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712B1 -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 Google Patents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712B1
KR101506712B1 KR1020130127131A KR20130127131A KR101506712B1 KR 101506712 B1 KR101506712 B1 KR 101506712B1 KR 1020130127131 A KR1020130127131 A KR 1020130127131A KR 20130127131 A KR20130127131 A KR 20130127131A KR 101506712 B1 KR101506712 B1 KR 101506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coffee
branch line
cl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7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민환
Original Assignee
강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환 filed Critical 강민환
Priority to KR1020130127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7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47J31/467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for the infusion

Abstract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메인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분기라인과, 상기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전자식 타이머에 의해 개폐가능한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분기라인과, 상기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2 분기라인이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분기라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메인급수라인과, 각각이 상기 메인급수라인에 병렬 체결되고 아울러 각각이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보조급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DIRECT WATER-SUPPLY SYSTEM FOR MANUFACTURING COFFEE EXTRACTION BY WATER-DRIP METHOD}
본 발명은 냉수를 이용하여 워터드립방식으로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커피드립퍼(Coffee Dripp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분말로부터 커피원액을 추출하기 위한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수를 이용하여 장시간 커피 분말로부터 커피액을 추출하는 워터드립방식의 더치커피가 애호가들 사이에서 많이 애용되고 있다. 여기서, 더치커피(Dutch Coffee)는, 일반적인 드립 커피나 에스프레소 커피처럼 필터에 커피 가루를 넣고 뜨거운 물을 붓는 방식이 아니라, 찬물 또는 상온의 생수를 한 방울씩 떨어뜨려 오랜 시간 동안 커피원액을 추출하여 제조한 커피를 말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과거 네덜란드령 인도네시아 식민지에서 로브스터종의 커피가 재배되었는데, 커피를 운반하던 선원들이 배에서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고안한 것이라고 한다.
이러한 더치커피는 흔히 콜드 브루 커피(Cold Brew Coffee)라고도 하는데, 찬물이나 상온의 생수를 사용하므로, 뜨거운 물을 사용할 경우 날아갈 수 있는 커피의 향이나 맛이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커피 본연의 깊은 맛과 풍부한 아로마, 그리고 쓴맛, 신맛, 단맛 등 뜨거운 커피에서 느낄 수 없는 미묘한 맛을 골고루 느낄 수 있고, 또한 카페인이 적고 장시간 보관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 장치(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2-106406호)는, 물이 저장되는 본체(200)와, 커피분말이 저장되는 바스켓(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체(200)에는 일정량의 물이 미리 채워지고, 이렇게 채워진 물은 배출구(240)를 통해 배출되는 속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본체(200)로부터 낙하된 물이 바스켓(210) 내부에 채워진 커피분말에 장시간 머문 후에 밸브(250)를 통해 침출되어 커피원액으로서 별도의 용기에 모이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더치커피는, 원두커피 고유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매우 장시간이 소요되므로, 한 잔의 커피를 마시기 위해서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본체(200)로부터 물을 한방울씩 바스켓(210)에 떨어뜨린 후 커피분말에 침출시켜 일정 농도의 커피원액으로 추출하기까지 장시간이 소요된다. 목적하는 커피원액의 농도 및 양에 따라 추출시간이 달라질 수 있으나, 통상 음용되는 한잔의 커피에 필요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약 8시간~10시간 정도가 요구된다. 따라서, 커피 매장에서 서비스 제공자가 고객에게 판매하기 위해 커피원액을 제조하는데 불편함이 있다.
또한, 더치커피로 추출되는 커피원액의 맛과 향은 사용되는 물의 온도와 낙수될 때의 압력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의 경우, 본체(200)에 미리 채워진 물의 온도가 추출을 진행되는 동안 주위 환경조건에 따라 변하게 되고, 또한 본체(200)로부터 물이 자중에 의해 낙수되므로 배출이 진행됨에 따라 물이 낙수되는 압력이 점점 감소된다. 따라서,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를 사용하면, 주위 환경 등에 영향을 받게 되어 추출된 커피원액의 맛과 향이 일정하게 유지하기 어렵다.
