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513B1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Google Patents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513B1 KR101505513B1 KR1020130092926A KR20130092926A KR101505513B1 KR 101505513 B1 KR101505513 B1 KR 101505513B1 KR 1020130092926 A KR1020130092926 A KR 1020130092926A KR 20130092926 A KR20130092926 A KR 20130092926A KR 101505513 B1 KR101505513 B1 KR 1015055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truding
- main body
- downward
- protrusion
- decorative bloc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1—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n ornamental or specially shaped visible surfac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13/089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1—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 E04F2201/0123—Joining sheets, plates or panels with edges in abutting relationship by moving the sheets, plates or panels parallel to the ab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관한 것으로,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을 보호 및 장식을 위하여 부착 설치되는 장식블록에 있어서,
일정한 두께를 가진 채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제조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하향걸림돌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와;
상기 내향돌부의 끝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를 기준하여 내향돌부와 고정지지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면 위에서 조립공간부 속으로 삽입 조립되어 하향걸림돌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상향걸림돌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일정한 두께를 가진 채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제조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하향걸림돌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와;
상기 내향돌부의 끝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를 기준하여 내향돌부와 고정지지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면 위에서 조립공간부 속으로 삽입 조립되어 하향걸림돌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상향걸림돌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외벽에 부착할 때 이웃하는 블록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되도록 부착하여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장식블록을 설치하고자 하는 건물의 벽면 구조에 맞추어 절단가공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식블록의 표면에 형성되는 다양한 요철무늬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외벽의 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건물의 내·외장 장식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에 설치되는 내·외장용 블록들은 대부분 직사각형의 육면체로 제조된 것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육면체로 제조되는 블록들은 시멘트, 황토, 세라믹 등을 소재로 하여 제조되고 있는데, 이러한 블록들은 시멘트몰탈을 이용하여 건축물의 내·외벽에 부착시키거나 또는 상하좌우로 적층 배열하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제조된 종래 기술의 블록들을 시멘트몰탈을 벽면에 바르면서 부착시킬 때에는 시멘트몰탈이 바닥으로 많이 떨어지게 되므로 블록을 설치하는 현장의 주변을 오염시키게 되며, 바닥에 떨어진 시멘트몰탈이 굳게 될 경우에는 바닥에 굳어있는 시멘트를 제거하는데 많은 시간과 수고가 소요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블록은 벽면에 일정 두께로 도포되는 시멘트몰탈에 블록을 부착시키는 작업이 힘들고 어렵기 때문에 숙련자가 아니면 내·외장용 블록을 설계대로 부착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건물의 내벽 및 외벽에 설치되는 내·외장 블록들을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시키면서 벽면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또한 벽면의 구조에 맞추어 블록들의 길이를 길고 짧게 절단 가공하여 벽면에 고정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벽면에 설치하고자 하는 블록들이 서로간에 연결된 상태로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또한 상기 블록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무늬를 이용하여 벽면에 설치되는 블록으로 벽면의 외관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데 다른 목적을 두고 있으며, 나아가 블록의 이면 공간부에 황토, 숯, 세라믹 등을 채워넣는 수단으로 단열효과와 함께 원적외선이 방출되게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다른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을 보호 및 장식을 위하여 부착 설치되는 장식블록에 있어서,
상기 장식블록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채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제조되어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단에서 하향으로 돌출하는 하향걸림돌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와;
상기 내향돌부의 끝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와;
상기 하향걸림돌부를 기준하여 내향돌부와 고정지지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면 위에서 조립공간부 속으로 삽입 조립되어 하향걸림돌부에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상향걸림돌부;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식블록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채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제조되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단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와;
