표 a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사실 기준돌기(33p)가 고정되어 있고, 하우징(35a)이 상기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축회전 하는 것이다.
여하튼 상기 기준돌기수용공간(35d)의 내부로 삽입된 기준돌기(33p)는 하우징(35a)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축회전시킴에 따라 탄력홀더(35c)의 하단부에 위치하게 되고, 탄력홀더(35c)에 의해 그 자리에 고정된다. 상기 탄력홀더(35c)의 하단부가 기준홀더(33p)의 돌기홈(33q)에 끼워지기 때문에 고정이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 탄력홀더(35c)는 통로(35b)의 일측부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외력에 의해 탄성 변형 가능하다. 가령 상기 기준돌기(33p)가 통로(35b)의 내부를 통과할 때 밀려 뒤로 물러났다가 기준돌기(33p)가 통과한 순간 처음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다.
상기 록킹부재(35k)는 하우징(35a)의 내주면에 일체를 이루며, 내주면에 대해 상기 삽입틈새(35n)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부로 연장된 후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록킹부재(35k)는 8개가 등각 배치된다. (도면에는 8개가 모두 표시되지 않았다.)
특히 상기 록킹부재(35k)의 상단부는 걸림돌기(35m)로서, 8개가 모두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즉 하우징(35a)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상에 위치하여 높고 낮음이 없이 한 평면상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걸림돌기(35m)가 한 평면상에 위치하므로, 하우징(35a) 내부에 위치한 주름관의 골부(도 1의 10a) 중 선택된 하나의 골부를 집중적으로 죄어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35g)는, 각 록킹부재(35k)의 사이 사이에 개재된 부재로서, 이 또한 하우징(35a)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바(35g)는 하우징(35a)의 내부로 바디본체(33c)가 진입할 때, 하우징의 내주면과의 사이로 바디본체(33c)를 받아들여 바디본체(33c)의 진입을 가이드하며, 바디본체(33c)를 하우징(35a)의 내주면 방향으로 당긴다. 상기 가이드바(35g)의 작용에 의해 바디본체(33c)의 중심축은 하우징(35a)의 중심축에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각 가이드바(35g)의 도면상 하부에는 받침블록(35p)이 위치한다. 상기 받침블록(35p)은, 바디본체(33c)가 하우징(35a)의 내부로 삽입될 때, 상기 가압팁(33e)의 하단부가 최초로 닿는 부분이다. 상기 받침블록(35p)은 바디본체(33c)가 하우징(35a) 내부로 그 이상 더 진입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스토퍼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31)를 이용하여, 주름관(10)을 원하는 대상체에 고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너트결합부(33a)를 대상체에 형성되어 있는 구멍에 끼우고 반대편에서 너트(17)를 죄어, 대상체에 대해 바디(33)를 고정시킨다. 이 때 배선이 상기 관통로(33b)를 통과해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디(33)가 고정되었다면, 상기 바디록커(35)를 통과한 주름관의 단부를 바디본체(33c)의 내부에 끼운 상태로, 바디록커(35)를 바디(33)에 결합시킨다.
바디(33)에 대한 바디록커(35)의 결합은, 상기 하우징(35a)의 내부에 바디본체(33c)를 끼운 상태로, 하우징(35a)을 바디(33)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기준돌기(33p)를 기준돌기수용공간(35d)에 끼운 후, 바디록커(35)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바디록커(35)를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가압팁(33e)이 삽입틈새(35n)의 내부로 들어가 걸림돌기(35m)를 주름관의 골부(10a)측으로 가압 이동시키고, 주름관의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걸림돌기(35m)가 골부(10a)에 삽입되어, 커넥터(31)에 대한 주름관이 고정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주름관 10a:골부 10b:산부
11:커넥터 13:바디 13a:너트결합부
13b:관통로 15:고무링 17:너트
19:홀더 19a:누름부 31:커넥터
33:바디 33a:너트결합부 33b:관통로
33c:바디본체 33e:가입팁 33f:진입부
33k:경사부 33m:가압부 33p:기준돌기
33q:돌기홈 35:바디록커 35a:하우징
35b:통로 35c:탄력홀더 35d:기준돌기수용공간
35g:가이드바 35k:록킹부재 35m:걸림돌기
35n:삽입틈새 35p:받침블록
11:커넥터 13:바디 13a:너트결합부
13b:관통로 15:고무링 17:너트
19:홀더 19a:누름부 31:커넥터
33:바디 33a:너트결합부 33b:관통로
33c:바디본체 33e:가입팁 33f:진입부
33k:경사부 33m:가압부 33p:기준돌기
33q:돌기홈 35:바디록커 35a:하우징
35b:통로 35c:탄력홀더 35d:기준돌기수용공간
35g:가이드바 35k:록킹부재 35m:걸림돌기
35n:삽입틈새 35p:받침블록
Claims (11)
- 골부와 산부를 갖는 플렉시블 주름관의 단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바디와;
상기 주름관을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바디에 결합되어 주름관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바디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배치되되, 하우징 내주면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가상선상에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주름관의 골부 중 선택된 하나의 골부를 죄어 고정하는 다수의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를 지지하며 하우징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된 록킹부재가 포함된 바디록커를 구비하고,
상기 바디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하여 하우징의 내주면에 면접하는 원통형 바디본체와,
상기 바디본체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상기 록킹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로 삽입되어 록킹부재를 주름관측으로 가압 지지하는 가압팁을 구비하며,
상기 가압팁은;
상기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한 상태에서 바디록커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우징을 잠금위치로 축회전시킴에 의해 측방향으로 이동하여, 록킹부재와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의 삽입틈새 로 삽입되고,
