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3709B1 -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3709B1
KR101503709B1 KR1020130009721A KR20130009721A KR101503709B1 KR 101503709 B1 KR101503709 B1 KR 101503709B1 KR 1020130009721 A KR1020130009721 A KR 1020130009721A KR 20130009721 A KR20130009721 A KR 20130009721A KR 101503709 B1 KR101503709 B1 KR 101503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compressed air
oxygen generator
air
ti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97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745A (ko
Inventor
이상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프
Priority to KR10201300097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3709B1/ko
Publication of KR20140096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3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3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0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C1/10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microbiologically, biologically or by using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력설비 등이 설치될 필요없이 유지보수가 간편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충분한 산소를 발생시켜 갯벌의 생태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지지구조물과, 상기 지지구조물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기펌프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산소기체를 갯벌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에 의해 상기 갯벌에 상기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Oxygen supply apparatus for restoration of tidal flat}
본 발명은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바닷물의 산성화 등에 따라 생태환경이 악화된 갯벌에 대기 중의 공기로부터 산소를 발생시켜 지속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갯벌의 생태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닷물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25% 가량을 흡수하여 탄산으로 전환되면서 산성화되어 가고 있다. 산업혁명 이전의 바닷물의 평균pH는 8.2 정도로 약알칼리성이었으나, 현재는 0.1 정도 떨어진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00년대 중반에는 0.35나 더 내려가 pH가 7.8, 즉 바닷물의 산성도가 150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바닷물의 산성화는 갯벌 생물의 서식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갯벌 생물의 폐사는 갯벌의 황폐화를 유발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그러한 상황의 심각성에 대하여 많은 문제제기가 있어 온 바, 생태복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 중에 있으나 획기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갯벌에 산소를 공급하는 것은 갯벌에 서식하는 미생물을 활성화시키고 갯벌의 생태를 복원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와 같은 역할은 갯벌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갯벌 속에서 움직이는 활발한 활동에 의해 이루어졌으나, 전술한 바닷물의 산성화와 유류누출, 오염물 유입 등의 원인으로 인해 갯벌 생물이 폐사하는 경우가 많아, 갯벌은 더욱 황폐화되게 되었다.
도 1은 황폐화된 갯벌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치를 예시하는 것으로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0115호에 기재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면, 갯벌생태계의 복원을 위해 고안된 장치는, 갯벌(5)에 국부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통풍관(2)과 공기 유입시 공기가 갯벌(5)로 확산되어갈 수 있는 통풍구(4)로 이루어져 있다. 공기는 상부에서 자연적으로 확산되며 필요에 따라서 상부캡(3)을 제거하고 인위적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흡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갯벌(5) 하부층에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하여 미생물 등의 생물의 서식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치는 그 효과가 미치는 갯벌의 영역이 매우 협소할 뿐 아니라, 자연적 통풍을 이용하여 갯벌 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므로 공기가 갯벌 내부로 침투하기도 어려워 효과가 낮은 바, 강제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을 고려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강제적인 공기공급방식을 고려한다면, 갯벌이 위치하는 장소까지 전력선이 설치되어 지속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져야만 양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바, 해안 전력선 설치공사를 위한 비용부담이 과다하고, 염분과 수분이 많은 해안가에 전력선이 연결된 전기장치가 설치됨으로써 유지보수에 많은 노력이 소요된다.
또한, 대기 중의 공기를 갯벌 내에 공급하는 방식은 대량의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지 않는 한, 양호한 효과를 얻기가 쉽지 않고, 갯벌복원을 위해 장기간의 운용기간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전력설비 등이 설치될 필요없이 유지보수가 간편하면서도 지속적으로 충분한 산소를 발생시켜 갯벌의 생태환경을 복원할 수 있는 산소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지지구조물과, 상기 지지구조물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프와, 상기 공기펌프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산소기체를 갯벌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에 의해 상기 갯벌에 상기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을 포함한다.
