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653B1 -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653B1
KR101505653B1 KR1020130108079A KR20130108079A KR101505653B1 KR 101505653 B1 KR101505653 B1 KR 101505653B1 KR 1020130108079 A KR1020130108079 A KR 1020130108079A KR 20130108079 A KR20130108079 A KR 20130108079A KR 101505653 B1 KR101505653 B1 KR 101505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ffee
extraction
pipe
purified water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0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9215A (en
Inventor
고영
Original Assignee
고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영 filed Critical 고영
Priority to KR1020130108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653B1/en
Publication of KR20150029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921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6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7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for brewing on a large scale, e.g. for restaurants, or for use with more than one brewing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는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 공급펌프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2개 이상의 공급관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에는 상부 결합장치가 각각 마련된 압력탱크;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어 커피분말을 수용하고, 상단 영역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추출관; 상기 압력탱크와 마주보는 승,하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추출관의 하단 영역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결합장치가 상기 상부 결합장치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결합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들이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유입관들은 추출액 이송관과 연결되고, 상기 하부 결합장치에 결합된 추출관의 상단 영역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추출관 장착부; 및 상기 추출액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커피 추출액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임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온 수를 정화한 정수를 이용하고, 하나의 압력탱크에 다수개의 공급관을 설치한 후 각 공급관에 추출관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정수가 커피입자의 미세한 동공을 통과하면서 커피성분을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커피의 오일과 에센스의 변형 없이 커피의 추출이 가능함은 물론, 여러 개의 추출관을 통하여 커피가 추출됨으로써, 단시간에 대량 추출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 mass extraction device for water drip coffee is disclosed. An apparatus for mass extraction of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queous tank for storing a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is forcibly suppli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and stor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wo or more supply pip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Pressure tanks; An extraction tube formed in a hollow tube structure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and the upper reg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device; A lower coupling device,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pip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facing the pressure tank,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pper coupling devices, Wherein the inlet pipe is connected to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and the upper region of the extraction pipe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is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upper coupling device, An extracting tube mounting part having a driv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descending member; And a temporary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extract liquid transferred from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nstant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a plurality of supply pipes are installed in one pressure tank, and extraction pipes ar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supply pipe to simultaneously extract coffee, It is possible to rapidly extract the coffee components and thereby extract the coffee without modifying the oil and the essence of the coffee. In addition, since the coffee is extracted through a plurality of extracting pipes, the effect of mass extraction in a short time can be obtained .

Description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본 발명은 냉수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온수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대량의 드립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by using cold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drip coffee by using hot water or cold water .

일반적으로, 원두커피는 커피나무 열매의 종자인 커피원두를 원료로 한 기호음료으로, 커피의 종류는 약 40종이 있지만 재배되는 것은 아라비카종·로부스타종(콩고종)·리베리카종·엑셀사종의 4종뿐이며, 제 각기 식물의 형태와 특성이 크게 다르고 품질에도 많은 차이가 있다.Generally, bean coffee is a preference drink made from coffee bean, which is a seed of coffee tree fruit. There are about 40 kinds of coffee, but cultivated is arabica, Robusta (Congo species), Ribery radish, Species, and the shape and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are very different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quality.

상기 커피원두를 이용한 음료는 15세기 이슬람교 지배자 다바니가 페르시아풍의 커피를 마신 이래 일반기호품으로 지속적 보급되어, 현재 커피에 관련된 산업제품 수요가 창출되고, 이로 인한 시장수요도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커피에 관련된 업종 종사자와 이와 관련있는 산업분야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The beverage using the coffee beans has been popularized by the 15th century Muslim ruler Dabani since drinking Persian style coffee, and it has been increasingly demanding industrial products related to coffee, Related industries and related industries are increasing rapidly.

상기 커피 원두를 이용하여 커피음료를 생산하는 것은 크게, 인스턴트커피와 원두커피로 구분된다. 또한, 원두커피는 커피 원두로부터 추출 방법에 따라 드립식과 에스프레소 방식을 포함한다.The production of coffee beverages using the coffee beans is largely divided into instant coffee and coffee beans. Also, the coffee beans include drip type and espresso type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from the coffee bean.

특히, 에스프레소란 곱게 분쇄된 커피 원두에 고압의 온수를 가하여 단시간에 커피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통해 추출된 커피를 말한다.Particularly, espresso refers to a method of extracting coffee in a short time by adding high-pressure hot water to finely pulverized coffee beans and coffee extracted through such a method.

이러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장치는,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여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유닛(포타 필터-porta filter))과, 온수를 제공하기 위한 보일러와, 상기 커피 원두에 상기 온수를 공급하는 펌프를 포함한다.The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includes a filter unit (pota filter-porta filter) for containing coffee ground beverages, and a boiler for supplying hot water. The hot water is supplied to the coffee beans .

에스프레소 커피 추출 장치는 커피 전문점이나 산업체 및 회사용, 가정용 등의 다양한 형태의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Various types of espresso coffee extracting apparatuses are known, such as a coffee shop, an industrial company, a meeting room, and a home.

한편, 에스프레소 커피의 향미를 결정하는 요소로서는 커피 원두의 종류와, 커피 원두를 볶은 정도 및 입자의 크기 등이 있다. 또한, 상기 요소들 외에도, 커피 추출 장치에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때의 온수의 온도와 압력도시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예를 들어, 종래의 커피 추출 장치는 약 90℃의 온도를 갖는 온수와, 8~10 ㎏/㎠ 의 압력을 가하여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온수를 사용하여 추출된 에스프레소 커피는, 커피자체에 포함된 성분이 산화 또는 변질되거나, 휘발성 성분이 휘발됨으로 인해 추출된 에스프레소 커피의 향미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factors that determine the flavor of espresso coffee include the type of coffee bean, degree of roasting of coffee bean, and particle size. In addition to the above factors, the temperature and pressure of the hot water when extracting espresso coffee from the coffee extracting device have a large influence on the city. For example, a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extracts espresso coffee by applying hot water having a temperature of about 90 DEG C and a pressure of 8 to 10 kg / cm < 2 >. However, the conventional espresso coffee extracted using hot water has a problem in that the flavor of the espresso coffee extracted due to oxidation or deterioration of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itself or volatilizati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is lowered.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방법의 일환으로서, 냉수를 이용하여 커피를 추출하는 워터드립식 추출 방법이 제시되었다. 워터드립식 추출방법은, 냉수 또는 상온수를 상부에 위치시키고, 하부에 커피 분말이 수용된 필터가 설치되며, 최하부에는 추출된 커피가 수용되는 수용용기가 배치된 구조로서, 냉수가 중력에 의해 커피 분말에 떨어지면서 서서히 추출하도록 된 것이다.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a water drip extraction method of extracting coffee using cold water has been proposed. The water drip extraction method is a structure in which cold water or hot water is placed on the upper part, a filter in which coffee powder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part, and a storage container in which the extracted coffee is stored is arranged in the lower part. And gradually extracted.

