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409B1 -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 - Google Patents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5409B1
KR101505409B1 KR1020070103393A KR20070103393A KR101505409B1 KR 101505409 B1 KR101505409 B1 KR 101505409B1 KR 1020070103393 A KR1020070103393 A KR 1020070103393A KR 20070103393 A KR20070103393 A KR 20070103393A KR 101505409 B1 KR101505409 B1 KR 10150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device
cantilever
base portion
distal en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3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3892A (ko
Inventor
제임스 에이치. 슐저
Original Assignee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filed Critical 엘앤드피 프라퍼티 매니지먼트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08003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3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3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horizontally-adjustable seats ; Expandable seats or the like, e.g. seats with horizontally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4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 E05Y2900/4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gates for cantilever 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구비하는 캔틸레버, 상기 원위 단부에 결합된 프레임 부분, 상기 근위 단부에 결합된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프레임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 또는 상기 캔틸레버에 결합된 로킹 장치를 포함하는 장치로서,
상기 로킹 장치는 로킹 위치 및 언로킹 위치를 갖고,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캔틸레버, 프레임 부분, 베이스 부분, 로킹 장치, 의자

Description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Casual Control tilt lockout}
본 발명은 대체로 기울기 위치(tilt position)를 고정하기 위한 틸팅 의자 및 로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캐주얼 의자와 이와 관련된 가구 제품에 일반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캔틸레버형(cantilever-type) 틸팅 기구를 위한 로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선택에 따라 뒤로 기울어질 수 있는 의자를 필요로 한다. 기울어지는(이하 '틸팅'이라고 함) 형태는 스프링, 샤프트 및 가스실린더를 포함하는 다양한 방식의 메카니즘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지만, 부피가 작은 복합 틸팅 기구가 캔틸레버이다. 캔틸레버는 하중이 이에 적용될 때 구부러지는 일반적으로 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캔틸레버는 한 단부에서 의자의 상부에 부착되고 다른 단부에서 의자의 하부에 부착되며, 의자가 비어 있거나 사람이 의자에 똑바르게 앉아 있을 때 의자의 상부를 직립자세로 유지할 정도로 충분히 단단하다. 그러나, 사람이 의자의 상부에 등을 기댈 때, 캔틸레버는 휘어지고 이에 의해 의자의 상부가 의자의 하부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된다. 캔틸레버는 임의 방식의 의자에 사용될 수 있지만, 보통 옥외 식탁 의자에서 가장 많이 볼 수 있다.
의자가 기울어질 수 있는 것이 필요하지만, 가끔 틸팅 기구를 사용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사람이 식탁에서 식사할 때, 기울어진 의자는 격식에 맞지 않고, 마음을 산란하게 하며, 및/또는 그외에 불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사람의 선택에 따라 기울어짐 형태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도록 의자에 틸트 로크아웃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캔틸레버형 틸팅 기구를 갖는 의자가 뒤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캔틸레버 틸팅 기구를 위한 틸팅 기구를 로크아웃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장치가 공개된다.
하나의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원위 단부 및 근위 단부를 갖는 캔틸레버, 원위 단부에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 근위 단부에 연결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프레임 부분, 베이스 부분 또는 캔틸레버에 연결되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장치가 로킹 위치(locking position) 및 언로킹 위치(unlocking position)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장치가 로킹 위치에 있을 때 로킹 장치는 베이스 부분에 대해 프레임 부분의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장치를 포함한다. 로킹 위치에서, 로킹 장치는 캔틸레버의 원위 단부를 지탱하며 캔틸레버의 하향 굽힘을 제한한다. 실시예에서, 로킹 장치는 블록을 포함하고, 로킹 장치는 그 로킹 위치에서 캔틸레버와 베이스 부분 양쪽에 접촉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베이스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프레임 부분이 기울어지도록 베이스 부분에 연결되는 프레임 부분과, 로킹 위치 및 언로킹 위치를 갖는 로킹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로킹 장치는 로킹 위치에 있을 때 프레임 부분과 베이스 부분 사이에 머무르고, 이에 의해 프레임 부분이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프레임 부분은 로킹 장치가 언로킹 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지는 가구 제품을 포함한다.
