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418B1 - 살균장치 - Google Patents

살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418B1
KR101500418B1 KR20140091682A KR20140091682A KR101500418B1 KR 101500418 B1 KR101500418 B1 KR 101500418B1 KR 20140091682 A KR20140091682 A KR 20140091682A KR 20140091682 A KR20140091682 A KR 20140091682A KR 101500418 B1 KR101500418 B1 KR 101500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mpule
sodium chlorite
hollow stick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수영
Original Assignee
유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수영 filed Critical 유수영
Priority to KR2014009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418B1/ko
Priority to PCT/KR2015/007527 priority patent/WO201601383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3Solid substances, e.g. granules, powders, blocks, tab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6Accessories or devices or components used for biocid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1Apparatus for generating biocidal substances, e.g. vaporisers, UV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에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과 염화수소 화합물이 격리 구비되되, 파단홈을 따라 앰플을 파단하면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과 염화수소 화합물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 배출하는 살균장치이다.

Description

살균장치{Steriliz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중공스틱에 구비되는 화합물과 앰플에 구비되는 화합물을 반응시키되, 앰플에 형성된 파단홈의 개수 및 형태에 따라 총 사용 시간 및 효과의 선택이 가능한 살균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스틱에 구비된 화합물이 앰플을 감싼 상태로 고체화되며 결속되어, 앰플에 구비된 화합물이 앰플의 파단부로 배출되어 앰플을 감싸고 있는 고체 상태의 화합물을 녹이며 소정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살균 물질을 배출하는 살균장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살균을 위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살균장치는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부를 통하여, 살균장치 내부에 구비된 이산와염소 생성물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가 외부로 배출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개구부를 막고 있는 마개 개봉 시 내부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가 일시에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또한,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는 양을 조절하지 못하기 때문에, 소량의 이산화염소만 배출되어도 충분한 상황에서도 일정양의 이산화염소가 배출되어 낭비가 발생되었고, 다량의 이산화염소가 필요한 상황에서는 효과 향상을 위하여 다수개의 살균장치를 사용해야 하는 낭비가 발생되었다.
도 1에 도시된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구(1)는, 이산화염소 생성물이 구비되는 용기(2), 용기(1)를 밀폐시키는 뚜껑(5), 이산화염소가 배출되는 개구부(3)가 형성된 덮개(4), 이산화염소 생성물(6), 방향제(7), 차단벽(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산화염소 가스 발생기구(1)는 용기(2)에 구비된 이산화염소 생성물(6) 및 방향제(7)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와 향균 성분이 함께 개구부(3)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살균과 악취 제거라는 목적을 해결하였지만, 배출되는 이산화염소 및 향균성분의 양을 조절하지 못하여 낭비가 발생되고, 뚜껑(5)의 개봉 시 용기(2)의 내부에서 생성된 이산화염소 및 향균 성분이 일시에 배출되며 사용자에게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는 단점을 가지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일본공개특허 제2011-15223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시점에 이산화염소를 생성시켜 일시에 농축된 이산화염소 기체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사용자의 상황에 맞게 이산화염소 기체가 생성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살균장치와 살균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는,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공간(111)이 구성되어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수용되되, 가스 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밴딩이 가능한 중공스틱(110); 상기 내부공간(111)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스틱(110)의 일측 개방면을 밀폐하는 커버(120); 내부 수용공간(131)에 염화수소 화합물(2)이 수용되고, 상기 중공스틱(110)내에 삽입되는 앰플(130)을; 을 포함하며, 상기 중공스틱(110) 밴딩 시, 상기 앰플(130)이 파단되어, 상기 중공스틱(110)에 수용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수용공간(131)으로부터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이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플(1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파단홈(132)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스틱(110)의 밴딩 시 상기 파단홈(132)을 따라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상기 앰플(13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파단되는 상기 파단홈(132)의 개수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의 총 반응시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상기 