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695B1 - 미용가위 피봇나사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피봇나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695B1
KR101502695B1 KR1020130095096A KR20130095096A KR101502695B1 KR 101502695 B1 KR101502695 B1 KR 101502695B1 KR 1020130095096 A KR1020130095096 A KR 1020130095096A KR 20130095096 A KR20130095096 A KR 20130095096A KR 101502695 B1 KR101502695 B1 KR 101502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hair
blade
screw
openin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5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8746A (ko
Inventor
서정래
Original Assignee
서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래 filed Critical 서정래
Priority to KR1020130095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695B1/ko
Publication of KR20150018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8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8Joi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용가위 절단 시 발생 되는 모발찌꺼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가위 볼트에 관한 것으로 커트시 발생하는 피봇나사 안쪽으로 들어오는 모발찌꺼기를 가위볼트만을 이용하여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피봇나사 안쪽으로 모발이 유입되는 모발찌꺼기를 모발 유입 개구부(5,6)와 통해 배출 개구부(7,8)로 이동하는 개구부를 형성하므로 몸체에 모발이 모이고 빠져나기 위한 블록 홈이나 배출구를 별도로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가위 제작공정단계가 줄어들고 피봇나사만을 교체하여 모발 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제작된 모든 가위에도 가위볼트만을 교체하며 자동으로 모발찌꺼기가 제거되는 기능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정이 줄어들어 제작원가의 절감과 가위볼트만을 교체하여 기존에 출시된 모든 가위에도 모발찌꺼기 제거를 할 수 있으므로 가위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호환성 부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미용가위 피봇나사{The pivot screw of hair scissors}
본 발명은 미용가위를 이용하여 모발을 절단 시 발생하는 미세한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한 위한 목적으로 고안된 미용가위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pivot screw)에 관한 것이다.
미용가위를 이용하여 모발 절단 시 절단된 미세한 모발이 이동 날과 고정 날이 교합 되는 곡선의 가위 안쪽 바닥 면에 모여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모발 찌꺼기에 밀려 가위 날의 중심부인 피봇나사 안쪽부터 가위 개폐 마찰 면 안쪽까지 들어가 모발이 응고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여 이를 방지하기 위해 1일 1회 또는 1주일에 2-3회 가위손질이 필요하였다.
특히 피봇 나사 안쪽부터 가위개폐 마찰 면의 경우 가위 손질 시 공간이 좁아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사용되는 가위 오일로 인하여 모발 찌꺼기와 합쳐질 경우 쉽게 응고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가위의 개폐가 뻑뻑해지는 현상과 모발 찌꺼기로 인하여 이동 날과 고정 날의 개폐가 간섭을 받아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가위의 피봇 나사를 풀러 이동 날과 고정 날을 분해하여 청소하거나 가위를 거꾸로 세운 후 날의 안쪽 마찰 면 부분에 가위오일 또는 미온수를 투입하여 가위 날 끝 방향으로 응고된 모발 찌꺼기가 흘러내리게 하여 제거되도록 하였다.
특히 가위 제작과 조립에 지식과 경험이 없는 미용인의 경우 가위를 분해하여 다시 조립할 경우 부주의로 인하여 가위 날 이 손상되거나 조립순서가 뒤바뀌거나 또는 크기가 작은 조립 품의 분실이 발생하였으며 기존의 본인이 사용하던 가위의 잠김 정도를 정확히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기존의 피봇 나사부 하단 부분에 상부에서 하단부로 구멍이 형성되어 모발이 빠져나가게 하는 방법의 경우 피봇 나사 하단부에서부터 가위마찰 면의 촉선 까지 의 모발 찌꺼기는 쉽게 배출이 되었으나 가위 날이 시작되는 몸체부터 피봇 나사 사이의 모발은 전혀 모발이 자동 적으로 배출되지 않아 가위를 분해하여 청소를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 다른 방법으로는 피봇 나사가 위치한 양쪽 가위 몸체 측면으로 개구부가 형성되어 모발이 빠져나가게 하는 방법의 경우 피봇 나사 하단부에서부터 가위마찰 면이 촉선 까지 의 모발 찌꺼기는 쉽게 배출이 되었으며 가위 날이 시작되는 몸체부터 피봇 나사 사이의 모발 또한 제거가 잘되었으나 피봇 나사 양쪽 가위몸체 측면으로 개구부를 형성 되게 하면서 가위 몸체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가위의 제작공정 중 철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 과정에서 가위가 휘어지면서 얇아진 가위 몸체 부분이 뒤틀리면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열처리를 마친 후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 망치로 두들겨 뒤틀어진 가위 날을 원상태로 복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였으며 원상태로 복귀하였더라도 열처리 중에 휘어진 철의 경우 원래 상태로 돌아가려는 성질로 인해 망치로 두들겨 원상태로 만들어 완성한 가위가 사용한지 2-3년이 흐르면서 다시 약간의 뒤틀림의 현상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1] 출원번호 10-2009-0091573 , 가위 몸체에 블록 홈을 갖는 미용가위, 출원일자 2009년09월28일 [문헌2] 출원번호 10-2010-0053113, 미용가위, 출원일자 2010년06월05일
