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212B1 -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 Google Patents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212B1
KR101501212B1 KR1020130128525A KR20130128525A KR101501212B1 KR 101501212 B1 KR101501212 B1 KR 101501212B1 KR 1020130128525 A KR1020130128525 A KR 1020130128525A KR 20130128525 A KR20130128525 A KR 20130128525A KR 101501212 B1 KR101501212 B1 KR 101501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freezing
arcpo20
present
cryoprote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8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한
김일찬
한세종
김성진
강필성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28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2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2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1/00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arts thereof
    • A01N1/02Preservation of living parts
    • A01N1/0205Chemical aspects
    • A01N1/021Preservation or perfusion media, liquids, solids or gases used in the preservation of cells, tissue, organs or bodily fluids
    • A01N1/0221Freeze-process protecting agents, i.e. substances protecting cells from effects of the physical process, e.g. cryoprotectants, osmolarity regulators like onco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2Processes using, or culture media containing, cellulose or hydrolysat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9/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 C12P19/04Polysaccharides, i.e.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five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each other by glycosidic bo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nt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유래의 항동결능을 가지는 세포외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외다당류 및 이를 함유한 항동결 조성물은 저온에서 우수한 세포 보존력을 나타내므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세포 및 조직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냉장 및 냉동 상태로 보호 또는 보존하는데 유용하다.

Description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Cryoprotective Exopolysaccharide from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본 발명은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유래의 항동결능을 가지는 세포외다당체 및 이를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북극과 남극 같은 극한의 기후환경에서는 동결 및 해동의 순환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지역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세포를 손상시키는 이와 같은 프로세스에 적응하여 진화한 것으로 예상된다(Mazur et al ., Science. 168:939-949, 1970).
세포외다당체(EPS)는 미생물에서 생산되는 당분자 단위체로 구성된 고분자 폴리머로서, 균체 외부로 분비되어 균체를 둘러싸 극한의 저온 환경에서도 균체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Decho et al ., Oceano Mar Biolo . 28:73153, 1990), 미생물들은 생물막을 형성하고 있다(Nichols et al ., J App Microbiol . 96:10571066, 2004). 세포외다당체의 물리, 화학 및 유변학적 특성은 분자량 결정하는 폴리머 사슬의 길이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폴리머 길이가 길수록 폴리머 분자 사이의 내부결합이 더욱 커지고, 이는 폴리머의 4차 구조 및 물리적 특성을 결정한다(Sutherland et al ., Biotechnol Adv . 12:393448, 1994). 남극의 토양에서 분리한 진균류인 Phomaherbarum은 분자량이 7.4x106Da인 글루코스 호모사카라이드(glucose homosaccharide)를 분비하며, 이 세포외다당체는 남극 혹한에서 항동결 물질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Selbmann et al ., Res Microbiol . 153:585 592, 2002).
세포의 냉동보존을 위한 항동결 물질로는 글리세롤 및 DMSO가 사용되고 있으며(Hubalek et al ., Cryobiol . 46:205229. 2003), 이외 다른 동결보호제(CPA, cryoprotective agents)들은 높은 독성으로 인해 세포 보존에 적합하지 않다(Fahy et al ., Cryobiol . 23(1):113, 1986). 또한, 트레할로스와 수크로스 같은 탄수화물 CPA들은 세포막 침투와 세포 안정화 역할을 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rowe et al ., Biochim Biophys Acta. 769:141150, 1984). 따라서, 독성이 없고 항동결능이 우수한 새로운 동결방지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북극 해양에서 분리한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균주로부터 세포외다당체를 분리하고, 이를 이용하여 E. coli를 대상으로 동결-해동 시키는 실험 환경에서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세포 생존력 및 보존력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보존법과 비교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포외다당체를 생산하는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상기 균주 유래 세포외다당체 및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가 1.5 : 1.0 : 0.3의 몰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속 균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외다당류 및 이를 함유한 항동결 조성물은 저온에서 우수한 세포 보존력을 나타내므로,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세포 및 조직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를 냉장 및 냉동 상태로 보호 또는 보존하는데 유용하다.