이와 같은 드립식 추출 방법은, 전술한 에스프레소 추출 방식에 비하여 열이나 압력을 가하여 강제로 추출하지 않고 오랜시간 동안 자연적으로 추출되도록 함으로써, 카페인이 적으면서 커피 자체의 향미를 유지할 수 있었다. Such a drip type extraction method is able to maintain the flavor of the coffee itself with little caffeine by allowing it to be extracted naturally for a long time without forcibly extracting it by applying heat or pressure as compared with the espresso extraction method described above.

그러나, 이러한 드립식 추출방법은, 커피 추출에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대량생산하여 상업적으로 이용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었다.However, since such a drip-type extraction method takes a very long time for extracting coffee, it has been practically impossible to mass-produce and use it commercially.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20237호(공고일 : 2009.10.05일)호가 개시되었다. 이 선행기술의 커피 추출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본체(10) 내부에 구비되어 냉수를 제공하는 냉수 공급원(11)과, 냉수 공급원(11)에 착탈가능하게 제공되고, 분쇄된 커피 원두를 수용하며, 커피 원두로부터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필터 유닛(20)와, 필터 유닛(20)의 일측에 제공되어, 필터 유닛(20) 내부의 압력을 유지시키는 압력유지 유닛(200)을 포함하는 커피 추출 장치에 있어서. 압력유지 유닛(200)은, 필터 유닛(20)의 취출구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과 연통되어 커피를 배출시키는 취출부재(220)와, 하우징(210)에 수용되고, 취출구(23)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되, 취출구(23)에 밀착되었을 때 커피의 최소유량이 통과할 수 있도록, 표면에 다수의 그루브(233)가 형성되며, 그루브(233)는 커피의 유동 방향을 따라 점차 직경이 증가되도록 형성된 개폐부재(230)과, 하우징(210)에 수용되고, 개폐부재(230)가 취출구(23)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가하는 탄성지지부재(240)를 포함하는 것이다. As a means for solving such a problem,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920237 (Publication date: 2009.10.05) is disclosed. 1 and 2,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of this prior art includes a main body 10, a cold water supply source 11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10 to provide cold water, a cold water supply source 11, A filter unit 20 which is detachably provided in the filter unit 20 and accommodates the ground coffee beans and extracts coffee from the coffee beans; And a pressure holding unit (200) for holding the coffee beans. The pressure holding unit 200 includes a housing 210 detachably coupled to the outlet of the filter unit 20, a takeout member 220 communicating with the housing 210 to discharge the coffee, A plurality of grooves 233 are formed on the surface so that the minimum flow rate of coffee can pass when the outlet 2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23,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240 accommodated in the housing 210 and elastically urging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ning and closing member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let 23, .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에 의한 커피 추출장치는, 냉수를 이용하여 향미가 우수하고 크레마가 풍부한 에스프레소 커피를 추출할 수 있고, 더불어, 카페인 제거 장치 및 공정을 추가하지 않고도, 카페인 함량이 낮은 디카페인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은 있었으나, 1-2잔 정도의 분량만을 추출할 수 있어서, 대량 추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기술에 의한 커피 추출장치는 필터에 수용된 커피를 고압에 노출시켜 추출 한 후 다시 1-2잔 분량의 커피가루를 다시 필터에 담은 후 위와 같은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However, such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apparatuses are capable of extracting espresso coffee which is excellent in flavor and rich in crema by using cold water, and can also be used as a coffee beverage having low caffeine content, such as decaffeinated coffee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mpossible to extract large quantities because only one or two portions can be extracted. That is,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problem in that the coffee contained in the filter is extracted by exposing it to high pressure, and then the coffee powder of one to two cups is again put in the filter, and then the above operation is repeatedly performed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20237호(공고일 : 2009.10.05일)Korean Patent No. 10-0920237 (Notification Date: October 5, 2009)

본 발명의 목적은, 상온 수 또는 냉수를 이용하여 풍미가 우수하고 카페인 함량이 적은 커피를 워터드립 방식으로 단시간에 대량으로 추출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coffee having a good flavor and low caffeine content in a short time by using a water drip metho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or cold water.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기 위한 정수탱크; 상기 정수탱크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 공급펌프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2개 이상의 공급관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에는 상부 결합장치가 각각 마련된 압력탱크;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어 커피분말을 수용하고, 상단 영역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추출관; 상기 압력탱크와 마주보는 승,하강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추출관의 하단 영역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결합장치가 상기 상부 결합장치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결합장치와 연결되는 유입관들이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유입관들은 추출액 이송관과 연결되고, 상기 추출관의 하단 영역이 상기 하부 결합장치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관의 상단 영역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구비한 추출관 장착부; 및 상기 추출액 이송관으로부터 이송되는 커피 추출액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임시 저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hiev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 water tank for storing an integer at room temperatur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is forcibly suppli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and stor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wo or more supply pipes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Pressure tanks; An extraction tube formed in a hollow tube structure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and the upper region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device; A lower coupling device, which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pipe,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facing the pressure tank, in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pper coupling devices, And the upp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extraction tube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tube is mounted on the lower coupling apparatus, An extraction tube mounting part having a driving part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and lowering part to be coupled to or removed from the upper coupling device; And a temporary storage tank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extract liquid transferred from the extract liquid conveying pipe.

상기 압력탱크에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 및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계가 설치될 수 있다.The pressure tank may be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for sensing the internal pressure and a pressure gauge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internal pressure.

