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741B1 -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 Google Patents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741B1
KR101500741B1 KR1020080090270A KR20080090270A KR101500741B1 KR 101500741 B1 KR101500741 B1 KR 101500741B1 KR 1020080090270 A KR1020080090270 A KR 1020080090270A KR 20080090270 A KR20080090270 A KR 20080090270A KR 101500741 B1 KR101500741 B1 KR 10150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bile terminal
frame
frame image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02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1264A (ko
Inventor
유혜진
박준석
이동석
김문주
Original Assignee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filed Critical 옵티스 셀룰러 테크놀로지, 엘엘씨
Priority to KR10200800902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741B1/ko
Priority to US12/423,769 priority patent/US8564618B2/en
Priority to EP09006227.4A priority patent/EP2163966A3/en
Priority to CN200910141125A priority patent/CN101674410A/zh
Publication of KR20100031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1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3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computer
    • G06F2200/1637Sensing arrangement for detection of housing movement or orientation, e.g. for controlling scrolling or cursor movement on the display of an handheld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12.5D-digitiser, i.e. digitiser detecting the X/Y position of the input means, finger or stylus, also when it does not touch, but is proximate to the digitiser's interaction surface and also measures the distance of the input means within a short range in the Z direction, possibly with a separate measurement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 이미지와 상기 영상 이미지와 오버랩(overlap)되게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이 된 경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사용자는 손쉽게 적용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프레임, 카메라, 이동 단말

Description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MOBILE TERMINAL HAVING A CAMERA AND METHOD FOR PHOTOGRAPHING PICTURE THEREOF}
본 발명은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 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이동 단말기는 무선인터넷 기능과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의 표시화면의 크기가 커지고 고화질의 영상도 표시할 수 있게 되 었으며, 그에 따라 카메라의 성능 또한 점차 발달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는 촬영 시 화이트 밸런스, 특수 효과 촬영,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 등 다양한 촬영 기능이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와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에 디스플레이부는 이동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선택하였을 경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와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에 상관없이 동일한 방향의 프레임 이미지만을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영상 촬영 환경을 설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적용 시킬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임의 선택한 프레임 이미지를 편집하여, 촬영된 영상을 작성 관리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최적의 프레임 이미지를 보다 손쉽게 검색할 수 있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은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 이미지와 영상 이미지와 오버랩(overlap)되게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고,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적용 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이산적(discrete)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영상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이미 촬영이 완료되어 저장된 영상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 상에 영상 이미지와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을 표시하고, 프레임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게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목록을 표시할 때,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색이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는 휘도, 명도, 채도, 색조, 색상,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최적의 프레임 이미지를 보다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 가능하며,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은 동시에 발생하는 복수개의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위치는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방향, 위치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편집할 수 있으므로, 보다 다양한 프레임 이미지를 촬영된 사진에 적용시킬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는 영상 이미지와 프레임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게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사용자가 손쉽게 적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프레임 이미지를 촬영된 영상에 맞게 크기, 위치, 방향 등을 편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 이미지 삽입 기능을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영상 이미지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보다 손쉽게 검색하여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를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
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 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일 지점(개체)이(?)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관한 정보와, 상기 거리 정보가 측정된 시간에 관한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거리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일 시간에 일 지점에 대한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위치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나아가,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 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되고 있다.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하고 그를 이용하여 속도 정보를 산출하기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부(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 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투명 LC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약칭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 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 및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에 의한 자극에 의한 효과,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피부 표면을 스치는 자극에 의한 효과, 전극(eletrode)의 접촉을 통한 자극에 의한 효과, 정전기력을 이용한 자극에 의한 효과,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 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그러한 실시예들이 제어부(18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절차나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별개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함께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 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부(121), 사용자 입력부(130/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부(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16 및 117)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16)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17)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부(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부(121')는 카메라부(1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부(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부(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부(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부(121,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부(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3)는 카메라부(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부(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음향 출력부(152,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24)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 도 1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24)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는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터치 패드(13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 또한 디스플레이부(151)와 마찬가지로 광 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디스플레이부(151)가 양면에서 시각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면, 터치 패드(135)를 통해서도 상기 시각 정보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양면에 출력되는 정보는 상기 터치 패드(135)에 의해 모두 제어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터치 패드(135)에는 디스플레이가 추가로 장착되어, 리어 케이스(102)에도 터치 스크린이 배치될 수도 있다.