도 1은 북극해에서 분리된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미생물 중 항동결능이 가장 우수한 미생물을 선별하기 위하여 각 미생물의 정제 전 단계의 크루드 세포외다당체 0.5%(w/v) 용액에서 E. coli의 동결-해동을 3번 수행한 후, E. coli의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ArcPo20의 16S rDNA을 기준으로 작성한 슈도알테로모나스 속의 계통도이다.
도 3은 P-ArcPo20의 TMS methyl glycoside 유도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FID 분석 결과이다. 각 피크는 세포외다당류를 구성하는 단당체를 나타낸다(Man: 만노스, Gal: 갈락토스, Glu: 글루코스)
도 4는 실험실에서 배양한 ArcPo20 미생물이 생산한 P-ArcPo20의 퓨리에 변환 적외선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5는 E. coli의 생존율을 정제된 0.5%(w/v) P-ArcPo20과 일반적으로 알려진 보존법인 20%(w/v) 글리세롤에서 비교한 결과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남극 해양에서 분리한 다수의 미생물에서 세포외다당체를 분비하는 미생물을 선별하고, 이 중에서 세포외다당체 생산량과 E. coli에 대한 항동결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하여, 16S rDNA 서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분리된 균주는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IAM14160(T)의 16S rDNA 서열과 100%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슈도알테로모나스 균주로부터 분리한 세포외 다당체는 HPLC를 이용하여 젤침투크로마토그래피, 가스크로마토그래피 및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으로 고유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0.5%(w/v)의 낮은 농도에서 E. coli를 혼합하여 여러 번의 동결-해동 과정을 가하였으나 E. coli에 대한 항동결능을 분석한 결과, 90% 이상의 세포 생존력을 보이는 매우 우수한 항동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가 1.5 : 1.0 : 0.3의 몰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속 균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에 관한 것이다.
본 원의 용어 항동결능은 저온에서 조직 또는 세포내에 얼음결정 형성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능력을 말하며, 항동결능을 가진 기질에 노출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슈도알테로모나스 속 균주는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ArcPo20이며, 1.0x107Da의 분자량을 갖는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항동결용 조성물은 상기 세포외다당체가 0.5(w/v)% 함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항동결용 조성물은 세포, 배아, 인간 또는 동물 유래의 조직, 미생물, 식물체 등을 포함하는 생물학적 시료의 냉장 또는 냉동 상태가 유지되는 동안 시료의 활성이 유지되도록 보호(cryoprotective) 및 보존(cryopreservation)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항동결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세포외다당체 외에 생물학적 시료의 최적의 냉장보존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종래의 시판되는 BSM(balanced salt media), 비전해질, 시트르산, 마그네슘 킬레이트 또는 고분자량의 음이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항동결용 조성물은 세포외다당체 외에 생물학적 시료의 냉장보존 시 발생할 수 있는 아시도시스(acidosis), 세포내 자유라디칼 생성 및 경축(contracture) 방지를 위하여, 완충액, 만니톨 또는 글루타치온 및 글루탐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동결용 조성물은 본 발명의 세포외다당체 외에 생물학적 시료의 최적의 냉동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DMSO,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프로파네디올(propanediol), 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아세트아미드(acetamide) 등의 항동결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동결용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딘, 식물유래 항동결 단백질,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혈청 알부민, 하리드록시에틸 스타치, 피콜, 덱스트란, 젤라틴, 유제품, 지질 운반체, 레시틴 등의 침투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항동결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생물학적 시료를 냉장 또는 냉동시켜 보존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기술을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 할 것이다.
