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335B1 -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335B1
KR101501335B1 KR1020130005861A KR20130005861A KR101501335B1 KR 101501335 B1 KR101501335 B1 KR 101501335B1 KR 1020130005861 A KR1020130005861 A KR 1020130005861A KR 20130005861 A KR20130005861 A KR 20130005861A KR 101501335 B1 KR101501335 B1 KR 101501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data
mother
child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5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3462A (ko
Inventor
이상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키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키온
Priority to KR1020130005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335B1/ko
Priority to PCT/KR2013/000512 priority patent/WO2014112674A1/ko
Publication of KR20140093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3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5Program loading or initi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웹서버 등 외부의 정보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기간 설정을 통해 수집 및 정렬 후 이를 마더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제공되게 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의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며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Apparatus for interworking between applications and data and applications, private secretary service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unit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ivate secretary service therefor}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웹서버 등 외부의 정보서버로부터 필요한 데이터를 실시간 또는 기간 설정을 통해 수집 및 정렬 후 이를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제공되게 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정보 및 외부 정보서버의 정보를 다양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최근의 모바일 단말기는 인터넷 통신과 정보 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지능형 모바일 단말기의 가장 큰 매력과 특징은 그 사용자가 다양한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 응용프로그램, “앱”이나 “어플”이라 불림)을 원하는 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점에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테블릿 PC 등 지능형 모바일 단말기(이하 스마트폰을 예로 함)의 사용 인구는 전 세계적으로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고, 국내에서도 어린이나 노년층을 제외한 대부분의 연령층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스마트폰의 인기로 인해 다양한 앱들이 매일 같이 개발 및 출시되고 있고, 스마트폰의 사용자들은 이러한 앱들 중 관심이 가는 많은 수의 앱들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설치하여 이용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위한 앱들 중 상당 수는 기업 홍보 및 광고를 목적으로 제작되거나 기타 서비스 차원에서 제작되어 유/무료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는바, 대다수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이러한 유/무료 앱들을 자신에게 필요성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스마트폰에 설치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스마트폰의 앱을 사용하는 과정은, 스마트폰의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폰 화면을 터치해가면서 사용하려는 앱을 검색하고, 검색된 앱을 실행하여 이용하며, 다른 앱을 사용하려면 실행 중인 앱을 종료 후 사용코자 하는 앱을 검색하여 실행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바, 여러 앱을 연속해서 이용 시 매우 번거롭게 된다.
특히 일부 앱의 경우 사용자가 하루에 한번은 반드시 이용하지만 그 이용 시간은 매우 짧고 따라서 그 사용 시 매번 해당 앱을 검색하고 실행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느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에 매우 많은 수의 앱을 설치한 상태이므로, 이러한 많은 앱 중에서 사용하려는 앱을 찾는데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만, 앱 검색의 편리성만을 위해서 잘 사용하지 않는 앱을 무조건적으로 삭제할 수는 없는 현실이다.
또한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개개인들은 자신들의 모든 약속과 일정 및 금융, 재무 등 필요 정보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 필요성을 느끼는 상황이며, 불특정 다수에게 무작위로 제공되는 정보량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 및 이러한 다량의 정보를 개개인들이 일괄적으로 정리 및 관리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상황에 비춰볼 때 상기와 같은 필요 정보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의 필요성이 점점 더 크게 느껴질 것임은 명백하다.
