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682B1 -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682B1
KR101506682B1 KR1020120155802A KR20120155802A KR101506682B1 KR 101506682 B1 KR101506682 B1 KR 101506682B1 KR 1020120155802 A KR1020120155802 A KR 1020120155802A KR 20120155802 A KR20120155802 A KR 20120155802A KR 101506682 B1 KR101506682 B1 KR 1015066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metal
horizontal
casting
head box
suppl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7165A (ko
Inventor
박재신
박우진
김인준
김덕
채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155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682B1/ko
Publication of KR20140087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7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37Accessories therefor
    • B22D11/064Accessories therefor for supplying molten metal
    • B22D11/0642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06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 B22D11/0622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into moulds with travelling walls, e.g. with rolls, plates, belts, caterpillars formed by two casting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6Controlling or regulating processes or ope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Abstract

본 발명은 쌍롤 박판 주조장치의 상하 주조롤에 이중 노즐을 적용하여 이종의 금속 용탕을 공급함으로써, 이종금속간의 압하력이 향상된 박판의 클래드재를 연속 주조하기 위한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금속 용탕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하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의 외부면에 각각 설치된 히팅 재킷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로부터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동시에 받아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구분하여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 사이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중 노즐;을 포함하는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APPARATUS FOR CLAD SHEET}
본 발명은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쌍롤 박판 주조장치의 상하 주조롤에 이중 노즐을 적용하여 이종의 금속 용탕을 공급함으로써, 이종금속간의 압하력이 향상된 박판의 클래드재를 연속 주조하기 위한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성치에 관련된 단일 금속 소재의 기계적 특성이나 부식 등과 같은 화학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금속 소재에 다른 금속을 피복시키거나 도금을 수행하게 된다.
기존의 이종금속 주조법으로는 클래드 캐스팅, 퓨전 캐스팅 및 인버스 캐스팅 등이 있다.
이 중 상기한 클래드 캐스팅은 2개의 침지노즐과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이종금속 액상 분리 후에 클래드(Clad) 응고셀을 형성하여 내부 금속을 응고시키고, 퓨전 캐스팅은 2개의 몰드를 사용하여 내부 금속을 먼저 응고시킨 후 클래드 금속을 응고시키며, 인버스 캐스팅은 고상 스트립 금속을 액상 금속층에 통과시켜 응고를 중심부에서 클래드 층으로 진행시킨다.
그러나 클래드 캐스팅은 액상/액상 계면 안정성을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퓨전 캐스팅은 융점이 다른 이종금속을 주조하기가 어렵다. 또한 인버스 캐스팅은 생산속도가 매우 낮고 표면제어가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종 또는 동일 재질의 금속을 이용하여 생산속도가 높고 표면제어가 용이한 클래드층이 형성된 연속주조 장치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74598호(2012. 07. 06. 공개)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연속주조공정에 의해 금속을 포함한 모든 비금속의 접합이 가능하게 함은 물론 판재 및 와이어의 형태로 성형시킬 수 있도록 된 클래드재의 연속주조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86209호(2007. 02. 15. 등록)에 개시되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종의 용탕금속을 주조롤 사이에 공급하여 클래드재를 주조하는 수직식 쌍롤 박판 주조기가 고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수직식 쌍롤 박판 주조기는, 이종금속간의 두께 조절이 어렵고, 주조시 압하력이 낮아 이종금속간의 접합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수평식 쌍롤 박판 주조기에 이중 노즐을 적용하여 이종금속간의 두께 조절이 용이하고, 이종금속간 접합력이 향상되도록 한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는, 제1금속 용탕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하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의 외부면에 각각 설치된 히팅 재킷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로부터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동시에 받아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구분하여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 사이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중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박스 내에는 레벨센서와 열전대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헤드박스에는 용탕용 펌프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수직식 쌍롤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클래드재 주조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는 이중 노즐의 상하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클래딩되는 이종금속간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수직식에 비해 주조시 높은 압하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이종금속간의 접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는, 예컨대, 알루미늄 합금과 같은 제1금속 용탕(S1)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11)에 공급하는 상부 헤드박스(31)와, 이 상부 헤드박스(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예컨대,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제2금속 용탕(S2)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11)에 공급하는 하부 헤드박스(41)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31)에 설치되어 제1금속 용탕(S1)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11)에 공급하는 상부 트랜스퍼 튜브(21)와, 상기 하부 헤드박스(41)에 설치되어 제2금속 용탕(S2)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11)에 공급하는 하부 트랜스퍼 튜브(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22)의 외부면에 각각 설치된 히팅 재킷(23)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22)로부터 제1,2금속 용탕(S1,S2)을 동시에 받아 제1,2금속 용탕(S1,S2)을 구분하여 수평식 주조용 쌍롤(11) 사이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중 노즐(13)이 구비된다.
즉, 상기 이중 노즐(13)은 제1,2금속 용탕(S1,S2)이 구분되어 수평식 주조용 쌍롤(11)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배출홀(13a,13b)이 각각 구분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트랜스퍼 튜브(21)는 이중 노즐(13)의 상부 배출홀(13a)에 대응되게 설치되고, 하부 트랜스퍼 튜브(22)는 이중 노즐(13)의 하부 배출홀(13b)에 대응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21,22)의 일단이 상부 헤드박스(31) 및 하부 헤드박스(41)의 제1,2금속 용탕(S1,S2)의 배출구(31a,41a)에 설치되고, 타단이 이중 노즐(13)의 상부 및 하부 배출홀(13a,13b)에 대응되게 설치될 수 있으면,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21,22)는 일체형 또는 분리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박스(41) 내에는 제1,2금속 용탕(S1,S2)의 레벨을 측정하는 레벨센서(32)와 제1,2금속 용탕(S1,S2)의 온도를 측정하는 열전대(thermocouple)(3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헤드박스(41)에는 제1,2금속 용탕(S1,S2)이 하부 헤드박스(41)보다 위에 있는 이중 노즐(13)로 용탕이 공급되도록 하는 용탕용 펌프(43)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는, 이중 노즐(13) 및 이중 트랜스퍼 튜브 장치인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21,22)를 이용하여 이종의 금속 용탕인 제1,2금속 용탕(S1,S2)을 동시에 수평식 주조용 쌍롤(11) 사이로 공급함으로써, 박판의 클래드재(12)를 연속 주조할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기존의 수직식 쌍롤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클래드재 주조장치와는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는 이중 노즐(13)의 상하부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클래딩되는 이종금속간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며, 수직식에 비해 주조시 높은 압하력이 작용하여 이종금속간의 접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 수평식 주조용 쌍롤
13 : 이중 노즐
21 : 상부 트랜스퍼 튜브
22 : 하부 트랜스퍼 튜브
23 : 히팅 재킷
31 : 상부 헤드박스
32 : 레벨센서
33 : 열전대
41 : 하부 헤드박스
43 : 용탕용 펌프

