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773B1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773B1
KR101505773B1 KR1020140029941A KR20140029941A KR101505773B1 KR 101505773 B1 KR101505773 B1 KR 101505773B1 KR 1020140029941 A KR1020140029941 A KR 1020140029941A KR 20140029941 A KR20140029941 A KR 20140029941A KR 101505773 B1 KR101505773 B1 KR 101505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eth
jaw
fixed
sleep apnea
push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바다
박초연
Original Assignee
김해바다
박초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해바다, 박초연 filed Critical 김해바다
Priority to KR1020140029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7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 A61F5/566Intra-oral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6Detecting or evaluating apnoea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Mouthpie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삽입되는 윗니안착틀과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배면에 상호 걸림 고정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걸림 고정을 통해 하악의 전진과 이를 통한 기도확보가 이루어지되 치아 및 턱관절에 발생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호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도 하악의 측방, 전진 및 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는, 윗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고, 전치부 배면에는 밀대고정단이 형성되는 윗니안착틀; 아랫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아랫니안착틀; 상기 밀대고정단에 전후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밀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대몸체의 상단부는 아랫니의 전치 상단과 어금니 상단면을 잇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교합평면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악밀대; 및 상기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교합평면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밀림배면이 상기 밀대몸체의 전면에 걸림 고정되되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되는 하악밀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대몸체의 전면과 밀림배면이 상호 접촉되어 형성되는 걸림면과 상기 교합평면이 이루는 사잇각은 70 ~ 9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본 발명은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삽입되는 윗니안착틀과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배면에 상호 걸림 고정되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의 걸림 고정을 통해 하악의 전진과 이를 통한 기도확보가 이루어지되 치아 및 턱관절에 발생되는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며, 상기 돌출부가 상호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도 하악의 측방, 전진 및 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코골이는 수면 중 구강내 주변의 근육이 이완된 상태에서, 들숨과 날숨으로 인해 목젖이나 연구개 등이 진동하면서 발생되는 것으로서, 심할 경우 수면무호흡증, 만성피로 및 집중력 감퇴 등을 유발하게 되며,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골이 방지 수술을 받거나, 양압공급장치 또는 기도확보용 장치를 구강 내에 삽입 고정하기도 한다.
기도확보용 장치를 이용한 코골이 치료방법의 종래기술로서 국내등록특허 제10-1288834호 (등록일자: 2013. 07. 17.) 가 개시되어 있으며, 도 1a는 상기 종래기술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상기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기술은 윗니(1)와 아랫니(2)에 각각 삽입되는 상악장착틀(3)과 하악장착틀(4), 상기 상악장착틀(3)과 하악장착틀(4)의 전치부 배면에 형성되는 밀대(5)과 밀림부(6)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술은 상기 상악장착틀(3)과 하악장착틀(4)에 치아로부터 틀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강대(7)가 구비되고, 상악장착틀(3)과 밀대(5)의 경계부위에는 상기 밀대(5)를 전후진시키는 피치조절나사(8)가 구비되며, 밀대(5)과 밀림부(6)의 걸림 고정 부위에는 상호 걸림 고정되도록 톱니(9)가 형성되게 되며, 밀대(5)와 밀림부(6)의 걸림 고정을 통해 하악을 전방으로 전진시키게 되고, 이를 통해 기도가 확보됨으로써 코골이를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보강대(7)가 잇몸에 이물감을 줄 수 있고, 톱니(9)의 상호 걸림 고정으로 인해 하악의 개구운동에 어려움이 있으며, 하악의 좌우 측방운동 또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상, 턱관절에 무리가 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밀대(5)의 하단부가 아랫니(2)에 하중(p)을 직접적으로 가하게 되면서 아랫니(2)에 통증이 심화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국내등록특허 제10-0642352호 (등록일자: 2006. 10. 27.) 의 경우, 상악장착틀(3')과 하악장착틀(4')의 구치부에 상호 걸림 고정되는 플랜지(9')를 통해 아랫니에 하중이 직접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고는 있으나, 상기 플랜지(9')의 걸림 고정으로 인해 하악의 좌우운동이 전혀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턱관절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KR 10-1288834 B1 2013. 07. 17. KR 10-0642352 B1 2006. 10. 27.