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893B1 -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893B1
KR101505893B1 KR1020130007583A KR20130007583A KR101505893B1 KR 101505893 B1 KR101505893 B1 KR 101505893B1 KR 1020130007583 A KR1020130007583 A KR 1020130007583A KR 20130007583 A KR20130007583 A KR 20130007583A KR 101505893 B1 KR101505893 B1 KR 1015058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tting screen
calling
application
call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1632A (ko
Inventor
?지 스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옵팀
Publication of KR2014008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features or functions of an ap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관리 시스템을 저해하지 않는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10)상에서 단말기의 설정 화면(20)의 호출을 검지하고, 그 설정 화면 대신에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가상 설정 화면(21)을 호출하는 것에 의해,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MOBILE TERMINAL, METHOD AND PROGRAM FOR PROVIDING A VIRTUAL SETUP SCREEN}
본 발명은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근년,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으로 불리는 고기능 휴대 단말기의 보급에 의해, 개인적 사용에 그치지 않고 법인이 고기능 휴대 단말기를 종업원에 지급하여 정보 단말기로서 사용하도록 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한 단말기는,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시스템이라고 불리는 단말기 관리 시스템에 의해, 분실시의 정보 누설을 방지하거나 물리적인 반출이나 업무외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많다.
예컨대, 원격 조작에 의해 특정 단말기의 기동을 제한하거나 또는 원격 조작에 의해서만 특정 단말기의 기동을 허가하는 것에 의해, 분실 또는 도난된 단말기가 사용되지 않도록 하거나,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이외의 설치를 제한하는 것에 의해 업무외 용도의 사용을 방지하거나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단말기에는 통상,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정 권한이 있기 때문에, 종업원이 단말기 관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강제적으로 정지시켜버리면 이와 같은 유효한 단말기의 관리의 수행이 어렵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과제에 대해, 휴대 단말기의 기능의 사용자에 의한 이해에 응하여, 기능의 이용 제한을 행하는 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2-70143호 공보
특허문헌 1에 의하면, 사용자에 문제를 제시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회답을 검정(檢定) 테이블부에 기억된 회답과 대비하여 일치 여부를 판정하고, 일치 여부의 판정 결과가 소정 기준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상기 기능의 이용 제한을 해제하는 휴대 단말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수단으로는, 기능의 발휘 전에 사용자의 기능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확인하는 것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의 발휘를 방지하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자기 관리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강제 정지나 삭제가 금지되어 있는 취지에 대해, 사용자의 이해를 확인한 후에 어플리케이션의 정지, 삭제 기능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위반한 경우의 징벌을 사내의 규정 등으로 정하면 종업원이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기재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을 종업원의 이해에 의해 방지하는 것에 불과하며, 단말기가 외부에 유출된 경우도 감안하면 근본적으로 종업원이 어떠한 조작을 행하여도 바람직하지 않은 거동 자체가 일어날 수 없는 메커니즘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유효하다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는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의 호출 파라미터를 해석하는 것에 의해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할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단말기의 설정 화면이 호출된 때 그 호출을 검지하고 그 설정 화면 대신에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가상의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단말기의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하고, 그 설정 화면 대신에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가상의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것에 의해, 가지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해결 수단을 제공한다.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은,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수단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되었는지를 검지하고,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을 배제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카테고리이지만,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의 카테고리에서도 동일한 작용 및 효과를 가진다.
제2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오브젝트 지향형 언어(object-oriented language)에 의해 작성된 것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호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클라스명을 취득하는 클라스명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은, 상기 클라스명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클라스명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설정 화면의 클라스명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2 특징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오브젝트 지향형 언어에 의해 작성된 것이고,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인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호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클라스명을 취득하며, 취득된 클라스명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설정 화면의 클라스명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한다.
제3 특징에 따른 발명은,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은, 인수를 가지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호출을 행하는 명시적 호출과, 처리의 목적을 인수로 하여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지 않는 암묵적 호출을 행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이 이루어진 때 인수를 취득하는 호출 인수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은, 상기 호출 인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인수가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때에 사용되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인수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제3 특징에 따른 발명에 의하면, 제1 특징에 따른 발명인 휴대 단말기는, 인수를 가지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호출을 행하는 명시적 호출과 처리의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지 않는 암묵적 호출을 행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때에 인수를 취득하며, 취득된 인수가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때에 사용되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인수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한다.
