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6021B1 - 비누 분쇄장치 - Google Patents

비누 분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6021B1
KR101506021B1 KR1020130069250A KR20130069250A KR101506021B1 KR 101506021 B1 KR101506021 B1 KR 101506021B1 KR 1020130069250 A KR1020130069250 A KR 1020130069250A KR 20130069250 A KR20130069250 A KR 20130069250A KR 101506021 B1 KR101506021 B1 KR 101506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soap
frame
rotary shaf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6468A (ko
Inventor
김홍배
Original Assignee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강청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농업회사법인 강청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남도립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9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6021B1/ko
Publication of KR20140146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64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2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2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knives which both reciprocate and ro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 C11D13/20Shaping in the form of small particles, e.g. powder or fl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누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 공간을 가지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칼날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세척부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고 상기 세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만든 비누 고형체를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말 형태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비누 분쇄장치{soap pulverizer}
본 발명은 비누 분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재생 비누의 비누 고형체를 분발 형태로 분쇄하는 비누 분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재생 비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재생비누를 직접 만들거나 구입해서 사용하고 있다. 재생 비누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만드는데, 폐식용유는 화학적인 성질상 물속에서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되기가 아주 힘들기 때문에 하수구로 버려서는 안 된다.
재생비누는 설거지를 할 때 수세미에 묻혀 닦으면, 잘 닦일 뿐만 아니라 독성이 없어 손이 거칠어지는 것을 방지해주는 이점도 있다. 이러한 재생비누는 세안이나 손빨래를 하는 경우에는 사용에 큰 지장이 없지만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경우에는 재생비누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세탁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통 재생비누를 물에 넣고 끓인 후, 끓인 비눗물을 세탁기에 넣어서 사용하곤 하였는데, 이렇게 세탁기에 재생비누를 사용하는 것은 그 과정이 번거로웠다.
따라서 세탁기를 사용하여 세탁을 할 때에도 재생비누를 이용하여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생비누를 분말형태로 분쇄할 수 있는 비누 분쇄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KR 20-0450789 Y1 KR 20-2000-00001937 U KR 10-109192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제작한 재생비누의 비누 고형체를 분말화 할 수 있는 비누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자의 크기가 일정한 비누 분말을 형성할 수 있는 비누 분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비누 분쇄기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칼날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세척부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고 상기 세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프레임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과 상기 제1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가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프레임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기분사구가 마련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비누 분쇄장치는 내부 공간을 가지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칼날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세척부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고 상기 세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비누 분쇄기와: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분쇄기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비누 고형체를 일차로 세단하는 세단부;를 구비하는 세단기와: 상기 세단기에서 일차 세단된 비누 고형체를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망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망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드럼 내측에 잔재하는 비누 고형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세단기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분쇄되어 상기 프레임 하부로 배출되는 비누 분말을 이송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는 폐식용유를 이용하여 만든 비누 고형체를 세탁기를 이용한 세탁시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분말 형태로 용이하게 분쇄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세단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세단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쇄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1의 분쇄장치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기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1)는 비누 고형체를 세단하는 세단기(10)와, 세단기(10)에서 세단된 비누 고형체를 비누 분말로 분쇄하는 분쇄기(20) 및 상기 세단기(10)와 분쇄기(20)에 비누 고형체 및 비누 분말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이송기(40)를 구비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세단기(10)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비누 고형체가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경로가 형성되며, 분쇄기(20)와 소정거리 이격된 지점에 설치된 호퍼(11)와, 호퍼(11)의 내부 일 측에 설치되어 호퍼를 통해 내부로 투입되는 비누 고형체를 일차 세단하는 세단부(12)를 구비한다.
상기 세단부(12)는 호퍼(11)의 외부에 설치되는 제1구동부(13)에 의해 회동되는 제1부재(14)와, 상기 제1부재(14)와 연결되어 제1부재(14)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하는 제2부재(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4)와 및 제2부재(15)는 제1구동부(13)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각각의 부재(14,15)에 상호 교차되도록 세단날(16)이 설치되어 있다. 호퍼(11)를 통해 비누 고형체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중에 세단부(12)에 의해 일차로 세단된다.
