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10B1 -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 Google Patents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10B1
KR101505410B1 KR1020130082282A KR20130082282A KR101505410B1 KR 101505410 B1 KR101505410 B1 KR 101505410B1 KR 1020130082282 A KR1020130082282 A KR 1020130082282A KR 20130082282 A KR20130082282 A KR 20130082282A KR 101505410 B1 KR101505410 B1 KR 1015054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ultrasonic wave
wave generating
connecting rod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2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7796A (ko
Inventor
김석태
Original Assignee
김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석태 filed Critical 김석태
Priority to KR1020130082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410B1/ko
Publication of KR20150007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7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A01M29/18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using ultrason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3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 A01M29/32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preventing or obstructing access or passage, e.g. by means of barriers, spikes, cords, obstacles or sprinkled water specially adapted for birds, e.g. spik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두개의 전극(10,12)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소자(14)로 구성되는 압전장치(16)가 구비된 원주형 초음파발생동체(18),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동체(34), 상기 연결동체(34)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동체(34)의 선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소경연결동체(38), 상기 소경연결동체(38)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연결동체(38)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의 상단에는 결합되는 스피커 혼의 형태인 진동판(5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ULTRASONIC GENERATOR FOR PEST REPELLER}
본 발명은 압전장치를 이용하여 발생된 고출력의 초음파를 진동판을 통하여 확산시킴으로서 유해동물로 분류되는 쥐나 조류 또는 기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전장치가 결합된 초음파발생동체와 이에 결합되는 스피커 혼 타입의 진동판 사이의 결합부분이 고출력의 초음파 발생에 따른 진동충격에 의하여 분리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쥐나 조류 또는 기타 해충을 퇴치하기 위한 유해동물 퇴치기용으로서 압전소자를 이용한 초음파발생기가 알려진 바 있다. 유해동물을 퇴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초음파로서는 예를 들어 20kHz 이상의 초음파주파수가 사용된다.
특히, 종래 초음파의 영향이 미치는 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고출력의 초음파를 발생하는 초음파발생기의 경우, 예를 들어 일본 특개평2006-165923호(2006. 6. 22 공개) 또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9300호(2006. 2. 24 공고) 등과 같이 초음파를 발생하는 압전소자와 같은 초음파발생동체가 상기 초음파를 받아 전달하는 진동판에 부착되어 상기 진동판으로부터 초음파가 발산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구조에서는 상승된 진동충격에 의하여 초음파발생동체와 진동판 사이의 결합부분이 쉽게 분리되거나 파손되어 초음파발생기의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종래의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압전장치가 구비된 초음파발생동체와 진동판 사이에 단면이 점차적으로 축소된 다단형의 연결동체를 배치하고 축소된 연결동체의 단부에 실질적으로 초음파를 방사하는 진동판을 결합하여 고출력의 초음파발생에 의한 진동충격이 감쇠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진동판의 결합부분이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는 하단에 두개의 전극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소자로 구성되는 압전장치가 구비된 원주형 초음파발생동체, 상기 초음파발생동체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초음파발생동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동체, 상기 연결동체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동체의 선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소경연결동체, 상기 소경연결동체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연결동체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는 결합되는 스피커 혼의 형태인 진동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압전장치는 상기 초음파발생동체의 하측에 형성된 나선공에 결합된 볼트에 삽입하고 지지동체와 고정너트로 고정한다. 상기 연결동체는 그 하단에 연장된 연결볼트를 상기 초음파발생동체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공에 결합하여 고정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은 그 하단을 상기 연결동체의 소경연결동체의 선단에 나선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봉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부에 상기 진동판을 그 중앙에 형성된 통공을 통하여 삽입하여 그 상하측에서 결합너트로 체결고정한다. 상기 초음파발생동체와 상기 연결동체는 두랄미늄으로 제조되고 상기 연결봉은 티타늄으로 제조되며, 상기 진동판을 상기 연결봉에 결합하는 상기 결합너트는 두랄미늄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따라서, 초음파발생동체로부터 차례로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된 연결동체, 이러한 연결동체에 일체로 형성된 소경연결동체와, 연결봉을 통하여 연결봉의 단부부근에 착설된 스피커 혼 형태의 진동판은 발생된 초음파를 고출력으로 방사하는 반면에 진동충격은 차례로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된 연결수단의 유연성에 의하여 감소되어 진동판의 결합부가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초음파발생기의 사용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초음파발생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초음파발생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초음파발생기의 단면도.
본 발명의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는 상하 두개의 전극(10,12)과 이들 전극(10, 12)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소자(14)로 구성되는 압전장치(16)가 구비된 원주형의 두랄루민제 초음파발생동체(18)로 구성된다.