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를 위해 하악을 전방이동시키고, 이와 함께 하악이 전방이동된 상태에서도 수면 중 하악의 측방, 전진 및 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하악의 전방이동에 따라 치아 및 턱관절에 가해질 수 있는 하중을 분산 및 경감시켜주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 건조를 방지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는, 윗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고, 전치부 배면에는 밀대고정단이 형성되는 윗니안착틀; 아랫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아랫니안착틀; 상기 밀대고정단에 전후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밀대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대몸체의 상단부는 아랫니의 전치 상단과 어금니 상단면을 잇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교합평면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악밀대; 및 상기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는 상기 교합평면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밀림배면이 상기 밀대몸체의 전면에 걸림 고정되되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되는 하악밀림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대몸체의 전면과 밀림배면이 상호 접촉되어 형성되는 걸림면과 상기 교합평면이 이루는 사잇각은 70 ~ 9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윗니안착틀 또는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전면 상하 길이가, 각각 윗니 또는 아랫니 전치의 상하 길이 대비 1/4 ~ 1/3배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는, 아랫니안착틀의 구치부 상면 또는 윗니안착틀의 구치부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교합블록이 더 구비되며, 상기 걸림면은 사용자 아랫니의 전치로부터 후방으로 사용자 송곳니의 두께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 걸림 고정되고 교합평면 하부 또는 상부로 각각 돌출되는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를 통해, 걸림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도 하악의 측방, 전진 및 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게 되어 코골이와 수면무호흡 방지는 물론 이물감 경감 및 턱관절 안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윗니와 아랫니의 외형과 동일한 형상의 치아수용홈, 전치의 상하 길이 대비 일정 길이를 갖는 윗니안착틀과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 전면 및 구치부에 구비되는 교합블록을 통해, 치아 및 턱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이 경감 또는 분산되므로, 장시간 착용에도 통증이 소멸 또는 경감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하면, 구강 입구에 배치되고 상호 걸림 고정되는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를 통해 사용자의 구강 내부가 외부와 일부 차단되면서 구강 건조가 방지되어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1b는 또 다른 종래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의 실시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중 상악밀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중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의 걸림 고정을 도시한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의 실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중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의 걸림 고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윗니와 아랫니에 각각 삽입되는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 상기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a) 배면에 각각 형성되는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 및 상기 아랫니안착틀(20)의 구치부(b) 상면에 형성되는 교합블록(50)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상악밀대(30)의 전면(31a)에 상기 하악밀림부(40)의 밀림배면(41)이 걸림 고정되면서, 하악의 전진과 이를 통한 기도확보가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치아 및/또는 턱관절에 가해지는 하중이 분산될 수 있도록 상기 아랫니안착틀(20)의 구치부(b)에 교합블록(50)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가 상호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도 수면 중 발생되는 하악의 측방, 전진 및 후퇴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윗니안착틀(10)은 윗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외형은 치열과 대응되는 U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착용 중 윗니로부터 이탈됨이 방지되도록 내부는 착용자의 치형과 동일한 형상의 치아수용홈(11)이 형성되며, 전치부(a) 배면에는 후술할 상악밀대(30)를 고정하기 위한 밀대안치부(13)와 밀대고정단(15)이 형성되게 된다.
아랫니안착틀(20)은 아랫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는 착용자의 아랫니 치형과 동일한 형상의 치아수용홈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은 요철을 갖는 치아 표면에 끼움 고정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후술할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시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에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치아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만,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a) 전면 상하길이가 전치(A)의 상하 길이를 모두 포함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윗니안착틀과 아랫니안착틀의 장기착용시 전치를 포함한 치아 및/또는 잇몸 등에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통증경감 및/또는 방지를 위해,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a) 전면 상하 길이가 전치(A)의 상하 길이 대비 1/3배 이하가 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윗니안착틀(10)의 전치부(a) 전면 상하 길이(h)가 윗니 전치(A)의 상하 길이(H)에 비해 짧게 형성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랫니안착틀에 대해서는 특별히 표시를 하지 아니하였으나, 아랫니안착틀의 전치부(a) 전면 상하 길이 또한 아랫니 전치(A)의 상하 길이 대비 1/3 이하가 되도록 한다.