세번째 양상으로서,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도록 베이스에 연결된 틸터(tilter), 상기 틸터에 연결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캔틸레버, 상기 원위 단부에 연결되어 시트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를 가지며 상기 틸터, 캔틸레버 또는 프레임에 연결되는 로킹 장치를 구비하는 의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여, 사람의 선택에 따라 기울어짐 형태를 작동시키거나 작동시키지 않도록 의자에 틸트 로크아웃(tilt lockout)을 구비함으로써, 캔틸레버형 틸팅 기구를 갖는 의자가 뒤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캔틸레버 틸팅 기구를 로크아웃하기 위한 신뢰성 있는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을 더욱 완전히 이해하고 또 본 발명의 세부 및 장점을 위해 도면을 참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을 합체한 의자(100)는 일반적으로 프레임 부분(110), 베이스 부분(120),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130) 및 로킹 장치(140) 등의 4개의 부품을 포함한다. 도 1에서, 프레임 부분(110)은 시트(112) 및 프레임(114)으로 구성된다. 시트(112)는 일반적으로 그러나 필수는 아닌 구성으로, 의자(100)에 앉아있는 사람을 쿠션으로 지지하도록 패딩되어 있다. 프레임(114)은 시트(112)를 위한 구조적 지지부를 제공하고 시트(112)를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cantilevers)(130)에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130)는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서 후방으로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도 1에서, 베이스 부분(120)은 베이스(122) 및 틸터(tilter)(124)로 구성된다. 베이스(122)는 바닥(floor)에 의자(100)를 지지하고 일반적으로 의자(100)의 가장 넓은 부분 보다 베이스의 바닥 부분이 더 넓다. 이러한 구성은 의자(100)가 이 의자(100)에 앉아 있는 사람에 의해 뒤로 넘어지는 것이 방지되며, 이에 의해 의자(100)의 안정성을 개선한다. 도 1에서, 틸터(124)는 샤프트(125), 틸터 몸체(126) 및 헤드(127)를 포함한다. 샤프트(125)는 일반적으로 틸터 몸체(126)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 폴(pole)이고 도 1 및 도 2에는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에서, 샤프트(125)는 베이스(122)의 상부에서 구멍에 끼워지고 틸터(124), 캔틸레버(130) 및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122)에 대해 360도 선회할 수 있도록, 베이스(122)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에서, 틸터 몸체(126)는 샤프트(125)로부터 수평 및 수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도 1에서, 틸터 몸체(126)는 베이스(122)로부터 (전방으로)멀리 연장되는 각이 형성된 또는 기울어진 지지부를 제공한다. 틸터 몸체(126)의 수직 및 수평 형태는 프레임(114)이 프레임(114)과 틸터 몸체(126) 사이에 블록(148)을 끼우도록 틸터 몸체(126) 위에 여유를 두고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형태는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에서 헤드(127)는 틸터(124)를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130)에 연결한다. 의자(100)에 복수의 캔틸레버(130)가 설치되어 있으면, 헤드(12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캔틸레버들(130) 사이를 적당하게 분리시키기 위하여[로킹 장치(140)를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틸터 몸체(126)로부터 수평으로 이격되게 외향으로(옆으로) 연장될 수 있다. 틸터(124)의 두 예시는 1999년 2월 11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캐주얼 의자 제어"이고 슐저(Sulz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D422,814호와, 2004년 7월 1일에 출원된 발명의 명칭이 "캐주얼 틸터"이고 슐저(Sulzer)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D520,780호에 기재되어 있으며, 양 특허는 전체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합체되었다.