미용가위로 모발 절단 시 발생 되는 모발찌꺼기를 보다 용이하게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모발이 가위 몸체에 응고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이 응고된 모발을 청소하기 위해 빈번히 행하였던 가위손질의 횟수와 시간을 절약하고 가위의 이동 날과 고정 날을 분리하여 발생 되는 조립 부속품의 분실 및 조립 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이 있으며 특히 기존의 경우 피봇나사 하단 가위몸체 부분에 상부에서 하단부로 개구부(開口部)가 형성되어 모발이 빠져나가게 하였으나 가위 날이 시작되는 몸체 부분부터 피봇나사 사이에는 개구부가 형성할 수가 없어 잘린 모발찌꺼기가 완전히 빠져나가지 못하는 단점과 피봇 나사 양쪽 가위몸체 측면으로 개구부를 형성 되게 하면서 가위몸체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가위의 제작공정 중 철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열처리 과정에서 가위 몸체 부분이 뒤틀리면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가위의 열처리를 시행하여도 가위 몸체가 휘어지지 않는 기존방법보다 개선된 방법으로 가위 몸체 자체에 모발을 제거하는 기능을 만드는 것이 아닌 가위 중심축 역할을 해주는 피봇나사에 모발 제거를 할 수 있는 기능을 만듦으로 인해 가위 볼트만으로도 모발 찌꺼기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 1처럼 가위의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이 수평으로 놓였다고 가정할 때 아래에는 숫 나사(4)가 위치하며 위쪽에는 암나사(3)가 위치하게 된다. 두 개의 날을 하나의 축으로 잡아주는 숫 나사(4) 측면에 모발찌꺼기가 들어갈 수 있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으로 형성하는데 이것은 가위의 고정날과 이동 날이 교차하며 커트 될 때 발생한 모발찌꺼기가 피봇나사 안쪽으로 들어오는 유입구가 되며 유입 개구부와 연결하여 수직 방향으로 피봇나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게 배출 개구부를 만들어 피봇나사의 유입구 개구부(7,8)를 통해 들어온 모발찌꺼기가 유입 개구부(5,6)와 연결된 배출 개구부(7,8)를 통해 밖으로 배출하도록 한다.
피봇나사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를 먼저 만들고 이와 연결되어 지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으로 형성을 해도 제조의 순서만 바뀔 뿐 모발찌꺼기 배출이 되는 피봇나사의 완성의 결과는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헤어디자이너가 고객의 모발을 자를 때 날 끝쪽이 위로 향하게 가위 손잡이를 잡아 커트하므로 커트 시 발생 되는 작은 모발찌꺼기가 반복적으로 발생 되는 모발 찌꺼기에 밀려 모발의 물기와 더불어 개폐 마찰 면 안쪽으로 타고 흐르더라도 피봇나사의 유입 개구부(5,6)로 모발이 모여 숫 나사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배출구 공간으로 모발찌꺼기가 모여 모발찌꺼기가 빠져나가므로 청소가 용이하다. 특히 몸체에 모발이 모이고 빠져나기 위한 블록홈이나 배출구를 별도로 만들지 않아도 되므로 가위 제작공정단계가 줄어들고 피봇나사(3,4)만을 교체하여 모발찌꺼기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제작된 모든 가위에도 가위볼트만을 교체 하 자동으로 모발찌꺼기가 제거되는 기능을 연출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정이 줄어들어 제작원가의 절감과 가위볼트만을 교체하여 기존에 출시된 모든 가위에도 모발찌꺼기 제거할 수 있으므로 가위에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호환성 부분을 크게 개선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면 1은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6 수평방향으로 갖는 미용가위의 닫힌 상태의 전체 평면도
도면 2는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방향으로 갖는 도면 1의 피봇나사가 위치한 가위몸체를 확대한 평면도
도면 3은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방향으로 갖는 도면 1의 피봇 나사만을 확대한 평면도
도면 4는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방향으로 갖는 미용가위의 닫힌 상태의 전체 평면도
도면 5는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방향으로 갖는 미용가위의 도면4의 몸체를 확대한 정면도
도면 6은 도면 4번의 A-A1절단면으로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에 위치한 피봇나사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수평방향으로 갖는 미용가위의 닫힌 상태의 몸체를 확대한 단면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미용가위는 가위를 잡는 약지에 소지 걸이가 달린 날이 고정 날(1)이 되고 엄지가 끼워지는 날이 이동 날(2)이 된다.