앰플(13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되, 복수개의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스틱(110)을 밴딩하면 복수개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염화수소와 한천 및 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장치(100)는 'S'자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40)은 'S'자 구조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141)에 상기 중공스틱(110)이 끼움 결합 되며, 상기 하우징(140)은 'S'자 구조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142)에 고정 대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은 'S'자 구조 일측에 끼워진 상기 중공스틱(110)을 햇빛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중공스틱(110)의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반응이 햇빛에 영향을 받지 않고 계획에 따라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하우징(14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고정홈(142)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에 구비된 선바이저의 끝단이 끼워질 시, 상기 선바이저가 개폐됨에 관계없이 상기 수납홈(141)에 끼움 결합된 상기 중공스틱(110)과 햇빛이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동 가능한 액체 또는 반고체로 만드는 단계(S10); 액체 또는 반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내부공간(111)으로 주입하는 단계(S30); 상기 중공스틱(110)에 삽입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의 온도를 자연 건조하여 반고체화 시키는 단계(S40); 반고체 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파단홈(132)이 형성되되 염화수소 화합물(2)이 구비된 앰플(130)을 삽입하는 단계(S50) 상기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상기 내부공간(111)을 커버(120)로 밀폐시키는 단계(S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주입하는 단계(S3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주입기(150)로 유입 시키는 단계(S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11)을 상기 커버(120)로 밀폐 시키는 단계(S7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자연 건조해 고체화시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상기 앰플(130)에 고착되는 단계(S6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입기(150)는 외면에 열선(151)이 구비되며, 상기 열선(151)은 상기 주입기(15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40℃~90℃로 유지시켜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살균장치는, 앰플을 통하여 중공스틱에 구비되는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과 앰플에 구비되는 염화수소 화합물을 분리시켜 원하는 시점에 앰플을 파단시켜 사용 가능하게 구성되어, 불필요한 시점에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예방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살균장치가 본체 내부에 구비된 이산화염소 생성물에서 생성된 농축 이산화염소가 외부로 배출되며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주는 단점을 해소 하였다.
또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이 앰플을 감싼 상태로 고착되어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과 염화수소 화합물의 화학 작용이 일어나는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에 따라, 앰플 파단 시 급격히 일어나는 반응을 소정의 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한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단수 또는 복수의 파단선을 선택하여 파단 함으로써 본 발명인 살균장치에 구비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과 염화수소 화합물의 총 반응시간 및 효과를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살균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결합되어 있는 살균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반응도.
도 4는 다양한 파단선을 가지는 앰플이 결합되어 있는 살균장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사시도.(하우징과 결합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측면도.(물체에 부착시)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제작방법에 대한 제작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살균장치 제작방법에 대한 제작도.(앰플 삽입시)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는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 염화수소 화합물(2), 중공스틱(110), 커버(120), 및 앰플(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살균장치(100)는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공간(111)이 구성되는 중공스틱(110)과, 상기 중공스틱(110)에 삽입되는 앰플(130), 및 상기 내부공간(111)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스틱(110)의 일측 개방면을 밀폐하는 커버(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상기 내부공간(111)상에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구비되고, 상기 앰플(130)에 형성된 수용공간(131)에 염화수소 화합물(2)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중공스틱(110)에 구비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앰플(130)에 수용된 염화수소 화합물(2)이 반응하여 살균에 사용되는 이산화염소를 생성하는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중공스틱(110)은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밴딩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앰플(130)은 취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어 중공스틱(110)을 밴딩하면 앰플(130)이 파단되는 것이다.