상기 내향돌부의 끝단에서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와;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면 도중에서 내향돌부를 향해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를 기준하여 내향돌부와 고정지지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측에서 삽입공간부 속으로 삽입되어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상향걸림돌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상향걸림돌부와는 반대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돌부와;
상기 수평돌부의 끝단에서 상기한 고정지지단부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에 걸림되도록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완방지걸림돌기;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지지단부에는 타정못이나 나사못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줄 수 있도록 V자형의 요홈으로 형성되는 타정못 기준선이 길이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철부 또는 요철부가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외장용 블록은 녹이 슬지 않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다양한 색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하여 본체를 호형 및 사각형 등 여러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내·외장용 블록은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서로 맞물린 구조 연결 결합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의 벽면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벽면을 구조에 맞추어 조립 설치할 수 있으므로 건축물을 더욱 아름답게 보호 및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내·외장용 블록은 본체 속의 빈공간에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효과 및 단열효과가 있는 황토, 숯, 세라믹 등의 충진재를 채워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연결상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조립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본체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연결상태 확대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연결상태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조립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일실시예의 본체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장식블록 다른 실시예의 연결상태 확대 단면도
본 발명에 의한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부호 1a, 1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의 장식블록을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상기 일실시예의 장식블록(1a)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식블록(1a)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향해 연속적으로 제조되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할 수 있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일단(도면상 우측단)에서 하향으로 일정 길이 돌출 형성되는 하향걸림단부(3)와, 상기 하향걸림단부(3)의 내면에서 본체(2)의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수평하게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4)와, 상기 내향돌부(4)의 끝단에서 본체(2)의 외측(도면상 우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하도록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5)와, 상기 하향걸림단부(3)를 기준하여 내향돌부(4)와 고정지지단부(5)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6)와, 상기 본체(2)의 타단(도면상 좌측단)에서 하향을 향해 일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하향연장부(7)와, 상기 하향연장부(7)의 끝단에서 본체(2)의 외측(도면상 우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상향걸림돌부(8)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본체(2)의 표면에는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다수 돌출하는 철부(21 : 도 2 참조) 또는 요철부(22)가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2)는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와 같이 단면이 호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제조되거나 또는 도 6의 도시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제조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장식블록(1a)은 고정지지단부(5)에는 타정못이나 나사못 등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줄 수 있도록 V자형의 요홈으로 형성되는 타정못 기준선(51)이 길이방향을 향해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다른 실시예의 장식블록(1b)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식블록(1b)은 전술한 일시예의 장식블록(1a)과 마찬가지로 본체(2)는 단면이 호형상 또는 사각형상의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한 장식블록(1b)을 설명함에 있어서는 전술한 일실시예의 장식블록(1a)과 같은 구성에 대하여서는 같은 명칭 같은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장식블록(1b)은 본체(2)의 길이방향 일단(도면상 우측단)에서 내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하는 내향돌부(3)와, 상기 내향돌부(3)의 끝단에는 ㄴ자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외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수평하게 돌출되는 고정지지단부(5)와, 상기 고정지지단부(5)의 도중에서 내향돌부(3)를 향해 일정 높이로 돌출되는 지지돌기(52)와, 상기 고정지지단부(5)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이탈방지돌기(53)와, 상기 본체(2)의 타단(도면상 좌측단)에서 하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하향연장부(7)와, 상기 하향연장부(7)의 하단에서 외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되는 상향걸림돌부(8)와, 상기 하향연장부(7)의 끝단에서 상기한 상향걸림돌부(8)와는 반대방향으로 수평하게 돌출되는 수평돌부(9)와, 상기 수평돌부(9)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되는 이완방지걸림돌기(91)가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식블럭(1b)은 전술한 실시예의 장식블록(1a)과 마찬가지로 지지돌기(52)를 기준하여 내향돌부(3)와 고정지지단부(5) 사이에는 본체(2)의 타단에 형성된 상향걸림돌부(8)가 삽입되는 삽입공간부(6)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돌기(52)와 이탈방지돌기(53) 사이의 고정지지단부(5) 도중에는 단면이 V자형의 요홈으로 형성된 타정못 기준선(5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식블록(1b)의 본체(2) 표면에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정간격으로 돌출되는 철부(21)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요철부(22)를 선택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장식블록(1a)(1b)은 벽면(W)에 본체(2)를 연결 설치할 때 본체(2)의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황토, 숯, 세라믹 등의 충진재(S)를 채워넣을 수 있는 것이다.