실시예 1: 미생물 분리
북극 척키해(733.3-82.3°N, 173°E-153°W)에서 CTD로 채집한 633가지 다양한 샘플(바닷물, 침전물, 무척추동물 및 저생동물)을 유리섬유필터(pore size 0.7μm, Whatman)에 통과시킨 후, ZoBell 배지(5g peptone, 1g yeast extract, 0.01g FePO4, 15g agar, 750ml 해수, 250 ml DW)에서 25℃로 3일간 배양하였다. 배양후, 점액성 세포외다당체를 생산하는 콜로니만을 선별하여 SZolBell 배지(ZolBell+2% 포도당)에 접종하고 15℃에서 120rpm으로 3일간 진탕 배양하였다. 세포를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층액에 에탄올을 첨가하고 4℃에서 24시간 반응시킨 후, 침전된 세포외다당체를 원심분리로 회수하였다. 회수한 세포외다당체는 동결건조기로 건조 후 건조중량을 측정하였다.
점액성 물질을 생산하는 약 22가지 박테리아를 ZolBell 배지에서 선택하고, 그 중 7개 균주가 항동결능을 가지는 세포외다당체를 생산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높은 항동결 활성을 나타내는 ArcPo20 균주로부터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P-ArcPo20을 분리하였다(도 1). 정제 전 단계의 0.5%(w/v) 크루드 P-ArcPo20에서 3번의 동결-해동 과정을 반복한 E. coli의 생존율은 92.28±1.13% 였지만, 다른 세포외다당체에서의 생존율은 83.85±0.74%~62.36±1.27%인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미생물 동정
실시예 1에서 분리된 미생물에서 DNA를 추출한 후, 보편적인 박테리아 프라이머 27F[5'-GTT TGA TCM TGG CTC AG-3'](서열번호 1)와 1492R[5'-TAC CTT GTT ACG ACT T-3'](서열번호 2)를 사용하여 16S rDNA를 증폭하였다. 여기서 얻어진 PCR 산물은 LaboPass PCR 정제 키트(Cosmogentech)로 정제하여, PCR-프라이머(27F, 1492R) 및 inter-프라이머 518F[5'-CCAGCAGCCGCGGTAATACG-3'] (서열번호 3), 800R[5'-TACCAGGGTATCTAATCC-3'](서열번호 4)을 사용하여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다.
ArcPo20(1400bp) 균주의 16S rDNA 서열은 Advanced BLAST 검색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IAM14160(T)의 16S rDNA 서열과 100% 상동성을 가진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시예 3: P- ArcPo20 세포외다당체의 순수분리 정제 및 특성 분석
3-1: P- ArcPo20 의 순수분리 정제
P-ArcPo20의 순수분리 정제는 Yim et al .,(2004) 방법을 수정한 방법(Yim et al ., Mar Biotechnol . 6:1725, 2007)에 따라 수행하였다.
3-2: 젤침투크로마토그래피
P-ArcPo20의 분자량은 Waters Alliance 2695 HPLC를 이용하여 젤침투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하였다. Shodex GPS 컬럼에 주입하여 0.1M NaCl로 0.4ml/min 속도로 용출시켰다.
GPC 수행결과 세포외다당체의 단일 피크를 얻었고, 세포외다당체의 분자량은 1.0x107Da인 것을 확인하였다.
3-3: 가스크로마토그래피
P-ArcPo20의 당조성은 TMS(trimethylsilyl) 유도체의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하였다. P-ArcPo20에 메탄올 염산(1.25N; Sigma)을 첨가하여 80℃에서 16시간 동안 가수분해된 단당류는 Tri-Sil(Pierce,USA)로 80℃에서 30분간 TMS화 하였다. 시료는 질소가스로 건조시킨 후, 분석하기 위해 핵산에 용해시켰다.
TMS 메틸 글리코시드의 GC/MS 분석은 Clarus 500(Perkin elmer,USA)를 사용하였으며, 샘플 분석 온도 조건은 120℃로 1분간, 다음 180℃에 도달할 때까지 분당 2℃씩 증가시키고, 230℃까지 분당 20℃씩 증가시키는 조건으로 분석하였다. 각 당 조성의 TMS 유도체의 피크 유지시간 및 분자이온조각 패턴은 표준시료에서 측정하였다.