제4 특징에 따른 발명은,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기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제5 특징에 따른 발명은,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시키는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상에서, 단말기의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하고 그 설정 화면 대신에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가상의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것에 의해,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재하지 않고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휴대 단말기(10)의 개요도이다.
도 2는 휴대 단말기(10)의 기능 블록과 각 기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휴대 단말기(10)가 실행하는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휴대 단말기(10)가 실행하는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호출된 설정 화면(20)과 표시된 가상 설정 화면(21)을 비교한 일례이다.
도 6은 설정 화면(20)으로부터 천이한, 기능의 제한을 받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화면의 일례이다.
도 7은 가상 설정 화면(21)으로부터 천이한, 기능의 제한을 받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화면의 일례이다.
도 8은 휴대 단말기(10)의 기억부에 미리 기억된,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때의 클라스명과 인수 리스트의 일례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휴대 단말기(10)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개요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휴대 단말기(10)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단말기(10)는 사용자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여러 가지 어플리케이션으로 이루어져 있다. 휴대 단말기에서는, 통상,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하나의 화면을 제어하므로,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은 그것이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 화면의 호출과 거의 같은 의미이다.
여기서의 호출이라고 하는 것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는 상태로 천이시키는 명령이다. 호출은,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있지 않으면 인수를 가지고 기동시키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중이면 그것에 인수를 부여하여 액티브 상태에 놓는 것이다. 해당 인수로서는, 호출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자체가 호출의 인수이기도 하고, 그 어플리케이션에 주어지는 인수 또한 호출의 인수라고 말할 수 있다.
구체예로서, 지도 어플리케이션상에 있는 점포의 URL에의 링크가 표시된 때, 그것을 단말기상에서 탭(tap)하는 것에 의해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을 해당 URL을 인수로 하여 호출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해당 호출에 의해, 액티브한 어플리케이션은 지도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되고,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에 인수인 URL의 웹페이지가 표시된다. 여기서, 호출전에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실행중이었을 필요는 없다.
또, 휴대 단말기(10)에서는 복수 종류의 브라우저 어플리케이션이 사용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특정된 어플리케이션을 인수로 지정하는 경우는 그 어플리케이션이 호출된다. 한편,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연계에 있어서 특정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이 사용가능한 것이 설계시부터 예상하는 것은 곤란하므로, "웹페이지를 본다"고 하는 목적만을 인수로 하여 암묵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에 있어서, 휴대 단말기(10)상에서는 자기 관리 기능이 발휘되고 있고, 접속 네트워크의 제한이나 조작 이력의 기억, 어플리케이션의 추가, 삭제의 제한이 되어 있다. 예컨대, 사내 네트워크 이외의 무선 LAN에의 접속을 금지하는 것에 의해, 외부에의 정보 유출을 막거나, 문제가 발행한 때에 그 원인이 되는 조작을 행한 시각을 역으로 조사하거나, 불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방지하는 것에 의해 업무외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에도, 예컨대 각 기능을 발휘하는 때에 사내 네트워크를 통한 인증이 필요하도록 설정하는 것에 의해 단말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한 때에 단말기내 정보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기 관리 기능은, 그 기능을 발휘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기동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고, 종업원에 의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정지되어 버린 경우에는 상술한 관리 기능이 발휘되지 않게 되어 버린다.
한편, 예컨대 실행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정지를 일절 금지시키는 등, 극단적으로 설정 기능의 발휘를 제한해 버리면, 업무의 수행상 필요한 기능까지도 사용할 수 없게 되어버리므로 불합리하다. 따라서, 휴대 단말기(10)는 설정 화면(20)의 호출을 검지하면 설정 화면(20)을 표시하지 않고 그 대신에 설정 화면(20)으로부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가상 설정 화면(21)을 표시한다.
즉, 휴대 단말기(10)가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할 때마다 해당 호출의 인수나 호출될 어플리케이션의 클라스명을 미리 기억부에 기억된 리스트와 대비하는 것에 의해, 해당 호출이 설정 화면(20)의 호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설정 화면(20)의 호출을 검지한 때(단계 S01), 해당 호출을 중지한다(단계 S02).