Claims (4)

  1. 제1금속 용탕을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헤드박스와;
    상기 상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상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하부 헤드박스에 설치되어, 상기 제2금속 용탕을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에 공급하는 하부 트랜스퍼 튜브와;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의 외부면에 각각 설치된 히팅 재킷과;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로부터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동시에 받아 상기 제1,2금속 용탕을 구분하여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 사이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된 이중 노즐;을 포함하되,
    상기 이중 노즐은 상기 제1,2금속 용탕이 구분되어 상기 수평식 주조용 쌍롤 쪽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상부 및 하부 배출홀이 각각 구분되어 구비되고,
    그리고, 상기 하부 헤드박스에는 용탕용 펌프가 설치되며,
    또한, 상기 상부 및 하부 헤드박스 내에는 레벨센서와 열전대가 설치되고,
    그리고, 상기 상부 및 하부 트랜스퍼 튜브는 일체형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55802A 2012-12-28 2012-12-28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KR1015066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802A KR101506682B1 (ko) 2012-12-28 2012-12-28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802A KR101506682B1 (ko) 2012-12-28 2012-12-28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65A KR20140087165A (ko) 2014-07-09
KR101506682B1 true KR101506682B1 (ko) 2015-03-30

Family

ID=5173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802A KR101506682B1 (ko) 2012-12-28 2012-12-28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6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6577B1 (ko) * 2016-05-02 2017-01-13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박판 주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1032A (ja) * 1988-04-22 1989-10-30 Nippon Steel Corp 複層鋳片用水平連続鋳造装置
JPH06198397A (ja) * 1993-01-07 1994-07-19 Nippon Steel Corp 薄肉複層薄板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8161875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Alum Co Ltd 表面性状に優れる鋳造材を得るのに最適な鋳造用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鋳造材の製造方法とマグネシウム合金
KR20120052781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노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271032A (ja) * 1988-04-22 1989-10-30 Nippon Steel Corp 複層鋳片用水平連続鋳造装置
JPH06198397A (ja) * 1993-01-07 1994-07-19 Nippon Steel Corp 薄肉複層薄板の連続鋳造方法および装置
JP2008161875A (ja) * 2006-12-27 2008-07-17 Mitsubishi Alum Co Ltd 表面性状に優れる鋳造材を得るのに最適な鋳造用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鋳造材の製造方法とマグネシウム合金
KR20120052781A (ko) * 2010-11-16 2012-05-24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노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7165A (ko) 2014-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60607C2 (ru) Установка и способ последовательного литья металлов, имеющих одинаковые или подобные коэффициенты усадки
CN100531961C (zh) 铝合金半连续铸造用连续润滑结晶器
US20110146937A1 (en) Method for casting a composite ingot
CN102076443B (zh) 气体压控制式铸造用铸型
CN101554649A (zh) 一种包复材料受压顶出充芯连铸精细成形的设备与工艺
KR101506682B1 (ko) 클래드재용 수평식 연속 주조장치
CN103978170A (zh) 铝合金近终形铸锭用半连续铸造结晶器
JP2015503452A (ja) 垂直型半連続鋳造用鋳型のための二重噴流式冷却装置
KR100406374B1 (ko) 박판주조기를 이용한 크래드 강 박판의 제조방법
CN102179494B (zh) 一种铝合金复合铸锭的连铸方法及其装置
JP5742014B2 (ja) 柱状インゴットの鋳造装置および柱状インゴットの製造方法
CN107790655A (zh) 改善表面缺陷的奥氏体系不锈钢的连铸方法
JP5846991B2 (ja) 薄板状クラッド材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ならびにブレージングシートの製造方法
JPS609553A (ja) 絞り込み式連続鋳造機
JPH02284744A (ja) 複式プレート型ストリップ鋳造装置によるストリップ鋳造方法とその装置
JP2007268546A (ja) 鋼材の製造方法
KR101528285B1 (ko) 클래드 박판 제조장치 및 방법
CN207857800U (zh) 一种薄带连铸对流式布流装置
CN204080054U (zh) 耐蚀合金板坯抽锭电渣重熔用引锭装置
KR20120074598A (ko) 연속주조 장치 및 그 방법
KR20110109258A (ko) 몰드 파우더 점도 추정 방법
KR20150075204A (ko) 클래드 박판 제조장치 및 방법
CN104141052B (zh) 耐蚀合金板坯抽锭电渣重熔用引锭装置
JPH0255643A (ja) 金属薄帯の連続鋳造用ノズル
TW316860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