상기 상부 결합장치는, 상기 압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관에 결합되는 제1 전자밸브; 상기 추출관으로 공급된 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전자밸브의 하부에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 및 상기 추출관의 상단 영역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하부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기밀유지용 패킹이 설치된 상부 삽입부를 구비하여 상기 역류방지밸브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결합장치는, 상기 추출관의 하단 영역이 하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하부 삽입부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필터가 구비된 필터 장착부재; 및 상기 추출관으로 공급되는 정수에 의해 추출된 커피 추출액을 상기 유입관으로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에 결합되는 제2 전자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Wherein the upper coupling device comprises: a first solenoid valve configured to supply or block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ressure tank and coupled to the supply pipe; A backflow prevention valv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olenoid valve to block reverse flow of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pipe; And an upper connecting member having an upper insertion portion which is opened to the lower side so as to be inserted upward by moving the upp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pipe upwardly and in which an airtight holding packing is provided to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flow prevention valve, The apparatus includes a filter mounting member having a lower insertion portion opened upward to insert a lower end region of the extraction tube downwardly and inserted therein, and a filtering filter disposed therein; And a second electromagnetic valve connect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to b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configured to discharge the coffee extract liquid extract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pipe to the inflow pipe or shut off the discharge.

상기 추출관과 필터 장착부재는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다.The extraction tube and the filter mounting member may be coupled in a screw-fastening structure.

상기 상부 결합장치는, 정제된 압축공기를 상기 추출관의 상부로 공급하여, 커피분말에 함유된 수분과 커피분말들 사이에 잔류된 수분을 강제로 배출시켜 커피성분을 최종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공압 추출수단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공압 추출수단은,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1 압축기; 상기 제1 압축기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여과기; 상기 공기 여과기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밸브와 추출관 사이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상부 연결부재에 결합되는 제1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제1 공기 공급관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공급관을 개폐하여 정제된 압축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제3 전자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The upper coupling device feeds the purified compressed 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ion pipe to forcibly discharg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and water remaining between the coffee powders to extract pneumatic extraction Further comprising: a first compressor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 air filter for filter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first compressor; A first air supply pipe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ng member to suppl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between the check valve and the extraction pipe; And a third solenoid valve installed in the first air supply pip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supply pipe to supply and shut off the purified compressed air.

상기 압력탱크는, 상기 정수 공급펌프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압력탱크에 저장되는 정수에 소정의 공기압력을 가하여 정수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각각의 공급관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은, 상기 정수 공급펌프와 상기 압력탱크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정수를 개폐하기 위한 제4 전자밸브; 상기 제4 전자밸브와 상기 압력탱크 사이의 상기 정수 공급관에서 분기되는 제2 공기 공급관; 및 상기 제2 공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2 압축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pressure tank is provided with compressed air supply means for applying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o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tank when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is not in operation so that the purified water is discharged to the respective supply pipes at a uniform pressure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includes a fourth solenoid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and the pressure tank; A second air supply pipe branched from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between the fourth solenoid valve and the pressure tank; And a second compress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에 의하면, 상온 수를 정화한 정수를 이용하고, 하나의 압력탱크에 다수개의 공급관을 설치한 후 각 공급관에 추출관들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커피를 동시에 추출함으로써, 정수가 커피입자의 미세한 동공을 통과하면서 커피성분을 신속하게 추출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커피의 오일과 에센스의 변형 없이 커피의 추출이 가능함은 물론, 여러 개의 추출관을 통하여 커피가 추출됨으로써, 워터드립 커피를 단시간에 대량 추출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constant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a plurality of supply pipes are installed in one pressure tank, and extraction pipes ar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supply pipe to simultaneously extract coffee, It is possible to rapidly extract the coffee component while extracting the coffee without the deformation of the oil and the essence of the coffee. In addition, since the coffee is extracted through several extraction pipes, the water drip coffee can be extracted in a short time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can be achieved.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피의 배전 단계, 즉 커피의 볶음 정도에 따라 정수의 가압력을 조절할 수 있음으로써, 커피의 특성에 맞는 추출압력으로 커피를 추출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ressing force of the purified wat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istribution stage of the coffee, that is, the degree of roasting of the coffee, the effect of extracting the coffee with the extraction pressure sui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ffee can be provided.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커피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피 추출장치의 압력유지 유닛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의 추출관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coffee extracting apparatus.
Fig. 2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showing the pressure holding unit of the coffee extrac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a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raction tube of the mass extraction apparatus of the water drip coffee shown in Fig.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the mass extracting apparatus of the water drip coffee shown in FIG. 3; FIG.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a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on apparatus for a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order to simplif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의 추출관을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블록도이다.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extracting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extraction apparatus of the mass extracting apparatus of the water drip coffee shown in Fig. Fig. 5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control unit of the mass extracting apparatus of the water drip coffee shown in Fig. 3; Fig.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는, 커피를 추출하기 위한 물을 가열하지 않고 상온 수를 정화하여 사용하고, 이러한 정화된 정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가압하여 저 카페인의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기 위한 정수탱크(10)와, 정수탱크(10)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 공급펌프(20)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2개 이상의 공급관(32)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공급관(32)에는 상부 결합장치(40)가 각각 마련된 압력탱크(30)와,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어 커피분말을 수용하고, 상단 영역(62)이 상부 결합장치(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추출관(60)과, 압력탱크(30)와 마주보는 승,하강부재(72)의 상면에는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결합장치(50)가 상부 결합장치(40)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각각 구비되고, 승,하강부재(72)의 내부에는 하부 결합장치(50)와 연결되는 유입관(74)들이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유입관(74)들은 추출액 이송관(76)과 연결되고,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하부 결합장치(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상부 결합장치(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승,하강부재(72)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78)를 구비한 추출관 장착부(70)와, 추출액 이송관(76)으로부터 이송되는 커피 추출액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임시 저장탱크(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 3 and FIG. 5, the apparatus for mass-extracting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water for extracting coffee is purified by using water at room temperature without heating the water, A purified water tank 10 for storing purified water at a room temperature and a purified water tank 10 forcibly supplied with purified water by a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 pressure tank 3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two or more supply pipes 3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supply pipe 32 being provided with an upper coupling device 40, (60) which is formed in a structure and receives the coffee powder and in which the upper region (62)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joining device (40), and an extraction pipe On the upper surface,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tube 60 is selectively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s provided at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pper coupling devices 40 and an inlet pipe 74 connect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s provided inside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72, Each of the inlet pipes 74 is connected to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and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attach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And a driving unit 78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lifting member 72 so that the upper region 62 of the lifting member 60 is selectively coupl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upper engaging device 40 And a temporary storage tank 8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extract liquid transferred from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이러한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Each of these component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정수탱크(10)는, 상온의 정수 또는 냉수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The purified water tank (10) is for storing a constant-temperature or cold water, and may include an internal filter.