터치 패드(135)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관련되어 작동한다.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드(135)는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하거나 작은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도 3a 및 3b를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의 서로 연관된 작동 방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도 3a는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통해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151a)과 입력창(151b)이 각각 표시된다. 입력창(15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15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15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151a)에 표시된다. 제1조작부(116)가 조작되면 출력창(15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된다.
도 3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을 통하여 소프트키에 가해진 터치를 입력받는 것을 나타낸다. 도 3a가 단말기 바디를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라면, 도 3b는 단말기 바디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는 단말기 바디의 배치 방향에 따라 출력 화면이 변환되도록 구성될 수 있 다.
도 3b는 이동 단말기에서 텍스트 입력 모드가 작동되는 것을 나타낸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출력창(135a)과 입력창(135b)이 표시된다. 입력창(135b)에는 문자, 기호, 숫자들 중 적어도 하나가 표시된 소프트키(135c)들이 복수로 배열될 수 있다. 소프트키(135c)들은 쿼티(QWERTY)키의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터치 패드(135)를 통하여 소프트키(135c)들이 터치 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문자, 숫자, 기호 등이 출력창(135a)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터치 패드(135)를 통한 터치 입력은 디스플레이부(151)을 통한 터치 입력에 비하여 터치시 소프트키(135c)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패드(135)가 투명하게 형성되는 경우에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위치한 손가락들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입력 방식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를 스크롤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및 터치 패드(135)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 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부(151) 또는 터치 패드(135)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근접 센서(141)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 등과 같은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근접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 내부 또는 근방에 배치된 상기 근접센서(141)가 이를 감지하여 근접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근접 터치되는 포인터와 상기 터치스크린 간의 거리(이하 "근접 깊이"라고 함)에 따라 서로 다른 근접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에 포인터가 접근할 때 근접신호가 출력되는 거리를 검출거리라고 하는데, 간단하게는 상기 검출거리가 서로 다른 근접센서를 복수로 사용함으로써 각 근접센서에서 출력되는 근접신호를 비교하면 상기 근접 깊이를 알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컨대 3개의 근접 깊이를 감지할 수 있는 근접 센서가 배치된 터치스크린의 단면이 예시되고 있다. 3개 미만 또는 4개 이상의 근접 깊이를 감지하는 근접 센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완전히 접촉되는 경우(d0)에는 접촉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1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1 거리 이상 d2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2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2 거리 이상 d3 거리 미만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 3 근접 깊이의 근접 터치로 인식된다. 그리고,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d3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에는 근접 터치가 해제된 것으로 인식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포인터의 터치스크린에 근접한 정도 대한 근접거리 및 근접 위치 등에 따라 상기 근접 터치를 다양한 입력 신호로 인식할 수 있고, 상기 다양한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동작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컴퓨터는, 단말기의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부(121)는 조리개 조절부(124), 타이밍 발생부(125), CCD(126), 아날로그 처리부(127), A/D 컨버터(128) 및 화상 처리부(129)를 포함한다.
조리개 조절부(124)는 카메라 렌즈(121-1)로 입사 광량을 조절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부(125)는 카메라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타이밍을 발생한다.
CCD(Charged Coupled Device, 126)는 카메라 렌즈(121-1)를 통해 들어오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이미지 센서이다.
아날로그 처리부(127)는 CCD(126)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래치하여 더블 샘플링(double sample)하며, 이득 플레어(flare) 및 세이딩 보정 그리고 전위감마보정을 실행하여 아날로그처리 영상신호를 출력한다.
A/D컨버터(128)는 아날로그 처리 영상신호를 디지털 형태로 변환한다.
