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022B1 -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022B1
KR101501022B1 KR20130116245A KR20130116245A KR101501022B1 KR 101501022 B1 KR101501022 B1 KR 101501022B1 KR 20130116245 A KR20130116245 A KR 20130116245A KR 20130116245 A KR20130116245 A KR 20130116245A KR 101501022 B1 KR101501022 B1 KR 101501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ata
navigation safety
monitoring
data
safety fac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6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문주
손우람
이동일
이창희
최도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공항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공항공사 filed Critical 한국공항공사
Priority to KR20130116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0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2Automatic approach or landing aids, i.e. systems in which flight data of incoming planes are processed to provide landing data
    • G08G5/025Navigation or guidance aid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04Transmission of traffic-related information to or from an aircraf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5/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aircraft, e.g. air-traffic control [ATC]
    • G08G5/0073Surveillance a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 복수의 항행안전시설이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고,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고,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하고,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고,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

Description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NAVAIDS DATA}
본 발명은 항행안전시설(NAVigation AIDS, NAVAIDS)의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항행안전시설은 전파, 불빛, 색채 및 형상 등을 통해 항공기의 항행을 보조하고 원조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시설들을 통칭한다. 항공기가 공항을 이륙하여 항행하고 다시 공항에 착륙하는 모든 과정에서 항행안전시설이 이용되며, 이러한 항행안전시설의 이용과 도움을 통해 조종사는 저시정 상태에서도 항공기를 안전하게 운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항행안전시설은 전파를 이용하는 항행안전무선시설, 불빛을 이용하는 항공등화시설, 음성으로 정보를 송수신하는 항공관제통신시설로 구분될 수 있다.
그 중, 항행안전무선시설은 지상에 설치된 각종 전파 장비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이륙, 운항, 착륙하기까지 모든 과정에서 항공기에 필요한 정보를 전파(주파수)로 제공하는 시설이다. 항행안전무선시설은 항공기의 위치, 고도, 속도, 편명 등의 정보를 관제사가 알 수 있도록 하고, 착륙 시에는 지상에서 발사된 전파가 항공기 계기에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항공기의 자동 착륙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항행안전무선시설로는 방위각시설(Localizer, LLZ), 활공각시설(Glide Path, GP), 마커 비콘(Marker Beacon), 거리측정시설(Distance Measuring Equipment, DME), 전방향표지시설(VHF Omnidirectional radio Range, VOR), 레이더(Rader), 전술항법시설(TACtical Air Navigation system, TACAN), 및 무지향표지시설(Non-Directional radio Beacon, NDB)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항공기가 항행안전무선시설을 이용하여 착륙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항공기가 목적지 공항을 찾고자 하는 경우, 목적지 공항에 설치된 전방향표지시설(VOR) 및 거리측정시설(DME)로부터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목적지 공항 위치를 확인하고 해당 방향으로 항행한다. 참고로, 목적지 공항의 최종접근지역에서부터는 항공기가 활주로와 일직선으로 진입하여야 하므로, 항공기는 활주로 중심선을 표시하는 방위각시설(LLZ)로부터 전파를 수신하여 확인한다.
그리고, 항공기가 활주로 전방의 일정 지점에 설치된 다수의 마커 비콘의 상공을 지나갈때 마커 비콘에서 발사된 전파를 수신하여 공항 착륙지점까지의 거리를 알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한 지점에서 착륙을 시도하게 된다. 참고로, 항공기와 공항 간의 거리를 알려주는 시설로는 마커 비콘 이외에도 거리측정시설(DME)이 이용될 수 있다. 마커 비콘을 이용할 경우 항공기가 마커 비콘의 상공을 지날 때에만 거리를 알 수 있으나, 거리측정장치(DME)를 이용할 경우 항공기가 마커 비콘에 비해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가 넓어 정보 수신 가능성이 높다.