호퍼(11)의 일 측에는 분쇄하기 위한 재생 비누가 호퍼(11)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적재부(17)가 호퍼(11)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적재부(17)는 세단부(12)에 일시적으로 많은 양의 재생 비누가 공급되면 고장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적재부(17)에 일정량의 재생 비누를 쌓아두고, 적재부(17)를 통해 조금씩 세단부(12)로 공급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분쇄기(20)는 내부공간이 마련된 프레임(21)과, 프레임(21)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24)과, 드럼(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망체(27)와, 망체(27)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부(31)와, 드럼(2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칼날(36) 및 회전칼날(36)과 세척부(31)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부(18)를 포함한다.
프레임(2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분쇄기(20)의 외형을 형성하고, 내부에 투입된 비누 고형체 및 분쇄된 비누 분말을 수용하며, 일 측에 세단기(10)에서 일차로 세단된 비누 고형체가 투입될 수 있는 투입구(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부에는 분쇄된 상태의 비누 분말이 배출되는 배출구(23)가 마련되어 있다.
드럼(24)은 프레임(2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부에 회전칼날(36)을 설치할 수 있는 설치공간을 제공하며, 투입구(22) 측에 인접하는 단부에는 외주면을 따라 피동기어(25)가 형성되어 있다. 드럼(24)의 각 단부에는 외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칼날(36)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6)가 형성되어 있다.
망체(27)는 분쇄된 비누 분말들 중 입자의 크기가 설정된 크기 이상의 비누 분말이 배출구(23) 측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가로막고 있는 것으로서, 설정된 크기에 대응되는 관통홀(27a)들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재(28)에 의해 드럼(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된다. 고정부재(28)는 드럼(24)의 외주면을 감쌀 수 있도록 드럼(24)의 외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망체(27)을 통과한 비누 분말이 통과할 수 있도록 통과홀(27a)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재(28)의 양측 단부에는 볼트부재(미도시)를 체결할 수 있는 볼팅홀(29a)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 형성된 결합부(29)가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3개의 고정부재(28)를 이용하여 망체(27)가 드럼(24)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하였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2개 내지는 그 이상으로 분할할 수도 있다.
세척부(31)는 망체(27)의 관통홀(27a)이 관통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세척하는 것으로서, 드럼(24)의 일 측에 마련된 피동기어(25)와 치합되는 구동기어(33)가 일 측 단부에 형성된 제2회전축(32)과, 제2회전축(32)에 결합되어 제2회전축(32)의 회전에 따라 망체에 마련된 관통홀(27a)에 인입 및 인출되는 브러시(34)와, 제2회전축(32)의 타 측 단부에 설치되어 제2구동부(18)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제1풀리(35)를 구비한다.
망체(27)의 관통홀(27a)은 분쇄된 비누 분말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관통홀(27a)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비누 분말에 의해 막히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관통홀(27a)이 입자가 큰 비누 분말에 의해 막히게 되면, 비누 분말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관통홀(27a)이 항상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제2구동부(18)에 의해 제1풀리(35)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2회전축(32)이 회전하게 되면, 동력전달부에 의해 제2회전축(32)과 드럼이 연동하여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부는 제2회전축의 단부에 형성된 구동기어(33)와 드럼(24)에 마련된 피동기어(25)로 구성되며, 피동기어(25)에 구동기어(33)의 회전력이 전달되면서 드럼(24)과 세척부(31)가 함께 회전하게 된다.
드럼(24)의 회전 및 세척부(31)의 회전에 의해 세척부(31)에 마련된 브러시(34)가 망체(27)의 관통홀(27a)을 관통하도록 망체(27)에 결합 및 분리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망체(27)의 관통홀(27a)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부(31)가 드럼(24)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었기 때문에 하방으로 배출되는 비누 분말에 의해 관통홀(27a)이 막힌 망체(27)는 드럼(24)의 회전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측에서 세척부(31)에 의해 관통홀(27a)이 세척되면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여 기준 크기 이하의 비누 분말만 배출될 수 있도록 비누 분말을 거른다.
분사부는 드럼(24)과 인접하고 세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드럼을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것으로서, 프레임(21)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드럼(24), 제1회전축(37) 및 제2회전축(32)에 각각 나란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가 마련되고, 외주면에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프레임(21)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기분사구(52a)가 마련된 이송관(52)과, 이송관(52)의 단부에 결합되어 이송관(52)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5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기분사구(52a)는 이송관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지만, 망체(27)를 향하는 방향에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의 공급부(51)로는 에어 컴프레서를 적용하였다.