한국등록특허 제0631691호(2006.09.27), “이동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관리 시스템” 한국특허공개 제2011-0111531호(2011.10.11), “사용자에 관련된 상호 작용의 실시간 통합을 위한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 지정하는 동시에 연동 중인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사전 설정함으로써,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또는 필요 시간에 제공되는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통해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외부 서버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데이터 종류를 사전 설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된 데이터를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 업체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제공 시 자사의 광고 및 홍보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여 이 광고 및 홍보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다른 데이터들과 함께 출력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앱 아이콘 유통시장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앱 아이콘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업체들은 다양한 디자인의 앱 아이콘을 제공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사용자들은 매우다양한 종류의 앱 아이콘 중에서 기호에 맞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그 실행 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실행을 위한 앱 실행신호를 출력하고 연동 실행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며,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실행신호에 따라 실행되어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는 외부 서버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외부 서버와 접속 후 사전 선택 조건의 해당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하거나 또는 접속된 저장부에 저장 후 그 실행 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는,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며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와,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가 탑재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그 실행 시 앱 실행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실행신호를 통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어 그 전체 실행 데이터 중 사전 선택된 조건의 데이터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제작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유/무료로 제공하는 앱 아이콘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무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실적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업그레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는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 제조사의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유/무료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 그리고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장치와, 상기 데이터 연동장치가 탑재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외부 서버와 접속하여 사전 설정된 조건의 데이터만을 필터링하여 저장부에 저장 후 이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마더 어플리케이션,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 또는 개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장치와, 상기 데이터 연동장치가 탑재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그 실행과 동시에 앱 실행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앱 실행신호에 의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가 사전 설정되는 단계에는, 사용자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놓는 과정 그리고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의 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변경 및 수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앱 아이콘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앱 아이콘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앱 아이콘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앱 아이콘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저장된 앱 아이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그 앱 아이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서 앱 아이콘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 제작사의 홍보나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홍보나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접속된 외부 서버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접속된 외부 서버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필터링된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과정 또는 필터링된 데이터가 저장부에 저장 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제공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 중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데이터 선택을 위해 데이터 필터링 조건이 설정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접속된 외부 서버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는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 지정하는 동시에 연동 중인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또는 필요 시간에 제공되는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통해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외부 서버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데이터 종류를 사전 설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된 데이터를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 업체 또는 외부 서버 운영업체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제공 시 자사의 광고 및 홍보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여 이 광고 및 홍보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다른 데이터들과 함께 출력될 수 있게 함에 따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 업체 및 외부 서버 운영 업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자사의 홍보 및 광고를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앱 아이콘 유통시장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앱 아이콘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업체들은 다양한 디자인의 앱 아이콘을 제공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사용자들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앱 아이콘 중에서 기호에 맞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양한 정보의 홍수 속에서 개개인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모든 약속과 일정 그리고 금융 및 재무 등 필요 정보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정보들을 필요시마다 매우 체계적이고 간편한 방법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를 보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순서를 정하기 위해 표시되는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데이터 중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가 선택되는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에 의한 푸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출력 화면에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서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앱 아이콘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100 : 이하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라 약칭함)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복수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데이터 통신부(1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는 저장부(1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되어 이러한 스마트 기기(200)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여기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스마트 기기(2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지정하기 위한 앱 선택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복수의 다른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지정되기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 동시에 이러한 입력 신호에 따라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지정하기 위한 신호를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출력한다.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써 스마트 기기(200)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과 함께 설치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한다.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그 실행 시 연계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연동 실행을 위한 앱 실행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연동 실행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출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한다.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앱 실행신호에 따라 실행되며, 그 실행에 따른 출력 데이터 신호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한다.