즉, 상기 중공스틱(110)을 밴딩하여 상기 앰플(130)이 파단되면, 중공스틱(110)에 구비되었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앰플(130)에 구비되었던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이 화학반응을 하면서 살균에 필요한 이산화염소 기체를 발생 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공스틱(110)은 상기 내부공간(111)에서 발생되는 이산화염소 기체를 외부로 배출 하여야 한다. 따라서 중공스틱(110)은 상기 이산화염소 기체가 투과 가능한 가스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상기 중공스틱(110)의 재질은 다양한 가스 투과성 재질이 가능하지만, 상기 내부공간(111)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에 견디기 위하여 합성수지 중 내약품성이 우수한 폴리 에틸렌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더불어, 상기 앰플(130)은 상기 중공스틱(110)이 밴딩 시 파단되기 위하여 취성을 가져야 하고,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과 화학적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앰플(130)은 내약품성이 강하고 취성이 높은 유리 재질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도 3에 도시됨 바에 의하면, 상기 앰플(130)은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둘러싸인 상태로 구비되고, 중앙에 파단홈(13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상기 앰플(130)을 감싸 고착된 고체 상태로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중공스틱(110)이 밴딩되어 상기 앰플(130)이 상기 파단홈(132)를 따라서 파단되면,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이 화학 반응을 일으키지만, 앰플(130)을 감싸고 있는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고체 상태이므로 앰플(130)의 파단부에서 배출된 염화수소 화합물(2)은 파단부와 밀접하게 위치하여, 직접 접촉이 가능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제한되게 반응하는 것이다.
즉, 상기 앰플(130)의 파단부에서 배출되는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은 앰플(130)의 파단부에 밀접되어 직접 접촉 가능한 아염소산 나트륨을 녹이며 이산화염소를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염소는 가스 투과성 재질로 제작된 상기 중공스틱(1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고체 상태인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아염소산 나트륨과 한천 및 물이 주원료로 사용되며, 아염소산 나트륨과 한천 및 물의 결합 비율에 따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과 반응하는 속도가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가 사용되는 목적에 맞게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 제작에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이 선택된다.
또한,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의 농도에 따라 반응 속도가 결정되다.
즉,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사용되는 원료의 비율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의 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살균장치(100)의 사용 기간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앰플(130)은 상기 중공스틱(110)의 밴딩에 의하여 파단이 쉽게 되도록 원주 방향으로 파단홈(132)이 형성된다.
상기 파단홈(132)은 상기 중공스틱(110)의 밴딩 시 발생되는 상기 앰플(130)의 무분별한 파단을 막기 위한 것으로써, 정해진 위치에서 소정의 면적이 파단되게 하여 상기 살균장치(100)에서 이산화염소가 소정의 기간동안 배출되게 한다.
이때, 상기 살균장치(100)의 이산화염소 생성을 위하여 상기 파단홈(132)은 다양한 개수와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상기 앰플(130)을 감싼 상태로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앰플(130)의 파단부에서 직접 접촉되는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점진적으로 반응하며 이산화염소를 생성한다.
따라서, 이산화염소 생성양의 조절을 위하여 목적에 따라 상기 파단홈(132)의 개수와 형상을 조절하여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이 반응하는 면적을 조절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살균장치(100)는, 상기 파단홈(132)이 '>'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적은 힘으로 파단이 가능하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의 접촉 면적이 원주 방향으로 구성되는 것보다 넓은 구조를 가지는 (a)형태와, 파단홈(132)이 복수개 구성되어 파단되는 파단홈(132)의 개수에 따라 효과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b)형태, 파단홈(132)이 복수개의 격자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중공스틱(110)이 밴딩될 경우 넓은 면적에서 파단이 일어나 다량의 이산화염소가 생성되는 (c)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2내지 도 4에서는 네가지 상기 파단홈(132)의 형태를 도시하였지만, 파단홈(132)은 사용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파단홈(132)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의 고정 및 부착을 위하여 구성되는 하우징(140)과 상기 커버(120)가 씌워진 상기 중공스틱(110)의 결합을 도시하였다.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살균장치(100)의 부착을 위하여 'S'자형 구조를 가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140)은 'S'자형 구조 일측에 상기 중공스틱(110) 및 커버(120)가 끼워지는 수납홈(141)이 형성되고, 타측에 소정의 물체에 상기 살균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구성되는 고정홈(142)이 형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수납홈(141)은 상기 커버(120)가 씌워진 상기 중공스틱(1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내측면이 상기 중공스틱(110) 및 상기 커버(120)에 각각 대응하기 위하여 다단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가 소정의 물체에 부착된 형태를 도시하였다.