더구나,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를 이용하는 경우, 한잔의 커피에 필요한 커피원액을 추출하는데 소요되는 약 8 ~ 10 시간동안 물이 본체(200)를 구성하는 용기 내에 수용되어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 동안 물이 본체(200)에 수용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여름철과 같이 온도가 높은 환경에서는 미생물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 위생상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본체(200)는 대부분 세척이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척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서, 커피매장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을 추출할 때 비교적 단시간에 대량으로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을 제조할 수 있으면서, 사용하는 물의 온도 및 낙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맛과 향을 가진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는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는, 물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메인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분기라인과, 상기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전자식 타이머에 의해 개폐가능한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분기라인과, 상기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2 분기라인이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분기라인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메인급수라인과, 각각이 상기 메인급수라인에 병렬 체결되고 아울러 각각이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보조급수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자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자식 타이머는 전원에 연결되어 일정 시간 동안 상기 전자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물의 온도 및 낙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맛과 향이 균일한 더치커피용 커피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커피매장의 서비스 제공자는 소비자에게 판매할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을 주간 및 야간에도 항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에 장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을 지속적으로 다량 제조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에서는 커피원액을 추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제조에 소요되는 노고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더치커피 드립퍼의 일례를 나타낸 개요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여기에 예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는, 물 공급관(100), 제1 분기라인(10), 제2 분기라인(20), 메인급수라인(30) 및 복수의 보조급수라인(31)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물 공급관(100)은 물 공급원에 연결되어 상온의 물을 제1 분기라인(10) 또는 제2 분기라인(20)을 거쳐 메인급수라인(30)에 공급한다. 물 공급관(100)은, 물 공급원으로서 통상 커피매장에 설치된 별도의 물 탱크 또는 수도관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물 공급관(100)은 제1 분기라인(10) 및 제2 분기라인(20)으로 분기된다. 여기서, 제1 분기라인(10)에는 기계식 메인개폐밸브(12)가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조작에 의해 메인개폐밸브(12)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2 분기라인(20)에는 전자밸브(22)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전자밸브(22)는 전자식 타이머(24)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전자밸브(22)는 전자코일의 전자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밸브를 개폐시키는 장치로서, 예컨대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전자식에 의해 제2 분기라인(20)을 통한 물 공급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는 장치라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전자밸브(22)는 전원(26)에 연결된 타이머(24)에 의해 일정시간 동안 개방 또는 폐쇄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분기라인(10) 및 제2 분기라인(20)은 메인급수라인(30)에 공통으로 연결되어, 제1 분기라인(10) 및 제2 분기라인(20) 중 어느 하나로부터 물을 공급받는다. 즉, 사용자가 제1 분기라인(10)의 메인개폐밸브(12)를 개방한 경우에는 제1 분기라인(10)을 통해 메인급수라인(30)에 물이 공급된다. 이때, 제2 분기라인(20)은 전자밸브(2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반대로, 메인개폐밸브(12)를 폐쇄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이머(24)를 조작하여 특정 시간 동안 전자밸브(22)가 개폐되도록 설정하면, 해당 시간동안에 타이머(24)에 의한 전자밸브(22)의 개폐 동작에 따라 제2 분기라인(20)으로부터 메인급수라인(30)에 물이 공급된다.
그리고, 메인급수라인(30)에는 복수의 보조급수라인(31)이 각각 병렬적으로 체결되어 있다. 각각의 보조급수라인(31)에는 유량조절밸브(3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유량조절밸브(31a)를 조절하여 바스켓(40)에 낙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메인급수라인(30)에 공급된 물은 각각 병렬 연결된 복수의 보조급수라인(31)에 일정한 압력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따라서 각각의 보조급수라인(31)의 일단에 마련된 노즐(31b)을 통해 일정량의 물이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낙수될 수 있다.
각각의 보조급수라인(31)의 노즐(31b)을 통해 배출되는 물방울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커피분말(42) 및 필터(44)가 마련된 바스켓(40)에 낙수된다. 이렇게 낙수된 물이 커피분말에 침출되어 최종적으로 커피원액(52)으로서 용기(50)에 수용된다.
상술한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커피매장을 운영하는 서비스 제공자가 소비자에게 판매할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을 다량으로 상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매장 운영 시간 동안에는 전자밸브(22)를 차단한 상태에서 메인개폐밸브(12)를 조작하여 복수의 보조급수라인(31)에 물을 직수함으로써 커피원액을 추출할 수 있다.