또한, 항공기가 착륙할 때에는 일정한 각도로 고도를 낮추어야하는데, 항공기는 이러한 활공각도의 정보를 활공각시설(GP)로부터 전파로 수신하여 적합한 각도로 착륙하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방위각시설(LLZ), 활공각시설(GP), 마커 비콘(또는 거리측정시설)을 이용하여 항공기의 착륙을 유도하는 것을 계기착륙이라 하며, 이러한 세 시설을 합하여 계기착륙시설(Instrument Landing System, 이하 ‘ILS’라고 지칭함)이라고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일본공개특허 제2012-026913호(발명의 명칭: ILS 장치)는, 계기착륙 표지시설(ILS)의 원격감시를 통해 항공관제업무를 용이하게 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다양한 시설에서 웹과 모바일 간 데이터 통신 등의 기술을 활용하여 편리한 감시 환경이 구축되고 있다. 그러나, ILS 등의 항행안전시설과 같은 국가기반시설은 제어권에 대한 보안이 매우 중요하므로, 외부 네트워크와 철저히 차단된 내부 네트워크를 이용한 감시가 이루어져 왔다.
이는, 항행안전시설 내부 네트워크의 정보를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고자할 때 보안상으로 큰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내부 네트워크와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회선 접속 방식 등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과 외부 네트워크 간에 유/무선 통신망을 연결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방식을 항행안전시설에 적용할 경우, 내부 네트워크과 외부 네트워크 사이에 회선 접속 시 시설 제어권에 대한 해킹 등의 위험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방법으로는, 사용자가 내부 네트워크 상의 데이터를 웹 서버에 일일히 직접 입력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웹 서버에 접속한 외부 네트워크의 장치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직접 입력을 통한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식은, 각 시설에 대한 정보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되어야하는 항행안전시설에서는 사용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ILS 등의 항행안전시설들에 대한 제어권을 보호하면서도, 항행안전시설의 내부 네트워크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로 제공하여,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항행안전시설을 원격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항행안전시설의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로 제공하여 항행안전시설을 원격으로 관리하되, 항행안전시설의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성을 보장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복수의 항행안전시설과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 및 상기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상기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고,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를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통한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은, (a) 복수의 항행안전시설이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는 단계; (d) 상기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 (e) 상기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상기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는 단계; (f) 상기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ILS 등의 항행안전시설의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를 통한 정보 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서버에 업로드함으로써, 항행안전시설의 내부 네트워크와 서버 간에 직접적인 연결을 단절시켜, 서버를 통한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비정상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항행안전시설의 내부 네트워크에 대한 보안성을 보장하면서도, 항행안전시설의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다수의 항행안전시설의 감시 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별로 해석하여 통합 관리할 수 있어, 관제사가 항행안전시설의 통합된 감시 정보 데이터들을 신속하고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어 관제 효율 및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ILS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은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 및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를 포함한다.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항행안전시설(200)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감시 메시지로부터 추출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 형태로 변환하여 표출한다. 참고로, 내부 네트워크에는 복수의 종류의 항행안전시설(200)이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 1에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200)은 항행안전무선시설, 항공등화시설 및 항공관제통시시설에 포함된 각각의 시설과, 이러한 각 시설을 제어 또는 감시하는 감시 제어 장치들을 포함한다.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는 표출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고, 인식한 시각 코드에 따른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외부 단말(이하, ‘사용자 단말’이라고 지칭함)로 제공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로부터 제공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형식으로 화면 상에 출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 등이 탑재된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은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에 유/무선 통신을 통해 접속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에서는, 항행안전시설(200)의 내부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된 데이터를 시각 코드화하여 비회선 방식으로 서버 상에 업로드한 후, 서버가 업로드된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에 접속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함으로써, 외부 네트워크의 내부 네트워크로의 비정상적 접근을 차단할 수 있다. 즉, 항행안전시설의 내부 네트워크와 감시 정보 데이터를 처리하는 서버를 회선적으로 분리시켜, 서버를 통해 외부 네트워크로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각종 감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하면서도, 외부 네트워크의 회선을 통한 내부 네트워크로의 침입은 차단하여, 항행안전시설의 제어권 등에 대한 보안성을 보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먼저, 도 2에서와 같이,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감시 메시지 수신 모듈(111), 데이터 통합 모듈(112), 데이터베이스(113) 및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을 포함한다.