다음으로, 휴대 단말기(10)는 가상 설정 화면(21)을 표시한다(단계 S03). 가상 설정 화면(21)은, 설정 화면(20)으로부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한 설정 화면이다. 도 1에서, 가상 설정 화면(21)에는 본래의 설정 화면(20)에 존재한 "이력의 삭제" 항목이 제외되었고, "무선과 네트워크"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에서는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 것을 표시하는 제한 마크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소리 설정은 통상과 같이 발휘 가능하므로 특히 제한되어 있다는 취지은 표시되지 않는다.
가상 설정 화면(21)은, 설정 화면(20)을 기초로 미리 설계되고, 실행가능한 형식으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고, 그때마다 설정 화면(20)을 입력으로 하여 가공하고 그 출력으로서 동적으로 생성되어도 좋다. 후자의 경우에는,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업데이트에 의해 설정 화면의 사용이 변경된 때에도 수정할 필요없이 대응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는 이점이 있다.
이상이 휴대 단말기(10)의 개요이다.
[각 기능의 설명]
도 2는 휴대 단말기(10)의 기능 블록과 각 기능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휴대 단말기(1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가정용 또는 업무용 전자제품으로서, 주로 이동하면서 사용되는 것을 전제로 만들어진 제품이다. 예컨대, 휴대 전화기, 휴대 정보 단말기, 랩톱 컴퓨터, 넷북 단말기, 슬레이트 단말기, 전자 서적 단말기, 휴대형 음악 플레이어, 오디오 콤포넌트, 콘텐츠 재생/녹화 플레이터, 휴대형 프린터, 휴대형 스캐너가 있다. 한편, 반드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양면이 처음부터 휴대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일 필요는 없고, 휴대 단말기 사양으로 만들어진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탑재하고 있으면 거치형 기기라도 휴대 단말기(10)에 해당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는, 제어부(11)로서 CPU(Central Processing Unit),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등을 구비하고, 입출력부(12)로서 제어부에서 제어한 데이터나 화상을 출력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하며, 사용자나 지원관리자로부터의 입력을 받는 터치 패널이나 키패드 등을 구비한다. 또한, 휴대 단말기(10)는 기억부(13)로서 하드 디스크나 반도체 메모리와 같은 데이터의 저장부를 구비한다.
휴대 단말기(10)에 있어서, 제어부(11)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이는 것에 의해, 입출력부(12)와 협동하여, 어플리케이션 호출 모듈(14), 가상 설정 화면 표시 모듈(15)을 실현한다. 또, 휴대 단말기(10)에서 제어부(11)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이는 것에 의해, 기억부(13)와 협동하여, 설정 화면 호출 검지 모듈(16), 클라스명 취득 모듈(17), 호출 인수 취득 모듈(18)을 실현한다.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처리]
도 3은, 휴대 단말기(10)가 실행하는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처리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각 모듈이 행하는 처리에 대해 본 처리에서 함께 설명한다.
먼저, 휴대 단말기(10)는, 후술하는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를 행한다(단계 S11). 설정 환면 호출 검지 처리는,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하는 처리로서, 설정 화면의 호출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단계 S12에서의 '아니오'의 경우), 설정 화면의 호출이 검지될 때까지 단계 S11을 반복한다.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
도 4는, 휴대 단말기(10)가 실행하는,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의 흐름도이다. 상술한 각 모듈이 수행하는 처리에 대해 본 처리에서 함께 설명한다.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에서, 먼저 어플리케이션 호출 모듈(14)이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한다(단계 S21).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이란, 전술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천이시키는 명령이다. 호출에는 인수가 수반되고, 인수에는, 호출할 어플리케이션의 정보와 그 어플리케이션에 주어지는 인수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클라스명 취득 모듈(17) 또는 호출 인수 취득 모듈(18)이, 호출된 어플리케이션의 클라스명 또는 호출의 인수를 취득한다(단계 S22). 어플리케이션이 오브젝트 지향형 언어(object-oriented language)로 작성되어 있지 않는 등, 클라스명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호출의 인수를 취득한다. 여기서, 호출이 명시적 호출인 경우에는 인수 그 자체가 클라스명인 경우도 있다.