정수 공급펌프(20)는, 정수탱크(10)에 저장된 정수를 정수 공급관(38)을 통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력탱크(3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정수 공급관(38) 상에 설치된다.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is provided on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for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10 to the pressure tank 30 through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압력탱크(30)는, 정수 공급펌프(20)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는 정수가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은, 다수개의 추출관(60)들을 설치하여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압력탱크(30)의 길이방향 한쪽 변에는 2개 이상의 공급관(32)들이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각각의 공급관(32)들은 필요한 수로 설치되는 것으로,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하기 위해서는 다수개의 공급관(32)들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공급관(32)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 정수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The pressure tank 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figured to store the purified water forcibly suppli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The long lengthwise direction is for extracting a large amount of coffee by providing a plurality of extraction pipes 60. Two or more supply pipes 32 ar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on one side of the pressure tank 3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Each of the supply pipes 32 is installed in a required number. In order to extract a large amount of coffee, a plurality of supply pipes 32 may be installed. Further, in each of the supply pipes 32, a separate valve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from leaking when not in use.

그리고, 압력탱크(30)에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34) 및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계(36)가 설치된다. 이는 압력탱크(30) 내부의 압력을 토대로 정수 공급펌프(20)을 작동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압력탱크(30)에는 내부 압력이 설정치 압력이 되면 안전을 위하여 자동으로 정수를 배출하여 압력을 낮추기 위한 안전밸브가 마련된다. The pressure tank 30 is provided with a pressure sensor 34 for sensing the internal pressure and a pressure gauge 36 for externally displaying the internal pressure. This i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based on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tank 30. In addition, the pressure tank 30 is provided with a safety valve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purified water to lower the pressure when the internal pressure reaches the set value pressure.

추출관(60)은,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어 커피분말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추출관(60)의 상단 영역(32)과 하단 영역(34)의 내부에는 수용되는 커피 분말이 새어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별도의 필터, 예를들면 물과 같은 액체는 통과시키고 입자상태의 커피분말은 차단하는 필터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캡부재가 설치될 수 도 있다. 이러한 추출관(60)은 하단 영역(34)이 하부 결합장치(50)에 결합된 상태에서, 승,하강부재(72)의 상승 작동에 의해 상단 영역(32)이 상부 결합장치(40)에 연결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The extraction tube 60 is formed in a hollow tube structure and is formed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A separate filter, for example, water such as water is passed through the upper end region 32 and the lower end region 34 of the extracting tube 60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contained therein from leaking, A filter may be provided for blocking off. Or a cap member may be provided. The extraction pipe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joining device 40 by the upward movement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72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region 34 is coupled to the lower joining device 50. [ Respectively.

추출관 장착부(70)는, 추출관(60)이 하부 결합장치(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을 상부 결합장치(40)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결합하거나, 연결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탱크(30)의 길이방향 한쪽 변과 마주보는 승,하강부재(72)의 상면에는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결합장치(50)가 상부 결합장치(40)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승,하강부재(72)의 내부에는 하부 결합장치(50)와 연결되는 유입관(74)들이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유입관(74)들은 추출액 이송관(76)과 연결되고, 승,하강부재(72)를 승,하강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7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The extraction tube mounting portion 70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connect the upper region 62 of the extraction tube 60 to the upper coupling device 40 in a state where the extraction tube 60 is mounted on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fting member 72 facing the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ressure tank 30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s provided at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upper coupling devices 40, respectively. The inlet and outlet pipes 74 and 74 are connected to the lower and upper coupling devices 50 and 72 respectively and the inlet and outlet pipes 74 and 74 are connected to the extract and liquid feed pipe 76, And a driving unit 78 for moving the lifting member 72 up and down.

승,하강부재(72)는, 내부에 유출관(74)들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되고, 각각의 유출관(74)들은 승,하강부재(72)의 내부에서 추출액 이송관(76)과 연결되는 것이다.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s 72 are arranged such that the outflow tubes 74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each of the outflow tubes 74 is connected to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inside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2, .

구동부(78)는, 에어 실린더 또는 렉과 피니언 등으로 구성되어 바닥에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하강부재(72) 사이에 설치되어, 승,하강부재(72)를 압력탱크(30) 쪽으로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도록 작동된다. The driving unit 78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up and down member 72 which are formed of an air cylinder or a rack and a pinion and are installed on the floor and raise and lower the lifting member 72 toward the pressure tank 30 Or down.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와 승,하강부재(72) 사이에는 승,하강부재(72)의 승강 또는 하강 작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수단(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된다. Between the base plate and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72, guide means (not shown) for guiding the lifting or lowering operation of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72 is provided.

이와 같이 구성된 추출관 장착부(70)에 의해 각각의 추출관(60)이 동시에 공급관(32)과 연결되거나 연결이 차단될 수 있다. Each extraction tube 60 can be connected to or disconnected from the supply tube 32 at the same time by the extraction tube mounting portion 7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본 실시예에서는 추출관 장착부(70)와 압력탱크(30)가 상,하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가 정수를 소정의 압력으로 추출관(60)으로 통과시키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raction tube mounting portion 70 and the pressure tank 30 are arrang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is is possible because the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pass the purified water to the extraction pipe 6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상부 결합장치(40)는, 공급관(32)과 추출관(60)의 상단 영역(32)을 연결하여 정수가 추출관(60)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압력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공급관(32)에 결합되는 제1 전자밸브(42)와, 추출관(60)으로 공급된 정수가 공급관(32)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제1 전자밸브(42)의 하부에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44)와,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하부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기밀유지용 패킹(45)이 설치된 상부 삽입부(46A)를 구비하여 역류방지밸브(44)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46)로 구성된다.The upper coupling device 40 is for supplying purified water to the extraction pipe 60 by connecting the supply pipe 32 and the upper end region 32 of the extraction pipe 60, A first solenoid valve 42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32 and adapted to supply or block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to the supply pipe 32 to prevent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pipe 60 from flowing back to the supply pipe 32, A backflow preventing valve 4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valve 42 and an upper region 62 of the extracting tube 60 are opened downward so as to be inserted upward, And an upper connecting member 46 having an upper inserting portion 46A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heck valve 44. [

제1 전자밸브(42)는, 자체의 케이스가 공급관(32)에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중공관 형태의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케이스(41)는 플랜지 구조에 의해 공급관(32)에 결합된다. The first solenoid valve 42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s case is coupled to the supply pipe 32, but may be us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solenoid valve 42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41 of the hollow tube ty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41 is coupled to the supply pipe 32 by a flange structure.

