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4438B1 - 케이블 글랜드 - Google Patents

케이블 글랜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438B1
KR101724438B1 KR1020150042476A KR20150042476A KR101724438B1 KR 101724438 B1 KR101724438 B1 KR 101724438B1 KR 1020150042476 A KR1020150042476 A KR 1020150042476A KR 20150042476 A KR20150042476 A KR 20150042476A KR 101724438 B1 KR101724438 B1 KR 101724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upler nut
distal end
chuck portions
cab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6173A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주)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주)
Priority to KR102015004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43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6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02G3/0625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 H02G3/066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with means for preventing disengagement of conductors with means clamping the armour of the condu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는 케이블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10)에 일단이 결합되고, 케이블(C)이 관통되는 제1 통로(121)를 갖는 커플러 너트(120); 및 일측이 커플러 너트(120)에 삽입되고, 케이블(C)이 관통되는 제2 통로(141)를 갖는 케이블 홀더(140)를 포함한다. 케이블 홀더(140)는 바디부(142)와, 바디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척부(144)를 포함한다. 커플러 너트(120)는 말단 측의 내경부에 제1 나사부(123)를 가지며, 복수의 척부(144)는 외경부에 제1 나사부(123)와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143)를 갖는다.

Description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
본 발명은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는 각종 전자기기나 통신기기 등의 다양한 기기들이 설치되며, 이 기기들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통신을 위하여 다양한 케이블이 연결된다. 이때, 케이블의 말단 측과 연결된 전원 및 신호 처리부의 함체로부터 케이블을 인출하기 위해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가 사용된다. 케이블은 함체에 형성된 관통구를 경유하여 인출되는데, 케이블 글랜드는 함체의 관통구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보호하고, 관통구와 케이블 사이에 방수 구조를 형성한다.
종래의 케이블 글랜드는 함체의 관통구에 설치된 바디(body)와, 바디의 일측에 결합되는 니플(nipple) 및 바디와 니플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packing)을 포함하며, 바디와 패킹 및 니플에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각각의 관통구에 연속적으로 내장 설치되는 케이블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케이블 글랜드에서, 패킹을 개재하여 바디와 니플을 체결하여 조이면, 바디와 니플 사이에서 패킹이 축 방향으로 압축되면서 직경 방향으로 확장 변형되고, 그에 따라 케이블의 외주면이 바디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케이블은 패킹에 의하여 보호되고, 또한 패킹은 바디와 케이블 사이에 방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 글랜드는 다양한 직경을 가지는 케이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려운 구조이다.
한편, IEC(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 60079-14에 따르면 방폭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에 케이블을 설치할 때에는 최소 25mm 이후부터 케이블을 구부릴 수 있도록 정해져 있다. 이에 종래에는 케이블 글랜드 전단에 케이블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bracket)을 설치하거나, 직선 구간의 확보를 위한 케이블 굽힘 반경에 추가적인 여유를 고려하여 장비 및 케이블 트레이 배치를 해야 하므로, 공간 활용이 비효율적이 되고 케이블 굽힘 반경을 줄이기 위해 케이블의 굽힘을 위한 케이블 글랜드와 케이블의 갭을 과도하게 요하게 하는 문제를 갖는다.
본 발명은 클램프 링이나 별도의 지지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기구 없이도 케이블의 직선 구간을 확보할 수 있고, 케이블을 쉽고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글랜드(cable gland)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전원 및 신호 처리부의 함체에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글랜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는 케이블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케이블이 관통되는 제1 통로를 갖는 커플러 너트; 및 일측이 상기 커플러 너트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제2 통로를 갖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홀더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는 복수의 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 너트는 말단 측의 내경부에 제1 나사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척부는 외경부에 상기 제1 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플러 너트의 말단 측의 내경부는 상기 커플러 너트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신호처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척부는 인접한 척부들 사이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각각의 척부는 상기 바디부로부터 말단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축소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커플러 