또, 취득 타이밍으로서는, 호출이 완료하기 전이 바람직하지만, 휴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서는 한번 메모리상에 전개된 오브젝트의 클라스명을 취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클라스명의 취득을 행하여도 좋다. 그러한 경우에는, 해당 오브젝트를 즉시 파기하거나 화면으로부터의 참조를 개방하는 것에 의해 설정 화면의 호출을 중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클라스명의 취득은, 명칭 공간(name space)까지 포함하여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명칭 공간을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는, 클라스명만을 취득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취득한 클라스명을 사용하여 기억부에 기억된 라이브러리로부터 명칭 공간으로서 가능성이 있는 것을 추출하여도 좋다. 취득한 인수가 클라스명인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설정 화면 호출 검지 모듈(16)이, 상기 취득한 클라스명이나 인수가 미리 기억부에 기억된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경우의 클라스명이나 인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그 결과에 따라 설정 화면이 호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3).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23에서의 '아니오'의 경우), 설정 화면의 호출은 검지되지 않은 채로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를 종료한다. 반면, 일치하는 경우에는(단계 S23에서의 '예'의 경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것으로 판단하고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하였다는 취지의 리턴값을 리턴하며,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를 종료한다(단계 S24).
도 8은,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때의 클라스명과 인수의 리스트의 일례이다. 도 8에서, 종별로서는 클라스명, 인수, 명칭 공간 중 어느 하나가 기억되어 있고, 인수는 또한 명시적 호출과 암묵적 호출의 인수로 나누어져 있다.
단계 S22에서 클라스명을 취득한 경우, 또 명시적 호출의 인수로 결과적으로 클라스명을 취득한 경우에는, 도 8의 리스트를 가지고 클라스명의 대조를 실행한다. 클라스명이 도 8의 리스트에 없는 경우에는, 단계 S23에서 설정 화면의 호출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한면, 어플리케이션의 강제 종료 화면인 "ApplicationKillerDisplay" 등이 취득된 경우에, 이것은 리스트 내에 존재하므로 단계 S23에서 이를 설정 화면의 호출로서 검지한다.
인수의 경우도 동일하다. 단지, 인수로서 "Settings.ACTION_WIFI_SETTINGS"와 같이 클라스내의 정수(定數)의 정의 형태로 기억되어 있는 경우, 해당 클라스를 마찬가지로 읽어들이는 것에 의해 판단을 행하여도 좋고, 예컨대 "21" 등과 같은 단지 숫자인 경우, 바이트열이나 그것이 직접 나타내는 값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판단해도 좋다. 또한, 명칭 공간을 취득하거나 추출하거나 한 경우에는, 명칭 공간에 의해 판단을 행하여도 좋다.
이상은,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의 처리 순서이다.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처리로 돌아가서,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의 리턴값에 의해 설정 화면의 호출이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는(단계 S12에서의 '아니오'의 경우), 검지될 때까지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처리를 반복한다. 검지된 경우에는(단계 S12에서의 '예'의 경우), 계속해서 이하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가상 설정 화면 표시 모듈(15)은, 설정 화면의 호출을 중지한다(단계 S13). 중지시키는 방법으로서는, 해당 설정 화면을 액티브로 하지 않거나, 생성된 오브젝트를 파기하거나, 오브젝트의 생성전에 해당 처리를 종료시키는 것이 가능한다.
마지막으로, 가상 설정 화면 표시 모듈(15)은, 호출을 중지시킨 설정 화면 대신에,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14). 가상 설정 화면은, 설정 화면으로부터 자기 관리 기능을 방해하는 항목을 배제시킨 것이다. 가상 설정 화면은 설정 화면과 마찬가지로 미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어도 좋고, 호출에 의해 생성된 설정 화면의 오브젝트를 기초로 하여 동적으로 생성하여도 좋다. 가상 설정 화면으로부터 실행되는 설정 기능은, 가상 설정 화면 오브젝트가 처리를 행하여도 좋고, 처리부분만 설정 화면 오브젝트의 기능을 발휘시켜도 좋다.