화상 처리부(129)는 A/D 컨버터(129)로부터 영상신호를 입력받아 화이트 발란스, 딜러보정, 데이터 검출, 감마보정 등 여러가지 화상 처리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부(129)는 각종 처리된 영상데이터를 압축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인 이동 단말기(100)의 카메라부(121)의 구성요소이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동작하고 해당 영상신호들은 프레임 단위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다.
또한,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에서 파노라마 사진 촬영 동작을 위한 동작 프로그램 및 관련 정보들을 저장하며, 필요시 제어부(180)로 이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이미지 및 프레임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과, 이를 구현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영상 이미지(210)를 표시한다[S610].
상기 영상 이미지(210)는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현재 촬영할 프리뷰 이미지일 수 있으며, 이미 촬영이 완료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 일 수 있다.
또한, 도 7a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이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에 해당하므로, 출력 화면 상에 영상 이미지 또한 가로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영상 이미지(210) 상에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220)을 표시한 후, 상기 프레임 목록(220) 중 특정 프레임 이미지를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선택한다[S620].
여기서,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220)을 미리보는 축소 화상 형식인 썸네일(Thumbnail) 방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Frame)이란 이동 단말기 내부에서 인식할 수 있는 화면상의 특정 영역을 표시하기 위한 좌표 영역을 말하고, 프레임 이미지(Frame Image)란 프레임이 이미 삽입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촬영하기 위한 기본 이미지를 말한다.
이러한, 프레임 이미지는 사용자가 직접 제작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다른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획득한 프레임 이미지는 메모리(160)에 저장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목록(220)은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표시된 영상 이미지(210)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을 분석하여,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에 따른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을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220)을 우선순위로 하여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은 영상 이미지의 휘도, 명도, 채도, 색조, 색상, 선명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표시된 영상 이미지(210)의 색상이나 채도를 분석해 본 결과, 청색 계열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판단되는 경우, 프레임 목록(220)에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색상 계열도 청색계열을 우선순 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이미지(210)의 색상 등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들이 우선적으로 표시된 프레임 목록(2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프레임 이미지를 검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주로 선호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우선순위로 하여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랜덤(random)하게 프레임 이미지를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프레임 목록(220)의 표시 방식은 사용자의 설정 등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한편,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들은 사용자의 소정의 동작, 예를 들어, 터치-앤-드래그(touch-and-drag) 동작을 통해 변경되어 표시되거나, 소정의 방향 키 등을 통해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선택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테두리는 하이라이트 될 수 있다.
이 후,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소정의 동작을 통해 선택되면,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는 영상 이미지(210) 상에 오버랩되어 표시된다.
이후, 도 7d를 참조하면, 영상 이미지(210)상에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가 적용된 경우, 사용자의 소정의 동작을 통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프레임 목록(220)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영상 이미지(210)상에 프레임 이미지(230)를 오버랩하여 표시하기 위해, 프레임 목록(220)을 사용하여 프레임 이미지(230)를 선택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b 및 도 7c의 과정을 생략하고 바로 도 7d의 상태로 디스플레이부(151)에 프레임 이미지(230)를 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정의 키 입력, 예를 들어, 방향키등의 조작을 통해 프레임 목록(220)의 표시없이 프레임 이미지(230)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표시된 영상 이미지(210)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을 분석하여,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230)를 우선순위로 검색가능하게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은 영상 이미지의 휘도, 명도, 채도, 색조, 색상, 선명도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상에 표시된 영상 이미지(210)의 색상이나 채도를 분석해 본 결과, 청색 계열에 해당하는 이미지로 판단되는 경우, 우선적으로 표시되는 프레임 이미지들의 색상 계열도 청색계열을 우선순위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영상 이미지(210)의 색상 등에 적합한 프레임 이미지를 우선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표시함으로써, 프레임 이미지를 검색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가 주로 선호하는 프레임 이미지를 우선순위로 하여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할 수도 있으며, 랜덤(random)하게 프레임 이미지를 프레임 목록(220)에 표시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과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이 동일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S630]. 상기 S630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과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이 동일한 경우에는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 그대로 영상 이미지(210) 상에 오버랩되게 표시된다[S640].
