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973B1 -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 Google Patents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973B1
KR101502973B1 KR1020130098480A KR20130098480A KR101502973B1 KR 101502973 B1 KR101502973 B1 KR 101502973B1 KR 1020130098480 A KR1020130098480 A KR 1020130098480A KR 20130098480 A KR20130098480 A KR 20130098480A KR 101502973 B1 KR101502973 B1 KR 101502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called terminal
terminal
codec information
code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4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1299A (ko
Inventor
이상호
최전일
오미나
조진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300984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97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2Arrangements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notification or paging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홈 위치 레지스터는 제 1 교환국으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제 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제 1 위치를 등록하는 위치 등록부, 제 2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코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 1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코덱 정보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HOME LOCATION REGISTER FOR TRANSMITTING CODEC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착신 단말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교환국에게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통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코덱 협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 각각에서 지원하는 코덱 정보를 비교하고, 두 개의 단말을 동시에 지원하는 코덱이 선택됨으로써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통화에 이용되는 코덱으로서, NB(Narrow Band)와 WB(Wide Band)를 예로들 수 있다. NB(Narrow Band)에서 제공되는 아날로그 음성 스펙트럼인 300 ~ 3400Hz 및 8kHz 샘플링 rate에 비해 WB(Wide Band)에서는 100 ~ 7000Hz의 아날로그 음성 스펙트럼 범위 및 16kHz 샘플링 rate을 가지기에 더 나은 음질이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WB를 이용하는 경우, 기존 NB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더욱 더 자연스럽고 이해하기 좋은 통화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착신 단말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교환국에게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는 제 1 교환국으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제 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제 1 위치를 등록하는 위치 등록부, 제 2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코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 1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코덱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2 측면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에 의해 실행되는 코덱 정보 전송 방법은 제 1 교환국으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제 1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제 2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3 측면에 따른 착신 단말에 대응하는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 홈 위치 레지스터에게 상기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위치 등록 요청부,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코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코덱을 적용하는 코덱 적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 4 측면에 따른 교환국에 의해 실행되는 코덱 적용 방법은 착신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홈 위치 레지스터에게 상기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코덱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홈 위치 레지스터는 교환국에게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 협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코덱 협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코덱 협상 과정의 프로토콜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이 이동한 상황에서의 코덱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홈 위치 레지스터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 1 교환국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가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교환국이 코덱 협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구성도 또는 처리 흐름도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덱 협상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코덱 협상 시스템은 홈 위치 레지스터(100), 제 1 교환국(201), 제 2 교환국(202),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코덱 협상 시스템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해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에 도시된 코덱 협상 시스템에 따르면, 착신 단말(300)은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 위치하였다가,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하였음이 도시되어 있다.
홈 위치 레지스터(HLR: Home Location Register) (100)는 이동통신 가입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위치 등록 장비로서, 교환국으로부터 특정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받고, 이에 대응하여 해당 단말의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나아가, 해당 단말의 위치를 등록함으로써, 해당 단말에 대해 등록된 이전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삭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제 2 교환국(202)으로부터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로 들어온 착신 단말(300)의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제 2 교환국(202)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추후, 착신 단말(300)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를 이탈하여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제 1 교환국(201)으로부터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들어온 착신 단말(300)의 위치 등록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제 1 교환국(201)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제 2 교환국(202)에 대해 종전에 등록되어있던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삭제할 수 있다.
제 1 교환국(MSC: Mobile Switching Center) (201) 및 제 2 교환국(202)를 포함하는 교환국은 각각의 커버리지를 갖고 있으며, 해당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을 요청 받고, 이를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착신 단말(300)로의 호 연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호 연결을 위해 착신 단말(300)에게 페이징을 요청할 수 있다.
착신 단말(300)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 위치해있는 동안, 제 2 교환국(202)이 발신 단말(400)에 대응하는 교환국(미도시)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교환국(202)은 발신 단말(400)을 자신의 커버리지에 포함하는 교환국으로부터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 내에 존재했던 착신 단말(300)에 대하여 페이징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기초하여 제 2 교환국(202)은 착신 단말(300)에게 페이징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2 교환국(202)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300)로부터 페이징 응답(paging response)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착신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페이징 응답에는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나아가, 이 경우 제 2 교환국(202)은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 간의 호를 연결하기 위해 양 단말의 코덱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즉, 착신 단말(300)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과 발신 단말(400)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을 비교하여, 동일한 코덱을 선택(소위, '코덱 협상' 또는 '코덱 네고')함으로써,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 간의 통화가 원활히 이루어지게끔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교환국(202)은 착신 단말(300), 발신 단말(400) 및 발신 단말(400)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고 있는 교환국 각각의 코덱을 동일하게 맞출 수 있다.