여기서, 구체예로서 설정 화면(20)과, 가상 설정 화면(21)을 사용하여, 처리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5는, 설정 화면(20)과 가상 설정 화면(21)을 비교한 일례이다. 설정 화면(20)에서, 각 설정 항목(51)이 세로로 나열되어 있고 각각을 터치하면 서브항목으로서 상세한 설정 화면으로 천이된다. 여기서, 이 천이도 화면의 전환이며, 어플리케이션의 호출로서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한편, 가상 설정 화면(21)에서, 자기 관리 기능을 저해하는 "이력의 삭제" 메뉴(52)가 제외되어 있는 동시에, "무선과 네트워크" 및 "어플리케이션 관리" 메뉴에도 제한 마크(53)가 표시된다. 이것은, "이력의 삭제" 메뉴에는 서브항목으로서 표시되는 것이 없기 때문에 메인항목으로서 가상 설정 화면(21)으로부터 삭제되어 있고, 제한 마크(53)는 해당 메뉴를 선택한 때에 표시되는 서브항목도 있는 동시에 표시되지 않는 서브항목도 존재하여 기능이 부분적으로 제한되는 것을 나타낸다. 기능의 제한을 받지 않는 "소리 설정" 메뉴(54)와 같은 경우에는 그대로 표시된다.
도 6은, 설정 화면(20)으로부터 천이한, 기능의 제한을 받지 않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화면의 일례이다. 항목 이름(61)의 아래에, 일련의 어플리케이션(62)이 나열되고, 어플리케이션의 명칭과 정지 버튼(63) 및 삭제 버튼(64)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정지 버튼(63)을 터치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기동중인 어플리케이션을 강제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고, 삭제 버튼(64)을 터치하여 누르는 것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을 휴대 단말기(10)로부터 삭제할 수 있다. 또, 메일 어플리케이션(65)와 같이, 삭제가 시스템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어플리케이션도 존재한다.
도 7은, 가상 설정 화면(21)으로부터 천이한, 기능의 제한을 받는 어플리케이션 관리 화면의 일례이다. 항목 이름(71) 및 일련의 어플리케이션(72)의 구성은 도 6과 동일하지만, 도 6에는 있었던 단말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의 정지 버튼이 73에서는 공백으로 되어 있다. 때문에, 사용자는 가상 설정 화면으로부터는 단말기 관리 어플리케이션을 정지시킬 수 없고 삭제할 수도 없다.
이상이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처리의 순서이다.
상술한 수단, 기능은, 컴퓨터(CPU, 정보처리장치, 각종 단말기를 포함함)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읽어들이고 실행하는 것에 의해 구현된다. 프로그램은, 예컨대 플렉시블 디스크, CD(CD-ROM 등), DVD(DVD-ROM, DVD-RAM 등) 등의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 경우, 컴퓨터는 그 기록 매체로부터 프로그램을 판독하여 내부기억장치 또는 외부기억장치에 전송하여 기억시키고 실행한다. 또, 이 프로그램을, 예컨대 자기 디스크, 광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억 장치(기록 매체)에 미리 기록해 두고, 그 기억 장치로부터 통신 회선을 통해 컴퓨터에 제공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효과는 본 발명으로부터 얻어지는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예시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1…휴대 단말기 20…설정 화면
21…가상 설정 화면

Claims (5)

  1.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가상 설정 화면 표시 수단
    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오브젝트 지향형 언어(object-oriented language)에 의해 작성된 것이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호출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클라스명을 취득하는 클라스명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은, 상기 클라스명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클라스명이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설정 화면의 클라스명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하는,
    휴대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은, 인수를 가지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호출을 행하는 명시적 호출과, 처리의 목적을 인수로 하여 특정의 어플리케이션을 지정하지 않는 암묵적 호출을 행하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호출 수단에 의해 어플리케이션의 호출이 이루어진 때 인수를 취득하는 호출 인수 취득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화면 호출 검지 수단은, 상기 호출 인수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인수가 설정 화면을 호출하는 때에 사용되는 미리 등록된 하나 이상의 인수 중 하나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에 의해 검지를 행하는,
    휴대 단말기.
  4.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에 의해 실행되는 단말기 설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단말기 설정 방법.
