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726B1 -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 Google Patents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726B1
KR101502726B1 KR1020140051798A KR20140051798A KR101502726B1 KR 101502726 B1 KR101502726 B1 KR 101502726B1 KR 1020140051798 A KR1020140051798 A KR 1020140051798A KR 20140051798 A KR20140051798 A KR 20140051798A KR 101502726 B1 KR101502726 B1 KR 101502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sensor magnet
motor
roto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1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0870A (ko
Inventor
장정철
이지민
양경식
Original Assignee
뉴모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모텍(주) filed Critical 뉴모텍(주)
Priority to KR1020140051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726B1/ko
Publication of KR20140120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0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726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스크류 홈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에 결합되는 스크류 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Motor with Simple Assembling Sensor Magne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센서 마그넷의 조립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면서 회전 특성이 향상된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러쉬리스 모터(brushless motor)에는 정류자가 없고 로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드럼 세탁기 등에 사용하는 DD(direct drive) 모터의 경우 회전하는 로터에 포함되어 있는 로터 마그넷에서 발생하는 회전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회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103989호에는 상술한 회전 자기장을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가 센서 커버의 형태로 스테이터에 고정 설치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소형 세탁기에 적용되는 모터의 경우, 홀 센서를 로터의 주위에 설치할 장소가 마땅치가 않다.
따라서, 대한민국특허 제10-1103925호에서는 로터와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의 말단에 센서 마그넷을 설치하여, 이 센서 마그넷의 회전 자기장을 통해 로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는 구조의 모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특허에서 제시된 센서 마그넷의 결합 구조는 샤프트의 말단 형상을 다소 복잡하게 가공하여야 하고, 나아가 센서 마그넷의 중심부에 사각형 홀을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가공 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우며, 이는 제조 비용의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결합 구조가 간단하고 회전 특성이 우수한 새로운 구조의 센서 마그넷을 적용한 모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립이 용이한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 특성이 우수한 모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내재되어 있는 목적들은 아래 설명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용이하게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스크류 홈을 갖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에 결합되는 스크류 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걸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절단되어 있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스크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샤프트 방향으로 돌출되고 내부에 다각형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다각형 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다각형 돌기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있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형성된 돌기부에 결합되고,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된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센서 마그넷의 구멍에는 접착재가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 마그넷의 주위를 감싸는 몰드부를 더 포함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주면을 따라 스크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에 결합되는 스크류 탭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주의 일부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걸림부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이 절단되어 있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의 중앙부에는 볼트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볼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0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는 몰드부를 갖는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의 중앙부에는 스크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나사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몰드부의 외주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센서 마그넷이 노출되어도 좋다.
본 발명은 조립이 용이한 센서 마그넷을 가지면서도 회전 특성이 우수한 모터를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단하여 바라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단하여 바라본 절단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는 샤프트(130),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고 센서 마그넷(120)를 포함하는 몰드부(110) 및 샤프트(130)의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로터(140)를 포함한다.
물론 본 발명의 모터(100)는 로터(140)의 주위에 설치되고 코일이 권선되어 있는 스테이터(도시되지 않음)와 모터 하우징(도시되지 않음) 등을 더 포함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는 스테이터나 모터 하우징 등에 대한 사항은 생략하고 설명한다.
로터(140)는 내부에 복수 개의 로터 마그넷(145)를 포함하고 있으며, 로터(140)는 스테이터(도시되지 않음)에서 발생하는 자속의 영향을 받아 회전한다. 로터(140)의 회전에 의하여 로터(140)에 결합되어 있는 샤프트(130)가 회전한다.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는 센서 마그넷(120)을 포함하는 몰드부(11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130)의 다른 한 쪽 끝에는 부하(도시되지 않음)가 결합된다. 부하는 세탁기의 경우 세탁조가 될 수 있으며, 또는 그 밖에 회전이 필요한 장치가 될 수 있다.