압전소자(14)는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중심에 중앙통공(20)이 형성된 환상의 형태이다. 이러한 압전소자(14)의 구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압전소자(14)의 양측에 배치되는 전극(10, 12)의 형태는 전원의 연결을 위한 단자를 갖는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이러한 압전소자(14)의 형태에 따른다.
이와 같이 압전소자(14)와 전극(10, 12)으로 구성되는 압전장치(16)는 초음파발생동체(18)에 결합된다. 이를 위하여, 초음파발생동체(18)의 중앙에는 축방향으로 상하에 나선공(22, 24)이 형성되어 있고 하측의 나선공(24)에 볼트(26)가 결합되어 이에 압전소자(14)와 전극(10, 12)으로 구성되는 압전장치(16)가 삽입되어 배치되며, 압전장치(16)가 삽입된 볼트(26)의 단부에 중앙에 통공(28)이 구비된 환상의 두랄루민제 지지동체(30)가 중첩되고 고정너트(32)로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초음파발생동체(18)는 그 선단에서 상부 나선공(22)에 초음파발생동체(18)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는 두랄미늄의 연결동체(34)가 그 하단의 연결볼트(36)에 의하여 연결되고, 이러한 연결동체(34)의 선단에는 다시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된 소경연결동체(3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소경연결동체(38)에는 선단에 나선결합공(40)이 형성되어 있고 이에 소경연결동체(38)의 직경 보다 약 반으로 축소된 직경을 갖는 티타늄제 연결봉(42)의 하단 나선부(44)가 나선결합되고 고정너트(46)로 고정된다.
연결봉(42)의 상단에는 나선부(48)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스피커 혼의 형태인 진동판(50)이 그 중앙의 통공(52)을 통하여 삽입되고 그 상하의 두랄미늄제 결합너트(54, 56)에 의하여 체결고정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압전장치(16)가 하단에 구비된 초음파발생동체(18)로부터 연장된 연결동체(34), 소경연결동체(38) 및 연결봉(42)이 초음파발생동체(18)의 직경으로부터 차례로 이들의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되어 있고 연결봉(42)의 단부에 진동판(5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출력의 초음파가 발생되는 경우에 직경의 점진적인 축소에 따라 연결봉(42)에서 최대의 유연성을 가지므로 진동충격이 이러한 유연성에 의하여 상쇄됨으로서 이러한 연결봉(42)의 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진동판(50)과의 상대운동이 현저히 감소되어 고출력의 초음파가 발생됨에도 붙구하고 진동충격은 감소되어 이러한 진동판(50)이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 즉, 결합너트(54, 56)의 무단 분리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아 진동판(50)의 분리나 파손이 일어나지 않는다.
따라서, 초음파발생동체(18)로부터 차례로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된 연결동체(34), 이러한 연결동체(34)에 일체로 형성된 소경연결동체(38)와, 연결봉(42)을 통하여 연결봉의 단부부근에 착설된 스피커 혼 형태의 진동판(50)은 발생된 초음파를 고출력으로 방사하는 반면에 진동충격은 차례로 직경이 약 반으로 축소된 연결수단의 유연성에 의하여 감소되어 진동판(50)의 결합부가 분리되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하여 초음파발생기의 사용수명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12: 전극, 14: 압전소자, 16: 압전장치, 18: 초음파발생동체, 20: 중앙통공, 22, 24: 나선공, 26: 볼트, 30: 지지동체, 32: 고정너트, 34: 연결볼트, 38; 소경연결동체, 40: 나선결합공, 42: 연결봉, 44: 나선부, 46; 고정너트, 48: 나선부, 50: 진동판, 52: 통공, 54, 56: 결합너트.