하나 이상의 캔틸레버(130)는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서 기울어질 수 있게 한다. 당업자는 프레임 부분(110)이 수평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기울기 각도는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도 또는 다른 각도이다. 임의 수의 캔틸레버(130)가 의자(100)에서 사용되는 한편, 도 1, 도 3 및 도 5에서 의자(100)는 두개의 캔틸레버(130)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캔틸레버(130)는 그들 근위 단부(132)에서 틸터(tilter)(124)에, 그리고 그들 원위 단부(134)에서 프레임(114)에 볼트 체결되거나, 용접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연결된다. 이들 연결부들은 원위 단부(134)와 프레임(114)이 예를 들어 하나로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일반적으로 강성 연결부들이다. 도 1에서, 캔틸레버(130)는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중량하에서 굽힘 작동가능한 일반적으로 편평한 재료의 직사각형 편이다. 프레임(114)을 캔틸레버(130)의 원위 단부(134)에 부착함으로써[캔틸레버(130)의 부착부로부터 틸터(124)의 헤드까지 멀리], 의자는 충분한 중량이 프레임 부분(110)에 적용될때(의자에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앉은 사람에 의해) 후향으로(안락 위치를 향해 후향으로) 기울어지게 설계된다. 도 1의 캔틸레버(130)에 대해, 근위 단부는 일반적으로 의자의 정면 방향을 향하는 단부(132)로 참조되고, 원위 단부는 일반적으로 의자의 후방을 향하는 단부(134)로 참조된다(이들 용어의 특정 배향이 임의적이고, 그 용어들이 부품의 임의의 두개의 대향 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을 당업자들이 이해할지라도). 다양한 재료들이 캔틸레버를 제조하기 위해 적합할지라도, 도 1을 위한 적합한 재료는 금속, 특히 알루미늄, 철 또는 스틸이다. 당업자들은 특정 등급의 재료를 선택할 수 있고, 그 재료 두께는 의자(100)에 앉은 사람의 중량, 프레임 부분(110)의 중량, 소정 량의 경사도, 캔틸레버(130)의 길이, 및 의자의 설계를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인자들에 의거하여 소정 량의 경사도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하다. 또한, 의자(100)의 전방이 본 명세서에서는 일반적으로 근위 단부로서 참조되고, 의자(100)의 후방이 일반적으로 원위 단부로서 참조되는 한편, 당업자들은 용어 근위 및 원위의 특정 배향이 임의적이고 의자(100)의 부품의 어떤 두개의 대향 단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으로 이해한다.
도 1의 로킹 장치(140)는 하나 이상의 브라켓(150), 몸체(142), 아암(144), 핸들(146), 및 블록(148)으로 구성된다. 도 1의 브라켓(150)은 틸터(124)에 클립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고, 몸체(142)가 틸터(124)에 대해 전방으로(근위 방향으로) 그리고 후방으로(원위 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도록 로킹 장치의 몸체(142)에 활주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1의 브라켓(150)은 일반적으로 제위치에 고정되는 한편, 로킹 장치(140)가 그 로킹 위치로부터 부주의하게 활주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142)의 이동에 대해 충분한 마찰 저향력을 또한 임의로 제공한다. 도 1의 블록(148)은 몸체(142)의 원위 단부에 연결되고, 로킹 장치(140)가 로킹 위치에 위치 결정될 때에[블록(148)이 캔틸레버(130)의 원위 단부(134)를 지지하여 캔틸레버의 하향으로의 굽힘에 저항하므로]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 경사지는 것을 일반적으로 방지한다. 도 1에서, 블록(148)은 틸터 몸체(126)와 굽혀지지 않는 캔틸레버(130) 사이의 갭의 개략적인 높이인 지지 세그먼트이다. 따라서, 도 1의 로킹 장치(140)가 그 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근위 위치에서 블록(148)이 캔틸레버(130)와 틸터(124) 사이에 쐐기 고정됨], 블록(148)은 프레임(114)과 샤프트(125)와 대략 일렬로 정렬되고, 의자의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 프레임 부분(110)의 후향 경사를 허용하는 하향 굽힘에 저항하여 캔틸레버(130)의 원위 단부(134)를 완전히 지지한다. 도 1에서, 아암(144)은 몸체(142)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고 시트(112) 아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한다. 적합하게는, 아암(144)은 시트(112)의 전방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나, 당업자들은 아암(144)이 시트(112)의 측면 또는 후면 중 하나로부터 연장하도록 의자(100)가 형성되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그 위치와 관계없이, 도 1의 아암(144)은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로킹 장치(140)의 사용자의 용이한 동작을 촉진하기 위해 핸들(146)에 임의로 끼워진다. 비록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블록(148)은 그 상부 및/또는 하부 표면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드(149)로 또한 형성될 수 있다. 패드(149)는 틸터(124) 및/또는 프레임(114)에 사용된 재료보다 더 연성 재료로 보통 만들어지고, 따라서 블록(148)이 틸터(124) 및/또는 프레임(114)으로부터 긁힘 또는 자국나는 것을 방지한다. 임의적으로, 패드는 그 로킹 위치에 블록을 고정하기 위해 더 높은 마찰 계수를 갖는 재료로 또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패드(149)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우레탄과 같은 폴리머 재료이다.