역류방지밸브(44)는 추출관(60) 쪽으로 공급된 정수가 다시 공급관(32) 쪽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밸브로서, 전술한 케이스(41)의 내부에 설치된다. The backflow prevention valve 44 is a valve for prevent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pipe 60 from flowing back toward the supply pipe 32 and is installed in the case 41 described above.

상부 연결부재(46)는,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 영역이 케이스(41)의 하부 영역에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하부에는 상부 삽입부(46A)가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부 삽입부(46A)의 내부에는 기밀유지용 패킹(45)이 내설되며, 입구는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확장된 구조를 갖는다. 한편, 상부 연결부재(46)의 내부 중간 영역에는 단턱부가 형성된다. 이 단턱부는 기밀유지용 패킹(45)이 안착되기 위한 기능과, 케이스(41)의 하단부가 밀착되기 위한 기능을 갖는 것이며, 케이스(41)의 하단부와 단턱부 사이에 패킹이 설치될 수 있다.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6 is formed in the shape of a hollow tube so that the upper region is coupled to the lower region of the case 41 in a fastening structure and the upper insertion portion 46A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An airtight packing 45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inserting portion 46A and the inle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region 62 of the extracting tube 60 is easily inserted. On the other hand, a stepped portion is formed in the inner intermediate region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6. This step has a function for seating the gas tight packing 45 and a function for bringing the lower end of the case 41 into close contact with the gasket 41. Packs can be provided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case 41 and the step.

하부 결합장치(50)는,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하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하부 삽입부(5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필터(54)가 구비된 필터 장착부재(52)와, 추출관(60)으로 공급되는 정수에 의해 추출된 커피 추출액을 유입관(74)으로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유입관(74)에 연결되도록 승,하강부재(72)에 결합되는 제2 전자밸브(54)로 이루어진다.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s formed with a lower insertion portion 52A opened upward so that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moved downwardly and is provided with a filtration filter 54 therein The filter attachment member 52 and the coffee extract liquid extract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pipe 60 are discharged to the inflow pipe 74 or shut off the discharge to be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74, And a second solenoid valve (54) coupled to the second solenoid valve (72).

제2 전자밸브(5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케이스(54A)의 내부에 설치되며, 고정 케이스(54A)는 승,하강부재(72)에 고정된다. 이러한 고정 케이스(54A)는 내부에 관통공(54B)이 형성되어 하부로는 유입관(74)이 결합되고, 내부에는 제2 전자밸브(54)가 설치되는 것이다. 물론, 제2 전자밸브(54) 자체가 유입관(74)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보다 안정적인 설치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 고정 케이스(54A)를 적용한 것이다.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is installed inside the stationary case 54A as shown in Fig. 4 and the stationary case 54A is fixed to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2. Fig. The fixed case 54A has a through hole 54B formed therein, an inlet pipe 74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econd electromagnetic valve 54 disposed therein. Of course,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itself may be installed in the inflow pipe 74, but a fixed case 54A is used in order to realize a more stable installation structure.

필터 장착부재(52)는, 하부는 고정 케이스(54A)에 체결구조로 결합되고, 내부에는 여과필터(54)가 내설되며, 하부 삽입부(52A)로는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끼움 결합 또는 체결구조로 결합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is connected to the fixing case 54A in a fastening structure and a filtration filter 54 is disposed therein. )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a fitting or fastening structure.

전술한 필터 장착부재(52)와 고정 케이스(54A)는 추출관(60)으로부터 추출된 커피 추출액이 제2 전자밸브(54)를 통하여 유입관(74)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구성된다.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and the fixed case 54A described above are configured such that the coffee extract liquid extracted from the extraction pipe 60 is smoothly discharged to the inflow pipe 74 through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

필터 장착부재(52)의 내측 하부는, 추출액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다.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is formed in a funnel shape so that the extract liquid can be smoothly discharged.

여과필터(54)는, 커피 추출시 커피 분말이 추출액과 같이 추출관(60)으로부터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The filtration filter 54 is for preventing the coffee powder from escaping from the extraction tube 60 like the extract liquid during the coffee extraction.

임시 저장탱크(80)는, 추출액 이송관(76)으로부터 이송되는 커피 추출액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것으로, 추가 여과장치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is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extract liquid transferred from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and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filtration device.

한편, 제1 전자밸브(42)나 제2 전자밸브(54), 그리고 정수 공급펌프(20) 등은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며, 특히 압력센서(34)의 감지신호를 토대로 정수 공급펌프(20)가 제어된다. 그리고, 제어패널의 조작버튼(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추출장치가 순차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On the other hand, the first solenoid valve 42,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and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r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90, and in particular, based on the detection signal of the pressure sensor 34, (20) is controlled. Then, the extraction device is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operated by an operation button (not shown) of the control panel.

이와 같이 구성된 대량 추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on of the mass extracting apparatus constructed as above will be described.

구동부(78)의 하강 작동으로 승,하강부재(72)가 하강한 상태는,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상부 결합장치(40)의 상부 삽입부(46A)에서 분리된 상태를 의미한다. The state in which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2 is lowered by the lowering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78 is a state in which the upper region 62 of the extracting tube 6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inserting unit 46A of the upper joining apparatus 40 .

따라서 작업자는, 추출관(60)의 내부에 커피 분말을 충진한 후에, 하단 영역(64)을 필터 장착부재(52)의 하부 삽입부(52A)에 내부에 체결하여 결합한다.Therefore, after filling coffee powder into the extracting tube 60, the operator inserts the lower end region 64 into the lower insertion portion 52A of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and joins them.

이때, 여과필터(52B)는 필터 장착부재(52)에 내설된 상태이다. At this time, the filtration filter 52B is in a state in which it is installed in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이어서, 구동부(78)를 승강 작동시키면, 승,하강부재(72)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단 영역(62)이 상부 삽입부(46A)에 삽입되어 상부 결합장치(40)의 상부 연결부재(46)에 결합된다. When the driving unit 78 is operated to move up and down, the lifting member 72 is lifted so that the upper region 62 is inserted into the upper insertion portion 46A, (46).

이러한 과정으로 추출관(60)이 상부 결합장치(40)와 하부 결합장치(50) 사이에 설치되면, 추출 시작 버튼을 눌러 커피의 추출을 시작한다. When the extraction pipe 6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joining device 40 and the lower joining device 50 in this process, the extraction start button is pressed to start the extraction of the coffee.