너트에 상기 케이블 홀더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척부는 상기 커플러 너트의 내경부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글랜드는 적어도 하나의 척부에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커플러 너트에 대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한 식별 표식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프 링이나 별도의 지지 브래킷과 같은 별도의 기구 없이 케이블의 직선 구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케이블을 쉽고 안정적으로 신호처리부에 연결할 수 있는 케이블 글랜드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다양한 직경의 케이블을 전원 및 신호 처리부의 함체에 쉽고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를 구성하는 케이블 홀더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는 커플러 너트(coupler nut)(120)와, 케이블 홀더(cable holder)(140)를 포함한다. 케이블 글랜드(100)의 커플러 너트(120) 및 케이블 홀더(140)는 예시적으로,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커플러 너트(120)는 용접 또는 나사 결합 등에 의하여 케이블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10)의 함체(12)에 일단이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 너트(120)의 중심부에는 케이블(C)에 의해 관통되는 제1 통로(121)가 형성된다.
IEC(International Electrical Commission)에서는 신호처리부(10)의 함체(12)로 케이블이 인입되기 직전 최소 25mm의 직선 구간을 확보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IEC의 요구에 부합되도록, 커플러 너트(120)는 25mm 이상의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커플러 너트(120)는 케이블 홀더(140) 방향의 말단 측의 내경부에 제1 나사부(123)를 갖는다. 커플러 너트(120)의 말단 측의 내경부는 커플러 너트(120)의 말단으로부터 신호처리부(10)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테이퍼(taper)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홀더(140)는 커플러 너트(12) 측의 부분이 커플러 너트(120)의 말단 측 내경부에 삽입된다. 케이블 홀더(140)의 중심부에는 케이블(C)에 의해 관통되는 제2 통로(141)가 형성된다. 케이블 홀더(140)는 바디부(142)와, 복수의 척부(144)를 포함한다.
바디부(142)는 제2 통로(141)를 중심으로 대칭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척부(144)는 바디부(14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도시에서는 바디부(142)에 4개의 척부(144)가 형성되어 있으나, 척부(144)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복수의 척부(144)는 인접한 척부(144)들 사이의 틈새인 공간부(145)를 사이에 두고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척부(144)는 약간의 탄성을 갖는 동시에 강성을 가지도록, 얇은 곡면판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각 척부(144)는 바디부(142) 측으로부터 척부(144)의 말단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동시에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경사부(144a)와, 경사부(144a)의 말단 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144b)로 이루어진다. 평탄부(144b)는 대략 케이블(C)과 나란한 방향을 갖는다.
각 척부(144)는 그 외경부에 커플러 너트(120)의 제1 나사부(123)와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143)를 갖는다. 커플러 너트(120)에 케이블 홀더(140)를 나사 결합 시, 복수의 척부(144)는 커플러 너트(120)의 내경부(123)에 의해 압착되어 외경이 축소된다.
따라서, 케이블 홀더(140)를 커플러 너트(120)에 조일수록 복수의 척부(144)의 말단 측의 내경이 점점 작아지게 되어, 케이블(C)의 외면부를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척부(144)의 말단 측이 축경되더라도, 복수의 척부(144) 사이의 공간부(145)에 의하여 척부(144)들 간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클램프 링과 같은 별도의 기구 없이 복수의 척부(144)에 형성된 나사부를 이용하여 커플러 너트(120)에 케이블 홀더(14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커플러 너트(120)에 의하여 케이블(C)의 직선 구간이 확보되므로, 케이블의 직선 구간 확보를 위한 별도의 지지 브래킷이 필요 없으며, 케이블 굽힘을 위해 케이블(C)과 케이블 글랜드 간의 갭이 과도하게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를 구성하는 케이블 홀더(14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의 실시 예는 각각의 척부(144)에 식별 표식(146)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 2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식별 표식(146)은 케이블(C)의 직경에 따라 커플러 너트(120)에 대한 케이블 홀더(14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4의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글랜드(100)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예로, 케이블의 외경(C1)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너트(120)의 말단이 제1 식별 표식(146a)에 위치할 때까지 케이블 홀더(140)를 조임으로써, 케이블의 외경(C1)을 잡아줄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케이블의 외경(C2)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너트(120)의 말단이 제2 식별 표식(146b)에 위치할 때까지 케이블 홀더(140)를 조임으로써, 케이블의 외경(C2)을 잡아줄 수 있다. 따라서, 식별 표식(146)을 이용하여 케이블 홀더(140)의 조임 정도를 조절하여 다양한 케이블의 외경(C1,C2)에 적응적으로 케이블을 쉽고 간편하게 함체에 고정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C: 케이블 10: 신호처리부
12: 함체 100: 케이블 글랜드
120: 커플러 너트 121: 제1 통로
123: 제1 나사부 140: 케이블 홀더
141: 제2 통로 142: 바디부
143: 제2 나사부 144: 척부
145: 공간부 146: 식별 표식
146a: 제1 식별 표식 146b: 제2 식별 표식