(도 5 참조)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식블록(1a)(1b)의 연결 조립작동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실시예의 장식블록(1a)의 연결 조립작동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식블록(1a)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a-1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a'로 표기)에 도면상 우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a-2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a'로 표기)을 연결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a-1)의 본체(2)의 길이방향 우측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단부(5)를 벽면(W)에 밀착시키고, 이어서 상기한 고정지지단부(5)에 일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타정못 기준선(51)에 타정못 등의 뾰족한 부분을 갖다대고 박아주게 되면 타정못을 원하는 위치에 박아줄 수 있게 되므로 작업자는 타정못 기준선(51)을 따라 복수의 타정못을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일직선상으로 박아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a-1)을 본체(2)의 고정지지단부(5)에 형성된 타정못 기준선(51)에 복수의 타정못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주는 작업으로 도 4의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a-1)의 본체(2)를 벽면(W)에 고정 부착시킨 다음, 도면상 우측에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장식블록(1a-2)의 본체(2) 좌측단에 형성된 상향걸림돌부(8)를 앞서 벽면(W)에 고정 부착시킨 장식블록(1a-1)의 본체(2 : 도면상 좌측에 위치)에 형성된 고정지지단부(5) 상측에서 삽입공간부(6) 속으로 삽입시키게 되면 상기한 장식블록(1a-1)의 본체(2)에 형성된 삽입공간부(6)에 삽입되는 장식블록(1a-2 : 도면상 우측부분)의 본체(2) 좌측단에 형성된 상향걸림돌부(8)는 벽면에 고정된 장식블록(1a-1)의 본체(2) 우측단에 형성된 하향걸림돌부(3)에 걸림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것이다.(도 4의 확대 부분 참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도 4의 좌측에 위치한 장식블록(1a-1)의 본체(2) 우측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단부(5)의 타정못 기준선(51)을 이용하여 타정못이나 나사못 등을 일정간격으로 박아주는 작업으로 상기한 장식블록(1a-1)의 본체(2)를 벽면(W)에 고정시킨 다음, 우측으로 조립하고자 하는 장식블록(1a-2)의 본체(2) 좌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향걸림단부(8)를 앞서 벽면(W)에 고정시킨 장식블록(1a-1)의 본체(2) 우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삽입공간부(6) 속으로 삽입시키고 타정못으로 고정시키는 작업으로 연결 조립하게 되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복수의 장식블록(1a)들을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맞물린 상태가 되도록 연속해서 연결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장식블록(1a)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연결 설치되는 복수의 본체(2)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황토 및 세라믹 등의 충진재(S)를 충진하면서 설치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상기 장식블록(1a)에 원적외선 등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충진 설치되는 충진재(S)는 벽면(W)에 고정 부착되는 본체(2)에 의해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벽면(W)에 고정 설치되는 장식블록(1a)들은 벽면(W)의 구조(예를 들면; 창문이나 베란다 등의 설치 구조)에 맞추어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하여 연결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장식블록(1a)의 본체(2) 표면에 돌출 형성되는 철부(21) 또는 요철부(22)를 이용하여 다양한 모양이 표현되도록 연결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장식블록(1a)이 설치되는 벽면(W)에 다양한 모양의 그림 등을 표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다른 실시예의 장식블록(1b)의 연결 설치작동과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장식블록(1b) 역시 전술한 일실시예의 장식블록(1a)과 마찬가지로 도 9의 도시와 같이 도면상 좌측에 위치하는 장식블록(1b-1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b'로 표기)의 본체(2)의 우측단에 형성된 고정지지단부(5)를 벽면(W)에 밀착시키고 타정못 기준선(51)에 타정못 등을 박아주는 방법으로 도면상 좌측의 장식블록(1b-1)을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한 장식블록(1b-1)의 본체(2) 우측단에 형성된 삽입공간부(6) 속으로 연결하고자 하는 도면상 우측의 장식블록(1b-2 : 대표적으로 설명할 때에는 부호 '1b'로 표기) 좌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상향걸림돌부(8)를 삽입시키는 방법으로 연결 조립하는 것인데, 이때 연결 설치하고자 하는 장식블록(1b-2)은 도 9의 도시와 같이 타정못으로 고정된 장식블록(1b-1)의 본체(2) 우측단에 형성된 삽입공간부(6) 속으로 상향걸림돌부(8)를 삽입시키게 될 때에는 상기한 상향걸림돌부(8)가 지지돌기(52)에 지지됨과 동시에 수평돌부(9)의 끝단에서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이완방지걸림돌기(91)가 고정지지단부(5)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돌출된 이탈방지돌기(53)에 걸림되도록 안쪽으로 삽입되도록 조립되는 것이다.(도 9의 확대 부분 참조)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도 9의 도시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것끼리 맞물린 상태로 조립되는 장식블록(1b) 역시 본체(2)의 내측에 형성되는 빈공간에 황토나 숯 및 세라믹과 같은 충진재(S)를 충진하면서 연결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장식블록(1b)의 본체(2) 표면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철부(21)를 일정간격으로 돌출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요철부(22)를 연속적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벽면(W)의 구조에 맞추어 일정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장식블록(1b)들이 다양한 모양의 그림 등을 표현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어 건축물의 벽면을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1a,1b : 장식블록 2 : 본체