먼저, 추출 시작 버튼이 눌려지면, 제어부(90)는 제1 전자밸브(42)와 제2 전자밸브(54)를 폐쇄한 후, 정수 공급펌프(20)를 작동시킨다. First, when the extraction start button is pressed, the controller 90 closes the first solenoid valve 42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and then operates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정수 공급펌프(20)의 작동으로 정수는 소정의 압력으로 압력탱크(30)로 공급된다. 이때, 압력센서(34)는 압력탱크(30)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여 제어부(90)로 송신하며, 제어부(90)는 압력탱크(30) 내부의 압력이 소정값 이상이면, 안전밸브를 개방하거나, 정수 공급펌프(2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By the oper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the purified water is supplied to the pressure tank 30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t this time, the pressure sensor 34 senses the pressure inside the pressure tank 30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90. When the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30 is equal to or higher than a predetermined value, Or the operation of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is stopped.

이러한 과정으로 압력탱크(30) 내부의 정수 압력이 소정의 압력으로 상승하면, 제어부(90)는 제1 전자밸브(42)와 제2 전자밸브(54)를 개방한다. When the purified pressure in the pressure tank 30 rises to a predetermined pressure in this process, the controller 90 opens the first solenoid valve 42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제1 전자밸브(42)와 제2 전자밸브(54)가 개방되면 정수는 추출관(60)을 통과하면서 커피 분말에서 유효성분과 함께 여과필터(52B)를 통하여 추출된다. When the first solenoid valve 42 and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are opened, the purified water is extracted through the filtration filter 52B together with the effective components in the coffee powder while passing through the extraction tube 60. [

추출된 커피 추출액은 제2 전자밸브(54)를 통과한 후 유입관(74)를 통하여 추출액 이송관(76)으로 모아진 후 임시 저장탱크(80)에 저장된다. The extracted coffee extract is passed through the second solenoid valve 54, collected through the inlet pipe 74 into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and stored in the temporary storage tank 80.

이와 같이, 승,하강부재(72)와 압력탱크(30) 사이에 다수개의 추출관(60)이 배치된 상태에서, 압력탱크(30)에서 정수가 각각의 추출관(60)에 일정한 압력으로 공급됨으로써, 각각의 추출관(60)들로부터 커피를 대량으로 추출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in the state where a plurality of extraction pipes 60 are disposed between the lifting member 72 and the pressure tank 30, the purified water in the pressure tank 30 is supplied to each extraction pipe 60 at a constant pressure So that it is possible to extract a large amount of coffee from each of the extraction tubes 60.

특히, 정수를 가열하지 않은 상온 상태로 공급함으로써, 커피의 상태를 변형하지 않은 순수한 상태로 대량 추출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Particularly, by supplying the purified water at a normal temperature state without heating, a large amount of coffee can be extracted in a pure state without changing the state of the coffee.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a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는, 정제된 압축공기를 추출관(60)의 상부로 공급하여, 커피분말에 함유된 수분과 커피분말들 사이에 잔류된 수분을 강제로 배출시켜 커피성분을 최종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공압 추출수단(100)이 상부 결합장치(40)에 구비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6, the apparatus for mass extraction of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supplies refined compressed air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ion pipe 60, thereby separating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and the coffee powder Except that the upper joining device 40 is provided with the pneumatic extraction means 100 for finally extracting the coffee components by forcibly discharging the water remaining in the upper joining device 40. [

공압 추출수단(100)은,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1 압축기(110)와, 제1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여과기(120)와, 공기 여과기(120)를 통과한 공기를 역류방지밸브(44)와 추출관(60) 사이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부 연결부재(46)에 결합되는 제1 공기 공급관(130)과, 공기 공급관(130)에 설치되고, 제어부(90)에 의해 제어되어 제1 공기 공급관(130)을 개폐하여 정제된 압축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제3 전자밸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neumatic extraction means 100 includes a first compressor 110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 air filter 120 for filter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first compressor 110, an air filter 120 A first air supply pipe 130 whose one end is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member 46 so as to supply air that has passed through between the check valve 44 and the extraction pipe 60; And a third solenoid valve 140 controlled by the second solenoid valve 90 to open and close the first air supply pipe 130 to supply and shut off the purified compressed air.

이와 같은 구조의 공압 추출수단(100)은, 커피 추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추출관(60)의 커피 분말에 포함된 성분을 최종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것으로, 정제된 압축공기가 상부 연결부재(46)로 공급되어 추출관(60) 내부로 공급되므로, 압축공기는 추출관(60) 내부를 통과하면서 커피 분말 입자에 함유된 수분과 커피 성분을 함께 하단 영역(64) 쪽으로 불어내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90)는 제1 전자밸브(42)를 폐쇄한 상태이다. The pneumatic extraction means 100 having such a structure is for finally extracting th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of the extraction pipe 60 at the time when the coffee extraction is completed, So that the compressed air passes through the extracting pipe 60 and blows the moisture and the coffe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particles toward the lower end region 64 together. At this time, the controller 90 closes the first solenoid valve 42.

이러한 과정으로 커피 분말에 함유된 커피 성분은 압축 공기에 의해 완전하게 추출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way, the coffe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can be completely extracted by compressed air.

한편,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구성도이다.Meanwhile,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IG. 7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mass extracting apparatus for a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에 따른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는, 정수 공급펌프(2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압력탱크(30)에 저장되는 정수에 소정의 공기압력을 가하여 정수가 균일한 압력으로 각각의 공급관(32)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을 구비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As shown in FIG. 7, the apparatus for massively extracting water drip coffe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is not operated,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is a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tank 30 And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200 for allowing the purified water to be discharged to the respective supply pipes 32 at a uniform pressure is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정수 공급펌프(20)와 압력탱크(30)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38)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정수를 개폐하기 위한 제4 전자밸브(210)와, 제4 전자밸브(210)와 압력탱크(30) 사이의 정수 공급관(38)에서 분기되는 제2 공기 공급관(220)과, 제2 공기 공급관(220)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2 압축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200 includes a fourth solenoid valve 21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nd the pressure tank 30, A second air supply pipe 220 branched from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between the solenoid valve 210 and the pressure tank 30 and a second compressor connect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220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230).