Claims (7)

  1. 케이블 신호를 입력받거나 출력하는 신호처리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케이블이 관통되는 제1 통로를 가지며, 말단 측의 내경부에 제1 나사부를 갖는 커플러 너트; 및
    일측이 상기 커플러 너트에 삽입되고, 상기 케이블이 관통되는 제2 통로를 갖는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외경부에 상기 제1 나사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나사부를 갖는 복수의 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척부는 각각 상기 바디부 측으로부터 상기 척부의 말단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진 동시에 축소되는 형상을 갖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의 말단 측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탄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 홀더를 관통하는 케이블의 직경에 따라 상기 커플러 너트에 대한 상기 케이블 홀더의 위치가 조절되고, 상기 케이블 직경에 대응되는 상기 커플러 너트와 상기 케이블 홀더의 위치를 지시하는 복수의 식별 표식이 상기 경사부 상에 형성되는 케이블 글랜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너트의 말단 측의 내경부는 상기 커플러 너트의 말단으로부터 상기 신호처리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내경이 축소되는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케이블 글랜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척부는 인접한 척부들 사이의 공간부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어 있는 케이블 글랜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 너트에 상기 케이블 홀더의 결합 시 상기 복수의 척부는 상기 커플러 너트의 내경부에 의해 압착되는 케이블 글랜드.
  7. 삭제
KR1020150042476A 2015-03-26 2015-03-26 케이블 글랜드 KR101724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76A KR101724438B1 (ko) 2015-03-26 2015-03-26 케이블 글랜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2476A KR101724438B1 (ko) 2015-03-26 2015-03-26 케이블 글랜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73A KR20160116173A (ko) 2016-10-07
KR101724438B1 true KR101724438B1 (ko) 2017-04-10

Family

ID=57145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476A KR101724438B1 (ko) 2015-03-26 2015-03-26 케이블 글랜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522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케이블 글랜드를 구비한 수배전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723B1 (ko) * 2020-04-24 2020-11-17 주식회사 세계주철 스크류를 이용한 맨홀덮개 개폐 구조
KR102604563B1 (ko) 2022-07-14 2023-11-21 김건 시공이 용이한 케이블 그랜드 어셈블리
KR20240032488A (ko) 2022-09-02 2024-03-12 김건 케이블 지지력이 강화된 케이블 그랜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7422U (ja) * 1993-04-06 1994-10-28 イースタン・プロジェクト株式会社 ケーブルグラン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3522A (ko) 2022-09-27 2024-04-03 주식회사 케이씨파워 케이블 글랜드를 구비한 수배전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173A (ko) 2016-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438B1 (ko) 케이블 글랜드
JP7032419B2 (ja) 遮蔽されたケーブルを保持するための保持装置
US9123453B2 (en) Cable gland
US9478955B2 (en) Feedthrough device for an explosion-proof housing
US20110315442A1 (en) Fixing device for fixing a cable at a housing feed-through
US20140041939A1 (en) Connector Apparatus with Shielding Contact
US8727289B2 (en) Cable clamp
US11672093B2 (en) Cable lead-out system
CA2885948C (en) Integral grounding hub
JP2017220379A (ja) コネクタ
KR20120035111A (ko) 케이블을 풀 릴리프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한 장치
KR101728442B1 (ko) 케이블 그랜드
US9960528B2 (en) Electric device
WO2015186497A1 (ja) コネクタ
KR101618133B1 (ko) 케이블 커넥터 장치
US20190335598A1 (en) Plastic Electrical Housing
CN107428013B (zh) 供电组件
WO2009125167A1 (en) Cable retention bracket
US11901719B2 (en) Cable feedthrough for feeding a cable through a separating element and assembly
KR101871684B1 (ko) 이엠피 차폐용 도파관
JP2015220805A (ja) ケーブルクランプ
US20170223858A1 (en) Electronic apparatus
KR101636286B1 (ko) 콜케이트 튜브 고정용 젠더
JP2008293669A (ja) 電気接続箱のバスバー取付構造
JP2018098828A (ja) ケーブルグラ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