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2090B1 -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 Google Patents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2090B1
KR101502090B1 KR20140016770A KR20140016770A KR101502090B1 KR 101502090 B1 KR101502090 B1 KR 101502090B1 KR 20140016770 A KR20140016770 A KR 20140016770A KR 20140016770 A KR20140016770 A KR 20140016770A KR 101502090 B1 KR101502090 B1 KR 101502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ch
information
module
vehicle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은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1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2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2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2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8Aiming or laying mean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speed, direction,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of the atmosphe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24Beam riding guidance systems
    • F41G7/28Radio guidanc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7/0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 F41G7/20Direction control systems for self-propelled missiles based on continuous observation of target position
    • F41G7/30Command link guida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48Infrared image

Abstract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를 공개한다. 본 발명은 유도 비행체가 장착되는 발사대; 무인 항공기로부터의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교전정보를 발사통제 장비로 전송하며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사대를 상하좌우로 회동시키는 고각조절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Portable launch apparatus for guided air vehicle launch system}
본 발명은 휴대용 발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표물에 대한 유도 비행체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 방지를 위한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유도비행체 체계에서 비행체의 발사와 관련된 일련의 절차들을 제어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임무 계획을 생성하고 생성된 임무계획에 따라 발사통제 장비 및 발사 장치를 제어하여 유도 비행체에 대한 발사절차를 수행한다.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서 유도 비행체는 지령에 의해 목표물로 유도 가능한 로켓 추진식 발사체를 말한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관성 유도 방식 또는 추적 유도 방식에 따라 목표물까지의 방향과 거리가 계산되면 계산된 방향과 거리에 따라 비행 특성 조절을 통해 목표물로 유도된다.
이러한 유도 비행체는 여러 종류의 발사 장치에 장착되어 발사된다. 기존의 발사 장치는 휴대성이 없는 사이트에 고정되어 있는 지상 고정형 발사 장치, 휴대성이 있더라도 부피가 다소 크고 소음 및 기동성 때문에 적진 근처에서 운용이 불가한 차량 고정형 발사 장치, 차량에 견인하며 운용하는 견인타입 발사 장치, 장갑차에 탑재형 발사 장치 또는 대전차용 발사 장치가 있다. 이러한 발사 장치들은 발사통제 장비를 갖춘 일체형으로 크기가 방대하여 고정된 사이트에서 발사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또한 고정식 발사 장치의 경우 평상 시 상대에게 위치가 노출되어 감시의 대상이 될 수 있고, 유도 비행체 발사 직전에도 움직임의 포착이 가능하여 상대가 즉시 대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국내 등록특허 제10-0985155에는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서, 차량에 탑재되거나 휴대 가능한 비행체를 발사하는 비행체 발사 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는 전방에 대한 영상을 생성하며, 생성된 영상으로부터 목표물의 위치를 탐색하는 목표물 위치 탐색부와 탐색 결과로부터 목표물의 위치가 결정되면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시키는 입력부를 구성하여 목표물에 대하여 빠른 대응과 목표물을 실시간으로 탐색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비행체 발사 장치 역시 운용자가 직접 운용해야 하므로 비행체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에 대한 위험이 동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에서 발사통제 장비와 발사 장치를 운용자가 분리 운용하여, 유도 비행체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 방지를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산출된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물에 유도되는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는 발사통제 장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의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물에 대한 교전계획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발사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상기 발사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사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에 전송한다.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교전 정보를 상기 발사통제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발사 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발사 정보와 기 생성된 상기 교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유도 비행체 발사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유도 비행체가 장착되는 발사대;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전정보를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사대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사대를 상기 목표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고각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도 비행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연동모듈;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고각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고각구동모듈;상기 발사통제 장비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유도 비행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모의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 상기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모의모듈 각각은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모듈, 상기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 및 상기 모의모듈 각각은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커넥터와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그 내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형태의 발사관; 상기 발사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와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커넥터; 및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되,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가스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각조절장치는 상기 발사 장치의 몸체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고각조절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형태의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 장치의 몸체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외부와 통신시키는 안테나; 및 상기 몸체 타면에 부착되어 운용자가 휴대하기 위한 어깨 끈과 등받이가 장착된 착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교전정보는 상기 목표물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정보; 및 상기 좌표정보에 위치하는 상기 목표물에 상기 유도 비행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한 예상시간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운용자가 발사 장치와 발사통제 장비를 동시에 휴대하여 운용하되, 발사 장치와 발사통제 장비를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따로 운용할 수 있어 유도 비행체 발사시 운용자의 위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제 1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제 2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블록”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은 영상 획득 수단을 구비한 무인항공기(100)와 운용자가 동시에 운용 가능한 발사통제 장비(200)와 발사 장치(300)로 구성된다.