센서 마그넷(120)은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어 샤프트와 함께 회전한다.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홀 센서(hall sensor)는 로터 마그넷(145)과 매우 가까운 부위에 설치가 되는데, 본 발명의 모터는 구조적인 이유에 의해서 로터 마그넷과 가까운 위치에 홀 센서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에 샤프트(130)의 말단에 센서 마그넷(120)을 설치하여 로터(140)와 같은 속도로 회전하도록 한 다음, 센서 마그넷(120)과 가까운 위치에 홀 센서를 설치하여 모터의 회전 속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센서 마그넷(120)을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센서 마그넷(120)은 몰드부(1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즉, 몰드부(110)는 센서 마그넷(120)을 포함하고 있으며, 몰드부(110)는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한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 몰드부(110)는 센서 마그넷(1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다음, 사출 성형을 통해 제작한다.
몰드부(1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1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111)를 통해 센서 마그넷(1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1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 마그넷(120)이 개방부(111)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홀 센서가 자속을 검출할 때 검출 효율이 높아 질 수 있으며, 몰드부(110)를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 결합할 때 미끄러지지 않은 손잡이 역할도 할 수 있다.
개방부(111)는 센서 마그넷(120)을 인서트 사출할 때, 금형에서 센서 마그넷(120)을 고정시키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핀을 센서 마그넷(120)의 주위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을 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몰드부(110)의 샤프트 방향 쪽에는 샤프트(130)의 한 쪽 끝을 감싸는 형상의 돌출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112)의 내측면에는 스크류 홈(113)이 형성되어 있어, 샤프트(130)의 한 쪽 끝에 형성되어 있는 스크류 탭(135)과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스크류 탭(135)은 수나사 형상을 가지며, 스크류 홈(113)은 암사나 형상을 갖는다. 이와 같이, 센서 마그넷(120)을 포함하고 있는 몰드부(110)는 샤프트(130)의 말단에 손으로 간편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는 몰드부(210), 센서 마그넷(220), 샤프트(230) 및 로터 마그넷(245)를 갖는 로터(240)를 포함한다.
센서 마그넷(220)은 샤프트(2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하여 몰드부(210)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 몰드부(2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2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2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2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211)를 통해 센서 마그넷(2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2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부(210)의 샤프트 쪽 방향에, 샤프트(230)의 끝 부분을 감싸는 부분인 돌출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212)의 안쪽에는 걸림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213)의 형상은 샤프트(230)의 끝 부분에 형성된 절단부(231)의 형상과 대응된다. 즉, 절단부(231)는 샤프트(230)의 끝 부분이 돌출부(212)에 삽입되면, 걸림부(213)에 꼭 맞게 결합된다. 따라서, 샤프트(230)가 회전할 때, 센서 마그넷(220)이 헛도는 것을 방지한다.
몰드부(210)가 샤프트(230)의 끝 부분에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돌출부(212)에 샤프트(230) 끝 부분이 결합될 때, 서로 맞닿는 부분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센서 마그넷(220)이 포함된 몰드부(210)가 샤프트(230)에 고정되도록 한다. 접착재는 UV 경화성, 열경화성, 퍼티(putty) 형태 등 다양한 접착재를 적용할 수 있다. 접착재를 사용하는 것과 병행하여 또는 별개로, 몰드부(210)의 중앙부에 구멍(214)을 형성하고, 샤프트(230)의 끝 부분의 중앙에도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여, 볼트(도시되지 않음)를 구멍(214)에 체결함으로써 몰드부(210)를 샤프트(230)에 결합시켜도 좋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3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모터(300)는 몰드부(310), 센서 마그넷(320), 샤프트(330) 및 로터 마그넷(345)를 갖는 로터(3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 마그넷(320)은 샤프트(3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하여 몰드부(310)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 몰드부(3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3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3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3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311)를 통해 센서 마그넷(3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3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부(310)의 샤프트 쪽 방향에, 샤프트(330)의 끝 부분을 감싸는 부분인 돌출부(3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312)의 안쪽, 그리고 몰드부(310)의 중앙부에는 볼트(315)가 결합되어 있다. 이 볼트(315)는 센서 마그넷(320)과 함께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한 상태에서 몰드부(310)가 형성됨으로써, 몰드부(3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된다.