감시 메시지 수신 모듈(111)은 항행안전시설(200)에 포함된 시설(예를 들어, 계기착륙시설(ILS) 등)을 감시 및 제어하는 시설 감시제어장치(11)로부터 해당 시설에 대한 감시 메시지(도 3에서는, ‘항행안전시설 감시 메시지’라고 나타냄)를 수신한다.
그리고, 감시 메시지 수신 모듈(111)은 적어도 하나의 시설 감지제어장치(11)로부터 수신된 감시 메시지를 데이터 통합 모듈(112)로 전달한다. 참고로, 감시 메시지는, 항행안전시설(200)에 포함된 각 시설에서 처리해야할 동작에 대한 설정 정보, 각 시설이 설정된 동작을 처리한 결과 정보, 및 시설 상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감시 메시지 별로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리고,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항행안전시설(200) 별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로 전달한다. 참고로, 감시 메시지 수신 모듈(111)이 수신한 감시 메시지들은, 각 시설 감시제어장치(11)가 담당한 시설의 종류 및 제조사 별로 상이한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 형식을 갖는다.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상이한 종류의 항행안전시설(200) 또는 동일한 종류일지라도 제조사가 상이한 항행안전시설(200)에 대한 감시 메시지들을 수신하여 각각의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이에 따라,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다양한 물리적 통신 접속 방식 및 개별 데이터 프로토콜(예를 들어, OSI 7 Layer의 Layer 1, Layer 2, Layer 3계층 중 어느 하나에서 분석되는 프로토콜)에 따른 감시 메시지를 개별적으로 분석할 수 있어, 항행안전시설(200) 별 감시제어장치가 어떤 통신 방식 및 데이터 형식(프로토콜)을 사용하더라도 모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동일 시설 또는 모든 종류의 시설 별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항행안전시설 중 ILS(미도시)에 대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합할 수 있다.
참고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ILS 기술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ILS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공기(5)의 정밀 접근 및 착륙을 위한 신호를 측정 및 제공하는 ILS는, 활주로(4) 중심선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위각시설(LLZ)(1), 활공각 정보를 제공하는 활공각시설(GP)(2), 및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마커 비콘(Marker Beacon)(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방위각시설(1)은 지상에 설치된 송신기와 항공기(5)의 수신기가 한 쌍이 되어 구성된다. 예를 들어, 송신기가 108~112Mhz의 주파수 반송파를 이용하여 90Hz, 150Hz의 신호로 오디오 신호를 변조해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면, 항공기(5)의 수신기가 이를 수신하여 90Hz, 150Hz의 신호가 나타나는 지점이 착륙 시 수평진입경로가 되게 함으로써, 활주로(4)에 접근하는 항공기(5)에 활주로(4) 중심선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활공각시설(2)은 방위각시설(1)과 유사하게 항공기(5)의 착륙 시 수직진입경로의 정보를 제공해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시설이며, 활주로(4)에 착륙하기 위하여 접근중인 항공기(5)에게 가장 안전한 착륙각도(예를 들어, 가장 적합한 각도인 3˚)의 활공각 정보를 제공한다. 마커 비콘(3)은 항공기(5)가 항공로 또는 계기비행 중에 조종사에게 특정 지점의 통과를 알리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며 지상의 마커 비콘(3)과 항공기(5)의 수신기로 구성된다.