이송관(52)으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의 공기를 통해 망체(27)의 관통홀(27a)에 끼여있는 비누 분말을 관통홀(27a)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관통홀(27a)의 개방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분사부는 비누 분말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공할 수 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분사부는 히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회전칼날(36)은 드럼(24)의 내부에 투입된 비누 고형체를 분쇄하는 것으로서, 드럼(2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37)과, 제2구동부(18)로부터 공급되는 회전력을 제1회전축(37)에 전달하도록 제1회전축(37)의 단부에 마련된 제2풀리(38)와, 제1회전축(37)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복수의 분쇄날(39)을 구비한다. 제1회전축(37)이 제2구동부(18)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분쇄날(39)이 투입구(22)를 통해 드럼(24) 내부로 투입된 비누 고형체를 비누 분말로 분쇄한다.
회전칼날(36)과 세척부(31)는 모두 프레임(21)의 외부에 설치된 제2구동부(18)에 의해 회전되는데, 제1회전축(37)과 제2회전축(32)에 각각 설치된 제1 풀리(35) 및 제2풀리(38)가 상기 제2구동부(18)와 벨트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게 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세단기(10)와 분쇄기(20)는 이송기(40)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송기(40)는 세단기(10)의 호퍼(11) 하부로부터 연장되어 드럼(24)의 내부로 세단된 비누 고형체를 이송하는 제1이송부(42)와, 분쇄기(20)에서 배출구(23)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비누 고형체를 다시 세단기(10)로 이송시키는 제2이송부(43)를 포함한다.
제1이송부(42) 및 제2이송부(43)는 모두 스크류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실시 예와는 다르게 비누 고형체 및 비누 분말을 적절히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이송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1)는 상기 프레임(21) 내부에서 분쇄되어 프레임(21) 하부로 배출되는 비누 분말을 이송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구비한다.
저장부는 망체(27)을 통과하여 프레임(21)에 마련된 배출구로 배출되는 비누 분말을 일정한 저장소(44)로 이송시키는 것으로서, 일 측이 배출구(23)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비누 분말이 통과할 수 있게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관(41)과, 배출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45)와, 이송스크류(45)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미도시)와, 배출관(41)의 타 측에 설치되어 배출관(41) 및 이송스크류(45)를 통해 이송되는 비누 분말을 저장하는 저장소(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비누 분쇄장치(1)의 작동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가 분쇄할 양의 재생 비누를 적재부(17)를 통해 세단기(10)로 공급한다. 호퍼(11)를 통해 세단부(12)를 통과하는 재생 비누는 세단부(12)에 의해 일차로 세단되어 하방으로 낙하한 뒤, 제1이송부(42)를 따라 이송되어 분쇄기(20)로 공급된다.
분쇄기(20)의 드럼(24) 내부로 투입된 비누 고형체는 분쇄기(20)의 회전칼날(36)의 회전에 따라 입자의 크기가 비교적 작은 비누 분말로 분쇄되며, 분쇄된 비누 분말은 망체(27)의 관통홀(27a)을 통과하여 하방으로 낙하한다.
망체(27)를 통과한 비누 분말은 배출관(41) 및 이송스크류(45)를 통해 저장소(44)로 이송되지만, 망체(27)를 통과하지 못한 비교적 입자가 큰 비누 분말은 드럼(24) 내부에 잔재하게 된다. 드럼(24) 내부에 잔재하는 비누 분말은 회전칼날(36)에 의해 재분쇄되어 관통홀(27a)을 통과하기도 하지만, 관통홀(27a)에 낀 상태로 망체(27)를 따라 회전하기도 한다.
이때, 분사부에서 공급되는 고압의 공기 의해 관통홀(27a)을 막고 있는 비누 분말을 관통홀(27a)로부터 이탈되며, 분사부를 통해 분리되지 않은 비누 분말은 드럼(24)이 회전할 때, 브러시(34)가 관통홀(27a)로 삽입 및 인출되면서 비누 분말을 분리하거나, 긁어내 비누 분말을 관통홀(27a)로부터 분리시킨다.
