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59B1 -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 Google Patents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559B1
KR101505559B1 KR1020130098220A KR20130098220A KR101505559B1 KR 101505559 B1 KR101505559 B1 KR 101505559B1 KR 1020130098220 A KR1020130098220 A KR 1020130098220A KR 20130098220 A KR20130098220 A KR 20130098220A KR 101505559 B1 KR101505559 B1 KR 101505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harge
control
payment
sett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195A (ko
Inventor
한찬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워큐브
한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워큐브, 한찬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워큐브
Priority to KR102013009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559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1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1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lectricity, gas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7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i.e. smartgrids as interface for battery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EV] or hybrid vehicles [HE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4Details associated with the interoperability, e.g. vehicle recognition, authentication, identification or billing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RF 리더, 표시장치, 카메라, 비상스위치, 전기 컨넥터, 그리고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모바일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 요금정산 정보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온라인 결제 시스템과 현금결제, 선불카드결제 등 온라인 연동 없이 결제정보가 현장에서 처리되는 오프라인 시스템, 온라인으로는 요금 합계정보 모니터링, 요금부과, 요금변경, 요금정산 등이 가능토록 통신부가 내장된 결제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전기 충전을 쉽고 간편하게 또한 기존의 전기 공급 인프라 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형 전기 접속구에 별도의 요금 부과기능 및 온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량만큼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가의 충전기가 아닌 전기 접속구로 구현함이 이용자 편의성 증대 및 설치 비용 절감, 수익자 비용부담의 원칙을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Electricity power point concent apparatus for On-line and Off-line usage, load control, and accounting function}
본 발명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 충전을 쉽고 간편하게 또한 기존의 전기 공급 인프라 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형 전기 접속구에 별도의 요금 부과기능 및 온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량만큼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가의 충전기가 아닌 전기 접속구로 구현함이 이용자 편의성 증대 및 설치 비용 절감, 수익자 비용부담의 원칙 구현을 위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 전기 자전거를 비롯하여 장애인용 휠체어, 청소차 등 내연기관 엔진을 대체하는 전기 용품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나 전기 충전이 원활하지 않는 경우 사용에 불편이 많은 문제점이 있어 왔다.
한편, 결제 기능이 내장된 기존의 급속 완속 전기 충전기가 사용되고 있으나, 현재는 전기 오토바이 및 전기 스쿠터 등 각종 전기를 이용한 전기 용품, 충전 사양 및 이종의 커넥터 등으로 인하여 충전 및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이다.
또한, 급속 완속 전기 충전기의 경우 공공시설에 설치되는 고가의 단말 비용을 국가 및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이 부담함으로써 예산의 낭비가 심한 상황이다.
이를 해소하며 전기 충전을 쉽고 간편하게 또한 기존의 전기 공급 인프라 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형 전기 접속구에 별도의 요금 부과기능 및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량만큼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가의 충전기가 아닌 전기 접속구로 구현함이 이용자 편의성 증대 및 설치 비용 절감, 수익자 비용부담의 원칙 구현 등에 효과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관련기술문헌]
1. 콘센트 이동장치(Apparatus for moving consent) (특허출원번호 제10-2006-0031035호)
2. 이동 가능한 가정용 전기 콘센트(POTABLE RECEPTACLE FOR FAMILY USE)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14819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기 충전을 쉽고 간편하게 또한 기존의 전기 공급 인프라 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형 전기 접속구에 별도의 요금 부과기능 및 온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량만큼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가의 충전기가 아닌 전기 접속구로 구현함이 이용자 편의성 증대 및 설치 비용 절감, 수익자 비용부담의 원칙 구현을 위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는, RF 리더, 표시장치, 카메라, 비상스위치, 전기 컨넥터, 그리고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통신모듈을 제어하여, 온라인 시스템(모바일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 요금정산 정보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결제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스템(현금결제, 선불카드결제 등 온라인 연동 없이 결제정보가 현장에서 처리되는 시스템), 그 밖의 결제 시스템(온라인으로는 요금 합계정보 모니터링, 요금부과, 요금변경, 요금정산 등이 가능토록 통신부가 내장된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어장치(16c)는, 상기 통신모듈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관리, 과금, 모니터링, 감시, 결제, 변경 정보처리 및 저장 및 외부 