무인항공기(100)는 조종사가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제어하여 동작시키는 항공기를 말한다. 이러한 무인항공기(100)는 전투상황 등에서 적진에 대한 정찰활동, 목표물에 대한 미사일 등을 이용한 공격 등과 같이 인명손실의 가능성이 크고 위험한 작전수행에서 유인항공기보다 매우 효율적이고 안정적이며 저비용으로 작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무인항공기(100)는 광학(EO) 카메라, 적외선(Infrared Ray; IR) 카메라 및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 등의 영상 획득 수단을 구비하여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무인항공기(100)는 무선 송수신 장치를 구비하여 획득한 영상정보를 발사통제 장비(110)로 전송한다. 여기서, 무인항공기(100)는 목표물에 대한 정찰기능을 수행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형태의 정찰장비로 대체될 수 있다.
발사통제 장비(200)는 상기 무인항공기(100)로부터 상기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영상정보를 발사 장치에 전송하여 이에 대한 응답으로 교전 정보를 제공 받을 수 있다. 또한 발사통제 장비(200)는 수신된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운용자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발사정보를 입력 받아 발사 장치(300)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지시 할 수 있다. 이때, 발사통제 장비(200)는 운용자가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LCD 및 LED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상기 영상정보를 출력하여 보여줄 수 있다.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200)에서 전송되는 각종 신호에 따라 여러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200)로부터 수신된 영상정보를 분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200)로부터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정보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산출한다. 발사 장치(300)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교전정보를 산출하는 프로그램을 탑재하고 있다. 교전정보에는 목표물을 향해 유도 비행체의 발사 결정에 필요한 정보인 교전계획, 목표물 선정, 목표물의 위협에 대한 평가 등이 있다.
이때, 상기 교전계획은 목표물에 유도 비행체의 발사여부 및 예상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의 발사여부는 무인항공기(100)로부터 수신한 영상정보를 통하여 유도 비행체가 비행하는 도중 장애물의 유무, 유도 비행체 비행 거리 이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 및 목표물의 움직임이 빠르게 변화하여 좌표 설정의 어려움이 있는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가 목표물에 도달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발사 장치(300)는 유도 비행체가 목표물에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인 예상시간을 산출한다.
발사 장치(300)는 목표물의 좌표정보, 발사준비시간 및 유도 비행체의 비행시간 등을 계산하여 이를 기반으로 예상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물의 좌표정보는 목표물이 위치하고 있는 지점의 좌표를 말한다. 발사준비시간은 교전 결정에 소요되는 시간과 교전 결정 직후부터 유도 비행체의 이륙까지의 준비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비행체의 비행시간은 최적 궤적으로 목표물을 향해 비행시 소요되는 시간을 말한다.
목표물의 위협에 대한 평가는 둘 이상의 목표물 중 어느 하나의 목표물이 다른 모든 목표물보다 아군에게 위협이 될만한 요소가 있을 때, 그 목표물에 대한 타격 순위를 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목표물 선정은 이러한 아군에 위협이 될만한 다수의 목표물 중 타격 순위가 가장 높은 목표물을 선정하는 것이다.
또한,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200)로부터 발사정보를 수신하여 발사 장치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사정보를 수신한 발사 장치(300)는 목표물 방향으로 자동 전환 후 유도 비행체를 목표물을 향해 최종 발사할 수 있다.
여기서, 발사통제 장비(200)와 발사 장치(300) 간에는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이 사용되는데 예컨대, 근거리 무선 통신, 이더넷 및 광통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무선통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사 장치(300)가 영상정보를 분석하여 획득한 교전정보는 발사 장치(300)에 적용된 SSD 등의 저장매체에 저장된다. 교전정보는 발사통제 장비(200) 또는 발사 장치(300)의 점검포트를 통해 차후 확인이 가능하다. 교전정보는 무인항공기(100)와 연동하여 무인항공기(100)의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발사통제 장비(200)와 발사 장치(300)는 운용자가 동시에 휴대하고 운용이 가능한 형태로서, 발사통제 장비(200)는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 등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영상정보를 통해 목표물에 대응하기 위한 교전정보를 산출하기 위하여 발사통제 장비(200)는 상기 영상정보를 발사 장치(300)로 전송한다. 발사 장치(300)는 기설정된 방식으로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구할 수 있다.