여기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과의 연동 실행 과정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입력받게 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별로 사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에 따라 발생되는 데이터 중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는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은, 사용자가 자신의 스마트 기기(200)를 통해 직접 설정한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방식, 스마트 기기(200)의 사용자 요청을 통해 간접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방식, 또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림 기능을 통해 푸시되는 정보가 선택되는 방식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을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지 않고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20)에 직접 전달되어 처리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을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가 스마트 기기(200)의 출력부(210)인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 후 그 클릭을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실행되는 것일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3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4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연동하면서 실행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40)는 가상의 운영체제(141)를 형성하여 이러한 가상의 운영체제(141)를 기반으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저장부(150)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기 위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저장부(150)는 스마트 기기(200)에 본래 포함되는 저장부를 이용하는 형태일 수 있고, 별도의 저장부가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50)에 의해,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하여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저장부(150)에 출력하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그 실행 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외에 저장부(150)의 데이터도 검출하여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사전 선택 조건의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며,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기기(200)의 출력부(210)를 통해 외부 출력하거나, 접속된 저장부(150)에 저장 후 그 실행 시 스마트 기기(200)의 출력부(210)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실행 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가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가 스마트 기기(10)의 출력부(11)를 통해 실시간 출력됨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실행과 동시에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사전 지정하고, 또한 연동 중인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사전 설정함으로써,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을 실행 시 사전 설정된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최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자동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200, 이하 “데이터 연동장치”라 약칭함)는 마더 어플리케이션(210), 외부서버(20), 데이터 통신부(23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200)는 저장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스마트 기기(30)에 설치되어 스마트 기기(30)와 접속되는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외부 서버(20)는 스마트 기기(30)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한다. 이때, 외부 서버(20)로부터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는 데이터의 선택은, 스마트 기기(30)의 사용자를 통해 직접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과정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외부 서버(20)로부터 입력받게 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외부 서버(20)별로 사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20)로부터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는 데이터 선택의 다른 예로서, 스마트 기기(30)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간접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선택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외부 서버(20)는 인터넷 상에서 포털사이트를 운영하는 업체의 서버 또는 은행이나 금융(or 증권) 관련 기관의 서버 등 다양한 서버들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스마트 기기(3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실행 시 외부 서버(20)와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데이터 통신부(31) 및 이러한 데이터 통신부(3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사전 선택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를 필터링 하는 데이터 필터링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23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210)과 외부 서버(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데이터 통신부(230)는 스마트 기기(30)의 데이터 필터링부(32)와 마더 어플리케이션(210) 사이에서 이 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기능을 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이 실행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0)는 가상의 운영체제(241)를 형성하여 이러한 가상의 운영체제(241)를 기반으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스마트 기기(30)는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외부 서버(20)와 접속 후 사전 선택 조건의 해당 데이터를 필터링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하며,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외부 서버(20)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스마트 기기(30)의 출력부(33)를 통해 외부 출력하거나 또는 접속된 저장부(250)에 저장 후 그 실행 시 스마트 기기(30)의 출력부(33)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저장부(250)는 외부 서버(20)로부터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기 위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같은 저장부(250)에 의해, 스마트 기기(30)는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외부 서버(20)와 접속 후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사전 선택 조건에 따라 필터링하여 일부 데이터를 저장부(250)에 저장하며,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그 실행 시 외부 서버(2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외에 저장부(250)의 데이터도 검출하여 처리한다. 그리고 저장부(250)는 스마트 기기(200)에 본래 포함되는 저장부를 이용하는 형태일 수 있고, 별도의 저장부가 설치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실행 시 외부 서버(20)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가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가 스마트 기기(30)의 출력부(33)를 통해 실시간 출력됨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외부 서버(2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를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300, 이하 “데이터 연동장치”라 약칭함)은,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 외부 서버(330), 내부 데이터 통신부(340), 외부 데이터 통신부(350),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300)는 저장부(3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은 스마트 기기(40)에 설치되어 스마트 기기(40)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한다.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은 스마트 기기(40)에 설치되며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외부 서버(330)는 스마트 기기(40)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에 제공한다.
내부 데이터 통신부(34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310)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동시에 외부 데이터 통신부(350)와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한다.