도 1, 도 3, 도 4, 도 7 및 도 8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140)의 다양한 도면을 도시하고 있다. 언로킹 위치에서, 핸들(146)은 틸터(124)에 비교적 밀접하게 위치 결정되어 시트(112) 아래에 숨겨질 수 있다. 또한, 블록(148)은, 이 블록(148)이 프레임 부분(110)의 경사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언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 프레임(114)과 틸터(124)의 근위부로부터 멀리 떨어져서 위치된다. 다른 한편, 언로킹 위치에서, 블록(148)은 캔틸레버(130) 또는 틸터(124)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지 않으므로, 캔틸레버(130)(하향 굽힘)의 이동 범위는 블록(148)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로킹 장치(140)가 고정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에, 경사를 방해하는 로킹 장치(140) 없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 프레임 부분(110)을 경사시키기 위해 의자(100)에 앉은 사람은 뒤로 기대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후면에 후향 또는 하향 압력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의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상기 의자(100)가 기우는 것을 방지하기 원할 때, 그 사람은 상기 로킹 장치(140)를 전방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킹 장치(140)를 상기 언로킹 위치로부터 로킹 위치로 변화시킨다. 특히, 그 사람은 핸들(146)을 전방으로(근위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아암(144)도 또한 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아암(144)이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로킹 장치의 몸체(142)는 브라켓(150)을 통해 전방으로 활주되고, 블록(148)을 프레임(114)과 틸터(124) 사이의 위치로 당긴다. 다시 말해서, 도 1의 블록(148)은, 캔틸레버(130)의 이동 범위가 제한되도록[하향으로 굴곡하기 위한 원위 단부(134)의 능력을 방해함], 상기 캔틸레버(130) 및 틸터(124) 모두와 접촉한다. 일반적으로, 의자(100)에 앉은 사람은 그와 같은 작동 과정 중에 뒤로 기대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등판상에 후방 또는 하향 압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부의 경우는, 언로킹 위치에서 로킹 장치(140)를 완전히 작동시키도록,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상기 로킹 장치(140)를 위해 앞으로 구부리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등판상에 전방 또는 상향 압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 도 9 및 도 10은 로킹 위치에 있는 로킹 장치(140)의 다양한 도면을 나타낸다. 로킹 위치에서, 핸들(146)은 틸터(124)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져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의자(100) 아래로부터 돌출된다(도 6 참조). 또한, 도 2의 블록(148)이 프레임(114)과 틸터(124) 사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블록(148)은 캔틸레버의 원위 단부(134)를 베이스 부분에 대해 수직으로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캔틸레버(130)의 굴곡을 제한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원위 단부(134)는 하향으로 굴곡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그 로킹 위치에서,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뒤로 기대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등판상에 후방 또는 하향 압력을 제공할 때 조차도, 상기 로킹 장치(140)는 프레임 부분(110)이 베이스 부분(120)에 대해 기우는 것이 제한된다.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의자(100)를 기울이기를 원할 때, 그 사람은 상기 로킹 장치(140)를 도 1의 후방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로킹 장치(140)를 상기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변화시킨다. 특히, 그 사람은 핸들(146)을 후방으로 밀므로써, 상기 아암(144)도 또한 후방으로 이동한다. 상기 아암(144)이 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몸체(142)는 브라켓(150)을 통해 후방으로 활주되고, 블록(148)을 프레임(114)과 틸터(124) 사이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압박한다. 일반적으로, 그와 같은 작동 과정 중에, 의자(100)에 앉은 사람은 뒤로 기대지 않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등판상에 후방 또는 하향 압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부의 경우에, 언로킹 위치를 향해 로킹 장치(140)의 작동을 개시하도록, 의자(100)에 앉은 사람이 상기 로킹 장치(140)를 위해 앞으로 구부리거나 그렇지 않으면 시트(112)의 등판상에 전방 또는 상향 압력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상기 로킹 장치(140)에 대한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11 및 도 12에서는 상기 로킹 장치(140)의 블록(148), 몸체(142), 아암(144), 및 핸들(146)을 설명한다. 상기 블록(148)은 상기 몸체(142)의 후방 측부상에 위치되며, 패드(149; 도 3-6 참조)를 블록(148) 안으로 삽입시키기 위한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42)는, 상기 로킹 장치(140)가 베이스 부분(120) 상에 설치될 때 틸터(124)의 표면과 대체로 평행하게 될 수 있도록, 수평면에 대해 각을 이룰 수 있다. 그와 같은 형태는 상기 로킹 장치(140)의 외형을 감소시킴으로써 의자(100)의 미적 외관을 개선시킨다. 