착신 단말(300)이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이후, 제 1 교환국(201)에서 발신 단말(400)에 대응하는 교환국으로부터 호 연결 요청을 받는 경우, 제 1 교환국(201)은 제 2 교환국(202)과 마찬가지로 페이징 요청 및 코덱 협상을 수행할 수 있다.
착신 단말(300)은 발신 단말(400)로부터 호 연결을 요청 받는 단말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 내에서 임의의 단말과 호를 연결하고 이 후,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 내로 이동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에 따르면, 착신 단말(300)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 있을 때와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에 있을 때, 모두 발신 단말(400)과 호를 연결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착신 단말(300)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 있을 때 호가 연결되는 단말과 착신 단말(300)이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에 있을 때 호가 연결되는 단말을 서로 다른 단말일 수 있다.
발신 단말(400)의 사용자는 착신 단말(300)의 사용자와의 통화를 위해, 발신 단말(400)을 이용하여 착신 단말(300)에게 통화 요청을 할 수 있고, 이는 발신 단말(400)과 착신 단말(300) 각각을 커버리지 내에 포함하는 교환국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은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바일 단말을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은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에 접속할 수 있는 TV 장치, 컴퓨터 또는 휴대용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TV 장치의 일 예에는 스마트 TV, IPTV 셋톱박스 등이 포함되고, 컴퓨터의 일 예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이 포함되고, 휴대용 단말의 일 예에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코덱 협상 시스템에 포함된 홈 위치 레지스터(100), 제 1 교환국(201), 제 2 교환국(202),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 각각은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해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이 때, 네트워크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network)의 일 예에는 인터넷(Internet),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3G, LTE(Long Term Evolution), WiFi(Wireless Fidelity),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Gig(Wireless Gigabit)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 제 1 교환국(201), 제 2 교환국(202),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간 3G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반적인 상황에서의 코덱 협상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도면은 착신 교환국(203), 발신 교환국(204),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300)은 착신 교환국(203)의 커버리지에 속해있고, 발신 단말(400)은 발신 교환국(204)의 커버리지에 속해있는 것으로 가정하겠다.
발신 단말(400)은 착신 단말(300)에 대한 호 연결을 발신 교환국(204)에게 요청(발신 요청)할 수 있고, 발신 요청에는 착신 단말(300)의 식별 번호 및 발신 단말(400)이 지원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코덱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지원 코덱 정보는 AMR-NB(Narrow Band) 및 AMR-WB(Wide Band)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후, 발신 교환국(204)은 착신 교환국(203)에게 발신 단말(400)의 발신 요청과 함께 발신 단말(400)의 지원 코덱 리스트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발신 교환국(204)은 홈 위치 레지스터(미도시)에 등록된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이용하여 착신 교환국(203)을 특정할 수 있다.
착신 교환국(203)은 발신 교환국(204)으로부터 수신된 발신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 착신 단말(300)에게 착신 요청(페이징)을 할 수 있고, 착신 단말(300)은 페이징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교환국(203)은 착신 단말(300)로부터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받기 전이라도 발신 교환국(204)으로부터 수신된 발신 단말(400)의 지원 코덱 리스트와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리스트를 이용하여 코덱 협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착신 교환국(203)은 코덱 협상을 위해 선택된 코덱 정보를 발신 교환국(204)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만, 착신 교환국(203)이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리스트를 모르는 경우는, 착신 교환국(203)은 착신 단말(300)에서 AMR-WB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를 대비하여, 안전하게 AMR-NB로 코덱 협상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 단말(300)은 착신 교환국(203)에게 페이징에 대한 응답시에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고, 전송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는 착신 교환국(203)에 포함된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VLR: 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될 수 있다.