외부 데이터 통신부(35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310)과 외부 서버(3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외부 데이터 통신부(350)는 데이터 통신부(351) 및 데이터 필터링부(3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이터 통신부(351)는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의 실행 시 외부 서버(330)와 접속되어 데이터 송수신을 하며, 데이터 필터링부(352)는 데이터 통신부(351)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중 사전 선택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를 필터링한다.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6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이 연동되면서 실행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60)는 가상의 운영체제(361)를 형성하여 이러한 가상의 운영체제(361)를 기반으로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의 연동 실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저장부(370)는 외부 서버(330)로부터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에 제공되기 위해 수신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300)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와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200)의 복합 구성에 해당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의 실행 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 및 외부 서버(330)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가 처리되고, 이렇게 처리된 데이터들이 스마트 기기(40)의 출력부(41)를 통해 실시간 출력됨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 및 외부 서버(330)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 및 모바일 단말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130) 및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연동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실행에 따른 앱 실행신호에 의해 연동 실행되어 그 전체 실행 데이터 중 사전 선택된 데이터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고, 따라서 각 구성 부분에 대해 도 1과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출력 순서 지정을 위한 데이터 출력 제어신호 입력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데이터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부(410)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 출력 순서 지정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도 5는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 복수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에 대한 데이터 출력 순서의 지정용 입력화면이 출력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 날씨, 주식, 쇼핑, 게임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리스트 형태로 표시되며, 모바일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이와 같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리스트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데이터를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순번을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식, 날씨, 쇼핑, 게임의 순서로 순번이 정해진 것을 예로 하였고, 또한 순번을 정하는 것은 각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에 대한 터치 순서를 기준으로 순번이 자동 정해지는 방식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가 펜 등을 사용해서 숫자를 입력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별로 사전에 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가진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는 그 디스플레이부(410)에 상기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 각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이름 정보와 제공하는 데이터의 종류 정보가 서로 매칭된 상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이러한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서 각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별로 데이터 제공을 원하는 데이터 종류 정보 항목을 선택함으로써,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실행 시 각 차이들 어플리케이션(120)의 선택된 정보들을 일괄적으로 제공받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주식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및 날씨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예로 하였고, 주식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종류로 코스피, 코스닥, 다우존스, 나스닥 지수에 대한 항목이 표시되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코스피 및 다우존스 지수 항목을 선택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실행 시 해당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또한 날씨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종류로 서울, 경기, 인천, 부산 지역이 표시되고, 이 중에서 사용자가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선택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실행 시 해당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받게 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다시 도 4로 돌아와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은 알람 기능을 통한 푸시 데이터를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하며,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푸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자막이나 소리 형태로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푸시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하단에 자막으로 표시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도 7 및 도 8은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 하단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푸시 데이터가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즉 도 7은 자막 형태로 표시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에 의한 푸시 데이터가 주식 관련 데이터인 것을 예로 한 것이고, 도 8은 자막 형태로 표시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에 의한 푸시 데이터가 날씨 관련 데이터인 것을 예로 한 것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자막 형태로 표시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에 의한 푸시 데이터가 주식 또는 날씨 관련 데이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 화면(410a)의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에 표시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알람 기능에 의한 푸시 데이터는 게임, 쇼핑 정보 등 매우 다양한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모바일 단말기(400)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지며,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400)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를 탑재하고 있어,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100)의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출력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단말기(400)기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바일 단말기(400)는 스마트폰 외에도 테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은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부(410)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동시에 아이콘 형태의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실행 시 그 실행에 따른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아이콘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실행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 증권 관련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출력 시 해당 디스플레이 화면(410a)의 일부 영역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아이콘(110a) 이미지가 삽입되어 함께 표시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는 모바일 단말기(400)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아이콘(110a)을 제작하여 모바일 단말기(400)에 유/무료로 제공한다.