이때, 시설 감시제어장치(설명의 편의상 ‘ILS 감시제어장치’라고 지칭함)(11)는 ILS의 동작을 제어하고 ILS가 설정된 동작을 처리한 결과 상태를 감시하는 장치로서, 예를 들어 RCSU(Remote Control and Status Unit) 및 RMMS(Remote Maintenance and Monitoring System)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ILS 감시 제어 장치(11)에는 인터록 제어 기능이 포함될 수 있다. 인터록 제어 기능은, 양방향으로 사용되는 활주로 상에서 항공기 간 추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활주로를 어느 한쪽 방향에서 사용할 경우 다른 한쪽 방향에서는 사용할 수 없도록 인터록 설정을 하는 기능이다. 이때, ILS 감시제어장치(11)는 담당 ILS가 사용하지 않는 활주로 운용 방향으로 계기 착륙을 유도하는 시설인 경우, 해당 ILS가 출력하는 전파 신호를 오프(off)시키는 인터록 제어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ILS 감시제어장치(11)가 전송한 감시 메시지에는 인터록 방향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ILS 감시제어장치(11)에 인터록 제어 기능이 포함되지 않을 경우, 항행안전시설(200)에 별도의 인터록제어장치(미도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인터록제어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ILS 감시제어장치(11)와 연결되어 각 ILS의 인터록 설정을 제어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어느 하나의 종류의 시설(예를 들어, ILS)에 대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복수의 종류의 시설들의 감시 정보 데이터를 모두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ILS에 대한 감시 메시지와 더불어, 항행안전시설(200) 중 항공등화시설(미도시)에 대한 감시 메시지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항행안전시설(200) 중 항공등화시설의 동작을 제어하고 동작 처리 결과를 감시하는 시설 감시제어장치(11)로부터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러면,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ILS 및 항공등화시설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각각 설정된 프로토콜로 해석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 후, 해당 항행안전시설 별로 추출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는 복수의 종류의 시설들에 대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할 수 있다.
참고로, 항공등화시설은 등화 수단을 통해 항공기의 이/착륙에 필요한 정보를 표시하는 시설이다. 이러한 항공등화시설은 항공로 등화시설, 비행장 등화시설, 항공 장애물 등화시설, 항공기 등화시설로 분류된다.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항공등화시설 중 비행장 등화시설은 ILS와 더불어 활주로 상(예를 들어, 활주로 주변 및 내부 등)에 설치되며, 진입등대, 진입로 지시등, 착륙방향 지시등, 활주로 유도등, 정밀 진입각 지시등 등의 다양한 등화 수단을 통해 표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통합 모듈(112)은 추출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각 항행안전시설(200) 별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113)에 저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베이스(113)는 저장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로 전달한다.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은 수신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고,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화면 및 프린터기 등)을 통해 표출한다.
이때,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은 항행안전시설(200) 별 감시 정보 데이터(즉,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1차원 바코드, 2차원 코드(예를 들어, QR(Quick Response) 코드, 매트릭스 코드, 맥시 코드 또는 칼라 코드 등) 및 동영상 코드 등의 시각 코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는 시각 코드 인식 모듈(121),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122), 데이터베이스(123) 및 데이터 제공 모듈(124)를 포함한다.
시각 코드 인식 모듈(121)은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110)의 시각 코드 변환 모듈(114)이 출력 수단 상에 표출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예를 들어, 코드 리더기 및 카메라 등)을 통해 인식한다. 참고로,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에 상기 인식 수단으로서 카메라가 연결된 경우, 시각 코드 인식 모듈(121)은 카메라로 촬영된 상기 표출된 시각 코드의 이미지를 기설정된 이미지 처리를 통해 해독하여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시각 코드 인식 모듈(121)은 인식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디코딩 방식으로 해독 처리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고, 복원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122)로 전달한다.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122)은 복원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항행안전시설 별로 매칭하여 업데이트한다. 구체적으로, 데이터 업데이트 모듈(122)은 감시 정보 데이터가 복원될 때마다 최신의 정보로서 데이터베이스(123)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거나 데이터 제공 모듈(124)로 전달한다.