상기에서 블레이드의 회전축과 상기 공기펌프 사이에는, 감속기가 설치되어 회전수가 감속된 회전력이 상기 공기펌프로 전달되도록 한다.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해수면 상에서 고정설치되는 고정시설물과, 상기 고정시설물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하측에서 유입된 해수가 파력에 의해 상승하는 동안 내부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실과, 상기 공기압축실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 및 상기 산소발생기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에서 발생된 상기 기체를 갯벌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에 의해 상기 갯벌에 상기 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서 상기 공기펌프와 상기 산소발생기 사이에는 압축공기탱크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에서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산소발생기로 공급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압축공기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유출설정치 이상일 경우에 상기 압축공기탱크로부터 상기 산소발생기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압력조절밸브가 설치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축공기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산소발생기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압축공기탱크와 상기 산소발생기 사이에 간헐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산소발생기는 기체분리막 방식으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망은 그 표면을 다공성재료가 둘러싼 상태로 갯벌에 매설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해안까지 전력선을 연결하는 설치공사가 불필요하고 풍력이나 파력에 의해 산소를 발생시키는 에너지를 얻게 되므로 산소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고, 해안에서 풍부하고 지속적으로 얻을 수 있는 자연에너지를 이용하므로 갯벌에 산소의 지속적 공급이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을 소형으로 제작하고, 다수의 지점에 각각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연안에 대규모의 토목공사가 이루어질 필요가 없는 바, 그 설치가 매우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풍력 또는 파력을 이용하되 풍력 또는 파력을 전기로 변환시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풍력 또는 파력이 직접 압축공기를 발생시켜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전기설비가 배제될 수 있는 바,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관리에 큰 노력이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체크밸브를 구비한 압축공기탱크가 설치됨으로써 풍력 또는 파력이 크게 발생하는 경우에는 많은 압축공기를 일시 저장할 수 있으므로, 산소발생기를 통과한 압축공기 및 산소공급관으로 분출되는 산소량을 시간에 따라 균일화할 수 있다. 이는 일시에 많은 양이 분출되는 산소는 갯벌이나 갯벌을 덮은 해수에 일부만 녹고 나머지는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것이므로, 분출되는 산소량의 균일화는 산소가 갯벌과 접촉하는 시간을 증대시키고 산소활용도를 증대시킨다.
도 1은 종래 갯벌의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의 전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의 보다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에서 산소공급망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에서 산소공급망의 다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설명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지지구조물(13)과, 상기 지지구조물(13)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10)와, 상기 회전축(1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프(20)와, 상기 공기펌프(2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40), 및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기체를 갯벌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63)에 의해 상기 갯벌에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60)을 포함한다.
상기 블레이드(10)는 풍력발전기에서의 용도와 유사하게, 풍력을 받아 회전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에서 소정높이에 설치되는 지지구조물(13)의 상단에 설치된다. 풍력발전기의 블레이드(10)와 동일하게 소형으로 설치되고 그 회전축(14)이 공기펌프(20)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하고 있다.
상기 공기펌프(20)는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공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블레이드(10)의 회전력을 감속기(21)를 통해 전달받고 있다. 블레이드(10)의 회전력은 회전수를 줄임으로써 큰 토크로 공기펌프(20)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여 공기펌프(20)에서 강한 공기압력을 생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펌프(20)은 지지구조물(13)의 상단에서 블레이드(10)의 후측에 설치되는 것이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동력손실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산소발생기(40)는 공기펌프(20)에서 생산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산소의 농도가 상승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고 있다. 그 산소기체는 순수한 산소만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고, 공기 중의 질소를 분리하여 산소의 농도를 높인 기체이다.
공기펌프(2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산소발생기(40)에 직접 공급되는 것보다는 압축공기탱크(30)에 일시적으로 저장된 후, 압축공기탱크(30)에서 설정된 압력 이상의 압축공기가 산소발생기(40)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산소발생기(40)를 통과하는 압축공기의 압력이 낮을 경우, 산소발생기(40)를 통과하는 동안 감압되어 산소공급망(60)을 통해 갯벌로 공급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고, 압축공기탱크(30)와 산소발생기(40) 사이에는 압력조절밸브(52)가 설치되어 압축공기탱크(30)에서 저장된 압축공기가 설정압력 이상으로 산소발생기(40)에 공급되어 산소공급망(60)을 통해 갯벌(70)로 안내된다.
공기펌프(20)에서 상기 압축공기탱크(30)까지는 연결관(23)이 설치되어 압축공기를 공급하고 있고, 연결관(23)에 체크밸브(51)가 설치되어 공기펌프(20)에서 발생된 압축공기가 상기 압축공기탱크(30)로 유입되는 흐름만을 허용한다.