발사 장치(300)는 상기 교전정보를 발사통제 장비(200)로 전송한다. 이후 발사 장치(300)는 상기 교전정보에 따라 운용자에 의해 발사 장치(300)와 목표물과의 거리가 유도 비행체의 비행거리 이내인 지면에 설치된다. 운용자는 유도 비행체 발사시 위치 노출 방지를 위하여 발사 장치와 일정거리 떨어진 지점에서 발사통제 장비(200)를 운용한다. 즉, 발사 장치(300)와 발사통제 장비(200)는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어 배치된다.
발사통제 장비(200)는 상기 교전정보에 따라 유도 비행체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발사 장치(300)로 전송한다. 상기 발사정보를 수신한 발사 장치(300)는 목표물 방향으로 자동 전환 후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착화시켜 목표물을 향해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용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200)와 발사 장치(300)를 일정거리 이격시킨 후에 발사통제 장비(200)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발사 장치 내 유도 비행체를 발사 시키기 때문에 유도 비행체 발사 지점은 노출되지만 운용자의 노출은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발사 장치(300)는 제어장치(310), 발사대(320) 및 고각조절장치(3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장치(310)는 통신모듈(311), 제어모듈(312), 전원모듈(313), 모의모듈(314), 고각구동모듈(315) 및 연동모듈(316)로 구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발사 장치(300)는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유도 비행체의 발사뿐만 아니라 유도 비행체를 목표물에 유도하는데 필요한 교전정보를 생성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통신모듈(311)은 발사통제 장비(200)로부터 목표물에 대한 영상정보를 수신한다. 통신모듈(311)은 발사통제 장비(200)와 발사 장치(300) 간의 각종 신호의 송수신 및 유도 비행체 발사 후 목표물까지의 비행에 대한 정보를 유도 비행체의 탐색기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제어모듈(312)은 통신모듈(311)로부터 영상정보를 제공받아 제공받은 영상정보를 기설정된 방식으로 분석하여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모듈(312)에서 산출한 교전정보는 발사통제 장비로 통신모듈을 통하여 전송된다.
이후 제어모듈(312)은 발사통제 장비로(200)부터 통신모듈(311)을 통해 유도 비행체 발사를 위한 발사정보를 수신한다. 제어모듈(312)은 기산출된 교전정보 및 수신된 발사정보에 따라 모의모듈(314), 고각구동모듈(315), 연동모듈(316), 발사대(320), 고각조절장치(330) 및 전원모듈(313)을 제어한다.
모의모듈(314)은 어떤 장치의 기능이 제대로 동작하는지를 시뮬레이션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모의모듈(314)은 발사 장치(300)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의 동작을 시뮬레이션하여 유도 비행체의 발사 가능 유무를 검사한다. 유도 비행체의 이상이 없다면 유도 비행체 발사는 계속 진행된다. 만약 유도 비행체의 발사에 문제가 발생하면 운용자의 점검에 의해 유도 비행체는 재설치 되어야 한다.
고각구동모듈(315)은 고각조절장치를 제어하여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연동모듈(316)은 발사정보에 따라 발사대를 제어하여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착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발사대(320)는 유도 비행체를 내부에 장착하여 유도 비행체 발사전 비행체가 대기 하는 장소라 할 수 있다. 발사대(320)는 연동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전원모듈(313)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유도 비행체로 전달하고 유도 비행체의 열전지를 착화시켜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돕는다.
고각조절장치(330)는 발사대(320)의 고각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는 장치로서, 효과적인 목표물 제거를 위해 비행체의 비행거리가 최소화 되도록 모터에 의하여 자동으로 구동이 된다. 고각조절장치(330)는 고각구동모듈(315)에 의해서 제어되며, 0~89.5도까지 고각 조절이 가능하다. 물론 고각조절장치(330)는 회전 구동기를 더 구비하여 수평 방향으로 360도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발사 장치(300)는 고각조절장치(330)의 동작에 따라 목표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설치 되었더라도 다시 목표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고각조절장치(330)를 구비한 발사 장치(300)는 운용자가 발사 장치(300)와 떨어져 있더라도 발사 장치(300)의 방향을 무선으로 조절할 수 있어 운용자의 위치노출 방지에 효과가 있다.