관통홀(27a)을 통과하지 못한 비누 분말은 회전칼날(36)에 의해 재분쇄되어 배출되기도 하지만, 배출되지 못한 비교적 입자의 크기가 큰 비누 분말은 드럼(24)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면서 제2이송부(43)를 통해 다시 세단기(10)로 공급되고, 세단기(10)와 분쇄기(20)를 거치면서 분쇄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비누 분말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비누 분쇄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비누 분쇄장치
10 : 세단기
20 : 분쇄기
31 : 세척부
40 : 이송기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내부 공간을 가지며, 투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복수의 회전칼날과;
    상기 드럼의 원주면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복수의 관통홀이 형성된 망체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관통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제2회전축에 설치되는 브러시 및 상기 제2회전축의 회전력을 상기 드럼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는 세척부와;
    상기 드럼과 인접하고 상기 세척부와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드럼의 향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제1회전축과 상기 제2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비누 분쇄기와:
    상측이 개방되며, 상기 분쇄기와 소정거리 이격되게 설치된 호퍼와;
    상기 호퍼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호퍼를 통해 내부로 투입된 비누 고형체를 일차로 세단하는 세단부;를 구비하는 세단기와:
    상기 세단기에서 일차 세단된 비누 고형체를 상기 프레임 내부로 이송하는 제1이송부와;
    상기 망체를 통과하지 못하고 상기 드럼 내측에 잔재하는 비누 고형체를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세단기로 이송하는 제2이송부;를 포함하는 이송기:를 구비하고,
    상기 분사부는 상기 프레임 외부로부터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드럼과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각각 나란한 방향으로 설치되며, 내부에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가 마련되고, 외주면에 상기 유로를 통과하는 공기를 상기 프레임 내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관통된 복수의 공기분사구가 마련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관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는 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는 상기 비누 분말에 고온 건조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히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분쇄되어 상기 프레임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비누 분말을 이송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는 일 측이 상기 배출구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 측은 소정길이로 연장되며 내부에는 비누 분말이 통과할 수 있게 배출로가 형성된 배출관과, 상기 배출관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배출관의 타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관 및 상기 이송스크류를 통해 이송되는 비누 분말을 저장하는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누 분쇄장치.
  4. 삭제
KR1020130069250A 2013-06-17 2013-06-17 비누 분쇄장치 KR101506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50A KR101506021B1 (ko) 2013-06-17 2013-06-17 비누 분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250A KR101506021B1 (ko) 2013-06-17 2013-06-17 비누 분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68A KR20140146468A (ko) 2014-12-26
KR101506021B1 true KR101506021B1 (ko) 2015-03-25

Family

ID=5267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250A KR101506021B1 (ko) 2013-06-17 2013-06-17 비누 분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60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19B1 (ko) * 2020-05-22 2020-08-26 성도메카텍(주) 파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68541B1 (ko) * 2006-11-29 2007-10-18 김민우 비누 분쇄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956Y1 (ko) * 1997-06-11 1999-12-15 강동석 오폐수 처리장치
KR100768541B1 (ko) * 2006-11-29 2007-10-18 김민우 비누 분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6468A (ko) 201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888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일체형 파쇄, 고액 분리 및 압축 탈수 장치
JP5422822B1 (ja) 廃プラスチック類の切断洗浄装置
JP2012106185A (ja) 廃棄物の破砕分別装置
KR101506021B1 (ko) 비누 분쇄장치
US20150083835A1 (en) Organic Shredder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n Organic Shredder
CN206853784U (zh) 一种高效物料碾碎机
JP4870407B2 (ja) 剪断式破砕機
KR10111249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48503B1 (ko) 회전유닛을 포함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41479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68541B1 (ko) 비누 분쇄기
JP5177631B2 (ja) 破砕分離システム
KR101682059B1 (ko) 주방용 오물처리장치
US7055769B2 (en) Collider
KR10087414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N217251481U (zh) 一种泥岩废料无害化处理装置
KR101268710B1 (ko) 수처리용 분체 저장공급장치
KR101645678B1 (ko) 세척장치 및 세척장치가 구비된 협잡물 처리장치
KR101878264B1 (ko) 슬러지 탈리 기능을 갖는 펌프 흡입장치
KR20170029069A (ko) 쿨링타워 필러의 재활용을 위한 파쇄장치
KR200393356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0004161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이송분쇄로
KR20160004702A (ko)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고형화 연료 형성장치
CN211113927U (zh) 一种废弃食物垃圾处理器
KR10233592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