상기 산소발생기(40)는 산소와 질소를 분리하여 산소농도가 높은 기체를 배출하는 것으로, 투과속도 차이를 이용하는 기체분리막 방법과 제오라이트 성분의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제오라이트 성분의 흡착제를 이용하는 방식은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동하기 위한 별도의 전원이 필요하므로 기체분리막을 이용하는 산소생산방식이 전체적인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기체분리막을 이용하는 방식(멤브레인 방식)은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기체별 투과성의 차이를 이용하여 산소와 질소를 간단히 분리할 수 있는 방식이다.
상기 산소공급망(60)은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기체를 갯벌(70)로 안내하고 있다. 산소공급망(60)은 갯벌(70)의 표면에 고르게 퍼진 상태로 내부를 유동하는 기체가 다수의 분출공(63)에 의해 분출되도록 구성된다.
산소공급망(60)은 호스 또는 파이프의 형태를 가지고 갯벌(70)의 표면을 따라 퍼져 있으며, 도 4와 같이,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산소기체를 공급받는 이송관(61)과, 갯벌(70)에 설치된 이송관(61)에서 다수의 가지형상으로 분기되어 있는 분기관(62)으로 설치된다. 상기 이송관(61)과 분기관(62)에는 분출공(63)이 다수 형성되고, 분출공(63)이 갯벌(70)의 내부에 매몰된 상태보다는 측방향이나 상측방향을 향하여 갯벌(70)에 매몰되지 않고 기체를 분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갯벌(70)에 매몰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바닷물에 잠기면 바닷물에 산소가 녹아 갯벌(70)에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소공급망(60)은 갯벌(70) 내부에 매몰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갯벌(70)에 의해 분출공(63)이 막힌 상태가 되지 않도록 분출공(63)이 형성된 산소공급망(60)의 표면에 도 5와 같이 스펀지구조와 같은 다공성재료(64)가 둘러싼 상태로 설치하여 갯벌(70)이 다공성재료(64)를 포위하더라도 분출공(63)에서 산소기체가 분출되어 머물 수 있는 공간이 갯벌(70) 내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해안에 별도의 전력공급이나 전기설비의 설치없이 해안가에 존재하는 풍부한 풍력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산소를 갯벌(70)에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별도의 전기설비를 요구하지 않으므로 설치비가 낮고 구조가 간단하여 유지보수를 위한 노력이 크지 않고, 품질 좋은 해안의 풍력을 이용하여 고농도의 산소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바, 갯벌복원의 효과도 매우 높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압축공기탱크(30)에서 산소공급망(60)으로 산소기체를 공급하기 위해 압력조절밸브(52)를 대신하여 개폐밸브가 설치될 수 있다. 그 경우, 개폐밸브는 별도의 소형 밧데리에 의해 구동되도록 설치하여 간헐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압축공기탱크(30)에서 저장된 압축공기가 간헐적으로 갯벌(70)로 공급될 수 있고, 주기적인 개폐가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의 장점은 블레이드(10)가 풍력을 풍부하게 흡수할 수 있는 시점에서 압축공기탱크(30)에 압축공기를 저장해두고 일정량씩 압축공기를 방출하여 산소기체를 갯벌(70)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압축공기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단위시간당 갯벌(70)이 흡수할 수 있는 산소량은 한정되어 있어 풍력이 풍부하게 발생하는 시점에서 과공급되는 산소는 대기 중에 방출되는 것이므로 상기와 같이 불규칙적으로 발생하는 풍력에너지를 흡수한 후 저장하여, 일정량의 산소가 지속적으로 갯벌(70)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산소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6은 전술한 실시예가 변형된 것으로, 풍력을 받는 블레이드(10)가 해상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블레이드(10)가 해상에 설치됨으로서 육상에서 별도의 부지마련을 위한 노력이 불필요하고, 보다 풍부하고 질좋은 풍력을 이용할 수 있다.