전원모듈(313)은 발사 장치의 각각의 장치 즉, 통신모듈(311), 제어모듈(312), 모의모듈(314), 고각구동모듈(315), 연동모듈(316), 발사대(320) 및 고각조절장치(330)에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로서, 특히 제어모듈(312)의 제어 명령에 의해 유도 비행체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300)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제어장치(310)와 발사대(320)의 결합상태를 보여준다. 제어장치(310)는 각각의 모듈들(311~316)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발사 장치(300)의 각각의 모듈들(311~316)은 기능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구현된다. 모듈들(311~316)은 착탈이 가능한 형태로서, 어떤 특정 모듈의 추가 또는 삭제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은 예컨데, 통신모듈(311), 제어모듈(312), 전원모듈(313), 모의모듈(314), 고각구동모듈(315) 및 연동모듈(316)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특정 모듈이 추가 되거나 제거 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모듈들(311~316) 측면에는 모듈들(311~316)의 방열을 위한 치차 가공으로 형성된 히트싱크(317)의 부착이 가능하다.
발사대(320)는 발사관(321)과 가스배출구(322)로 구성될 수 있다. 발사대(320)는 유도 비행체(400)를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발사관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이러한, 발사대(320)는 세라믹 합금, 세라믹 코팅 또는 니켈 등의 내열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유도 비행체(400) 발사시 발생하는 높은 열이 모듈들에 미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발사대 외벽(323)은 기본적으로 효과적인 초기 추진력을 얻기 위해 폐쇄된 상태이다. 다만, 유도 비행체 발사시 발생하는 열이 모듈들에 영향을 미친다면 공기유입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작은 구멍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점은 유도 비행체 발사시 발생하는 높은 열의 온도를 줄이기 위함이다.
도 3의 (b)는 발사 장치(300)의 각각의 모듈들의 전면과 후면을 보여준다.
도 3의 (b)를 참고하면, 모듈은 신호커넥터(319)와 전원커넥터(318)를 장착한다. 신호커넥터(319)와 전원커넥터(318)는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발사대의 커넥터와 직접 결합하는 마운팅 커넥터 타입이다. 이러한 점은 분해 조립을 간단히 할 수 있고, 발사 장치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도 3의 (c)는 발사대(320)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의(c)는 발사대(320)의 내부를 도시한 것으로서, 발사관(321) 내부에 유도 비행체(400)가 장착된 모습이다. 발사관(321)내부에는 유도 비행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거치대(325), 발사관(321) 내에서 발사되는 유도 비행체와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고 해제시키는 커넥터(324)가 형성되어 있다.
유도 비행체(400)는 발사대(320)에 장착될 시 발사관(321) 내부에 형성된 거치대(325)에 거치되고 제어장치(310)의 제어명령을 수신하기 위하여 커넥터(324)와 연결된다. 유도 비행체(400)는 커넥터(322)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발사정보에 의해 열전지가 착화 되면 유도 비행체(400)는 목표물을 향해 날아가게 된다.
이때 유도 비행체(400) 발사시 생성되는 가스는 가스배출구(322)를 통해 유도 비행체(400) 발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배출된다. 가스배출구(332)를 유도 비행체(400) 발사방향으로 만든 이유는 발사대(320) 바닥에 반작용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여 발사 중 반작용력에 의해 유도 비행체가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발사관 내벽(326)은 내열성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는 유도 비행체 발사시 생성되는 가스의 높은 열을 견뎌내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외부 형태를 나타내는 제 1도면이다.
발사 장치(300)는 발사통제 장비와 유도 비행체의 제어, 발사, 발사중지 및 비상 폭파 등의 핵심 명령을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안테나(340)를 구비할 수 있다. 안테나(340)는 기본적으로 무지향성 안테나이며, 사용 주파수에 따라 다른 안테나가 적용 될 수 있다.