Claims (6)

  1. 하단에 두개의 전극(10,12)과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압전소자(14)로 구성되는 압전장치(16)가 구비된 원주형 초음파발생동체(18)와;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동체(34)와;
    상기 연결동체(34)의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연결동체(34)의 선단에는 일체로 형성된 소경연결동체(38)와;
    상기 소경연결동체(38)의 직경보다 축소된 직경을 가지며 상기 소경연결동체(38)의 선단에 결합되는 연결봉(42)과;
    상기 연결봉(42)의 상단에는 결합되는 스피커 혼의 형태인 진동판(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전장치(16)는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하측에 형성된 나선공(24)에 결합된 볼트(26)에 삽입하고 지지동체(30)와 고정너트(32)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동체(34)는 그 하단에 연장된 연결볼트(36)를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의 상부에 형성된 나선공(22)에 결합하여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2)은 그 하단을 상기 연결동체(34)의 소경연결동체(38)의 선단에 나선결합하여 고정하고, 상기 연결봉(42)의 상단에 형성된 나선부(48)에 상기 진동판(50)을 그 중앙에 형성된 통공(52)을 통하여 삽입하여 그 상하측에서 결합너트(54, 56)로 체결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동체(18)와 상기 연결동체(34)가 두랄미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6.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42)이 티타늄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KR1020130082282A 2013-07-12 2013-07-12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KR1015054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82A KR101505410B1 (ko) 2013-07-12 2013-07-12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2282A KR101505410B1 (ko) 2013-07-12 2013-07-12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96A KR20150007796A (ko) 2015-01-21
KR101505410B1 true KR101505410B1 (ko) 2015-03-25

Family

ID=52570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2282A KR101505410B1 (ko) 2013-07-12 2013-07-12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4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49U (ko) 2018-11-26 2020-06-03 이원규 유해동물 퇴치 안전등
KR102309920B1 (ko) 2021-03-31 2021-10-08 (주)계령 가공배전선의 조류안착방지용 애자 체결장치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2250B1 (ko) 2015-04-23 2017-05-04 김석태 초음파발생기
KR101897693B1 (ko) * 2018-05-21 2018-09-12 동부전기기술단 (주) 조류 퇴치 기능을 갖는 배전 선로
KR102459674B1 (ko) * 2019-11-29 2022-10-26 김석태 초음파해충퇴치기
CN111109245A (zh) * 2020-01-16 2020-05-08 无锡市昱淞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360度全方位草原驱鼠器
KR102634327B1 (ko) * 2021-10-28 2024-02-07 (주)에스제이인스트루먼트 초음파 트랜스듀서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830A (ja) 1996-04-09 2000-06-27 ジルズ ジョスリン コーティン、ジーン 超音波害虫防除器
KR100614670B1 (ko) 2005-05-31 2006-08-22 맥슨씨아이씨 주식회사 초음파 해충 퇴치기
KR101036251B1 (ko) 2008-05-30 2011-05-20 (주)재성물산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1133506B1 (ko) 2011-04-14 2012-04-04 김석태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7830A (ja) 1996-04-09 2000-06-27 ジルズ ジョスリン コーティン、ジーン 超音波害虫防除器
KR100614670B1 (ko) 2005-05-31 2006-08-22 맥슨씨아이씨 주식회사 초음파 해충 퇴치기
KR101036251B1 (ko) 2008-05-30 2011-05-20 (주)재성물산 휴대용 해충 퇴치기
KR101133506B1 (ko) 2011-04-14 2012-04-04 김석태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 스피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1149U (ko) 2018-11-26 2020-06-03 이원규 유해동물 퇴치 안전등
KR102309920B1 (ko) 2021-03-31 2021-10-08 (주)계령 가공배전선의 조류안착방지용 애자 체결장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7796A (ko) 2015-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5410B1 (ko) 유해동물 퇴치기용 초음파발생기
KR101732250B1 (ko) 초음파발생기
DE102007045809B4 (de) Detektorvorrichtung für ein Hindernis
CN106102622A (zh) 治疗用超声波振子
US7780095B2 (en) Ultrasound pumping apparatus
WO2020111132A1 (ja) 液面検出装置
EP3187296A1 (en) Ultrasonic welding device
KR20200100523A (ko) 초음파 진동자 및 초음파 진동자를 사용한 초음파 세정 장치
JP6257552B2 (ja) 超音波発生器
CN105324184B (zh) 电声转换器
KR101739701B1 (ko) 초음파 발생 장치
US9993843B2 (en) Adapter for ultrasonic transducer assembly
US9265694B2 (en) Bathtub having massage features
RU2647509C1 (ru) Электроакуст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US9172027B2 (en) Manufacturing method and system for an ultrasonic generating device that includes an attachment unit to generate an ultrasonic vibration
US11253948B2 (en) Sonotrode
KR102459674B1 (ko) 초음파해충퇴치기
KR200491958Y1 (ko) 유해동물 퇴치 안전등
JPH1156193A (ja) 害虫駆除装置
KR102634327B1 (ko) 초음파 트랜스듀서 조립체
JP2019097052A (ja) 超音波投射装置
WO2023162861A1 (ja) 超音波投射装置
JP5453683B2 (ja) 静電噴霧用電極部材
KR102462374B1 (ko) 초음파 기기용 혼 및 이를 이용한 공진주파수 보정 방법
US10256787B2 (en) Piezoelectric oscill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