블레이드(10)가 해상에 설치되더라도 산소기체는 해저면에 설치되는 산소공급망(60)을 통해 갯벌(70)까지 안내되어 분출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산소발생기(40)가 압축공기탱크(30)의 후측에 설치되어 압축공기탱크(30)에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산소기체를 발생시키고 있으나, 산소발생기(40)가 압축공기탱크(30)의 전방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공기펌프(20)로부터 공급받는 압축공기가 산소발생기(40)를 먼저 통과하도록 한 후,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하는 소정압력의 산소기체를 압축공기탱크(30)가 저장하고, 저장된 산소기체가 설정압력이상이거나 또는 개폐밸브가 간헐적으로 개방되는 경우 산소공급망(60)을 통해 갯벌(70)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해상의 파력을 이용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를 도시하는 것이다.
도 7을 참고하면,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는 해수면 상에서 고정설치되는 고정시설물(100)과, 상기 고정시설물(100)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하측에서 유입된 해수가 파력에 의해 상승하는 동안 내부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실(120)과, 상기 공기압축실(12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40), 및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산소기체를 갯벌(70)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63)에 의해 상기 갯벌(70)에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6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산소발생기(40) 및 산소공급망(60)은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다만, 파력에 의해 압축공기를 생산하기 위한 고정시설물(100)과 공기압축실(120)의 구성에 차이가 있다.
상기 고정시설물(100)은 전체 구성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해저에 박히는 파일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물 또는 방파제 등에 고정된 고정구조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물이다.
상기 공기압축실(120)은 고정시설물(100)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고 해수면에서 뒤집힌 용기와 같이 덮인 상태에서 내부에 해수면이 형성되고 해수면의 상측에 포위된 공기가 위치한다.
공기압축실(120)의 상측에는 압축된 공기가 압축공기탱크(30)로 빠져나가기 위한 배출구(150)와, 배출구(150)에 체크밸브(51)가 설치되어 공기압축실(120)에서 압축공기탱크(30)로의 공기유동만을 허용한다.
또한, 공기압축실(120)에는 대기 중에서 공기가 유입되기 위한 공기유입구(130)가 형성된다. 공기유입구(130)에도 체크밸브(14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기압축실(120) 내로의 공기유동만 허용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공기압축실(120)에서는 파력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해수면 상측의 공기가 공기압축실(120) 내에서 압축되어 배출구(150) 및 체크밸브(51)를 통해 압축공기탱크(30)로 공급된다. 이후, 파력에 의해 해수면이 하강하면 체크밸브(140)와 공기유입구(130)를 통해 대기 중의 공기가 공기압축실(120)로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압축실(120)이 전술한 실시예의 블레이드(10)와 공기펌프(20)의 역할을 하고 있다.
파력을 이용하는 본 실시예의 경우, 풍력에 비해 발생하는 에너지의 편차가 크지 않으므로 갯벌(70)에 공급하는 산소의 양을 시간에 따라 균일하게 유지하기에 보다 유리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블레이드 13; 지구조물
14; 회전축 20; 공기펌프
21; 감속기 23; 연결관
30; 압축공기탱크 40; 산소발생기
51,140; 체크밸브 52; 압력조절밸브
60; 산소공급망 61; 이송관
62; 분기관 63; 분출공
64; 다공성재료 70; 갯벌
100; 고정시설물 120; 공기압축실
130; 공기유입구 150; 배출구

Claims (8)

  1. 지지구조물(13);
    상기 지지구조물(13)에 설치되어 풍력에 의해 회전축(14)을 회전시키는 블레이드(10);
    상기 회전축(14)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여 공급하는 공기펌프(20);
    상기 공기펌프(2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40); 및,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상기 산소기체를 갯벌(70)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63)에 의해 상기 갯벌(70)에 상기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6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펌프(20)와 상기 산소발생기(40) 사이에는 압축공기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30)에서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산소발생기(4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의 상기 회전축(14)과 상기 공기펌프(20) 사이에는, 감속기(21)가 설치되어 회전수가 감속된 회전력이 상기 공기펌프(20)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3. 해수면 상에서 고정설치되는 고정시설물(100);
    상기 고정시설물(100)에 고정되고 하부가 개방되어 하측에서 유입된 해수가 파력에 의해 상승하는 동안 내부공기를 압축하는 공기압축실(120);
    상기 공기압축실(120)로부터 공급된 압축공기가 통과하면서 질소가 분리된 산소기체를 발생시키는 산소발생기(40); 및,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발생기(40)에서 발생된 상기 산소기체를 갯벌(70)로 안내하고 다수개의 분출공(63)에 의해 상기 갯벌(70)에 상기 산소기체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망(60)을 포함하되,