이때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를 통해 제작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들의 아이콘(110a)은 아이콘(110a)의 제작 업체에서 임의 제작 후 모바일 단말기(400)의 사용자에게 유/무료로 제공되는 일방적인 공급 방식일 수 있고, 이와 달리 모바일 단말기(400)의 사용자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에 접속하여 자신이 원하는 아이콘(110a)의 형태를 요청 후 이에 따라 제작된 앱 아이콘(110a)을 제공받는 방식일 수 있으며, 어떠한 방식이던지 아이콘(110a)의 유통망이 형성되는 동시에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를 운영하는 업체는 전세계적인 앱 아이콘 유통 시장을 통해 큰 경제적 이익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모바일 단말기(400)의 디스플레이 화면(410a)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아이콘(110a)이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는 모바일 단말기(400)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선택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무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는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실적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400)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의 아이콘 업그레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해 출력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에는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작한 제조사의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모바일 단말기(400)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유/무료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작한 제조사의 서버 및 통신사 서버(700)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400)를 제작하는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는 광고서버(600)로서 작용할 수 있으며,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역시 모바일 단말기(400)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제공할 수 있는바 광고서버(600)의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해 출력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에는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작한 제조사의 광고 또는 홍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서비스하는 업체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특정 정보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들에게 자사의 홍보 및 광고를 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 연동장치(200) 및 모바일 단말기(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연동장치(20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210) 및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220)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210)과 외부 서버(2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230) 및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데이터 연동장치(200)는 도 2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20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고, 따라서 각 구성 부분에 대해 도 2와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모바일 단말기(800)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지며,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800)는 데이터 연동장치(200)가 탑재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출력되는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800)는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외부 서버(220)와 접속하여 사전 설정된 조건의 데이터만을 필터링하여 저장부(250)에 저장 후 이를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실행 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외부 서버(220)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외부 서버(220) 별로 사전에 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가지며,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800)는 그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은 모바일 단말기(800)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동시에 아이콘 형태의 마더 어플리케이션(210) 실행 시 그 실행에 따른 외부 서버(220)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아이콘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모바일 단말기(800)를 제조하는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 4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다음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데이터 연동장치(300) 및 모바일 단말기(9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데이터 연동장치(300)는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에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과 외부 서버(330), 마더 어플리케이션(310)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340), 마더 어플리케이션(310)과 외부 서버(33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350), 마더 어플리케이션(310)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이 연동 또는 개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3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데이터 연동장치(300)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연동장치(300)와 동일한 구성에 해당하고, 따라서 각 구성 부분에 대해 도 3과 동일 부호를 사용하였다.
모바일 단말기(900)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을 가지며, 이와 같은 모바일 단말기(900)는 데이터 연동장치(300)가 탑재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310)을 통해 출력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320) 및 외부 서버(330)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한다.
그리고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에 포함되는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 광고서버(600), 통신사 서버(700), 단말기 제조사 서버(750)와 그 구성 및 작용이 동일하며,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 4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10 및 도 11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들의 복합 구성에 해당된다.
다음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도 4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따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요소에 대해 도 4 내지 도 10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먼저, 단계(S110)에서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400)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이 실행된다.
이어서, 단계(S12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된다. 그리고 단계(S120)에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을 제작한 제작사의 홍보나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모바일 단말기(400)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홍보나 유/무료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30)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을 통해 처리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400)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130)에서 단계(S120)의 광고나 홍보 데이터들이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함께 외부 출력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은 단계(S110-1)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이 그 실행과 동시에 앱 실행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단계(S110-2)에서 상기 앱 실행신호에 의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실행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10-2)는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140)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을 위한 가상의 운영체제가 실행되어 이러한 가상의 운영체제 상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실행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 이전에, 단계(S140) 내지 단계(S160)이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단계(S14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으로 지정된다.
이어서, 단계(S150)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이 복수 인 경우 각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 별로 그 실행 순번이 정해진다.
이어서, 단계(S160)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실행 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가 사전 설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160)은 사용자가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그리고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제작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놓는 과정 그리고 차일드 어플리케이션(120)의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의 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변경 및 수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과정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 이전에, 단계(S140) 내지 단계(S180)이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먼저, 단계(S14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통신망을 통해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에 접속한다. 이러한 단계(S140)에는 모바일 단말기(400)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15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에 마더 어플리케이션(110)을 표시하는 앱 아이콘의 전송을 요청한다.