볼트(315)는 샤프트(330) 한 쪽 끝부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나사홈(335)에 결합된다. 볼트(315)에는 수나사 형상이, 나사홈(335)에는 암나사 형상이 형성되어 있어 이들이 나사 결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반드시 나사 결합을 이룰 필요는 없다. 즉, 볼트(315)나 나사홈(335)에 굳이 수나사, 암나사 형상을 형성하지 않고 단순 결합을 이루면서 접착재를 사용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 볼트(315)의 결합에 의하여 센서 마그넷(320)은 샤프트(330) 말단에 결합된다. 이 볼트(315) 결합에 더하여, 접착재를 사용함으로써 센서 마그넷(320)이 포함된 몰드부(310)가 샤프트(330)에 더 강하게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4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모터(400)는 몰드부(410), 센서 마그넷(420), 샤프트(430) 및 로터 마그넷(445)를 갖는 로터(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 마그넷(420)은 샤프트(4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하여 몰드부(410)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 몰드부(4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4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4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4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411)를 통해 센서 마그넷(4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4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부(410)의 샤프트 쪽 방향에, 샤프트(430)의 끝 부분을 감싸는 부분인 돌출부(4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2)의 안쪽, 그리고 몰드부(410)의 중앙부에는 스크류 홈(4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류 홈(413)은 내측에 암나사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데, 몰드부(410)를 형성할 때 인서트 사출에 의해 스크류 홈(413)의 형상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는, 스크류 홈(413)은 별도의 너트를 센서 마그넷(420)과 함께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한 상태에서 몰드부(410)와 함께 형성함으로써, 몰드부(410)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하여도 좋다.
스크류 홈(413)은 샤프트(430) 한 쪽 끝부분의 중앙부에 돌출되면서 형성되어 있는 수나사 형태의 나사부(435)에 결합된다. 이 나사부(435)가 스크류 홈(413)에 결합함으로써 센서 마그넷(420)은 샤프트(430) 말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센서 마그넷(4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돌출부(412) 내측 부분의 샤프트(430) 끝 부분과 서로 맞닿는 부분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센서 마그넷(420)이 포함된 몰드부(410)가 샤프트(430)에 더 강하게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접착재는 UV 경화성, 열경화성, 퍼티(putty) 형태 등 다양한 접착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5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모터(500)는 몰드부(510), 센서 마그넷(520), 샤프트(530) 및 로터 마그넷(545)를 갖는 로터(5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 마그넷(520)은 샤프트(5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하여 몰드부(510)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 몰드부(5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5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5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5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511)를 통해 센서 마그넷(5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5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몰드부(510)의 샤프트 쪽 방향에, 샤프트(530)의 끝 부분을 감싸는 부분인 돌출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512)의 안쪽, 그리고 몰드부(510)의 중앙부에는 다각형 홈(513)이 형성되어 있다. 이 다각형 홈(513)은 도 6에서는 사각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사각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3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 형태로 적용할 수 있다. 이 다각형 홈(513)은 몰드부(510)와 일체로 수지 몰딩에 의해 제조하여도 좋고, 아니면 몰드부(510) 내측에 다각형 구멍을 갖는 금속 부재를, 몰드부(510)를 형성할 때 인서트 사출에 의해 함께 형성하여도 좋다.