이러한 압축공기 공급수단(200)는 압력탱크(30)로 공급된 정수에 소정의 압력을 균일하게 가하여 각 공급관(32)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제4 전자밸브(210)를 폐쇄한 후 압축공기를 제2 공기 공급관(220)으로 공급하게 되면, 압축공기는 압력탱크(30) 내에서 정수에 일정한 압력을 가하게 되는 것이다.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200 uniformly applies a predetermined pressure to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pressure tank 30 so as to be discharged into each supply pipe 32. For this, when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220 after the fourth electromagnetic valve 210 is closed,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with a constant pressure to the purified water in the pressure tank 30.

따라서, 정수는 각각의 공급관(32)들을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the constant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respective supply pipes 32 at a constant pressure.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is obvious to those who have. According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cations or alterations should not be understood individually from the technical spirit and viewpoi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at modified embodiment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정수탱크 20 : 정수 공급펌프
30 : 압력탱크 32 : 공급관
34 : 압력센서 36 : 압력계
38 : 정수 공급관 40 : 상부 결합장치
41 : 케이스 42 : 제1 전자밸브
44 : 역류방지밸브 45 : 기밀유지용 패킹
46 : 상부 연결부재 46A : 상부 삽입부
50 : 하부 결합장치 52 : 필터 장착부재
52A : 하부 삽입부 52B : 여과필터
54 : 제2 전자밸브 54A : 고정 케이스
60 : 추출관 62 : 상단 영역
64 : 하단 영역 70 : 추출관 장착부
72 : 승,하강부재 74 : 유입관
76 : 추출액 이송관 78 : 구동부
80 : 임시 저장탱크 90 : 제어부
100 : 공압 추출수단 110 : 제1 압축기
120 : 공기 여과기 130 : 제1 공기 공급관
140 : 제3 전자밸브 200 : 압축공기 공급수단
210 : 제4 전자밸브 220 : 제2 공기 공급관
230 : 제2 압축기
10: purified water tank 20: purified water supply pump
30: pressure tank 32: supply pipe
34: pressure sensor 36: pressure gauge
38: purified water supply pipe 40: upper coupling device
41: Case 42: First solenoid valve
44: Non-return valve 45: Packing for airtightness
46: upper connection member 46A: upper insertion portion
50: lower coupling device 52: filter mounting member
52A: lower insertion portion 52B: filtration filter
54: second solenoid valve 54A: fixed case
60: Extraction tube 62: upper region
64: lower end area 70: extraction tube mounting part
72: rising and falling member 74: inflow pipe
76: Extract liquid conveying pipe 78:
80: temporary storage tank 90: control unit
100: pneumatic extracting means 110: first compressor
120: air filter 130: first air supply pipe
140: third solenoid valve 200: compressed air supply means
210: fourth electromagnetic valve 220: second air supply pipe
230: Second compressor

Claims (6)

상온의 정수가 저장되기 위한 정수탱크(10);
상기 정수탱크(10)에 저장된 정수가 정수 공급펌프(20)에 의해 강제로 공급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저장되고, 소정의 길이를 갖으며, 2개 이상의 공급관(32)이 등간격으로 배치되며, 상기 공급관(32)에는 상부 결합장치(40)가 각각 마련된 압력탱크(30);
중공관 구조로 형성되어 커피분말을 수용하고, 상단 영역(62)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4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추출관(60);
상기 압력탱크(30)와 마주보는 승,하강부재(72)의 상면에는 상기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하부 결합장치(50)가 상기 상부 결합장치(40)의 수와 대응되는 수로 각각 구비되고, 상기 승,하강부재(72)의 내부에는 상기 하부 결합장치(50)와 연결되는 유입관(74)들이 각각 마련되며, 각각의 유입관(74)들은 추출액 이송관(76)과 연결되고, 상기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상기 하부 결합장치(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상기 상부 결합장치(40)에 결합되거나, 이탈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72)를 승,하강시키기 위한 구동부(78)를 구비한 추출관 장착부(70); 및
상기 추출액 이송관(76)으로부터 이송되는 커피 추출액을 임시 보관하기 위한 임시 저장탱크(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A purified water tank 10 for storing purified water at room temperature;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urified water tank 10 is forcibly suppli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nd stored at a predetermined pressur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two or more supply pipes 3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he supply pipe (32) includes a pressure tank (30) provided with an upper coupling device (40);
An extraction tube (60) formed in a hollow tube structure to receive the coffee powder and an upper region (62)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device (40);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n which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sel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 72 facing the pressure tank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coupling device 40, And an inlet pipe 74 connect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is provided in each of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embers 72. Each of the inlet pipes 74 is connected to an outlet The upper region 62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62 of the extraction pipe 60 in a state where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is mounted to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70) having a driving part (78) for moving up and down the lifting and lowering member (72) so as to be coupled to or detached from the coupling device (40); And
And a temporary storage tank (80) for temporarily storing the coffee extract liquid transferred from the extract liquid transfer pipe (76)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30)에는,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센서(34) 및 내부의 압력을 외부로 표시하기 위한 압력계(36)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pressure tank 30,
Characterized in that a pressure sensor (34) for sensing the internal pressure and a pressure gauge (36) for externally indicating the internal pressure are provided.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장치(40)는,
상기 압력탱크(3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관(32)에 결합되는 제1 전자밸브(42); 상기 추출관(60)으로 공급된 정수가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상기 제1 전자밸브(42)의 하부에 결합되는 역류방지밸브(44); 및 상기 추출관(60)의 상단 영역(62)이 상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하부로 개구되고 내부에는 기밀유지용 패킹(45)이 설치된 상부 삽입부(46A)를 구비하여 상기 역류방지밸브(44)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 연결부재(46)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결합장치(50)는,
상기 추출관(60)의 하단 영역(64)이 하향으로 이동되어 삽입되도록 상향으로 개구된 하부 삽입부(52A)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여과필터(52B)가 구비된 필터 장착부재(52); 및 상기 추출관(60)으로 공급되는 정수에 의해 추출된 커피 추출액을 상기 유입관(74)으로 배출하거나 배출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유입관(74)에 연결되도록 상기 승,하강부재(72)에 결합되는 제2 전자밸브(5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coupling device (40)
A first solenoid valve (42) configured to supply or block the supply of purified water supplied from the pressure tank (30) and coupled to the supply pipe (32); A backflow prevention valve (44)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solenoid valve (42) to block reverse flow of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on pipe (60); And an upper inserting portion 46A having an upper portion 62 of the extracting tube 60 opened upward to be inserted upward and having a hermetic packing 45 provided therein, And an upper connecting member 46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upper connecting member 46,
The lower coupling device (50)
A filter mounting member 52 formed with a lower insertion portion 52A opened upward to insert the lower end region 64 of the extraction pipe 60 downward and inserted therein and a filtering filter 52B disposed therein; Descending member (72) is connected to the inflow pipe (74) so as to discharge the coffee extract liquid extracted by the purified water supplied to the extracting pipe (60) to the inflow pipe (74) And a second solenoid valve (54) coupled to the second solenoid valve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관(60)과 필터 장착부재(52)는 나사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raction tube (60) and the filter mounting member (52) are coupled in a threaded engagement structure.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결합장치(40)는,
정제된 압축공기를 상기 추출관(60)의 상부로 공급하여, 커피분말에 함유된 수분과 커피분말들 사이에 잔류된 수분을 강제로 배출시켜 커피성분을 최종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공압 추출수단(100)을 더 구비하되,
상기 공압 추출수단(100)은,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1 압축기(110);
상기 제1 압축기(11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공기 여과기(120);
상기 공기 여과기(120)를 통과한 공기를 상기 역류방지밸브(44)와 추출관(60) 사이로 공급하도록 일단이 상기 상부 연결부재(46)에 결합되는 제1 공기 공급관(130); 및
상기 제1 공기 공급관(130)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공기 공급관(130)을 개폐하여 정제된 압축공기의 공급 및 차단을 수행하기 위한 제3 전자밸브(1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upper coupling device (40)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xtraction pipe 60 to force the moisture contained in the coffee powder and the moisture remaining between the coffee powders to be discharged to finally extract the coffee components. ),
The pneumatic extraction means (100)
A first compressor (110)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 air filter 120 for filtering the compressed air supplied from the first compressor 110;
A first air supply pipe 130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upper connection member 46 to supply air passing through the air filter 120 between the check valve 44 and the extraction pipe 60; And
And a third solenoid valve (140) installed in the first air supply pipe (13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air supply pipe (130) to supply and shut off the purified compressed air.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탱크(30)는,
상기 정수 공급펌프(20)가 작동하지 않을 때, 상기 압력탱크(30)에 저장되는 정수에 소정의 공기압력을 가하여 정수가 균일한 압력으로 상기 각각의 공급관(32)으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을 구비하되,
상기 압축공기 공급수단(200)은,
상기 정수 공급펌프(20)와 상기 압력탱크(30)를 연결하는 정수 공급관(38)에 설치되어 공급되는 정수를 개폐하기 위한 제4 전자밸브(210);
상기 제4 전자밸브(210)와 상기 압력탱크(30) 사이의 상기 정수 공급관(38)에서 분기되는 제2 공기 공급관(220); 및
상기 제2 공기 공급관(220)과 연결되고, 압축공기를 발생시기 위한 제2 압축기(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드립 커피의 대량 추출장치.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pressure tank (30)
The compressed air is supplied to each of the supply pipes 32 at a constant pressure by applying a predetermined air pressure to the purified water stored in the pressure tank 30 when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is not operated, And a supply means (200)
The compressed air supply means (200)
A fourth solenoid valve (210) installed in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connecting the purified water supply pump (20) and the pressure tank (30)
A second air supply pipe (220) branched from the purified water supply pipe (38) between the fourth solenoid valve (210) and the pressure tank (30); And
And a second compressor (230) connected to the second air supply pipe (220)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Mass extraction device of water drip coffee.
KR1020130108079A 2013-09-09 2013-09-09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15056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79A KR101505653B1 (en) 2013-09-09 2013-09-09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079A KR101505653B1 (en) 2013-09-09 2013-09-09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15A KR20150029215A (en) 2015-03-18
KR101505653B1 true KR101505653B1 (en) 2015-03-24