이이서, 단계(S160)에서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가 모바일 단말기(400)의 앱 아이콘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앱 아이콘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400)에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S17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앱 아이콘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이어서, 단계(S180)에서 모바일 단말기(4000가 저장된 앱 아이콘을 설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는, 모바일 단말기(400)를 통한 마더 어플리케이션(110) 및 그 앱 아이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앱 아이콘 제공서버(500)에서 앱 아이콘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400)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따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요소에 대해 도 11과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먼저, 단계(S210)에서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800)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이 실행된다.
이어서, 단계(S220)에서 모바일 단말기(800)와 접속된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전송된다. 이때, 단계(S220)은 필터링된 데이터가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과정 또는 필터링된 데이터가 저장부(250)에 저장 후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의 실행 시 제공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단계(S220)에는 외부 서버(220)를 운용하는 업체의 홍보나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모바일 단말기(800)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홍보나 광고의 유/무료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이어서, 단계(S230)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을 통해 처리되는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800)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된다. 그리고 이러한 단계(S230)에서 단계(S220)의 광고나 홍보 데이터들이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함께 외부 출력된다.
그리고, 도 18을 참조하면, 도 17의 단계(S210) 이전에, 모바일 단말기(800)에서 외부 서버(220)의 데이터 중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에 제공되는 데이터 선택을 위해 데이터 필터링 조건이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도 17의 단계(S210) 이전에, 모바일 단말기(800)가 통신망을 통해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마더 어플리케이션(210)을 표시하는 앱 아이콘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와, 앱 아이콘 제공서버가 모바일 단말기(800)의 앱 아이콘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앱 아이콘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800)에 전송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800)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앱 아이콘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와, 모바일 단말기(800)가 저장된 앱 아이콘을 설치하는 단계가 선행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은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로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중 도 16과 동일한 과정인바 별도의 도시는 생략한다.
그리고 이에 기초하여 부연 설명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는, 모바일 단말기(800)를 통한 마더 어플리케이션(210) 및 그 앱 아이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서 앱 아이콘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800)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800)가 앱 아이콘 제공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을 따르며,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 해당 구성요소에 대해 도 12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먼저 단계(S310)에서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다.
이어서, 단계(S320)에서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
이이서, 단계(S330)에서 모바일 단말기와 접속된 외부 서버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된다.
이어서, 단계(S340)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및 외부 서버의 데이터가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된다.
그리고 단계(S320) 및 단계(S330)은 그 순서가 바뀌어도 무방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은 도 13 내지 도 16 및 도 17과 도 18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들의 복합 구성에 해당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9의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사전 지정하는 동시에 연동 중인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사전 설정하고, 이를 통해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실시간 또는 필요 시간에 제공되는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통해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여러 외부 서버의 다양한 정보를 자동 제공받을 수 있고, 이 과정에서 외부 서버를 통해 제공받기 원하는 데이터 종류를 사전 설정하여 해당 데이터를 편리하게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또한,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실행되는 동시에 사전 설정된 데이터를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 업체 및 외부 서버의 운용 업체가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 제공 시 자사의 광고 및 홍보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여 이 광고 및 홍보 데이터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마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다른 데이터들과 함께 출력될 수 있게 함에 따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 업체 및 외부 서버의 운용 업체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과정에서 자사의 홍보 및 유/무료 광고를 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을 무료로 제공할 수도 있게 한다.