또한, 상기 아암(144)은, 사람이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 사이에서 아암(144)을 작동시킬 때 시트(112)와 접촉하지 않도록, 대체로 수평 방향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핸들(146)은 상기 아암(144)의 단부에 부착되며, 상기 로킹 장치(140)의 인간 환경 공학 및/또는 작동성을 개선시키기 위해 상향으로 각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필요할 경우, 장식용 로고 또는 로킹 장치(140)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용 설명서가 상기 핸들(146)의 전방 표면상에 인쇄되거나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핸들은 인간 환경 공학적 개선을 위해 덧댈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로킹 장치(140)의 브라켓(150)을 나타낸다. 본 도면들에서, 상기 브라켓(150)은 상기 로킹 장치(140)의 나머지 부분을 틸터(124)에 연결하며, 복수의 클립(152), 하부 가이드(154), 및 상부 가이드(156)를 포함한다. 상기 클립들(152)은 틸터(124)의 하부와 측부들을 감싸는 형상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브라켓(150)을 상기 틸터(124)에 고정시킨다. 당업자라면 상기 브라켓(150)이 틸터(124)를 반드시 클립 연결시킬 필요가 없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오히려, 상기 브라켓(150)은, 스크류, 볼트, 용접, 및/또는 접착제와 같은 어떤 적절한 부착 수단을 사용하여, 프레임 부분(110), 베이스 부분(120), 캔틸레버(130), 또는 상기 3가지의 조합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154)는 틸터(124)의 상부 표면과 일치되도록 형성되며, 몸체(142)를 위한 하부 지지부로서 작동하도록 몸체(142) 아래에 위치시킨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42)는 상기 하부 가이드(154)의 상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활주한다. 상기 상부 가이드(156)는, 몸체(142)가 상부 가이드(156)의 적어도 일부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142)의 상부 표면을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142)는 상부 가이드(156)의 하부 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가로질러 활주함으로써 브라켓(150)을 통해 활주한다. 만약 필요한 경우, 상기 브라켓(150)은 추가적으로 하부 가이드들(154) 또는 상부 가이드들(156)을 구비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형태의 브라켓(150)은 상기 로킹 장치(140)를 수평 및 수직으로 적소에 고정시키도록 작용할 수 있으며, 상기 몸체(142)를 로킹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 활주시킬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22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Casual Control Tilt Lockout)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로킹 장치(14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로킹 장치(140)가 브라켓(150) 대신에 다수의 핑거(160)를 포함하는 것 외에는 로킹 장치(140)의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160)는 몸체(142)의 양 측부 뿐만 아니라 몸체(142)의 상부 및 바닥면에 위치된다. 필요하면, 로킹 장치(140)는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많은 핑거로 구성될 수 있다. 로킹 장치(140)가 의자(100)에 설치될 때, 핑거(160)는 각각의 캔틸레버들(130) 위와 아래에서 연장하고, 캔틸레버들(130) 사이에 위치된 로킹 장치(140)를 유지한다. 로킹 장치(140)는 또한 핑거(160)가 캔틸레버(130)를 따라 전후로 활주하는 것을 허용한다. 캔틸레버(130)를 따르는 로킹 장치(140)의 주행은 틸터(124)의 헤드(127)에 의하여 전방 방향으로 제한되고, 프레임(114)에 의하여 후방 방향으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 로킹 장치(140)의 대안적인 실시예는 핑거(160)가 헤드(127)에 접촉할 때 로킹 장치(140)가 로킹 위치에 있고 핑거가 프레임(114)에 접촉할 때 로킹 장치(140)가 언로킹 위치에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핑거가 헤드(127)에 접촉할 때 로킹 장치(140)가 언로킹 위치에 있고 핑거(160)가 프레임(114)에 접촉할 때 로킹 장치가 로킹 위치에 있도록 로킹 장치(140)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기술된 다양한 부품들은 임의의 형태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임의의 수용 가능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부품들은 목재, 금속, 플라스틱, 다른 재료, 또는 그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부품들은 밀링, 주조, 단조, 압출, 임의의 다른 제조 방법 또는 그 조합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부품들은 알루미늄이고, 다이캐스팅 방법으로 만들어진다. 다이캐스팅 알루미늄 부품의 하나의 방법이 그 전체에 있어서 재생되는 것처럼 참조에 의해 통합되는 "다이캐스팅을 제조하기 위한 시스템"이라는 명칭으로 풀턴(Fulton) 등의 미국특허 제7,772,82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기술된 로킹 장치가 단일 전방 로킹 위치를 제공하지만, 본 발명은 그렇게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로킹 장치는 다양한 틸트(주어진 로킹 위치를 지나 부가의 후방 기울어짐을 방지)에서의 로킹 위치를 제공할 수 있거나, 또는 다양한 로킹 위치를 허용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의 방식에 의하여, 블록은 각이진 쐐기이거나 또는 다양한 높이의 일련의 연장 지지부일 수 있어서, 아암의 위치(그러므로 캔틸레버를 접촉하는 지지 블록 요소의 높이)에 따라서, 의자는 다수의 위치로 로킹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다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이것의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및 교시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개시된 발명의 많은 변형, 조합 및 변경이 가능하고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된 기술에 의해 제한되지 않지만,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모든 요지의 균등물을 포함한다.