시스템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서버 시스템과 네트워킹을 다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와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 그리고 출력 제어회로A 및 출력 제어회로B에 대한 제어를 통해 컨넥터A 및 컨넥터B에 대한 안전을 위한 단말 및 통신을 통한 센터에서의 부하단속 및 충전 전류 제어를 수행하며, 센터 모니터링 정보전송 기능과 온, 오프라인 전력 차단기능(피크타임 제어를 위한 센터에서의 온라인 전력차단 및 조절 기능포함), 이용자 경고 기능을 수행하여, 센터에서의 비상상황( 전국 전기 공급망의 Peak Time 등) 시에 비상 상황 정보를 수령하여 통신을 통해 부하 제어 (충전 전류량의 감소)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사용자 설정(충전 대상물에 따른 요금 차등부과) 및 진행 프로세스를 외부 디스플레이(Display) 하도록 상기 표시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오작동 및 안전사고 등에 대한 이용시나 주변 긴급상황(전력공급 이외에 치안문제 및 여타 긴급 상황을 공공기관에 고지할 상황포함) 발생시, 작동을 중지하는 대구경 긴급버튼인 상기 비상스위치, 그리고 상기 비상스위치와 연결되어 버튼 누를 시 관제 센터 서버로 긴급 상황을 내장 통신형 카메라에 대한 제어를 통해, 사용상황 및 사용인과 단말 설치 일정 주변에 대한 촬영을 위한 통신형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촬영된 데이터와 함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며, 상기 전기 컨넥터를 형성하는 컨넥터A 및 컨넥터B에 의한 사용량 계측을 위한 디지털 전력량계(외부 시스템과 계측된 전력량의 전송기능이 포함되어 있음)에 해당하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 및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온도 상승의 감지를 위한 온도계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는, 무선 충전에 필요한 전자기 유도 코일의 무선충전 모듈(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이의 사용량 및 사용대상 정보, 그리고 이의 인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량 및 이에 따른 결제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는, 전기 충전을 쉽고 간편하게 또한 기존의 전기 공급 인프라 망을 최대한 활용하여 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일반형 전기 접속구에 별도의 요금 부과기능 및 온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사용량만큼 지불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접속 장치가 필요하며 이를 고가의 충전기가 아닌 전기 접속구로 구현함이 이용자 편의성 증대 및 설치 비용 절감, 수익자 비용부담의 원칙을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가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의 중앙 부분만 사용되며, 생활방수 정도의 커버를 만들며 테두리 부분에 접속상태 표시등으로 형성부를 구성의 도면.
도 4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대한 동작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서의 비상스위치를 기준으로 한 비상버튼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가 아파트 기둥의 ㄱ 자 형태의 표시 등과 같은 형성부와 함께 형성돤 상태와, 벽면에 설치가능한 표시등을 포함하여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의 중앙 부분만 사용되며, 생활방수 정도의 커버를 만들며 테두리 부분에 접속상태 표시등으로 형성부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낸다. 이 경우 확산 아크릴 재질의 LED 표시등으로 형성 가능하다.
도 4는 도 1의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16)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는 RF 리더(11), 표시장치(12), 카메라(13), 비상스위치(14), 전기 컨넥터(15)를 포함함으로써, 아파트 주차장 기둥, 아파트 벽면, 일반주택 주차장, 일반주택 벽면, 공공건물 벽면에 설치된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는 생활방수 수준이 되어야 한다.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는 하측면 또는 상측면에서 전기 인입 관로가 형성 가능해야 하며, 설치가 간단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는 옆면에 열쇠가 있어 전면커버 열 수 있어야 하므로, 표시장치(12), RF reader(11) 및, 충전표시등은 전면 커버에 설치되며, 전기 컨넥터(15)는 바닥면에 설치가능하다.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의 표시장치(12)는 5 내지 7인치이며 터치스크린을 사용한다. 여기서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의 케이스는 PE 재질 금형사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접속구 블록 다이어 그램(16)은 과전류 및 누전차단 스위치(16a), 통신모듈(16b), 제어장치(16c), 사용, 동작 표시장치(16d), 과금 및 사용량 표시장치(16e), RF 사용자 인식 수신장치(16f), 영상 녹화, 전송 장치 및 경보 장치(16g), 접속구 온도 측정부(16h), 충전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부(16i),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16j-1),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16j-2), 출력 제어회로A(16k-1), 출력 제어회로B(16k-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전기 컨넥터(15)는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제어장치(16c)는 기존 전기차 등의 충전 장치와는 달리 충전 장치가 내장됨이 없이 전기 컨넥터(15)에 대한 전기 사용량 계산을 위한 전력 량계, 이의 원격 검침 및 요금 조정이 가능한 원격 컨트롤이 가능하다
또한, 제어장치(16c)는 단말 혹은 원격 부하 모니터링 및 이의 제어 그리고 외부 서버 및 단말과 원격으로 통신하는 통신부인 통신 모듈(16b), 충전장치와의 통신 및 제어부(16i)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제어장치(16c)는 커넥터 교체를 통해 전기 차와의 데이터(Data) 통신으로 차량 대 본 전기 접속구(10)와의 제어 및 차량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도 있으며 이를 외부 서버인 과금 서버(미도시)로의 데이터(Data) 전송 및 교환을 통해 이용자의 전기장치에 대한 원격 점검 및 모니터링 또한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장치(16c)는 통신모듈(16b)과 연결된 과전류 및 누전차단 스위치(16a)를 제어하여 현재 이용되는 AC 콘센트에 통신과 결제 그리고 부하 제어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본 전기 접속구만으로도 기존의 전력망을 최대한 이용하여 사용 요금부과를 온라인 및 오프라인 통신을 통해 안전하게 측정, 과금, 변경, 제어, 단속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어장치(16c)는 카메라(13: 캠코더 등의 동영상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공공 감시, 모니터링 및 비상출동 등에 이용토록 비상스위치(14)를 기기 외부에 배치함으로써, 비상버튼 신호와 함께 실시간 감시 영상을 센터에 전송함으로써 비상 상황에 대한 신고, 접수, 기록 등의 기능도 가능하다.