또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개인비서 역할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가 이동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됨으로써,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앱 아이콘 유통시장이 형성되고 이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앱 아이콘을 디자인하고 제작하는 업체들은 다양한 디자인의 앱 아이콘을 제공하면서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의 사용자들은 매우 다양한 종류의 앱 아이콘 중에서 기호에 맞는 앱 아이콘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30,40 : 스마트 기기 11,33,41 : 출력부
20,330 : 외부 서버 31,351 : 데이터 통신부
32,352 : 데이터 필터링부 100 :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
110,210,310 : 마더 어플리케이션 120,320 :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130,230 : 데이터 통신부 140,240,360 : 어플리케이션 실행부
141,241, 361 : 가상의 운영체제 150,250,370 : 저장부
200,300 : 데이터 연동장치 340 : 내부 데이터 통신부
350 : 외부 데이터 통신부 400 : 앱 아이콘 제공서버
500 : 광고서버 600 : 통신사 서버
750 : 단말기 제조사 서버

Claims (51)

  1.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그 실행 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연동 실행을 위한 앱 실행신호를 출력하고 연동 실행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데이터를 제공받아 처리하며,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실행신호에 따라 실행되어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해 출력되는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동작하여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저장부에 출력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그 실행 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 외에 상기 저장부의 데이터도 검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제공 데이터의 선택은 상기 스마트 기기의 사용자를 통해 직접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기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간접 설정되는 조건에 따라 선택되거나 또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을 통해 푸시되는 정보가 선택되는 것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선택 과정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을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는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지 않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직접 전달되어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을 통해 푸시(Push)되는 정보가 상기 스마트 기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표시 후 그 클릭을 통해 터치 신호가 입력되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정하기 위한 앱 선택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 실행 과정에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받게 되는 데이터의 종류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전 지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사전 설정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시간 또는 일정한 시간 주기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선택 조건의 해당 데이터를 제공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하거나 또는 접속된 저장부에 저장 후 그 실행 시 상기 스마트 기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기기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제공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마더 어플리케이션;
    상기 스마트 기기에 설치되며 사전의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상기 스마트 기기와 접속되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외부 서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간 및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연동장치.
  17.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그리고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하면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
    상기 어플리케이션 연동장치가 탑재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그 실행 시 앱 실행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앱 실행신호를 통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연동 실행되어 그 전체 실행 데이터 중 사전 선택된 조건의 데이터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들로부터 제공되는 데이터의 출력 순서 지정을 위한 데이터 출력 제어신호 입력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출력 제어신호에 따라 그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출력 순서 지정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은 알람 기능을 통한 푸시 데이터를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알람 기능을 통해 제공되는 푸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 특정 영역 또는 전체 영역을 통해 자막 형태로 표시하거나 스피커를 통해 소리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제공받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별로 사전에 정하기 위한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 및 출력 기능을 가지며,
    상기 모바일 단말기는 그 디스플레이 화면에 상기 데이터 선택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는 동시에 아이콘 형태의 마더 어플리케이션 실행 시 그 실행에 따른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출력 화면에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이미지가 삽입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을 제작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유/무료로 제공하는 앱 아이콘 제공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무료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해당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선택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사용 실적에 따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마더 어플리케이션의 아이콘 업그레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는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 제조사의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유/무료 광고나 홍보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마더 어플리케이션,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사전 설정된 조건에 따라 각각 제공하는 차일드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내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과 외부 서버 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는 외부 데이터 통신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연동 또는 개별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를 포함하는 데이터 연동장치;
    상기 데이터 연동장치가 탑재되며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출력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및 외부 서버의 데이터를 외부에 출력하는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35.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그 실행과 동시에 앱 실행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
    상기 앱 실행신호에 의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앱 실행신호에 의해 해당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는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실행부에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위한 가상의 운영체제가 실행되어 상기 가상의 운영체제 상에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38. 제 35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복수의 어플리케이션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지정되는 단계,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이 복수인 경우 각 차일드 어플리케이션 별로 그 실행 순번이 정해지는 단계,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가 사전 설정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단계가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의 종류가 사전 설정되는 단계에는
    사용자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기 위한 데이터를 선택하는 과정 그리고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를 미리 정해놓는 과정 그리고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자에 의해 미리 정해진 데이터의 선택 상태를 사용자가 변경 및 수정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40.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표시하는 앱 아이콘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앱 아이콘 전송 요청 신호에 따라 앱 아이콘의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앱 아이콘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저장된 앱 아이콘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 접속하여 앱 아이콘의 전송을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가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를 통해 제공되는 복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앱 아이콘을 선택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42.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통한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 및 그 앱 아이콘의 사용 실적에 따라 상기 앱 아이콘 제공서버에서 앱 아이콘의 업그레이드 데이터를 해당 모바일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43.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한 제작사의 홍보나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 또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제조사 또는 가입된 통신사의 홍보나 유/무료 광고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모두가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에 포함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48. 삭제
  49. 삭제
  50. 삭제
  51. 통신 및 컴퓨팅 기능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마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된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모바일 단말기와 접속된 외부 서버의 데이터로부터 사전 선택 조건에 해당되는 데이터만 필터링되어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에 제공되는 단계;
    상기 마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처리되는 상기 차일드 어플리케이션의 데이터 및 상기 외부 서버의 데이터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출력부를 통해 외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방법.