종합하면, 착신 단말(300)이 착신 교환국(203)의 커버리지 내에서 처음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 착신 단말(300)이 AMR-WB를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착신 교환국(203)은 AMR-NB로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간 코덱 협상을 진행하고, 이후 통화부터 AMR-WB로 코덱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코덱 협상 과정의 프로토콜 순서도로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 착신 교환국(203), 발신 교환국(204), 착신 단말(300) 및 발신 단말(400) 간의 코덱 협상 과정 및 호 연결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식별 번호 2번 내지 5번은, 발신 교환국(204)이 홈 위치 레지스터(100)를 통해 착신 교환국(203)을 특정하는 과정일 수 있다. 식별 번호 6번을 참조하면, 발신 교환국(204)에서 착신 교환국(203)으로 전송하는 IAM(Initial Address Message)는 발신 단말(400)의 코덱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번호 13번을 참조하면, 착신 교환국에서 발신 교환국으로 전송하는 APM(Application Transport Mechanism) 메시지는 코덱 협상 결과로서 선택된 코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착신 단말(300)이 이동한 상황에서의 코덱 정보 전송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도면은 홈 위치 레지스터(100), 제 1 교환국(201), 제 2 교환국(202) 및 착신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300)은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로부터 제 1 교환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를 가정하겠다.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서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착신 단말(300)은 제 1 교환국(201)에게 위치 등록 요청을 할 수 있다. 착신 단말(30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한 제 1 교환국(201)은 이를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종래 제 2 교환국(202)에 대해 등록된 착신 단말(300)의 위치에 대한 해제 요청을 제 2 교환국(202)에 전송할 수 있다. 제 2 교환국(202)은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착신 단말(300)이 위치하지 않음을 인지하고,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해제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는 종래 제 2 교환국(202)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되어있던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프로파일을 제 1 교환국(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 1 교환국(201)은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제 1 교환국(201)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고, 가입자 프로파일 전송에 대한 확인 메시지를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착신 단말(300)의 제 1 교환국(201)에 대한 위치 등록 결과를 제 1 교환국(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의 홈 위치 레지스터(100)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홈 위치 레지스터(100)의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110), 위치 등록부(120), 위치 삭제부(130), 코덱 정보 요청부(140), 코덱 정보 수신부(150), 코덱 정보 전송부(160) 및 DB(1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다.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110)는 제 1 교환국(201)으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위치 등록부(120)는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제 1 교환국(201)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 경우, 착신 단말(300)의 위치는 제 1 교환국(201)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등록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 삭제부(130)는 착신 단말(300)에 대한 현재 위치 등록을 위해 최근에 등록된 위치를 삭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신 단말(300)이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로부터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경우, 위치 삭제부(130)는 제 2 교환국(202)에 대해 기등록된 착신 단말(300)의 위치를 삭제할 수 있다.
코덱 정보 요청부(140)는 제 2 교환국(202)에게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교환국(202)에 대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의 요청은 제 1 교환국(201)으로부터 수신된 코덱 정보 요청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코덱 정보 수신부(150)는 제 2 교환국(202)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덱 정보 수신부(150)는 제 2 교환국(202)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코덱 정보 전송부(160)는 제 1 교환국(201)에게 코덱 정보 수신부(150)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DB(19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19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홈 위치 레지스터(100)와 홈 위치 레지스터(100)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190)는 위치 등록부(120)에서 등록된 착신 단말(300)의 제 1 교환국(201)에 대한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DB(190)는 코덱 정보 수신부(140)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190)의 일 예에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110), 위치 등록부(120), 위치 삭제부(130), 코덱 정보 요청부(140), 코덱 정보 수신부(150), 코덱 정보 전송부(16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의 제 1 교환국(201)의 동작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제 1 교환국(201)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1 교환국(201)은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210), 위치 등록 요청부(220), 위치 등록 결과 수신부(230), 코덱 정보 수신부(240), 코덱 적용부(250), 페이징 요청부(260), 페이징 응답 수신부(270) 및 DB(29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제 1 교환국(201)은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 예에 불과하며, 도 6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을 기초로 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 1 교환국(201)은 이용자로부터 어떤 명령 내지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저 인터페이스는 일반적으로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 장치가 될 수도 있으나, 영상 표시 장치에 표현되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 Graphical User interface)가 될 수도 있음은 앞서 도 5에서 살펴본 바와 같다.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210)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착신 단말(300)에 대한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고, 위치 등록 요청부(220)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210)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에 대한 위치 등록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나아가, 위치 등록 결과 수신부(230)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제 1 교환국(201)에 대한 위치 등록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코덱 정보 수신부(240)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이 때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는 제 1 교환국(201)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코덱 정보 수신부(240)는 착신 단말(300)의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제 2 교환국(202)으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코덱 정보 수신부(240)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의 요청에 기초하여 홈 위치 레지스터(100)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제 1 교환국(201)은 판단부(미도시) 및 코덱 정보 요청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판단부에서 제 1 교환국(201)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가 없다고 판단한 경우, 판단부는 코덱 정보 요청부로 하여금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요청하게 할 수 있다.