다만, 윗니안착틀 및/또는 아랫니안착틀의 상하 길이를 지나치게 짧게 하는 경우 윗니안착틀(10) 또는 아랫니안착틀(20)이 치아로부터 이탈될 수 있으므로, 윗니안착틀(10)과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a) 전면 상하길이는 윗니와 아랫니의 전치(A) 각각의 상하 길이 대비 최소 1/4배 이상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중 상악밀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악밀대(30)는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을 통해 수면 중 하악이 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쐐기 형상의 밀대몸체(31), 상기 밀대몸체(31)를 상기 밀대고정단(15)에 고정시키는 돌출조절나사(33) 및 상기 돌출조절나사(33)의 양측에 구비되는 회전방지바(35)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대몸체(31)는 전면(31a)이 사각면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쐐기 형태로 형성되며, 배면(31b)은 혀의 이물감 완화를 위해 설단(舌端)이 안치되도록 만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밀대몸체의 전면(31a)이 후술할 하악밀림부(40)의 밀림배면(41)과 걸림 고정되면서 하악의 후진이 방지되게 되는데, 수면 중에는 입의 벌어짐 또는 이갈이 등으로 하악의 측방, 전진 또는 후퇴운동이 반복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하악의 측방, 전진 또는 후퇴운동 등의 움직임이 있는 경우에도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이 유지되도록,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아랫니의 전치(A) 상단과 어금니 상단면을 잇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가상의 평면인 교합평면(C)과, 상기 전면(31a)과 밀림배면(41)이 접촉되어 형성되는 걸림면(E)에 의해 형성되는 사잇각(θ)이 90°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 하악의 개구운동이 발생하더라도 걸림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다만, 상기 사잇각(θ)이 작을수록 상악밀대(30)가 하악을 압박하는 강도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사잇각(θ)의 범위는 70 ~ 90°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면 중 하악의 개구운동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걸림 고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상악밀대(30)의 상단부(31') 및 하악밀림부(40)의 상단부(40')가 교합평면(C)의 상부 및 하부로 각각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악밀대(30)의 하부 돌출길이는 후술할 돌출조절나사(33)를 통해 조절될 수 있는데, 돌출이 지나치게 이루어질 경우 하악을 압박할 수 있어 상악밀대(30)의 하부 돌출길이 조절에는 제약이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수면 중 자연적으로 사용자의 입이 벌어진 상태를 의미하는 레스트포지션 상태에서, 하악밀림부(40)의 상단부(40')가 교합평면(C)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하되, 상기 하악밀림부(40) 상단부(40')는 상기 하악밀림부(40)의 상단부(40')가 하악밀림부(40)의 전치부(a) 윗면과 상악밀대(30)의 전치부(a) 아랫면으로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위치되는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면 중 하악의 측방이동이 있는 경우에도 상기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가 상호 이탈됨이 없도록 한다. 사용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하악의 최대 측방이동폭이 좌우로 10mm 내외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악밀대(30)의 폭을 10 ~ 12 mm로 하고, 하악밀림부(40)의 폭은 12 ~ 14 mm로 함으로써, 수면 중 무의식 상태에서 하악의 측방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상호 이탈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조절나사(33)는 밀대몸체(31)의 돌출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밀대몸체(31)의 돌출길이를 적절히 조절하여 수면 중 코골이 및 무호흡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돌출조절나사(33)는 밀대몸체(31)와 밀대고정단(15)에 각각 나사결합되게 되며, 상기 돌출조절나사(33)의 길이방향 중심에는 원주방향으로 복수 개의 나사회전홀(33a)이 형성되는데, 핀 등의 도구를 상기 나사회전홀(33a)에 삽입한 후 회전시킴으로써 돌출조절나사(33)의 돌출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회전방지바(35)는 상기 돌출조절나사(33)에 고정되는 밀대몸체(31)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로서, 상기 돌출조절나사(33)의 좌우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상하 양단이 밀대몸체(31)와 밀대고정단(15)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돌출조절나사(33)의 돌출길이 조절을 방해하지 않도록 슬립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하악밀림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밀대(30)와의 걸림 고정을 통해 수면 중 하악이 후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밀림배면(41)이 상기 밀대몸체(31)의 전면(31a)에 걸림 고정되되, 측방, 전진 및 후퇴이동이 가능하게 걸림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 하악밀림부의 상기 밀림배면(41)과 밀대몸체의 전면(31a)은 상호 측방, 전진 및 후퇴이동이 가능하도록 매끈한 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에 따라 아랫니 전치(A)의 배면, 구체적으로 아랫니 전치(A)의 배면 상부에 집중하여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아랫니 전치(A)의 통증을 분산, 완화 및/또는 소멸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걸림면(E)이 아랫니 전치(A) 배면으로부터 일정거리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면(E)은 측면에서 볼 때 사용자 아랫니의 전치(A)로부터 후방으로 사용자 송곳니의 두께(F)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하악밀림부가 상악밀대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는 경우에도, 전달되는 하중이 아랫니 전치(A)의 배면 상부에만 집중되지 않고 치아 전체로 분산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통증이 완화되거나 소멸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가 상호 걸림 고정되면서, 수면 중 레스트포지션 상태에서도 상기 상악밀대 및/또는 하악밀대가 사용자의 구강 내부를 외부와 일부(예를 들면, 상악밀대 및/또는 하악밀대의 폭 만큼) 차단하게 되며, 이를 통해 구강 내부의 수분 건조가 지연되면서 착용감이 향상될 수 있다.