도 2를 보면 가위의 하부의 이동날의 몸체와 상부의 고정 날 몸체에 관통하여 수직으로 피봇나사가 위치하는데 하부의 이동 날의 몸체(2)에는 숫 나사(4)가 위치하며 상부의 고정 날 몸체(1)에는 암나사(3)가 위치하게 된다. 이동 날의 몸체(2)에는 하단에서 시작하여 고정 날 몸체(1) 상단으로 볼트가 이동하여 조립하게 된다. 하지만 암나사(3)와 숫 나사(4)의 위치는 볼트의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동(moving blade) 날 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중앙(1,2)에 위치한 피봇나사(3,4)에있어 가위날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피봇나사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를 가지며 배출 개구부(7,8)와 수평방향으로 연결 되는유입개구부(5,6)를 고정날(1)과 이동날(2)의 개폐 마찰면과 연통 되도록 형성하여모발찌꺼기가 빠지게한다.

피봇나사의 숫 나사(4)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배출 개구부(7,8)의 경우 모발찌꺼기가 밖으로 빠져나가는 배출구의 역할을 하며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여 만들어진 개구부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수평으로 형성된 유입 개구부(5,6)는 가위의 고정날과 이동 날의 교차하여 커트 될 때 발생한 모발찌꺼기가 피봇나사 안쪽으로 들어오는 유입구로 볼트 중앙의 상,하로 관통된 배출 개구부(7,8)와 연결되어 모발찌꺼기가 이동하는 배출구의 통로가 된다.

도 3를 보면 피봇나사의 숫 나사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된 배출 개구부(7,8)의 경우에는 가위의 두께나 넓이에 따라서 볼트의 지름 자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수 있으며 볼트의 지름 자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개구부의 크기도 줄어들거나 늘어날 수 있으며 피봇나사의 숫 나사 중앙에 상부에만 배출 개구부(7)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는 피봇나사의 숫 나사 중앙에 하부에만 배출 개구부(8)를 형성할 수도 있다
숫 나사의 상부에서 하부를 관통하여 만들어진 배출 개구부(7,8)와 수직으로 교차하여 형성된 수평 유입 개구부(5,6)는 볼트의 전체 길이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고정날(1)과 이동날(2)의 개폐 마찰면과 연통되도록 형성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유입 개구부(5,6)의 크기는 암나사와 숫 나사가 채결되는 숫 나사의 나사 산 위치나 볼트의 머리인 헤드 부분을 걸치면서도 개구부가 형성 가능하다.
도면 3을 보면 유입 개구부(5,6)의 개수는 2개이나 피봇나사의 디자인에 따라 1개 또는 2개 그 이상의 다수의 유입 개구부(5,6)를 만들 수 있으며 이는 숫 나사의 크기와 두께에 따라 유입 개구부(5,6)의 크기 및 개수를 조절하여 배치할 수 있다.
1. 고정 날 가위몸체 (still blade body)
2. 이동 날 가위몸체 (moving blade body)
3. 피봇 암나사 (female pivot screw)
4. 피봇 숫나사(male pivot screw)
5. 가위 날 방향 유입 개구부(開口部)
6. 가위손잡이 방향 유입 개구부(開口部)
7. 상단 배출 개구부(開口部)
8. 하단 배출 개구부(開口部)