코덱 적용부(250)는 코덱 정보 수신부(240)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간 호 연결을 위한 코덱을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덱 적용부(250)는 발신 단말(400)에서 지원하는 코덱 정보와 착신 단말(300)에서 지원하는 코덱 정보를 비교하고, 적절한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때, 코덱 적용부(250)는 가장 성능이 뛰어난 코덱을 선택하는 것을 아니고,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하여 적절한 코덱을 선택할 수 있다.
페이징 요청부(260)는 발신 단말(400)로부터 수신된 페이징을 요청(발신 요청)을 착신 단말(300)에게 전송할 수 있고, 페이징 응답 수신부(270)는 착신 단말(300)로부터 해당 페이징 요청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DB(29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DB(290)에 저장되는 데이터는 제 1 교환국(201) 내부의 각 구성요소들 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하고, 제 1 교환국(201)과 제 1 교환국(201) 외부의 구성요소들간에 입력 및 출력되는 데이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DB(290)는 코덱 정보 수신부(240)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DB(290)의 일 예에는 홈 위치 레지스터(100)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하드디스크드라이브,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메모리 및 메모리카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210), 위치 등록 요청부(220), 위치 등록 결과 수신부(230), 코덱 정보 수신부(240), 코덱 적용부(250), 페이징 요청부(260), 페이징 응답 수신부(270) 및 DB(190) 각각이 분리되어 구현되거나, 이 중 하나 이상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음을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100)가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6의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홈 위치 레지스터(100)가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701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제 1 교환국(201)으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703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단계 S701에서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에 기초하여, 제 1 교환국(201)에 대하여 착신 단말(300)의 제 1 위치를 등록할 수 있다.
단계 S705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제 2 교환국(202)으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는 제 2 교환국(202)에 대하여 기등록된 착신 단말(300)의 제 2 위치를 삭제하기 위한 과정에서 제 2 교환국(202)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 S707에서 홈 위치 레지스터(100)는 단계 S705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제 1 교환국(201)에게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701 내지 S7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일부 단계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교환국(201)이 코덱 협상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코덱 협상을 수행하는 방법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1 교환국(201)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을 포함한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도 1 내지 도 7의 제 1 교환국(201)에 관하여 기술된 내용은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제 1 교환국(201)이 코덱 협상을 수행하는 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단계 S801에서 제 1 교환국(201)은 착신 단말(300)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 때의 착신 단말(300)은 제 2 교환국(202)의 커버리지에 위치해있다가 제 1 교환국(201)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것일 수 있다.
단계 S803에서 제 1 교환국(201)은 단계 S801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위치 등록 요청을 홈 위치 레지스터(1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단계 S805에서 제 1 교환국(201)은 홈 위치 레지스터(100)로부터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제 1 교환국(201)의 방문자 위치 레지스터에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807에서 제 1 교환국(201)은 단계 S805에서 수신된 착신 단말(300)의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착신 단말(300)과 발신 단말(400)간 적절한 코덱을 적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801 내지 S807은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나아가, 일부 단계는 동시에 실행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기설정된 시간마다 주기적으로 반복될 수 있고, 유저 입력에 기초하여 다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미지 추천 장치
200: 사용자 단말
300: 사전 DB
400: 이미지 DB
500: 포털 DB

Claims (14)

  1. 홈 위치 레지스터에 있어서,
    제 1 교환국으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
    상기 제 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제 1 위치를 등록하는 위치 등록부;
    제 2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코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제 1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코덱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제 2 교환국의 커버리지로부터 상기 제 1 교환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교환국에 대해 기등록된 상기 착신 단말의 제 2 위치를 삭제하는 위치 삭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는 AMR-NB 코덱 또는 AMR-WB 코덱을 포함하는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된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는 상기 제 1 교환국에서 발신 단말과 상기 착신 단말간 코덱 협상에 이용되는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요청하는 코덱 정보 요청부를 더 포함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은 3G 데이터 망을 이용하는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가 변경된 이후의 지점에 대응하고, 상기 제 2 교환국은 상기 착신 단말의 위치가 변경되기 이전의 지점에 대응하는 것인, 홈 위치 레지스터.
  8. 홈 위치 레지스터에 의해 실행되는 코덱 정보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 1 교환국으로부터 착신 단말의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교환국에 대하여 상기 착신 단말의 제 1 위치를 등록하는 단계;
    제 2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은 상기 제 2 교환국의 커버리지로부터 상기 제 1 교환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것인, 코덱 정보 전송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교환국에게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코덱 정보 전송 방법.