도 1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의자의 측면도.
도 2는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의자의 측면도.
도 3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의자의 평면도.
도 4는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5는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6은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
도 8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상측 사시도.
도 9는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상부 후방측 사시도.
도 10은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실시예의 상부 각도의 사시도.
도 11은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로킹 장치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라인 12-12를 따라 절취한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로 킹 장치의 실시예의 측면 및 부분 단면도.
도 13은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브라켓의 실시예의 평면도.
도 14는 도 13의 라인 14-14를 따라 절취한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브라켓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15는 도 13의 라인 15-15를 따라 절취한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브라켓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7은 언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18은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19는 로킹 위치에 있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도 20은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21은 도 20의 라인 21-21를 따라 절취한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22는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의 로킹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후면도.

Claims (20)

  1. 원위 단부와 근위 단부를 가지는 캔틸레버(cantilever);
    상기 원위 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 부분;
    상기 근위 단부에 결합되는 베이스 부분; 및
    상기 프레임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 또는 상기 캔틸레버에 결합되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장치는 로킹 위치와 언로킹 위치를 가지며,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언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의 경사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며,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상기 프레임 부분의 기울어짐을 제한하며,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프레임 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휘어지는 가요성인,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캔틸레버의 원위 단부를 지지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위치에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캔틸레버의 아래로 향한 휨을 제한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를 가지는 몸체;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고정되는 아암; 및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에 고정되는 블록을 포함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상기 캔틸레버 및 상기 베이스 부분과 접촉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 부분, 상기 캔틸레버, 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브라켓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 활주되도록 작동가능한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캔틸레버를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핑거들을 부가로 포함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부분은
    바닥(floor)에 의자를 지지하는 베이스와,
    틸터(tilter)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틸터를 포함하는 캐주얼 의자 틸트 제어 장치.
  10.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프레임 부분이 기울어질 수 있게 작동 가능하도록, 캔틸레버에 의해 상기 베이스 부분에 결합된 프레임 부분; 및
    로킹 위치 및 언로킹 위치를 갖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분과 상기 베이스 부분 사이에 머무르며, 이에 의해 상기 프레임 부분이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언로킹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프레임 부분은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게 작동 가능한 의자용 가구 제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캔틸레버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결합된 근위 단부와 상기 프레임 부분에 결합된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의자용 가구 제품.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캔틸레버를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핑거들을 포함하는 의자용 가구 제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아암; 및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블록을 포함하는 의자용 가구 제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 부분 또는 상기 베이스 부분에 부착하는 브라켓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에 대해 활주되도록 작동가능한 의자용 가구 제품.
  15. 베이스;
    틸터가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하도록, 상기 베이스에 결합된 틸터;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캔틸레버로서, 상기 근위 단부가 상기 틸터에 결합되는, 캔틸레버;
    상기 원위 단부에 결합되어 시트(seat)를 지지하는 프레임; 및
    로킹 위치 및 언로킹 위치를 가지며, 상기 틸터, 상기 캔틸레버, 또는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로킹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로킹 장치가 상기 언로킹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프레임 부분의 경사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 의자.