Family

ID=5302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079A KR101505653B1 (en) 2013-09-09 2013-09-09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653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36A1 (en) * 2015-02-26 2016-09-01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large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1748861B1 (en) 2016-11-14 2017-06-19 커피맵(주) Hybrid coffee extractor
KR20210110015A (en) * 2020-02-28 2021-09-07 한재근 Coffee extraction system with improved removal performance of foreign substan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209519A (en) * 2015-04-28 2016-12-15 アイメ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リミテッド Automatic drip coffee mak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497B1 (en) * 1985-06-17 1989-05-06 다까시 아베 Apparatus for extrocting coffee
WO1992012644A1 (en) 1991-01-28 1992-08-06 Niro A/S Process of extracting roasted and ground coffe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497B1 (en) * 1985-06-17 1989-05-06 다까시 아베 Apparatus for extrocting coffee
WO1992012644A1 (en) 1991-01-28 1992-08-06 Niro A/S Process of extracting roasted and ground coffee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37036A1 (en) * 2015-02-26 2016-09-01 고영 Apparatus for extracting large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1748861B1 (en) 2016-11-14 2017-06-19 커피맵(주) Hybrid coffee extractor
KR20210110015A (en) * 2020-02-28 2021-09-07 한재근 Coffee extraction system with improved removal performance of foreign substances
KR102345123B1 (en) * 2020-02-28 2021-12-29 한재근 Coffee extraction system with improved removal performance of foreign subst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9215A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230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ing cool water
US11103101B2 (en) System for preparing aromatic beverages with optmized beverage discharge disposition and process of operation of said system
KR101505653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quantity of water drip coffee
KR101303829B1 (en) Coffee auto-selling device
EP2020890B1 (en) Method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particularly from a cartridge with crema generating septum, and beverage obtainable from the method
US10543977B2 (en) Pressure regulated beverage cartridges
US9113750B2 (en) System for producing beverages
US2887038A (en) Automatic pressurized coffee-maker
US9282849B2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with restrictors
KR101330206B1 (en) Espresso coffee machine
US20170367518A1 (en) Automatic coffee maker and method of preparing a brewed beverage
KR101496932B1 (en) A Dutch Coffee Production Device
US6481339B1 (en) Coffee brewer
JP6655836B2 (en) Beverage supply device
KR100920237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KR101002461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espresso coffee
US10188238B2 (en) Beverage production machines and methods with tamping assembly
KR101539051B1 (en) Apparatus for extracting coffee
US8763518B2 (en) Percolation machine for producing beverages
US20150144004A1 (en) Beverage producing device witha dual-position water container
WO2019232109A1 (en) Stovetop coffee brewing device
KR101615996B1 (en) Portable device for dripping dutch coffee
US20180296026A1 (en) Coffee machine boiler structure capable of automatic depressurization
US20170280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xtracting dutch coffee
KR101641909B1 (en) Dutch coffee b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