고각조절장치(330)는 목표물 방향으로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하여 발사 장치(300)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로서, 제어장치(310)와 발사대(320)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발사 장치(300)의 몸체 일면에 장착되고, 상부 프레임(331), 고각조절기(332), 하부 프레임(333) 및 고정 프레임(3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프레임(331)은 발사 장치(300)의 몸체 일면에 장착되어 발사 장치(300)의 발사대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부 프레임(333)은 지면에 위치하여 발사 장치(30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프레임(334)은 하부 프레임(333)에 연결되어 하부 프레임(333)을 지면에 더욱 고정시키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 프레임(334)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형태로서 운용자에 의해 지면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 프레임을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해 운용자는 망치 등의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
고각조절기(332)는 상부 프레임(331)과 하부 프레임(333)에 연결되어 하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부 프레임과 상부 프레임간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실시예로, 고정 프레임(334)과 하부 프레임(333)에 의해 발사 장치(300)가 지면에 고정되면, 운용자는 발사통제 장비(200)를 가지고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하여 발사 장치(300)와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한 운용자에 의해 유도 비행체 발사정보를 받은 발사 장치는 수신한 발사정보와 기산출된 교전정보에 따라 고각조절기(332)를 제어하여 발사대 방향을 조절한다.
고각조절장치(330)에 의해 발사대 방향이 결정된 발사 장치(300)는 운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유도 비행체 발사정보에 따라 유도 비행체를 발사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사 장치의 외부 형태를 나타낸 제 2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발사 장치(300)는 컴팩트한 형태로서, 휴대가 용이한 가방형태의 발사 장치(300)이다. 발사 장치(300)는 제어장치와 발사대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발사 장치의 몸체(350) 일면에 어깨 끈(362)과 등받이(361)로 구성된 착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착용부를 구비한 발사 장치(300)는 기본적으로 운용자가 등에 메고 이동시킬 수 있다. 운용자가 작전 간 발사 장치(300)를 장시간 휴대 시 운용자 건강 보호를 위해 어깨 끈과 등받이는 가죽 또는 패브릭 등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어장치와 발사대를 내부에 위치시키는 발사 장치의 몸체(350)는 휴대성을 높이기 위한 알루미늄 또는 유리강화섬유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몸체(350) 내부에는 제어장치와 발사대의 충격 완화를 위해 방충댐퍼가 모퉁이에 부착된다.
도 5에서 발사 장치(300)는 외부로부터 물의 유입 및 충격 방지를 위한 상부 덮개(371) 및 하부 덮개(372)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상부 덮개(371)와 하부 덮개(372)는 발사 장치(300)의 몸체(350)와 접촉부분에 방수 및 전자파간섭(EMI) 차단 목적의 실링(sealing) 및 가스켓(gasket)을 포함하고 있다. 상부 덮개(371)와 하부 덮개(372)는 압축래치(380)에 의해 몸체(350)와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다.
압축래치(380)는 상부 덮개와 하부 덮개를 상기 몸체에 결합 후 고정시키는 역할이며, 기본적으로 수동으로 구동되지만 향후 자동 구동이 가능할 수도 있다. 압축래치(380)를 자동으로 구현하면 발사 장치는 유도 비행체를 발사전까지 덮개로 보호할 수 있어 유도 비행체에 대한 외부영향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무인항공기
200: 발사통제 장비
300: 발사 장치
310: 제어장치
311: 통신모듈 312: 제어모듈
313: 전원모듈 314: 모의모듈
315: 고각구동모듈 316: 연동모듈
320: 발사대
330: 고각조절장치

Claims (10)

  1. 무인항공기로부터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산출된 교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목표물에 유도되는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기 위한 발사정보를 생성하는 발사통제 장비;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의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물에 대한 교전계획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하는 교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발사 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발사통제 장비는 상기 발사 장치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발사정보를 상기 발사 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영상 정보를 수신하면, 수신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전 정보를 생성하여 생성된 상기 교전 정보를 상기 발사통제 장비에 전송하고,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상기 교전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발사정보를 제공 받으면, 제공 받은 상기 발사정보와 기 생성된 상기 교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유도 비행체를 발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2. 삭제
  3. 적어도 하나의 유도 비행체가 장착되는 발사대;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목표물의 위치, 규모 및 움직임을 포함하는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목표물에 대한 교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통제 장비로부터 제공 받은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발사대에 장착된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 및
    상기 제어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발사대를 상기 목표물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고각조절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유도 비행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모듈;
    상기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교전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모듈;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를 제어하는 연동모듈;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에 따라 상기 고각조절장치를 제어하는 고각구동모듈;
    상기 발사통제 장비와 연동하여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송수신하는 통신모듈; 및