한편, 상기 S630의 판단 결과,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과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에 맞게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도 변경되어 영상 이미지(210) 상에 오버랩되게 표시된다[S680].
즉,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세로로 배치시킨 경우(portrait)에는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도 세로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에는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230)도 가로로 배치시킬 수 있다.
상기 S640, S680 단계의 수행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로,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의 적용이 연속적인(continuous)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기준방향으 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먼저, 도 8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은 기준방향에 해당하므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도 기준방향에 해당하는 가로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8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은 기준방향으로부터 45도(θ=45°) 기울어져 있으므로,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θ=45°)에 대응되는 프레임 이미지(230), 즉 기준방향으로부터 45도(θ=45°) 기울어져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8c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은 기준방향으로부터 90도(θ=90°) 기울어진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프레임 이미지(230)의 방향도 기준방향으로부터 45도(θ=45°) 기울어진 세로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이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프레임 이미지들(230)은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에 대응되게 연속적(continuous)으로 변경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로,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의 적용이 이산적인(discrete) 경우를 나타낸다.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을 가로로 배치시킨 경우(landscape)를 기준방향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기준방향으로부터 45도 기울어져 있는 상태에 있는 경우를 제1구간(0°<θ<45°)이라 가정하고,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기준방향으로부터 45도 기울어져 있는 상태부터 기준방향으로부터 90도 기울어져 있는 경우를 제2구간(45°<θ<90°)이라고 가정할 때, 동일한 구간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변경될 때에는 동일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되며, 다른 구간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변경될 때에는 서로 다른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된다.
즉, 도 9a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제1구간(0°<θ<4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이미지(230), 예를 들어 가로로 배치된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된다.
또한, 도 9b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도 9a와 다르게 변경되었지만, 제1구간(0°<θ<45°)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9a에서 표시된 프레임 이미지와 동일한 프레임 이미지(230)인 가로로 배치된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된다.
한편, 도 9c 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과 도 9d에서의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은 다르지만, 동일한 구간인 제2구간(45°<θ<90°)에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9c와 도 9d에서 표시된 프레임 이미지는 제2구간에 해당하는 프레임 이미지(230), 예를 들어 세로로 배치된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에 따른 구간 설정은 반드시 전술한 구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구간(0°<θ<30°), 제2구간(30°<θ<60°), 제3구간(60°<θ<90°)으로 나누어 동일한 구간 내에서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변경될 때에는 동일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되며, 다른 구간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이 변경될 때에는 서로 다른 방 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230)가 표시되게 할 수 있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 이미지(210)가 프리뷰 이미지인지, 저장된 영상 이미지인지를 판단한다[S650].
상기 S650의 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210)가 프리뷰 이미지, 즉, 카메라(121)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인 경우에는 촬영 명령을 통해, 상기 영상 이미지(210)를 촬영한다[S660]. 이 후, 상기 S640, 680을 통해 적용된 프레임 이미지(230)와 상기 S660 단계의 수행을 통해 생성된 영상 이미지(210)를 합성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670]. 한편, S650의 판단 결과, 영상 이미지(210)가 프리뷰 이미지가 아닌 이미 촬영되어 메모리(160)에 저장된 영상 이미지(210)인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방향에 따른 변경된 프레임 이미지(230)를 저장된 영상 이미지(210)와 합성하여 메모리(160)에 저장한다[S670].