그 결과, ArcPo20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 P-ArcPo20는 3가지 단당체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글루코스, 갈락토스가 가장 풍부하고 만노스는 미량 존재하였다. 각각의 피크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의 유지시간 및 조각패턴을 나타내며, P-ArcPo20의 상대적 몰비는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가 1.5:1.0:0.3으로 확인되었다(도 3).
3-4: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법
FT-IR 적외선 분광법은 기능그룹을 검출하기 위해 KBr 디스크를 사용하며, 2mg 세포외다당체와 200mg KBr의 혼합물을 분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해상도는 4cm-1간격으로 16번 스캔하였고, 400~4000cm-1의 범위를 Thermo NICOLET 6700(Thermo, USA)으로 기록하였다.
그 결과, ArcPo20에 의해 생산되는 세포외다당체의 FT-IR 적외선 분광분석 결과 여러 개의 피크가 관찰 되었다(도 4). 3289cm-1에서 보여지는 피크는 -OH의 스트레칭 및 굽힘에 의한 것이다. 반면, 1026cm-1은 카르복실 그룹의 스트레칭 진동에 의한 것이며, 1629와 1026cm-1 사이에서 다당체의 특이적인 피크들이 나타났다(Nichols et al ., J App Microbiol . 96:10571066, 2004).
실시예 4: P-ArcPo20 세포외다당체의 항동결 활성
본 실시예에서는 P-ArcPo20의 항동결능이 E. coli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P-ArcPo20의 항동결 활성 측정은 동일량의 정제 0.5%(w/v) P-ArcPo20와 E. coli 2x108cell/ml(OD600=0.06) 혼합물을 -80℃에서 30분간 동결시키고, 25℃에서 20분간 해동 후 다시 -80℃로 동결시키는 과정을 1~5번 반복 수행하여 분석하였다. E. coli의 생존율은 형광 접합되어있는 bacterial viability kit(LIVE/DEAD BacLight Bacterial Viability Kits; Molecular Probes, US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측정은 형광리더기(Perkin Elmer, USA)로 485nm/530nm(Emission1, green) 및 485nm/630nm(Emission2, red)에서 수행하였으며, 세포 생존률은 하기의 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세포 생존율(%)=(A/B)x100
A: 동결-해동 수행후 Emission1/Emission2의 형광비
B: 초기 Emission1/Emission2의 형광비
그 결과, 동결-해동 과정을 1~5번 수행하는 동안 E. coli의 생존율의 변화는 95.11±6.61%에서 93.13±10.29%로, 0.5%(w/v) P-ArcPo20에서의 E. coli 생존율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반면, 20%(v/v) 글리세롤에서의 생존율은 65.33±1.17%에서 54.11±4.97%로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5). 이는 기존 시판되는 항동결제에 비해 P-ArcPo20은 0.5%(w/v) 저농도에서 90% 이상의 세포 생존력을 보이는 매우 우수한 항동결능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2506BP 20131023
<1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120> Cryoprotective Exopolysaccharide from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130> P13-B270 <160> 4 <170> KopatentIn 2.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27F <400> 1 agagtttgat cmtggctcag 20 <210> 2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492R <400> 2 ggttaccttg ttacgactt 19 <210> 3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518F <400> 3 ccagcagccg cggtaatacg 20 <210> 4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800R <400> 4 taccagggta tctaatcc 18

Claims (6)

  1. 글루코스, 갈락토스 및 만노스가 1.5 : 1.0 : 0.3의 몰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속 균주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알테로모나스 속 균주는 Pseudoalteromonas tetraodonis ArcPo 20 (KCTC 12506B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외다당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는 1.0x107Da의 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외다당체.
  4. 삭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세포외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동결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포외다당체의 함량은 0.5(w/v)%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동결용 조성물.