다각형 홈(513)은 샤프트(530) 한 쪽 끝부분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돌기부(535)와 결합된다. 이 다각형 돌기부(535)가 다각형 홈(513)에 결합함으로써 센서 마그넷(520)은 샤프트(530) 말단에 결합되는 것이다. 센서 마그넷(520)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하기 위하여, 돌출부(512) 내측 부분의 샤프트(530) 끝 부분과 서로 맞닿는 부분과 다각형 돌기부(535)와 다각형 홈(513)이 접촉하는 부분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센서 마그넷(520)이 포함된 몰드부(510)가 샤프트(530)에 더 강하게 고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접착재는 UV 경화성, 열경화성, 퍼티(putty) 형태 등 다양한 접착재를 적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6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600)에서 센서 마그넷(620)에 몰드부(610)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먼저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모터(600)는 센서 마그넷(620), 샤프트(630) 및 로터 마그넷(645)를 갖는 로터(6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센서 마그넷(620)의 중앙부에는 구멍(625)이 형성되어 있으며, 샤프트(630)의 한 쪽 끝에는 구멍(625)에 삽입되는 돌기부(635)가 돌출되면서 형성되어 있다. 돌기부(635)에 센서 마그넷(620)의 구멍(625)이 삽입될 때, 접착재를 사용하여 센서 마그넷(620)을 샤프트(630)의 한 쪽 끝에 고정시킨다. 접착재는 UV 경화성, 열경화성, 퍼티(putty) 형태 등 다양한 접착재를 적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즉, 센서 마그넷(620)이 샤프트(630)의 돌기부(635)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이들을 위치시킨 다음, 사출 성형에 의해 도 8과 같이 몰드부(610)를 형성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몰드부(6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620)이 샤프트(630)에 결합된 상태로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6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6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611)를 통해 센서 마그넷(6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6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700)의 일부를 분해하여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700)는 몰드부(710), 센서 마그넷(720), 샤프트(730) 및 로터 마그넷(745)를 갖는 로터(740)를 포함한다.
센서 마그넷(720)은 샤프트(730)의 한 쪽 끝에 결합되기 위하여 몰드부(710)에 의하여 감싸여져 있다. 몰드부(710)는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 마그넷(720)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몰드부(710)의 외주면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2 개 이상의 개방부(711)가 형성되는데, 이 개방부(711)를 통해 센서 마그넷(720)이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노출된다. 개방부(711)는 축방향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730)의 센서 마그넷(720)이 결합되는 쪽의 끝 부분에는 스크류 탭(735)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스크류 탭(735)는 수나사의 형상을 가진다. 이 스크류 탭(735)은 몰드부(710) 안쪽에 형성되어 있는 내부 공간부(722)에 위치하며, 내부 공간부(722)의 주위에는 스크류 탭(735)에 대응하는 스크류 홈(72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스크류 홈(723)은 바람직하게 암나사의 형상을 갖는다. 한편, 스크류 홈(723)과 스크류 탭(735)은 아무 형상 없는 평탄한 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 때, 스크류 홈(723)과 스크류 탭(735)은 접착재에 의하여 고정이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모터(100)의 경우, 몰드부(110)의 돌출부(112) 내측에 스크류 홈(113)이 형성되어 있지만, 제7 실시예에 따른 모터(700)의 경우, 스크류 홈(723)은 몰드부(710)의 안 쪽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7 실시예의 경우 몰드부(710)에 샤프트(730) 쪽으로 돌출되는 부분이 없고, 반대로 몰드부(710) 안쪽으로 패인 형상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센서 마그넷을 감싸는 몰드부의 샤프트 쪽 돌출부를 생략하는 형태는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돌출부를 생략한 형태가 제8 내지 제11 실시예에 대응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아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이 범위 내에서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600, 700: 모터
110, 210, 310, 410, 510, 610, 710: 몰드부
111, 211, 311, 411, 511, 611, 711: 개방부
112, 212, 312, 412, 512: 돌출부
113, 413, 723: 스크류 홈
120, 220, 320, 420, 520, 620, 720: 센서 마그넷
130, 230, 330, 430, 530, 630, 730: 샤프트
135, 735: 스크류 탭
140, 240, 340, 440, 540, 640, 740: 로터
145, 245, 345, 445, 545, 645, 745: 로터 마그넷
213: 걸림부 231: 절단부
315: 볼트 335: 나사홈
435: 나사부
513: 다각형 홈 535: 다각형 돌기부
625: 구멍 635: 돌기부