한편, S670의 저장 단계 이전에 사용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적용되는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방향 및 위치 등을 편집할 수 있는 데,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를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위치를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 이미지(210)와 상기 영상 이미지(210)에 오버랩 표시되어 있는 프레임 이미지(230)를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상 기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서로 다른 두 지점에 대해 동시에 발생하는 터치신호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로 다른 두지점에 대해 동시에 이루어지는 터치를 "동시터치(simultaneous touch)"라고 호칭한다. 또한, 상기 동시 터치는 서로 다른 두 지점이 시간적으로 정확화게 일치하면서 동시에 터치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즉, 특정 지점이 먼저 터치되고, 특정 지점에 대한 상기 터치가 유지되는 상태에서 소정 시간 내에 특정 지점과 다른 지점이 터치되는 경우에도 본 발명에서 말하는 상기 동시 터치가 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 이미지(210)와 프레임 이미지(230)가 함께 표시된 터치스크린상에 동시 터치 신호를 감지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230)의 크기,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후,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동시 터치된 지점의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신호를 감지하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이미지(230-1)의 크기는 축소되어 표시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동시 터치 신호를 감지하고, 동시 터치된 지점의 거리가 길어지는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신호를 감지하면, 도 1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이미지(230-2)의 크기는 확대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 이미지(210)와 프레임 이미지(230)가 함께 표시된 터치스크린상에 동시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동시 터치된 지점부터 소정의 방향으로 비스듬히 회전시키는 드래그 동작 신호를 감지하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이미지(230-3)는 동시 터치된 지점부터 회전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어 표시된다.
또한,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영상 이미지(210)와 프레임 이미지(230)가 함께 표시된 터치스크린상에 동시 터치 신호를 감지한다. 이후, 동시 터치된 지점부터 동일한 방향으로 드래그 동작 신호를 감지하면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이미지(230-4)의 위치는 드래그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되어 표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영상 이미지(210) 상에 표시된 프레임 이미지(230)를 간단한 터치 동작을 통해서 편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영상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2에서는 터치 동작을 통하여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사용자 입력부(130)의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의 조작을 통해서도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위치 및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 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들이다.
도 4는 근접 센서의 근접 깊이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는 도 1의 카메라부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이미지 및 프레임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적용되는 이동 단말기의 방향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를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 12a 및 도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 이미지의 위치를 편집하는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Claims (35)

  1.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상에, 영상 이미지와, 상기 영상 이미지와 오버랩(overlap)되게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이미지와, 상기 영상 이미지와 오버랩되게 프레임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에 상기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게 표시(overlaying)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상응하여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은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이산적(discrete)으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는 저장된 영상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를 촬영하는 단계 - 상기 영상 이미지상에 상기 변경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가 오버랩 됨 -; 및
    상기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상기 변경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를 합성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색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의 휘도, 명도, 채도, 색조, 색상,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제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은 동시에 발생하는 복수개의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위치는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의 촬영 방법.
  14.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로서,
    영상 이미지와 프레임 이미지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영상 이미지와 상기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 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프레임 이미지를 포함하는 프레임 목록을 표시하고, 상기 프레임 목록 중 어느 하나의 프레임 이미지를 선택하는 입력을 수신하면, 상기 선택된 프레임 이미지를 상기 영상 이미지에 오버랩되게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변경하여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상응하여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방향의 변경에 따라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방향을 이산적으로 변경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는 프리뷰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이미지는 저장된 영상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이미지를 촬영 - 상기 영상 이미지상에 상기 변경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가 오버랩 됨 - 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상기 변경된 방향을 갖는 프레임 이미지를 합성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0. 삭제
  21. 삭제