데이터 제공 모듈(124)은 수신된 항행안전시설 별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한다.
이때, 데이터 제공 모듈(124)은 기설정된 주기마다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감시 정보 데이터(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 또는 요청된 감시 정보 데이터 등)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제공 모듈(124)은 감시 정보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웹 페이지를 사용자 단말(300)로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120)는 웹 서버일 수 있으며, 웹 사이트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300)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는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로, 데이터 제공 모듈(124)은 사용자(예를 들어, 시설 관리자 등)가 시설 감시제어장치(11)를 통해 해당 시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항행안전시설(200) 별 감시 정보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는 입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 웹 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100)을 통한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하나 이상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한다(S510).
이때, 복수의 항행안전시설이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감시 메시지를 수신한다.
그런 다음, 수신된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S520).
이때, 감시 메시지는 항행안전시설의 종류 및 제조사 등의 조건에 따라 상이한 프로토콜에 따른 메시지 형식으로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감시 메시지 별로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런 후, 추출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한다(S530).
한편,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화하기에 앞서, 항행안전시설 별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시각 코드 형태로 인코딩한다.
다음으로,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한다(S540).
그런 다음,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고(S550),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한다(S560).
그런 후, 복원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한다(S570).
한편, 복원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기에 앞서, 감시 정보 데이터를 항행안전시설 별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 저장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검출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57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및/또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감시 정보 데이터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감시 정보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S570)에서, 해당 감시 정보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11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
12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
200: 항행안전시설
300: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항행안전시설과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여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고, 상기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 및
    상기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상기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고, 상기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고,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는,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는,
    상기 감시 메시지 별로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는,
    상기 항행안전시설 별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시각 코드의 형태로 변환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는,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항행안전시설 별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되,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처리 서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각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장치는,
    복수의 종류의 상기 항행안전시설 중 계기착륙시설(Instrument Landing System, ILS)을 감시 및 제어하는 ILS 감시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9.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통한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에 있어서,
    (a) 복수의 항행안전시설이 연결된 내부 네트워크를 통해 하나 이상의 항행안전시설 감시제어장치로부터 항행안전시설의 동작 상태에 대한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b) 상기 감시 메시지로부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c)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기설정된 시각 코드의 형태로 인코딩하는 단계;
    (d) 상기 인코딩을 통해 생성된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출력 수단을 통해 표출하는 단계;
    (e) 상기 출력 수단 상에 표출된 상기 시각 코드를 기설정된 인식 수단을 통해 인식하는 단계;
    (f) 상기 인식한 시각 코드를 디코딩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로 복원시키는 단계; 및
    (g)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g) 단계는,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웹 페이지 형태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웹 페이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감시 메시지 별로 기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해석하여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추출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 이전에,
    상기 항행안전시설 별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통합하여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c) 단계는,
    상기 통합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시각 코드 형태로 인코딩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 이전에,
    상기 복원시킨 감시 정보 데이터를 항행안전시설 별로 매칭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업데이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g) 단계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및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요청을 수신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감시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4. 삭제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설정된 시각 코드는 QR(Quick Response) 코드인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복수의 종류의 상기 항행안전시설 중 계기착륙시설(Instrument Landing System, ILS)을 감시 및 제어하는 ILS 감시제어장치로부터 상기 감시 메시지를 수신하는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방법.