측방, 전진 및 후퇴이동이 가능하다 하더라도, 상악밀대(30)와 하악밀림부(40)의 걸림 고정으로 인해, 치아 및/또는 턱관절에 일부 통증이 유발될 수 있다. 아랫니안착틀(20)의 후방 구치부(b)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교합블록(50)은 상악밀대와 하악밀대의 걸림 고정에 따른 하중이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치아 및/또는 턱관절에 가해지는 통증이 소멸되거나 경감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교합블록(50)은 아랫니안착틀(20)의 구치부로부터 상부로 일부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면 중 입이 자연스럽게 벌어지는 레스트포지션 상태에서 상기 교합블록이 윗니안착틀(10)의 구치부(b) 아랫면과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상기 교합블록(50)이 아랫니안착틀의 구치부(b) 상부로 면을 이루어 돌출 형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의 걸림 고정을 도시한 측면도를 나타내는 도 5를 참조하면, 아랫니안착틀의 구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 교합블록의 상면(51)이 윗니안착틀의 구치부 아랫면과 밀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교합블록은 수면 중 사용자의 입이 벌어진 레스트포지션 정도를 감안한 높이로 돌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교합블록의 상면이 윗니안착틀의 구치부 아랫면과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상악밀대와 하악밀림부의 걸림고정에 따라 치아 전면에 부가되는 하중이 전체로 분산되면서, 치아 및/또는 턱관절에 가해지는 통증이 경감되거나 소멸될 수 있게 된다.
위에서는 교합블록이 아랫니안착틀의 구치부 상부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상기 교합블록은 윗니안착들의 구치부 하부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동일한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 윗니안착틀
11: 치아수용홈 13: 밀대안치부
15: 밀대고정단
20: 아랫니안착틀
30: 상악밀대
31: 밀대몸체 33: 돌출조절나사
35: 회전방지바
40: 하악밀림부 41: 밀림배면
50: 교합블록

Claims (4)

  1. 윗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고, 전치부(a) 배면에는 밀대고정단(15)이 형성되는 윗니안착틀(10);
    아랫니에 삽입 또는 분리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아랫니안착틀(20);
    상기 밀대고정단(15)에 전후진 가능하게 고정되는 밀대몸체(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밀대몸체(31)의 상단부(31')는 아랫니의 전치(A) 상단과 어금니 상단면을 잇는 면으로 이루어지는 교합평면(C)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상악밀대(30); 및
    상기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a) 배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단부(40')는 상기 교합평면(C)의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밀림배면(41)이 상기 밀대몸체(31)의 전면(31a)에 걸림 고정되되 상호 유동 가능하도록 걸림 고정되는 하악밀림부(40);
    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대몸체(31)의 전면(31a)과 밀림배면(41)이 상호 접촉되어 형성되는 걸림면(E)과 상기 교합평면(C)이 이루는 사잇각(θ)은 70 ~ 90°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윗니안착틀(10) 또는 아랫니안착틀(20)의 전치부 전면 상하 길이는, 각각 윗니 또는 아랫니 전치(A)의 상하 길이 대비 1/4 ~ 1/3배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랫니안착틀(20)의 구치부(b) 상면 또는 윗니안착틀(10)의 구치부(b)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교합블록(5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면(E)은,
    사용자 아랫니의 전치(A)로부터 후방으로 사용자 송곳니의 두께(F) 범위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KR1020140029941A 2014-03-13 2014-03-1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KR101505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41A KR101505773B1 (ko) 2014-03-13 2014-03-1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941A KR101505773B1 (ko) 2014-03-13 2014-03-1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773B1 true KR101505773B1 (ko) 2015-03-26

Family