Claims (2)

  1.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1,2)에 위치한 피봇나사(3,4)에 있어 가위 날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피봇나사 중앙에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하는 배출 개구부(7,8)를 가지며 배출 개구부(7,8)와 수평방형으로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고정날(1)과 이동날(2)의 개폐마찰면과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모발찌꺼기가 빠지게 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피봇나사
  2.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몸체 중앙(1,2)에 위치한 피봇나사(3,4)에 있어 가위 날을 수평으로 놓은 상태에서 피봇나사의 중앙에 상부 또는 하부에만 배출 개구부(7,8)를 가지며 배출 개구부(7,8)와 수평방향으로 연결되는 유입 개구부(5,6)를 고정날(1)과 이동날(2)의 개폐마찰면과 연통되도록 형성하여 모발찌꺼기가 빠지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피봇나사




KR1020130095096A 2013-08-11 2013-08-11 미용가위 피봇나사 KR101502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96A KR101502695B1 (ko) 2013-08-11 2013-08-11 미용가위 피봇나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5096A KR101502695B1 (ko) 2013-08-11 2013-08-11 미용가위 피봇나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46A KR20150018746A (ko) 2015-02-24
KR101502695B1 true KR101502695B1 (ko) 2015-03-13

Family

ID=5257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5096A KR101502695B1 (ko) 2013-08-11 2013-08-11 미용가위 피봇나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6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835A (ja) * 2006-10-25 2008-05-08 Hikari:Kk 螺子および鋏
KR20090025323A (ko) * 2009-02-17 2009-03-10 류석규 한쌍 이상의 미용가위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06835A (ja) * 2006-10-25 2008-05-08 Hikari:Kk 螺子および鋏
KR20090025323A (ko) * 2009-02-17 2009-03-10 류석규 한쌍 이상의 미용가위를 결합 가능하게 하는 결합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8746A (ko) 201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695B1 (ko) 미용가위 피봇나사
DE112014001631T5 (de) Einstellmechanismus zum Einstellen der Backen einer Schere
US20150217462A1 (en) Herb shears
US20130239417A1 (en) Hand held cable cutter
US5426811A (en) Method and appartus for cleaning hair clipper blades
KR102244463B1 (ko) 고철 절단기용 홀딩 밀판의 신속한 분리 및 결합방법
US1703305A (en) Tree-skinning knife
US20220258364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airs of Scissors and Combination of At Least Two Pairs of Scissors
JP6420992B2 (ja) 被切断物挟持部材及びこれを備えた枝切り鋏
KR20110001705U (ko) 가위 몸체 측면에 홈을 갖는 미용가위
CN203401164U (zh) 一种去毛刺刮刀
CN217253081U (zh) 一种高速切削钻铣加工刀具
CN109892125A (zh) 油橄榄t型切口嫁接器
JP6727663B2 (ja) ニッパー及びニッパーの製造方法
CN210996552U (zh) 一种便于拆卸的金属切削刀具
CN103918766B (zh) 一种新型肠衣刮刀
CN203792252U (zh) 推拉门窗毛条更换器
CN211516235U (zh) 一种机械断线钳
CN203484751U (zh) 一种去拉头内腔毛刺刀
JP5210400B2 (ja) 顎部材が交換可能なプライヤー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品
CN110978069B (zh) 一种羽毛除柄用剃毛机
KR20110133515A (ko) 미용가위
CN217340294U (zh) 用于切削液破乳的超声波设备
CN220179246U (zh) 一种定子转子取放工具
CN211709375U (zh) 一种低阻力美发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