제어장치(16c)는 통신모듈(16b)을 제어하여, 온라인 시스템과 오프라인 시스템, 그 밖의 결제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상기 온라인 시스템은 모바일결제, 신용카드 결제 등 요금정산 정보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결제 시스템이 포함되고 오프라인 시스템은 현금결제, 선불카드결제 등 온라인 연동 없이 결제정보가 현장에서 처리되는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제 시스템은 온라인으로는 요금 합계정보 모니터링, 요금부과, 요금변경, 요금정산 등이 가능토록 통신부가 내장된 시스템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제어장치(16c)는 관리, 과금, 모니터링, 감시, 결제, 변경 정보처리 및 저장 및 여타 시스템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서버 시스템과 네트워킹을 다시 수행한다.
또한, 제어장치(16c)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16j-1)와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16j-2), 그리고 출력 제어회로A(16k-1) 및 출력 제어회로B(16k-2)에 대한 제어를 통해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에 대한 안전을 위한 단말 및 통신을 통한 센터에서의 부하단속 및 충전 전류 제어를 수행한다.
그리고 이에 대해 제어장치(16c)는 센터 모니터링 정보전송 기능과 온, 오프라인 전력 차단기능, 이용자 경고 기능 등이 내장된 전기 접속구로 센터에서의 전국 전기 공급망의 Peak Time과 같은 비상상황 시에 비상 상황 정보를 수령하여 본 접속구에 접속된 충전기와의 통신을 통해 부하 제어를 통해 충전 전류량의 감소를 수행한다.
상기 온. 오프 라인 전력 차단 기능은 피크타임 제어를 위한 센터에서의 온라인 전력차단 및 조절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장치(16c)는 상술한 기능과 함께 이용자가 충전 대상물에 따른 요금 차등부과 설정 및 진행 프로세스를 외부 디스플레이(Display) 하도록 표시장치(12)를 제어한다.
제어장치(16c)는 오작동 및 안전사고 등에 대한 이용시나 전력공급 이외에 치안문제 및 여타 긴급 상황을 공공기관에 고지할 상황을 포함하는 주변 긴급상황 발생시, 신속하게 작동을 중지하는 대구경 긴급버튼인 비상스위치(14), 그리고 비상스위치(14)와 연결되어 버튼 누를 시 관제 센터 등 기 설정된 서버로 긴급 상황을 내장 통신형 카메라(13: 웹캠)에 대한 제어를 통해, 사용상황 및 사용인과 단말 설치 일정 주변에 대한 촬영을 위한 통신형 카메라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통해 제어장치(16c)는 촬영된 데이터와 함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6b)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장치(16c)는 전기 컨넥터(15)를 형성하는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에 의한 정확한 사용량 계측을 위한 디지털 전력량계(외부 시스템과 계측된 전력량의 전송기능이 포함되어 있음)에 해당하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16j-1) 및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16j-2)를 구비할 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온도 상승 등의 감지를 위한 온도계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어장치(16c)는 무선 충전에 필요한 전자기 유도 코일 등의 무선충전 모듈(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이의 사용량 및 사용대상 정보, 그리고 이의 인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량 및 이에 따른 결제 정보 등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모듈(16b)을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에 대한 동작 상태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의 제어장치(16c)는 RF 리더(11)를 통해 사용자 인식을 감지한다(S1).