상기 가압팁은 일정폭을 가지며, 그 내향면에는, 상기 삽입틈새 보다 얇은 두께의 진입부와, 상기 삽입틈새 보다 두꺼워 삽입틈새에 끼워져 삽입틈새를 벌리는 가압부와, 상기 진입부와 가압부의 사이에 위치하며 진입부와 가압부를 연결하는 경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와 바디록커의 사이에는, 바디에 대한 바디록커의 결합을 유지하는 잠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은;
상기 바디본체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기준돌기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것으로서, 바디본체가 하우징의 내부로 진입시 상기 기준돌기를 그 내부에 받아들여 수용하는 기준돌기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수용공간은 하우징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내부에 상기 기준돌기를 고정시키는 탄력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기준돌기수용공간의 길이가 허용하는 범위안에서 축회전하여, 상기 기준돌기가 탄력홀더에 고정되는 잠금위치와, 탄력홀더로부터 벗어난 해제위치로 위치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내에 바디본체가 진입할 때 바디본체의 진입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바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하우징내에 바디본체가 진입할 때, 상기 가압팁이 바디록커의 측부에서 정지되도록 더 이상의 진입을 차단하는 받침블록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돌기 에는, 상기 잠금위치에서 탄력홀더에 끼워져 고정되는 돌기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바디를 외부의 고정대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5940A KR101507143B1 (ko) | 2013-12-27 | 2013-12-27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5940A KR101507143B1 (ko) | 2013-12-27 | 2013-12-27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07143B1 true KR101507143B1 (ko) | 2015-03-31 |
Family
ID=53028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5940A KR101507143B1 (ko) | 2013-12-27 | 2013-12-27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714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9714A (ko) * | 2019-08-13 | 2021-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60006179B1 (ko) * | 1990-06-25 | 1996-05-09 | 푸렉사 게엠베하 컴패니 프로덕션 운트 페트립 케이지 | 파형관 결합장치 |
JP2682547B2 (ja) * | 1989-03-20 | 1997-11-26 | 富士通株式会社 | 光コネクタ |
KR0146933B1 (ko) * | 1992-10-15 | 1998-11-02 | 도모마쓰 겐고 | 파형의 가요성 관용 조인트 |
-
2013
- 2013-12-27 KR KR1020130165940A patent/KR1015071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682547B2 (ja) * | 1989-03-20 | 1997-11-26 | 富士通株式会社 | 光コネクタ |
KR960006179B1 (ko) * | 1990-06-25 | 1996-05-09 | 푸렉사 게엠베하 컴패니 프로덕션 운트 페트립 케이지 | 파형관 결합장치 |
KR0146933B1 (ko) * | 1992-10-15 | 1998-11-02 | 도모마쓰 겐고 | 파형의 가요성 관용 조인트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19714A (ko) * | 2019-08-13 | 2021-02-2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KR102655691B1 (ko) | 2019-08-13 | 2024-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방진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556649B2 (en) | Fixing device for fixing a cable at a housing feed-through | |
KR101815685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내진 장치 | |
CN105322479B (zh) | 导管容纳器 | |
US9893507B2 (en) | Ball grip compression fitting | |
RU2584544C2 (ru) | Кабельный ввод | |
US9130362B2 (en) | Connector member including a locking element | |
KR101507143B1 (ko)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
JP2020509733A (ja) | 遮蔽されたケーブル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 |
CN107592949B (zh) | 电缆/线缆插入装置 | |
KR101507146B1 (ko) | 플렉시블 주름관용 커넥터 | |
KR101507147B1 (ko) | 플렉시블주름관용 커넥터 | |
ATE545175T1 (de) | Anordnung zur mehrfachverbindung bei einer elektrischen vorrichtung | |
KR101724438B1 (ko) | 케이블 글랜드 | |
WO2009005416A1 (en) | Cable fitting arrangement | |
KR101618133B1 (ko) | 케이블 커넥터 장치 | |
US10634267B2 (en) | Separation duct having longitudinal spacers | |
KR101717273B1 (ko) | 케이블 고정장치 | |
JP6088345B2 (ja) | コネクタ | |
US11495949B2 (en) | Cable clamping apparatus | |
KR101687109B1 (ko) | 전선관용 접속장치 | |
KR101189679B1 (ko) | 발사관 접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대 | |
KR102553504B1 (ko) | 더미 플러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 커넥터 어셈블리 | |
KR102388811B1 (ko) | 체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실 | |
JP6464744B2 (ja) | 結束バンド | |
KR101060747B1 (ko) | 전선가요관 고정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