    상기 공기압축실(120)과 상기 산소발생기(40) 사이에는 상기 공기압축실(120)로부터 압축공기를 공급받는 압축공기탱크(30)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공기탱크(30)에서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산소발생기(40)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30)에 저장된 압축공기의 압력이 사전에 설정된 유출설정치 이상일 경우에 상기 압축공기탱크(30)로부터 상기 산소발생기(40)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압력조절밸브(5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탱크(30)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상기 산소발생기(40)로 간헐적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압축공기탱크(30)와 상기 산소발생기(40) 사이에 간헐적인 개폐가 이루어지는 개폐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발생기(40)는 기체별 투과성의 차이를 이용하는 기체분리막 방식으로 질소와 산소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소공급망(60)은 그 표면을 다공성재료(64)가 둘러싼 상태로 갯벌에 매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KR1020130009721A 2013-01-29 2013-01-29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KR101503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21A KR101503709B1 (ko) 2013-01-29 2013-01-29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9721A KR101503709B1 (ko) 2013-01-29 2013-01-29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45A KR20140096745A (ko) 2014-08-06
KR101503709B1 true KR101503709B1 (ko) 2015-03-19

Family

ID=51744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9721A KR101503709B1 (ko) 2013-01-29 2013-01-29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370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1099A (ko) * 2001-03-03 2002-09-12 (주)에너펙텍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100353301B1 (ko) 2000-10-04 2002-09-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일체형 오염토양 복원시스템
KR20070010498A (ko) * 2005-07-19 2007-01-24 케미코아 주식회사 산소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998294B1 (ko) 2008-02-15 2010-12-06 최경태 갯벌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301B1 (ko) 2000-10-04 2002-09-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일체형 오염토양 복원시스템
KR20020071099A (ko) * 2001-03-03 2002-09-12 (주)에너펙텍 수소산소 혼합가스 발생장치
KR20070010498A (ko) * 2005-07-19 2007-01-24 케미코아 주식회사 산소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998294B1 (ko) 2008-02-15 2010-12-06 최경태 갯벌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745A (ko) 2014-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6721B1 (da) Fremgangsmode til akkumulering og udnyttelse af vedvarende energi
US4398095A (en) Wave activated power generation system
JP4947800B2 (ja) 発電装置および発電方法
CN103089533B (zh) 潮流能增压海水淡化及发电装置
JP4444279B2 (ja) 製造設備
KR20080059158A (ko) 파에너지 변환장치
JP2019524424A (ja) 海洋炭素の回収及び貯留方法並びに設備
US11566610B2 (en) Wave-powered generator
KR20140110464A (ko) 그린전기 및 그린물질의 생성, 공급, 이용에 관한 방법 및 장치
US20100059999A1 (en) Sea Floor Pump Tailrace Hydraulic Generation System
US10205323B2 (en) Hydroelectricity and compressed-air power converter system
KR101503709B1 (ko) 갯벌복원용 산소공급장치
US20130009401A1 (en) Offshore hydro power station
CN1865164A (zh) 自然增振式海水淡化井
JP2006320259A (ja) 自然エネルギー駆動環境改善装置、環境改善方法および養殖方法
KR20140110820A (ko) 부유형, 활공형 등의 그린재료 생성공급장치 및 이용한 수질, 공기질, 토양질의 정화처리
JP2017008820A (ja) 潮汐エネルギーを利用した低落差水車水力発電装置及び発電方法
CN115445391A (zh) 海洋碳捕获和储存的装置及方法
CN109368778A (zh) 一种ehbr生态浮岛
WO2008117284A1 (en) System for electrolysis under pressure
US20100147757A1 (en) Desalination system
KR20140110818A (ko) 그린재료를 이용한 수질, 공기, 토양, 지반, 매립지 등의 정화 및 안정화에 관한 장치 및 방법
JP2010159695A (ja) 波エネルギー利用装置および該波エネルギー利用装置を使用した波エネルギー利用プラント
KR101015205B1 (ko) 풍력, 조류, 해류 및 파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
RU2347939C2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орск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