단계(S11) 이후, 제어장치(16c)는 전기 컨넥터(15)를 이루는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 각각에 해당하는 채널 A 또는 B의 선택을 입력받는다(S2).
단계(S2) 이후, 제어장치(16c)는 사용충전 부하로 자동차, 휠체어, 자전거 등에 대한 선택을 입력받는다(S3). 여기서 제어장치(16c)는 표시장치(12)를 통해 사용 중 표시를 구현한다.
단계(S3) 이후, 제어장치(16c)는 시간대별, 현재 사용량별 기본 요금을 연산하여 구현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확인하도록 한다(S4). 여기서 과금 서버도 현재 금액을 확인할 수 있다.
단계(S4) 이후, 제어장치(16c)는 부하 접속을 수행한다(S5). 여기서 실시간 사용전력 모니터 및 전력 제어가 수행된다.
단계(S5) 이후, 제어장치(16c)는 최대 요금 가수금 및 기본 과금을 수행한다(S6).
단계(S6) 이후, 제어장치(16c)는 부하량에 따른 과금 연산을 누적한다(S7).
단계(S7) 이후, 제어장치(16c)는 부하 탈착을 확인한다(S8), 여기서 과온도에 의한 정지를 확인한다.
단계(S8) 이후, 제어장치(16c)는 부하 탈착시까지의 과금 및 표시를 표시장치(12)로의 구현을 수행한다(S9).
단계(S9) 이후, 제어장치(16c)는 사용에 대한 완료를 수행한다(S10). 여기서 제어장치(16c)는 과금 서버와 결과를 통신하며, 사용해제를 표시장치(12)로 구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10)에서의 비상스위치(14)를 기준으로 한 비상버튼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어장치(16c)는 비상스위치(14)으로의 입력에 따라 비상 버튼 입력을 인식하여 동작한다(S11).
단계(S11) 이후, 제어장치(16c)는 현재의 상태 정보 및 화상 전송(지역 정보 포함)을 위한 정보 생성을 수행한다(S12).
단계(S12) 이후, 제어장치(16c)는 비상 버튼 입력에 대한 동작 원인을 파악한다(S13).
단계(S13) 이후, 제어장치(16c)는 경보 발생 및 신고를 수행한다(S14).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 RF 리더
12: 표시장치
13: 카메라
14: 비상스위치
15: 전기 컨넥터
16: 전기 접속구 블록 다이어 그램

Claims (7)

  1. RF 리더(11), 표시장치(12), 카메라(13), 비상스위치(14), 전기 컨넥터(15), 그리고 제어장치(16c)를 포함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16c)는, 통신모듈(16b)을 제어하여, 모바일결제, 신용카드 결제를 이용하여 요금정산 정보가 온라인으로 연결된 온라인 시스템과 현금결제, 선불카드결제를 이용하여 온라인 연동 없이 결제정보가 현장에서 처리되는 오프라인 시스템, 온라인으로는 요금 합계정보 모니터링, 요금부과, 요금변경, 요금정산이 가능토록 통신부가 내장된 결제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고, 통신모듈(16b)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서 관리, 과금, 모니터링, 감시, 결제, 변경 정보처리 및 저장 및 외부 시스템으로의 전송에 필요한 서버 시스템과 네트워킹을 다시 수행하고, 충전 대상물에 따른 요금 차등부과와 같은 사용자 설정 및 진행 프로세스를 외부 디스플레이(Display) 하도록 상기 표시장치(12)를 제어하고, 센터 모니터링 정보전송 기능과 피크타임 제어를 위해 센터에서 온라인 전력차단 및 조절기능이 포함된 온, 오프라인 전력 차단기능, 이용자 경고 기능을 수행하여, 전국 전기공급망의 피크 타임에 따라 센터에서 비상상황 시에 비상 상황 정보를 수령하여 충전 전류량의 감소를 유도하기 위한 부하 제어를 수행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16c)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16j-1)와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16j-2), 그리고 출력 제어회로A(16k-1) 및 출력 제어회로B(16k-2)에 대한 제어를 통해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에 대한 안전을 위한 단말 및 통신을 통한 센터에서의 부하단속 및 충전 전류 제어를 수행하며,
    무선 충전에 필요한 전자기 유도 코일의 무선충전 모듈(미도시)과 연결됨으로써, 이의 사용량 및 사용대상 정보, 그리고 이의 인가 정보뿐만 아니라, 사용량 및 이에 따른 결제 정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통신모듈(16b)을 제어하고,
    오작동 및 안전사고에 대한 이용시나 주변 긴급상황 발생시, 작동을 중지하는 대구경 긴급버튼인 상기 비상스위치(14), 그리고 상기 비상스위치(14)와 연결되어 버튼 누를 시 관제 센터 서버로 긴급 상황을 내장 통신형 카메라(13: 웹캠)에 대한 제어를 통해, 사용상황 및 사용인과 단말 설치 일정 주변에 대한 촬영을 위한 통신형 카메라 기능을 수행하고,
    촬영된 데이터와 함께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통신모듈(16b)을 제어하며, 상기 전기 컨넥터(15)를 형성하는 컨넥터A(15a) 및 컨넥터B(15b)에 의한 사용량 계측을 위한 디지털 전력량계에 해당하는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A(16j-1) 및 누적 전력량 및 실시간 전류/전압 측정회로B(16j-2)를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사용,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098220A 2013-08-20 2013-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KR101505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20A KR101505559B1 (ko) 2013-08-20 2013-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220A KR101505559B1 (ko) 2013-08-20 2013-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195A KR20150021195A (ko) 2015-03-02
KR101505559B1 true KR101505559B1 (ko) 2015-03-25

Family