KR20130116245A 2013-09-30 2013-09-3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50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245A KR101501022B1 (ko) 2013-09-30 2013-09-3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6245A KR101501022B1 (ko) 2013-09-30 2013-09-3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022B1 true KR101501022B1 (ko) 2015-03-10

Family

ID=53027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6245A KR101501022B1 (ko) 2013-09-30 2013-09-30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02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5540A (zh) * 2015-10-21 2016-01-06 杨珊珊 无人飞行器的飞行区域监控装置及其监控方法
KR101932836B1 (ko) * 2017-02-28 2018-12-2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항행안전무선시설의 테스트 베드 시스템
KR20190132042A (ko) * 2018-05-18 2019-11-27 김태진 항행 안전 시설의 오류 검증 및 운영 분석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186A (ja) * 1996-11-21 1998-06-09 Casio Comput Co Ltd 伝達情報処理装置
KR20050006097A (ko) * 2004-12-08 2005-01-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암호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마스터국 및 사용자국,그리고 그들을 이용한 보안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74907B1 (ko) * 2011-02-01 2011-10-18 성환도 선박운항관제시스템
KR20130079461A (ko) * 2013-05-27 2013-07-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메시지 전달 방법과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4186A (ja) * 1996-11-21 1998-06-09 Casio Comput Co Ltd 伝達情報処理装置
KR20050006097A (ko) * 2004-12-08 2005-01-1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암호화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마스터국 및 사용자국,그리고 그들을 이용한 보안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1074907B1 (ko) * 2011-02-01 2011-10-18 성환도 선박운항관제시스템
KR20130079461A (ko) * 2013-05-27 2013-07-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차원바코드를 이용한 멀티미디어메시지 전달 방법과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25540A (zh) * 2015-10-21 2016-01-06 杨珊珊 无人飞行器的飞行区域监控装置及其监控方法
KR101932836B1 (ko) * 2017-02-28 2018-12-26 한국항공대학교산학협력단 항행안전무선시설의 테스트 베드 시스템
KR20190132042A (ko) * 2018-05-18 2019-11-27 김태진 항행 안전 시설의 오류 검증 및 운영 분석 장치 및 방법
KR102066240B1 (ko) 2018-05-18 2020-01-14 김태진 항행 안전 시설의 오류 검증 및 운영 분석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0810B2 (en) Drone encroachment avoidance monitor
US10302759B1 (en)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broadcast (ADS-B) system with radar for ownship and traffic situational awareness
US9405005B1 (en) Automatic dependent surveillance broadcast (ADS-B) system for ownership and traffic situational awareness
RU2692306C2 (ru) Система сопровождения для беспилотных авиационных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US20150260824A1 (en) Unmanned aerial system drone situational awareness flight safety and tracking system
US5629691A (en) Airport surface monitoring and runway incursion warning system
US7479925B2 (en) Airport runway collision avoidance system and method
ES2362084T3 (es) Sistema y método de vigilancia y para evitar colisiones.
US10127821B2 (en) Aircraft systems and methods to improve airport traffic management
US11176833B1 (en) Flight management system and flight plan alert integration systems and methods
CN105280025A (zh) 用于提供供机场离场和到达程序使用的飞行器显示的飞行器显示系统和方法
CN105511491B (zh) 一种无人机驱赶装置及方法
US11132909B2 (en) Drone encroachment avoidance monitor
US20130265187A1 (en) System and method for ensuring ads-b integrity of departing aircraft
KR101501022B1 (ko)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1819610A (zh) 用于无人驾驶飞行器和载人飞行器的空中态势信息和交通管理系统
KR101314159B1 (ko) 플롯 추출, 트래킹 시스템 및 방법
KR101504694B1 (ko) 항행안전시설 데이터 통합 감시 시스템 및 방법
EP2899508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graphically displaying intruder incorrect barometric setting
Arteaga et al. µADS-B Detect and Avoid Flight Tests on Phantom 4 Unmanned Aircraft System
US20190287413A1 (en) Aircraft position communication system
Marques et al. Sense and avoid implementation in a small unmanned aerial vehicle
Radišić et al. Challenges and solutions for urban UAV operations
RU2609625C2 (ru) Способ организации воздушного дви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бортового глонасс/gps-оборудования и gsm/gprs сетей в воздушном пространстве классов c, g
KR101228086B1 (ko) 레이더 비디오 분배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