반대로, 매장을 운영하지 않는 동안(예컨대 야간 시간)에는 메인개폐밸브(12)를 폐쇄한 상태로, 타이머(24)를 조작하여 일정 시간 동안 전자밸브(22)가개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가 직접 지켜보지 않은 상태에서도 제2 보조라인(20)을 통해 메인급수라인(30) 및 보조급수라인(31)에 물이 계속하여 공급될 수 있다. 그러므로, 제조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량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종래에는 일정 부피의 용기에 미리 물을 채워둔 상태로 추출하였기 때문에, 주위 환경에 따라 용기에 수용된 물의 온도와 낙수되는 압력이 변하게 되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직수장치를 이용하면 물 공급원으로부터 직접 일정 온도 및 압력으로 보조급수라인(31)에 개별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는 본 발명에 따른 직수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의 커피원액이 항상 일정한 맛과 향을 갖도록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구나,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에서는, 커피원액을 추출함에 있어서 종래와 달리 물을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위생적으로 안전하고 또한 제조에 소요되는 노고를 절감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기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3)

  1.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로서,
    물 공급원에 연결되는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어 메인개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1 분기라인과,
    상기 물 공급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전원에 연결된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 개방 또는 폐쇄되는 전자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제2 분기라인과,
    상기 제1 분기라인 및 상기 제2 분기라인이 공통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분기라인 중 어느 하나로부터만 물을 공급받는 메인급수라인과,
    각각이 상기 메인급수라인에 병렬 체결되고 아울러 각각이 유량조절밸브에 의해 개폐되는 복수의 보조급수라인을 포함하는,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3. 삭제
KR1020130127131A 2013-10-24 2013-10-24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KR101506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31A KR101506712B1 (ko) 2013-10-24 2013-10-24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7131A KR101506712B1 (ko) 2013-10-24 2013-10-24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6712B1 true KR101506712B1 (ko) 2015-03-27

Family

ID=53028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7131A KR101506712B1 (ko) 2013-10-24 2013-10-24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20B1 (ko) * 2015-09-25 2018-02-05 주식회사 그린솔루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882B2 (ko) * 1986-05-15 1992-05-27
JP4031882B2 (ja) * 1999-02-09 2008-01-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自動炊飯装置への給水システム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882B2 (ko) * 1986-05-15 1992-05-27
JP4031882B2 (ja) * 1999-02-09 2008-01-09 ホシザキ電機株式会社 自動炊飯装置への給水システム
KR101225535B1 (ko) * 2012-05-17 2013-01-23 손연옥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5620B1 (ko) * 2015-09-25 2018-02-05 주식회사 그린솔루션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264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KR101225535B1 (ko) 워터드립커피 자동 추출장치
US11311023B2 (en) Automatic coffee maker process for preparing a cold brewed beverage
KR101382254B1 (ko) 더치 커피 추출장치
US20070151457A1 (en) On demand hot liquid dispenser
KR101496932B1 (ko) 더치커피 제조기구
WO1997007722A1 (fr) Machine a cafe
KR200464674Y1 (ko) 커피 추출용 워터드립장치
CN103622558B (zh) 一种带泡茶功能的饮水机
KR20120106406A (ko) 더치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더치 커피 제조 방법
KR101496270B1 (ko)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대량직수장치
KR101595497B1 (ko) 더치커피 추출기
KR101506712B1 (ko)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직수장치
KR20170000124A (ko)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추출용 직수장치
KR20170000122A (ko) 워터드립방식의 커피원액 제조용 장치
KR101569824B1 (ko) 커피 추출장치
KR20150004178U (ko) 휴대용 음료 추출 용기
KR20200009098A (ko) IoT 기반 실시간 커피머신 관리 시스템
KR20200009097A (ko) 스마트 디바이스 기반 사용자 맞춤형 커피머신 관리 시스템
KR101825620B1 (ko) 더치커피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더치커피를 추출하는 제조방법
US20230010774A1 (en) Infuser and system for preparing an infused beverage
AU2015342718B2 (en) Gravity fed and regulated beverage system
KR101866848B1 (ko) 다기능 드립 포트
CN212972711U (zh) 饮品萃取设备
KR102260962B1 (ko) 커피추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