KR1020130005861A 2013-01-18 2013-01-18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01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61A KR101501335B1 (ko) 2013-01-18 2013-01-18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CT/KR2013/000512 WO2014112674A1 (ko) 2013-01-18 2013-01-22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5861A KR101501335B1 (ko) 2013-01-18 2013-01-18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62A KR20140093462A (ko) 2014-07-28
KR101501335B1 true KR101501335B1 (ko) 2015-03-11

Family

ID=5120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5861A KR101501335B1 (ko) 2013-01-18 2013-01-18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1335B1 (ko)
WO (1) WO20141126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04667B (zh) * 2020-04-24 2024-04-02 深圳市欢太科技有限公司 信息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155A (ja) * 1995-09-22 1997-04-04 Hitachi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ブリッジシステム
KR100573037B1 (ko) * 2005-10-20 2006-05-03 (주)인트로모바일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KR20080004040A (ko) * 2006-07-04 2008-01-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설치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71169A (ja) * 2006-09-14 2008-03-27 Softbank Mobile Corp 中継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1155A (ja) * 1995-09-22 1997-04-04 Hitachi Ltd アプリケーション・ブリッジシステム
KR100573037B1 (ko) * 2005-10-20 2006-05-03 (주)인트로모바일 알에스에스 기반의 컨텐츠 추출 서버와 방법 및 그 서버관리 장치, 이를 이용하는 이동통신 단말장치의 대기화면 제공 시스템
KR20080004040A (ko) * 2006-07-04 2008-01-09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단말기의 대기화면에 바로가기 아이콘을 설치하기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8071169A (ja) * 2006-09-14 2008-03-27 Softbank Mobile Corp 中継サーバ及び情報提供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3462A (ko) 2014-07-28
WO2014112674A1 (ko) 2014-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87006B2 (en)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94773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user interface
US10768796B2 (en) Method of displaying user interface on device, and device
US20140026037A1 (en) Creating personalized networked documents
US114553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aving and presenting a state of a communication session
CN104077047A (zh) 用于运行应用的方法和设备
CN110088788B (zh) 数字媒体内容相关事件的个性化日历
JP6302602B2 (ja) チケット情報ディスプレイ方法、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252179A (ja) レコメンド情報評価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評価方法
EP2940607A1 (en) Enhanced search results associated with a modular search object framework
JP6329650B2 (ja) 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0114897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CN109753612B (zh) 问卷显示的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和电子设备
JP2010181966A (ja) レコメンド情報評価装置およびレコメンド情報評価方法
CN115146146A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101501335B1 (ko) 어플리케이션 및 정보 간의 데이터 연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인비서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161821A1 (en) Store Message Integr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219912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video map
KR2021000999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연동을 이용한 개인비서 시스템
US10353968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JP2014081775A (ja) 携帯機器、通信システム及び画面処理方法
US10331746B1 (en) Search and notification procedures based on user history information
WO2018038126A1 (ja) デジタルサイネージシステム
KR101259608B1 (ko) 순위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CN117314585A (zh) 书籍信息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