    상기 유도 비행체의 이상유무를 검사하는 모의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모듈, 상기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모의모듈, 상기 연동모듈, 상기 고각구동모듈 각각은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모듈, 상기 제어모듈, 상기 통신모듈, 상기 모의모듈, 상기 연동모듈과 상기 고각구동모듈 각각은 상기 전원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전원커넥터와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신호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대는
    상기 유도 비행체가 그 내부에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공 형태의 발사관;
    상기 발사관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유도 비행체와의 전기적 접속을 유지하거나 해제하는 커넥터; 및
    상기 유도 비행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배출하되, 상기 유도 비행체의 발사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가스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가스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7.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각조절장치는
    상기 발사 장치의 몸체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몸체를 지지하기 위한 상부 프레임;
    상기 상부 프레임과 연결되어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하부 프레임;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을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고각조절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에 고정되기 위한 형태의 고정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 장치는
    상기 발사 장치의 몸체 측면에 위치하여 상기 영상정보, 상기 교전정보 및 상기 발사정보를 외부와 통신시키는 안테나; 및
    상기 몸체 타면에 부착되어 운용자가 휴대하기 위한 어깨 끈과 등받이가 장착된 착용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교전정보는
    상기 목표물의 위치에 상응하는 좌표를 나타내는 좌표정보; 및
    상기 좌표정보에 위치하는 상기 목표물에 상기 유도 비행체가 도착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예상한 예상시간정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KR20140016770A 2014-02-13 2014-02-13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KR101502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6770A KR101502090B1 (ko) 2014-02-13 2014-02-13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6770A KR101502090B1 (ko) 2014-02-13 2014-02-13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2090B1 true KR101502090B1 (ko) 2015-03-12

Family

ID=53027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6770A KR101502090B1 (ko) 2014-02-13 2014-02-13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20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69A (ko) 2021-10-06 2023-04-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덮개 체결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73A (ja) * 1997-06-16 1999-01-1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目標観測装置
KR20120113210A (ko) * 2009-09-09 2012-10-12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휴대용 rf 투명 발사관을 구비한 원격 조종 무인 항공기 포성 억제 발사장치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873A (ja) * 1997-06-16 1999-01-12 Tech Res & Dev Inst Of Japan Def Agency 目標観測装置
KR20120113210A (ko) * 2009-09-09 2012-10-12 에어로바이론먼트, 인크. 휴대용 rf 투명 발사관을 구비한 원격 조종 무인 항공기 포성 억제 발사장치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9369A (ko) 2021-10-06 2023-04-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덮개 체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7910A (en) Target acquisition system
US20100026554A1 (en) Active protection method and system
US20070105070A1 (en) Electromechanical robotic soldier
RU2480705C2 (ru) Подвижный пункт целеуказания и управления
CN110855936A (zh) 低空无人机监控系统
KR101483064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통제 장비 및 운용 방법
EP3335204B1 (en) Portable aerial reconnaissance targeting intelligence device
KR20170019523A (ko) 폭발물 탑재형 무인비행체 및 무인비행체 제어 시스템
KR101558983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467B1 (ko) 드론 시스템
JP5697734B1 (ja) 移動体搭載電子機器制御装置
KR101502090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
US9846016B2 (en) Projectile delivery of disruptive media for target protection from directed energy
US20200409366A1 (en) Remote deployed obscuration system
KR101483063B1 (ko) 유도 비행체 발사 시스템을 위한 휴대용 발사 장치의 운용 방법
US20130050010A1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ssing a potential target
RU2511513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воздушных судов от ракет переносных зенитных ракетных комплексов
RU2578524C2 (ru)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комплексными методами борьбы с малогабаритными беспилотными летательными аппаратами
JP2022521523A (ja) 兵器ターゲティング訓練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195909B1 (ko) 무장 무인기의 자동 무장 선택 장치 및 방법
KR20200021871A (ko) 저고도 무인항공기 감시 시스템
KR101882363B1 (ko) 비살상 탄 투척 시스템
CN211196629U (zh) 投放催泪弹的无人机、无人机系统
KR100929878B1 (ko) 화포 원격 운용 시스템
WO2021198569A1 (en) Target acquisition system for an indirect-fire weap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