722: 내부 공간부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상기 로터의 주위에 설치되는 스테이터를 갖는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 결합되고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몰드부를 갖는 링 형상의 센서 마그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드부에는 상기 몰드부의 내부쪽으로 형성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내부 공간부의 내주면을 따라 스크류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에는 상기 스크류 홈에 결합되는 스크류 탭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스크류 탭이 상기 스크류 홈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상기 센서 마그넷과 상기 샤프트가 결합되고,
    상기 몰드부의 외주부에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개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센서 마그넷이 노출되며,
    상기 몰드부는 상기 개방부를 제외한 상기 센서 마그넷의 표면을 모두 덮으며,
    상기 샤프트의 한 쪽 끝 부분의 중앙부에는 나사홈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40051798A 2014-04-29 2014-04-29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KR101502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98A KR101502726B1 (ko) 2014-04-29 2014-04-29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1798A KR101502726B1 (ko) 2014-04-29 2014-04-29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199A Division KR101604889B1 (ko) 2013-04-01 2013-04-01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9398A Division KR101933992B1 (ko) 2015-01-20 2015-01-20 조립이 용이하고 회전 특성이 우수한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70A KR20140120870A (ko) 2014-10-14
KR101502726B1 true KR101502726B1 (ko) 2015-03-16

Family

ID=51992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1798A KR101502726B1 (ko) 2014-04-29 2014-04-29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7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6103A1 (de) * 2015-04-02 2016-10-20 Bühler Motor GmbH Magnetgeber
DE102015206108A1 (de) 2015-04-02 2016-10-20 Bühler Motor GmbH Magnetgebermittel
FR3063848B1 (fr) * 2017-03-13 2022-12-30 Valeo Systemes De Controle Moteur Compresseur de suralimentation electriqu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562A (ja) * 2010-05-17 2011-12-01 Mitsuba Corp 減速機付きモータ
JP2013007731A (ja) * 2011-05-20 2013-01-10 Asmo Co Ltd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44562A (ja) * 2010-05-17 2011-12-01 Mitsuba Corp 減速機付きモータ
JP2013007731A (ja) * 2011-05-20 2013-01-10 Asmo Co Ltd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用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0870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889B1 (ko)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KR101933992B1 (ko) 조립이 용이하고 회전 특성이 우수한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US10574098B2 (en) Stator, motor comprising the sam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05229721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用モータ
KR101502726B1 (ko) 센서 마그넷을 갖는 모터
TWI605668B (zh) Brushless motor sensing substrate mounting method and mounting structure
JP5803567B2 (ja) ステータ固定構造
JP5862615B2 (ja) レゾルバステータおよびその固定構造
JP5741127B2 (ja) モールドモーター
KR100490964B1 (ko) 회전 검출기용 스테이터 구조
US8766502B2 (en) Rotor having shaft slip inhibition structure and motor having the same
JP2008035603A (ja) 回転電機
US7667187B2 (en) Hollow-shaft encoder with motor-shaft protective cap
KR20140003677A (ko) 모터
KR102176977B1 (ko) 전식 방지 구조를 갖는 비엘디씨 모터
JP5087443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5015873A (ja) 回転電気機械及び鞍乗型車両
JP2008245414A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2017067046A (ja) 送風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5912771B2 (ja) レゾルバ
JP2019022430A5 (ko)
JP2011103712A (ja) 回転電機
JP6476986B2 (ja) センサ付きケーブル
JP2017103901A (ja) 回転電機のロータ
KR102587578B1 (ko) 스테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