3 : 하향걸림돌부 4 : 내향돌부
5 : 고정지지단부 51 : 타정못 기준선
52 : 지지돌기 53 : 이탈방지돌기
6 : 삽입공간부 7 : 하향연장부
8 : 상향걸림돌부 9 : 수평돌부
91 : 이완방지걸림돌기 S : 충진재
W : 벽면
3 : 하향걸림돌부 4 : 내향돌부
5 : 고정지지단부 51 : 타정못 기준선
52 : 지지돌기 53 : 이탈방지돌기
6 : 삽입공간부 7 : 하향연장부
8 : 상향걸림돌부 9 : 수평돌부
91 : 이완방지걸림돌기 S : 충진재
W : 벽면
Claims (4)
- 삭제
-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을 보호 및 장식을 위하여 부착 설치되는 장식블록에 있어서,
상기 장식블록은,
일정한 두께를 가진 채 길이방향을 향해 길게 제조되며, 일정한 길이로 절단 가공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일단에서 내측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내향돌부와;
상기 내향돌부의 끝단에서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정지지단부와;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면 도중에서 내향돌부를 향해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지지돌기와;
상기 지지돌기를 기준하여 내향돌부와 고정지지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삽입공간부와;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끝단에서 상향으로 일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이탈방지돌기와;
상기 본체의 폭 방향 타단에서 하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향연장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에서 상기 본체의 외측을 향해 ㄴ자형으로 돌출 형성된 채 상기 고정지지단부의 상측에서 삽입공간부 속으로 삽입되어 지지돌기에 지지되는 상향걸림돌부와;
상기 하향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상향걸림돌부와는 반대방향을 향해 일정길이로 돌출 형성되는 수평돌부와;
상기 수평돌부의 끝단에서 상기한 고정지지단부의 끝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돌기에 걸림되도록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이완방지걸림돌기;
를 구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926A KR101505513B1 (ko) | 2013-08-06 | 2013-08-06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92926A KR101505513B1 (ko) | 2013-08-06 | 2013-08-06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086A KR20150017086A (ko) | 2015-02-16 |
KR101505513B1 true KR101505513B1 (ko) | 2015-03-25 |
Family
ID=5304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92926A KR101505513B1 (ko) | 2013-08-06 | 2013-08-06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05513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163B2 (ko) * | 1983-05-20 | 1991-02-19 | Mitsui Toatsu Chemicals | |
JP3012163B2 (ja) * | 1994-12-28 | 2000-02-21 | 株式会社パイロット | 長尺パネルの取付構造。 |
JP2001055825A (ja) | 1999-08-17 | 2001-02-27 | Nisshin Steel Co Ltd | サイディング材用金属面板及び製造方法 |
KR100415273B1 (ko) * | 2003-06-23 | 2004-01-16 | 주식회사 도일인텍 |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
KR20060096667A (ko) * | 2005-03-02 | 2006-09-13 | 지피에스코리아(주) | 건물의 벽체 적층구조 |
-
2013
- 2013-08-06 KR KR1020130092926A patent/KR10150551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2163B2 (ko) * | 1983-05-20 | 1991-02-19 | Mitsui Toatsu Chemicals | |
JP3012163B2 (ja) * | 1994-12-28 | 2000-02-21 | 株式会社パイロット | 長尺パネルの取付構造。 |
JP2001055825A (ja) | 1999-08-17 | 2001-02-27 | Nisshin Steel Co Ltd | サイディング材用金属面板及び製造方法 |
KR100415273B1 (ko) * | 2003-06-23 | 2004-01-16 | 주식회사 도일인텍 | 욕실용 조립식 내장판재 |
KR20060096667A (ko) * | 2005-03-02 | 2006-09-13 | 지피에스코리아(주) | 건물의 벽체 적층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7086A (ko) | 2015-0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775935S1 (en) | Tile leveler cap assembly | |
USD821838S1 (en) | Tile spacing and leveling device | |
USD776302S1 (en) | Drywall shadow molding | |
US10787824B2 (en) | Tile spacing device and accompanying system and method | |
JP3204261U (ja) | 足場材 | |
USD813417S1 (en) | Rung lock for a ladder | |
KR101505513B1 (ko)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
USD794128S1 (en) | Mosaic tile | |
KR101337433B1 (ko)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 |
US20030141624A1 (en) | Extensions for apertures in panels | |
USD849968S1 (en) | Tile | |
JP3201703U (ja) | タイルマット | |
USD767982S1 (en) | Fence hanger | |
KR100743616B1 (ko) | 먹줄슬리브 유닛 | |
KR101559106B1 (ko) | 외장벽돌 시공방법 | |
WO2002044495A1 (en) | A void former and anchor assembly | |
KR20150019031A (ko)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
USD880281S1 (en) | Retractable cable locking device | |
ITFO980031A1 (it) | Scatola da incasso universale per faretti d'illuminazione e relativoattrezzo per la posa in opera. | |
KR101418213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USD947416S1 (en) | Tile mosaic | |
KR101383074B1 (ko) | 건축자재용 내·외장 장식블록 | |
KR101642803B1 (ko) | 파일캡 구조체 | |
CN205134870U (zh) | 一种免胶的地板锁扣 | |
RU196406U1 (ru) | Фиксатор шв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