  22.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이미지의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에 대응되도록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색이 변경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3. 제14항 또는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특성 파라미터는 상기 영상 이미지의 휘도, 명도, 채도, 색조, 색상, 선명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크기 및 방향을 동시에 발생하는 복수개의 터치신호를 통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프레임 이미지의 위치를 이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080090270A 2008-09-12 2008-09-12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KR10150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70A KR101500741B1 (ko) 2008-09-12 2008-09-12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US12/423,769 US8564618B2 (en) 2008-09-12 2009-04-14 Adjusting the display orientation of an image on a mobile terminal
EP09006227.4A EP2163966A3 (en) 2008-09-12 2009-05-07 Adjusting the display orientation of an image on a mobile terminal
CN200910141125A CN101674410A (zh) 2008-09-12 2009-05-22 在移动终端上调整图像的显示方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0270A KR101500741B1 (ko) 2008-09-12 2008-09-12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1264A KR20100031264A (ko) 2010-03-22
KR101500741B1 true KR101500741B1 (ko) 2015-03-09

Family

ID=40732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0270A KR101500741B1 (ko) 2008-09-12 2008-09-12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64618B2 (ko)
EP (1) EP2163966A3 (ko)
KR (1) KR101500741B1 (ko)
CN (1) CN10167441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8121B2 (en) * 2007-06-29 2011-11-29 Microsoft Corporation Manipulation of graphical objects on a display or a proxy device
KR101111566B1 (ko) * 2008-05-23 2012-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방법
US20110050730A1 (en) * 2009-08-31 2011-03-03 Paul Ranford Method of displaying data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ccording to detected movement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09251137B2 (en) * 2009-12-23 2013-04-1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for Arranging Images in electronic documents on small devices
US8570402B2 (en) * 2010-02-05 2013-10-29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apparatus for obtaining a user-intended image when orientation of the imaging apparatus changes in applying a special effect that changes the image quality in a set direction
CN102770904B (zh) * 2010-02-25 2015-04-08 富士通株式会社 移动终端及其动作间隔设定方法
KR101674011B1 (ko) * 2010-06-07 2016-11-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CN102314298A (zh) * 2010-07-06 2012-01-11 宏碁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与工具栏的显示方法
US8667425B1 (en) 2010-10-05 2014-03-04 Google Inc. Touch-sensitive device scratch card user interface
KR101482025B1 (ko) * 2011-02-25 2015-01-13 엠파이어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엘엘씨 증강 현실 프리젠테이션
TW201249198A (en) * 2011-04-21 2012-12-01 Sony Corp Supplying apparatus, supplying method, receiving apparatus, receiving method, program, and broadcasting system
JP5950693B2 (ja) 2011-05-27 2016-07-13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及び文字入力方法
US9383959B2 (en) * 2011-05-27 2016-07-05 Kyocera Corporation Rotatable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oft key input method
US9037433B2 (en) * 2011-09-06 2015-05-19 Htc Corporation Portable device and orientation detection method therefor
US8879761B2 (en) * 2011-11-22 2014-11-04 Apple Inc. Orientation-based audio
US9246543B2 (en) 2011-12-12 2016-01-26 Futurewei Technologies, Inc. Smart audio and video capture systems for data processing systems
KR101515629B1 (ko) * 2012-01-07 2015-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부를 갖는 휴대단말의 이벤트 제공 방법 및 장치
US9131192B2 (en) 2012-03-06 2015-09-08 Apple Inc. Unified slider control for modifying multiple image properties
US9041727B2 (en) 2012-03-06 2015-05-26 Apple Inc. User interface tools for selectively applying effects to image
US9202433B2 (en) 2012-03-06 2015-12-01 Apple Inc. Multi operation slider
US20130238747A1 (en) 2012-03-06 2013-09-12 Apple Inc. Image beaming for a media editing application
KR101858604B1 (ko) * 2012-04-30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3389849B (zh) * 2012-05-07 2018-10-16 腾讯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图像展示方法、系统和移动终端
CN103729155A (zh) * 2012-10-11 2014-04-16 宏碁股份有限公司 显示模式的决策方法与电子装置
DE102013224590B4 (de) 2012-12-03 2019-07-18 Canon Kabushiki Kaisha Anzeigevorrichtung und deren steuerverfahren
JP6161290B2 (ja) * 2012-12-28 2017-07-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330471B2 (en) * 2013-02-14 2016-05-03 Qualcomm Incorporated Camera aided motion direction and speed estimation
KR20150007910A (ko) 2013-07-11 2015-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렉션을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방법
US9802553B2 (en) * 2013-08-12 2017-10-31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tructure
US9940510B2 (en) * 2013-09-27 2018-04-1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Device for identifying digital content
US9854013B1 (en) 2013-10-16 2017-12-26 Google Llc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20150130840A1 (en) * 2013-11-08 2015-05-14 Sharper Shape Ltd.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vents