  10. 착신 단말에 대응하는 교환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위치 등록 요청 수신부;
    홈 위치 레지스터에게 상기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위치 등록 요청부;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코덱 정보 수신부; 및
    상기 수신된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코덱을 적용시키는 코덱 적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은 기존의 위치를 등록했던 기존 교환국의 커버리지로부터 상기 교환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것인, 교환국.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착신 단말에게 페이징을 요청하는 페이징 요청부; 및
    상기 착신 단말로부터 상기 요청된 페이징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는 페이징 응답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교환국.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에 대한 위치 등록 결과를 수신하는 위치 등록 결과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교환국.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덱 정보 수신부는 상기 착신 단말의 이전 위치에 대응하는 교환국으로부터 상기 발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것인, 교환국.
  14. 교환국에 의해 실행되는 코덱 적용 방법에 있어서,
    착신 단말로부터 위치 등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홈 위치 레지스터에게 상기 수신된 위치 등록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홈 위치 레지스터로부터 상기 착신 단말의 지원 코덱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지원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착신 단말과 발신 단말간 코덱을 적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착신 단말은 기존의 위치를 등록했던 기존 교환국의 커버리지로부터 상기 교환국의 커버리지로 이동한 것인, 코덱 적용 방법.
KR1020130098480A 2013-08-20 2013-08-20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KR10150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480A KR101502973B1 (ko) 2013-08-20 2013-08-20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480A KR101502973B1 (ko) 2013-08-20 2013-08-20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99A KR20150021299A (ko) 2015-03-02
KR101502973B1 true KR101502973B1 (ko) 2015-03-16

Family

ID=53019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480A KR101502973B1 (ko) 2013-08-20 2013-08-20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9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800A (ko) * 2005-03-1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단말 능력 정보의 사전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00002849A1 (en) 2008-07-03 201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alizing a multimedia call
KR20100053714A (ko) * 2008-10-31 2010-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단말기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US20110051691A1 (en) * 2008-05-02 2011-03-03 Nokia Corporation Circuit switched domain codec list for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0800A (ko) * 2005-03-18 2006-09-21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에서 단말 능력 정보의 사전 획득 방법 및 장치
US20110051691A1 (en) * 2008-05-02 2011-03-03 Nokia Corporation Circuit switched domain codec list for single radio voice call continuity
US20100002849A1 (en) 2008-07-03 2010-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alizing a multimedia call
KR20100053714A (ko) * 2008-10-31 2010-05-2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단말기의 히스토리 정보 관리 및 활용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cpns 서버, 이동통신 단말기 및 종단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1299A (ko) 201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6363B2 (en) Facilitation of mobility management across various radio technologies
US10321366B2 (en) Facilitation of wireless network session continuity
KR20200010447A (ko) 구성 가능한 빔 장애 이벤트 설계
EP3128804B1 (en) D2d communicatio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KR20160041444A (ko) 이종망 동시전송 환경에서 서버 푸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송 경로 제어 방법 및 장치
US1000943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lawful interception through a subscription manager
KR20150110103A (ko) 전송 경로 최적화를 위한 컨텐츠 서버 간 핸드오버 방법 및 장치
CN103415084A (zh) 移动终端上网方法和移动终端
US10069738B2 (en) One cellular radio to support multiple phone lines and data at a location
US8755784B2 (en) Detecting subscriber input via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initiating network provisioning of such device
US10827537B2 (en) Network core software defined networking enabled onboarding of micro services for an advanced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CN103686906A (zh) 网络切换方法、终端设备和网关设备
KR20130070947A (ko) 단말의 음성인식을 제어하는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EP2842356B1 (en) Updating subscription information
KR101502973B1 (ko) 코덱 정보를 전송하는 홈 위치 레지스터 및 방법
KR101511305B1 (ko) 코덱 협상을 수행하는 교환국 및 방법
KR101546387B1 (ko) 단말들간의 콘텐츠 공유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콘텐츠 공유 서버 및 방법, 그리고 단말
US8761140B2 (en) Method of handling ownership transfer and related communication
KR102356404B1 (ko)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디어 재생 장치, 사용자 단말 및 통화 연결 서버
JP6898308B2 (ja) 通信制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US9992255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application-specific congestion control for data communication (ACDC), and storage medium thereof
US20230222725A1 (en) Random access of scene description in iso base media file format (isobmff) files
US10187780B2 (en) Facilitation of mobile technology microcellular service
KR20170074433A (ko) Ptt 그룹 통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KR20150029824A (ko) 링백 모드를 이용한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