  16. 삭제
  17. 삭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구비하는 몸체;
    상기 몸체의 근위 단부에 부착된 아암; 및
    상기 몸체의 원위 단부에 부착된 블록을 포함하는 의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몸체를 상기 프레임, 상기 캔틸레버, 또는 상기 베이스에 부착하는 브라켓을 부가로 포함하고,
    상기 몸체는 상기 브라켓을 통해 활주되도록 작동 가능한 의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장치는 상기 캔틸레버를 따라 활주하는 복수의 핑거들을 부가로 포함하는 의자.
KR1020070103393A 2006-10-13 2007-10-15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 KR101505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948806P 2006-10-13 2006-10-13
US60/829,488 2006-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92A KR20080033892A (ko) 2008-04-17
KR101505409B1 true KR101505409B1 (ko) 2015-03-25

Family

ID=39420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3393A KR101505409B1 (ko) 2006-10-13 2007-10-15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505409B1 (ko)
CN (1) CN101172004B (ko)
TW (1) TWI458455B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287A (ja) * 1998-03-30 1999-10-12 Takano Co Ltd ロッキング装置
US6378943B1 (en) * 1999-03-26 2002-04-30 Northfield Metal Products Ltd. Chair tilt lock mechanism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3381A1 (de) * 1986-04-21 1987-10-22 Mauser Waldeck Ag Stuhl mit federnd verschwenkbarem sitz und ruecken
US4711491A (en) * 1986-06-09 1987-12-08 Jonathan Ginat Swivel tilt mechanism for chair
US4911501A (en) * 1989-06-09 1990-03-27 Harter Corporation Suspension mechanism for connecting chair backs and seats to a pedestal
US5308028A (en) * 1992-11-17 1994-05-03 Gary Kornberg Headrest support for a wheelchair
US5427434A (en) * 1993-07-30 1995-06-27 Leggett & Platt, Incorporated Chair tilt and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5417474A (en) * 1993-09-23 1995-05-23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Tilt control mechanism for chairs
US5464274A (en) * 1994-01-13 1995-11-07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Chair seat tilt adjustment and locking mechanism
IT242153Y1 (it) * 1996-01-08 2001-06-04 Alta Srl Dispositivo di regolazione dell'inclinazione della seduta in sedie epoltroncine in genere
CA2246021A1 (en) * 1997-08-29 1999-02-28 Leggett & Platt Canada Co./Societe Leggett & Platt Canada Chair tilt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76287A (ja) * 1998-03-30 1999-10-12 Takano Co Ltd ロッキング装置
US6378943B1 (en) * 1999-03-26 2002-04-30 Northfield Metal Products Ltd. Chair tilt lock mechanis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3892A (ko) 2008-04-17
CN101172004A (zh) 2008-05-07
TW200840517A (en) 2008-10-16
TWI458455B (zh) 2014-11-01
CN101172004B (zh) 2012-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527529B2 (ja) 動的にバランスのとれたシートの組み立て
JP4141050B2 (ja) 椅子、特にオフィス用椅子
US8272692B1 (en) Office chair having tiltable seat and back
US7753447B2 (en) Casual control tilt lockout
EP0614633B1 (en) Adjustbale backrest for a chair
US6969116B2 (en) Chair with backward and forward passive tilt capabilities
US6623078B2 (en) Adjustable height chair arm supported on back upright
JP2708144B2 (ja) プレロードをかけた基部アッセンブリを有するスイベル式リクライニング/ロッキングチェア
JP2000079034A (ja) 椅 子
EP0806165A2 (en) Forward-rearward tilt control for chair
US20020130541A1 (en) Chair equipped with lumbar support unit
EP3545795B1 (en) Forward tilt assembly for chair seat
AU778044B2 (en) Ergonomic office chair with an extending foot
WO2002032265A1 (fr) Chaise
EP2772156B1 (en) Tilt mechanism for a chair and chair
EP1467642B1 (en) Mobile joint with several stable positions, suitable for use in furniture
EP2524623A1 (en) Chair arrangement
KR101505409B1 (ko) 캐주얼 제어 틸트 로크아웃
US6435615B1 (en) Seating furniture with downwardly movable, pivoting backrest
JP4015674B2 (ja) 椅子
JP2021036952A (ja) 椅子
JP4384927B2 (ja) 椅子
JP4626929B2 (ja) 椅子
JP4652760B2 (ja) リクライニング椅子
JPH053196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