US9538223B1 (en) 2013-11-15 2017-01-03 Google Inc. Synchronou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9628538B1 (en) 2013-12-13 2017-04-18 Google Inc. Synchronous communication
KR102206877B1 (ko) * 2014-02-21 2021-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US10474345B2 (en) * 2014-04-04 2019-11-12 Shawn SHEY User interfaces and methods for displaying content
CN103885611B (zh) * 2014-04-22 2018-01-19 锤子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调整图像的方法和装置
US20150317482A1 (en) * 2014-04-30 2015-11-05 Mocana Corporation Preventing visual observation of content on a mobile device by hiding content
US9532198B2 (en) * 2014-07-09 2016-12-2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System and method for initiating communication from actual, notional, or dissociated previewed images
CN105991940A (zh) * 2015-02-13 2016-10-05 深圳积友聚乐科技有限公司 一种图像处理方法和系统
WO2016183791A1 (zh) * 2015-05-19 2016-11-24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语音信号处理方法及装置
KR102367828B1 (ko) * 2015-06-05 2022-02-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D793406S1 (en) 2015-08-28 2017-08-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986113B2 (en) * 2016-05-06 2018-05-29 Fuji Xerox Co.,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07527380B (zh) * 2016-06-20 2022-11-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和装置
CN108520013B (zh) * 2018-03-21 2021-10-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集显示方法、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KR102707773B1 (ko) * 2019-08-06 2024-09-20 삼성전자 주식회사 객체에 대응하는 그래픽 요소 표시 방법 및 장치
JP7399779B2 (ja) * 2020-04-07 2023-12-18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4652A2 (en) * 2002-11-26 2004-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ornaments to an image of a person
US20040201595A1 (en) * 2003-04-11 2004-10-14 Microsoft Corporation Self-orienting display
US20060026521A1 (en) * 2004-07-30 2006-02-02 Apple Computer,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20080194323A1 (en) * 2005-04-06 2008-08-14 Eidgenoe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erich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34170A3 (en) 2002-11-07 2006-04-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ornaments to an image of a person
JP2007189428A (ja) * 2006-01-12 2007-07-26 Fujifilm Corp インデックス画像出力装置及びインデックス画像出力プログラム
JP2007206921A (ja) 2006-02-01 2007-08-16 Seiko Epson Corp 写真画像の画像処理技術
KR101122090B1 (ko) 2006-11-14 201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보 표시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것의 정보표시 방법
JP5414154B2 (ja) * 2007-03-29 2014-02-12 京セラ株式会社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方法および画像送信プログラム
US20100007603A1 (en) * 2008-07-14 2010-01-14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orienta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24652A2 (en) * 2002-11-26 2004-06-0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ornaments to an image of a person
US20040201595A1 (en) * 2003-04-11 2004-10-14 Microsoft Corporation Self-orienting display
US20060026521A1 (en) * 2004-07-30 2006-02-02 Apple Computer, Inc. Gestures for touch sensitive input devices
US20080194323A1 (en) * 2005-04-06 2008-08-14 Eidgenoessische Technische Hochschule Zuerich Method Of Executing An Application In A Mobi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64618B2 (en) 2013-10-22
CN101674410A (zh) 2010-03-17
EP2163966A2 (en) 2010-03-17
KR20100031264A (ko) 2010-03-22
US20100066751A1 (en) 2010-03-18
EP2163966A3 (en)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741B1 (ko) 카메라가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촬영 방법
KR101496467B1 (ko) 파노라마 촬영 기능이 구비된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동작방법
KR10153759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터치 인식 방법
KR10150568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이미지 촬상 방법
KR101608770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00091B1 (ko) 터치스크린을 포함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표시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4759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18001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5410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30122334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4014258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101600090B1 (ko)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저장 방법, 휴대 단말기에서의 이미지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휴대 단말기
KR10159538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742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촬영된 이미지 관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622216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입력 제어 방법
KR101587099B1 (ko)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0062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20140146759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315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963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4639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맵 제공 방법
KR101892007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31512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559778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709503B1 (ko) 이동 단말기 및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