  5. 자기 관리 기능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휴대 단말기상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호출하는 단계;
    상기 휴대 단말기의 설정을 행하는 설정 화면이 호출된 것을 검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검지한 때에, 검지된 상기 설정 화면의 호출을 대신하여, 상기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는 설정 항목이 배제된 가상 설정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
    를 실행시키는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30007583A 2012-12-21 2013-01-23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 KR101505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0165 2012-12-21
JP2012280165A JP5714560B2 (ja) 2012-12-21 2012-12-21 自己管理機能の発揮を妨げずに設定を行う携帯端末、端末設定方法、及び携帯端末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1632A KR20140081632A (ko) 2014-07-01
KR101505893B1 true KR101505893B1 (ko) 2015-03-25

Family

ID=47790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7583A KR101505893B1 (ko) 2012-12-21 2013-01-23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93703B2 (ko)
EP (1) EP2746933A1 (ko)
JP (1) JP5714560B2 (ko)
KR (1) KR101505893B1 (ko)
CN (1) CN10388567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71922B2 (ja) * 2014-10-27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5488374B (zh) * 2015-11-28 2018-06-12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解锁方法及装置
CN110839105A (zh) 2018-08-17 2020-02-2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终端管理方法、装置、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473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전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958B1 (ko) * 2005-06-15 2006-11-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에서의 홈 스크린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07025526A (ja) * 2005-07-21 2007-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メージコンテンツの提供とイメージの描画を行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805372A (zh) * 2005-12-30 2006-07-19 赵颜 一种可为无线移动终端用户提供设备和数据安全服务的方法
JP2007193435A (ja) * 2006-01-17 2007-08-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端末、プログラム
CN101132557A (zh) * 2007-09-28 2008-02-27 赵颜 一种可为手机用户提供设备和数据安全服务的方法
US8364145B2 (en) * 2008-01-09 2013-01-29 Mediatek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ynamic menu update
CN101521886B (zh) * 2009-01-21 2011-04-20 北京握奇数据系统有限公司 一种对终端和电信智能卡进行认证的方法和设备
WO2010123426A1 (en) * 2009-04-24 2010-10-2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nvoking local communication application services
US8789205B2 (en) * 2010-04-21 2014-07-22 Microsoft Corporation Role-based graphical user interfaces
JP2012070143A (ja) 2010-09-22 2012-04-05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携帯端末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2542206A (zh) * 2010-12-23 2012-07-04 康佳集团股份有限公司 为终端增加权限用户的方法及其装置
CN102147926A (zh) * 2011-01-17 2011-08-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3d图标的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KR101860342B1 (ko) * 2011-09-15 2018-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2393889A (zh) * 2011-09-19 2012-03-28 北京信城通数码科技有限公司 一种权限配置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0473A (ko) * 2010-12-21 2012-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모드 전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93703B2 (en) 2014-07-29
US20140181840A1 (en) 2014-06-26
EP2746933A1 (en) 2014-06-25
KR20140081632A (ko) 2014-07-01
CN103885671A (zh) 2014-06-25
CN103885671B (zh) 2018-04-13
JP2014123324A (ja) 2014-07-03
JP5714560B2 (ja) 2015-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48310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interactions between application programs and data stores
CN107861773A (zh) 关联启动的管控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US83360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protecting system resources from web browser
US7644444B2 (en) Communication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a
CN107645546B (zh) 基于安卓系统的文件监听方法、智能设备及存储介质
US20120050336A1 (en) Touch-based remote control
KR20110128632A (ko)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의 악성행위 탐지 방법 및 장치
KR20130116414A (ko) 휴대 단말기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권한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30293486A1 (en) Touch-based remote control
CN109511145B (zh) 网络热点的切换方法、智能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505893B1 (ko) 자기 관리 기능의 발휘를 방해하지 않고 설정을 행하는 휴대 단말기, 단말기 설정 방법 및 휴대 단말기용 프로그램
JP2015518298A (ja) 情報入力方法、装置、端末及び記憶媒体
EP2728472B1 (en) User terminal, reliability management server, and method and program for preventing unauthorized remote operation
CN101158898A (zh) 基于Java的终端系统
KR101716690B1 (ko) 데이터 무단 엑세스 차단 방법 및 그 기능이 구비된 컴퓨팅 장치
US7778660B2 (en) Mobile communications terminal, information transmitting system and information receiving method
CN106933666B (zh) 一种调用信息输入程序的方法及一种电子设备
CN113810535B (zh)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CN105787302B (zh) 一种应用程序的处理方法、装置及电子设备
JP2006285714A (ja) 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システム、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方法およびウェブコンテンツ閲覧・編集用プログラム
US20100281403A1 (en) Browser program and terminal device
CN109977659A (zh) weblogic自动创建本地用户的方法、系统、装置及存储介质
CN111782416B (zh) 数据上报方法、装置、系统、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1145772A (ja) サーバ、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123298A (ja) 情報管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