ID=53028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941A KR101505773B1 (ko) 2014-03-13 2014-03-1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77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20170016057A (ko) 2015-08-03 2017-02-13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101710840B1 (ko) *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WO2017069599A1 (ko) * 2015-10-22 2017-04-27 최현진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WO2018128972A1 (en) * 2017-01-03 2018-07-12 Lamberg Steven B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KR20190117864A (ko) * 2018-04-06 2019-10-17 이노범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297772B1 (ko) * 2021-01-05 2021-09-03 (주)예스바이오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KR20220158377A (ko) * 2021-05-24 2022-12-01 (주)예스바이오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KR20230070711A (ko) 2021-11-15 2023-05-23 추혜란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138A (en) 1993-04-13 1999-02-09 Silent Knight Ventures, Inc.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0439343Y1 (ko) 2006-12-08 2008-04-04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20110006263U (ko) * 2009-12-15 2011-06-22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KR101288834B1 (ko) 2012-08-04 2013-07-23 정지영 코골이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8138A (en) 1993-04-13 1999-02-09 Silent Knight Ventures, Inc. Dental appliance for treatment of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KR200439343Y1 (ko) 2006-12-08 2008-04-04 이승규 코골이 방지기구
KR20110006263U (ko) * 2009-12-15 2011-06-22 정수창 코골이와 수면 무호흡증을 방지하는 구강내 장치
KR101288834B1 (ko) 2012-08-04 2013-07-23 정지영 코골이 방지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247B1 (ko) 2015-06-29 2016-12-09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KR20170016057A (ko) 2015-08-03 2017-02-13 양희찬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
WO2017069599A1 (ko) * 2015-10-22 2017-04-27 최현진 하악치아 고정형 구강장치
KR101710840B1 (ko) * 2016-09-26 2017-02-28 심윤섭 코골이 수면 무호흡 치료를 위한 자가 조정 가능한 턱관절 교정장치
WO2018128972A1 (en) * 2017-01-03 2018-07-12 Lamberg Steven B Intraoral mandibular advancement device for treatment of sleep disorders
KR20190117864A (ko) * 2018-04-06 2019-10-17 이노범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111397B1 (ko) 2018-04-06 2020-05-19 이노범 선형 가변형 코골이 방지 마우스피스
KR102297772B1 (ko) * 2021-01-05 2021-09-03 (주)예스바이오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KR20220158377A (ko) * 2021-05-24 2022-12-01 (주)예스바이오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KR102559713B1 (ko) 2021-05-24 2023-08-24 (주)예스바이오 개인 맞춤형 혀의 근력 증강 기구
KR20230070711A (ko) 2021-11-15 2023-05-23 추혜란 수면무호흡 방지용 하악전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773B1 (ko)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CA2866929C (en) Occlusal splint arrangement
JP7027512B2 (ja) マウスピース
US20170304107A1 (en) Oral appliance fixed to lower teeth
CA2899055C (en) Oral appliance
US7146982B2 (en) Intraoral orthosis for preventing snoring
KR101218036B1 (ko) 환자의 코골이 경중에 따른 맞춤 코골이 방지장치
KR101782093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US20200000625A1 (en) Set of mandibular advancement splints with adjustable advancement, kit for mandibular advancement and method of adjusting mandibular advancement using same
KR101663896B1 (ko)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장치
KR20170030015A (ko) 코골이 방지용 마우스피스
KR102058104B1 (ko) 하악의 유동성과 치아의 고정성을 개선한 구강 장치
KR101184474B1 (ko) 코골이 완화용구
NZ750069A (en) Dental appliance for sleep apnea, snoring and tongue and oral cavity remodeling
KR101934849B1 (ko) 윗니와 아랫니의 앞뒤 간격을 조절 가능한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 기구
US20160074207A1 (en) Oral appliance
AU2016203236A1 (en) A mandibular advancement apparatus for sleep apnoea
JP3027299U (ja) 鼾防止装置
JP2023530613A (ja) 下顎骨変位調整装置
JP2004073628A (ja) 下顎位矯正具
NZ630638B2 (en) Occlusion splint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