KR1020130128525A 2013-10-28 2013-10-28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KR101501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525A KR101501212B1 (ko) 2013-10-28 2013-10-28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8525A KR101501212B1 (ko) 2013-10-28 2013-10-28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212B1 true KR101501212B1 (ko) 2015-03-12

Family

ID=53027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8525A KR101501212B1 (ko) 2013-10-28 2013-10-28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21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802B1 (ko) 2017-05-11 2018-0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seudoalteromonas sp. Strain CY01 균주 유래 세포외다당을 함유하는 동결보호제
KR20220113285A (ko) 2021-02-04 2022-08-12 (주)네오리젠바이오텍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유래의 다당체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79, No.1, pp. 224-230 *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Vol.79, No.1, pp. 224-230*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802B1 (ko) 2017-05-11 2018-01-11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seudoalteromonas sp. Strain CY01 균주 유래 세포외다당을 함유하는 동결보호제
WO2018207988A1 (en) * 2017-05-11 2018-11-15 Alterobiotech Inc. Cryoprotective agent containing exopolysaccharide from pseudoalteromonas sp. cy01
KR20220113285A (ko) 2021-02-04 2022-08-12 (주)네오리젠바이오텍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유래의 다당체 또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64315B (zh) 含有来自假交替单胞菌cy01的外泌多糖的冷冻保护剂
Sharma et al. First report of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hotobacterium damselae subsp. damselae from cage-farmed cobia (Rachycentron canadum)
KR101501212B1 (ko)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테트라오도니스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KR101851656B1 (ko) 세포외다당류를 생산하는 신규 바실러스 소노렌시스 균주 및 세포외다당류의 용도
Suman et al. A novel psychrophilic Janthinobacterium lividum MMPP4 isolated from Manimahesh Lake of Chamba district of Himachal Pradesh, India
CN104212733A (zh) 一种光合细菌冻干保护剂
KR101765843B1 (ko) 항동결능을 가지는 슈도알테로모나스 엘야코비 유래의 세포외다당체
KR101135649B1 (ko) 항동결능을 가지는 신규 세포외다당체
Rachanamol et al. Production of protease showing antibacterial activity by Bacillus subtilis VCDA associated with tropical marine sponge Callyspongia diffusa
Hoshino et al. Temperature sensitivity and freezing resistance among isolates of Typhula ishikariensis from Russia
CN105483008A (zh) 植物乳杆菌固定化制剂制备方法
Subbanna et al. Characterization of antifungal Paenibacillus illinoisensis strain UKCH21 and its chitinolytic properties
Jami et al. First report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pruni on stone fruit trees from Iran
KR101126314B1 (ko) 항동결능을 가지는 신규 세포외다당체
Kim et al. A novel exopolysaccharide (p-CY01) from the Antarctic bacterium Pseudoalteromonas sp. strain CY01 cryopreserves human red blood cells
KR101995513B1 (ko) 플라보박테리움(Flavobacterium) ASB3-3 균주, 이를 통한 엑소폴리사카라이드(Exopolysaccharide, EPS) 및 이의 생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동결용 조성물
KR101121159B1 (ko) 항동결능을 가지는 신규 세포외다당체
RU2779448C2 (ru) Криозащитный агент, содержащий экзополисахарид из pseudoalteromonas sp. сy01
CN114480188B (zh) 一株海洋来源菌株及其在线虫防治中的应用
Rizzo et al. New Trends in Antarctic Bioprospecting: The Case of Cold-Adapted Bacteria
KR100743394B1 (ko) 신규 해양성 박테리아
KR102042523B1 (ko) 락토바실러스 쿠르바투스 WiKim38의 생존율 및 저장안정성 향상을 위한 과냉각 저온 전처리 방법
KR100575522B1 (ko) 옥수수 사일리지 발효용 미생물 첨가제
Nopnakorn et al. Polar Actinomycetes and Their Secondary Metabolites
KR20060136018A (ko) 신규 해양성 박테리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