ID=53019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220A KR101505559B1 (ko) 2013-08-20 2013-08-20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5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09A (ko) 2016-11-01 2018-05-10 한찬희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80068695A (ko) 2016-12-14 2018-06-22 한찬희 스마트 전기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 식별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KR20190053493A (ko) 2017-11-10 2019-05-20 한국미래전력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통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9747B (zh) * 2018-03-02 2021-12-17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无锡供电分公司 中小学宿舍供电管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444A (ko) * 2008-08-06 2010-02-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지능 자율 부하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077591B1 (ko) * 2011-06-01 2011-10-27 한국이미지시스템(주) 통합 모니터링 감시 제어 시스템
KR20120109023A (ko) * 2011-03-24 2012-10-08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전기자동차용 자동충전 및 요금징수시스템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8444A (ko) * 2008-08-06 2010-02-17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실시간 지능 자율 부하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20109023A (ko) * 2011-03-24 2012-10-08 주식회사 지앤디윈텍 전기자동차용 자동충전 및 요금징수시스템
KR20120113139A (ko) * 2011-04-04 2012-10-12 신광섭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시스템 및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무인 전기 판매 방법
KR101077591B1 (ko) * 2011-06-01 2011-10-27 한국이미지시스템(주) 통합 모니터링 감시 제어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7909A (ko) 2016-11-01 2018-05-10 한찬희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80068695A (ko) 2016-12-14 2018-06-22 한찬희 스마트 전기 접속구에 접속된 플러그 식별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KR20190053493A (ko) 2017-11-10 2019-05-20 한국미래전력 주식회사 음성인식을 통하여 시간을 기준으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력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195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33023B (zh) 基於位置的電力仲介用模組、電動車及仲介伺服器
KR101505559B1 (ko) 온라인 및 오프라인 부하 제어 및 결제 기능을 구비한 전기 접속구
CN205642505U (zh) 一种网关模式的智能燃气表及其抄表系统
KR20160012355A (ko) 전기자동차 충전 및 역전송 전력 운영시스템
CN102792547A (zh) 用于电网集成车辆的汇聚服务器
KR102003518B1 (ko) 집합건물에 설치된 전력수요장치 충전 시스템
CN203301182U (zh) 电动汽车交流充电桩
KR101654714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양방향 충전 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0937257B1 (ko)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원격 검침 정보 확인 시스템
KR101233717B1 (ko) 스마트 커넥터를 이용한 충전 및 과금시스템
KR20180108971A (ko) IoT 콘센트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차 충전 방법
KR20100059641A (ko) 유무선 전자지불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전기 자동판매기 및 그 충전결제방법
CN208411470U (zh) 电动汽车充电管理系统
KR20110110997A (ko) 아파트 단지 내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JP2014127074A (ja) 駐車場管理および電気自動車充電管理システム
WO2013118257A1 (ja) 電子式電力量計
KR101142728B1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JP2022127463A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863665B1 (ko) 스마트 전기 접속구를 이용한 전력 제어 시스템
KR20110052773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KR102377665B1 (ko) 멀티 접속구를 갖는 스마트 콘센트를 이용한 충전 제어시스템
JP2012243424A (ja) 電気自動車またはプラグインハイブリッド車用の充電システム
KR20110076858A (ko)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원격검침 시스템
CN206841195U (zh) 一种多功能充电机
JP2015092785A (ja) 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