도 5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40)는 상기 수납홈(141)에 끼워진 상기 중공스틱(110) 및 커버(120)와, 상기 조정홈(142)에 끼워지는 물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위하여 수납홈(141) 및 고정홈(142)의 단부가 상기 물체와 커버(120) 및 하우징(140)을 수납되는 내면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 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40)은 상기 수납홈(141)과 상기 고정홈(142)에 끼워지는 상기 커버(120)가 씌워진 상기 중공스틱(110)과 고정 결합되고, 상기 고정홈(142)를 이용하여 살균장치(100)가 소정의 물체에 고정되기 위한 장력 형성이 가능한 합성수지 재질을 권장한다,
도 7은 본 발명인 살균장치(100)의 제작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살균장치(100)를 제작하는 방법은,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동 가능한 액체 또는 반고체로 만드는 단계(S10);
액체 또는 반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내부공간(111)으로 주입하는 단계(S30);
상기 중공스틱(110)에 삽입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의 온도를 자연 건조하여 반고체화 시키는 단계(S40);
반고체 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상에 원주방향을 따라 파단홈(132)이 형성되되 염화수소 화합물(2)이 구비된 앰플(130)을 삽입하는 단계(S50);
상기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상기 내부공간(111)을 커버(120)로 밀폐시키는 단계(S70);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상기 내부공간(111)에 주입되는 단계(S3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주입기(150)로 유입 시키는 단계(S20)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11)을 상기 커버(120)로 밀폐 시키는 단계(S7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자연 건조해 고체화시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상기 앰플(130)과 고정 결합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한다.
도 6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중공스틱(110)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110)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주입시키기 위한 주입기(150)가 구비되고, 상기 주입기(150)의 내부에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주입기(150)는 길이방향 일측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153)가 구성되고, 타측에 내부에 구비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압박을 가해 상기 배출부(153)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박부재(152)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5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상기 압박부재(152)에 의하여 압박받아 상기 배출부(153)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입기(150)는 외면 또는 내면에 열선(151)이 구비되어 상기 주입기(15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액체 또는 반고체 상태로 유지시킨다.
이때,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액체로 유지시킬 경우 상기 열선(151)을 가동하여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80℃~100℃로 유지시키고,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반고체로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40℃~70℃로 유지 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이와 같이,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유지되는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소정의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중공스틱(110)에 형성된 상기 내부공간(111)로 유입된다.
도 6의 (b)와 도 7의 (a), (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내부공간(111)에 구비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반고체인 상태에서 상기 앰플(130)이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주입기(150)에서 액체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공급 받을 경우, 자연건조 과정을 거쳐 반고체화 시키는 것을 권장한다.
반고체 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상기 앰플(130)이 삽입되면,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비어있는 상기 내부공간(111)로 이동하며 앰플(130)을 감싼다.
즉, 반고체 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상기 앰플(130)을 감싼 상태에서 자연 건조되어 고체 상태로 바뀌며 고착되는 것이다.
도 6의 (c)와 (d)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이 구비된 상기 앰플(130) 및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삽입된 상기 중공스틱(110)은 상기 커버(120)에 의하여 밀폐된다.
따라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은 상기 중공스틱(110)의 내부에서 반응하여 이산화염소를 생성하고, 상기 이산화염소는 가스 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중공스틱(1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
2 : 염화수소 화합물
100 : 살균장치
110 : 중공스틱 111 : 내부공간
120 : 커버
130 : 앰플 131 : 수용공간
132 : 파단홈
140 : 하우징 141 : 수납홈
142 : 고정홈
150 : 주입기 151 : 열선
152 : 압박부재 153 : 배출부

Claims (11)

  1. 길이방향 일측이 개방 형성되고, 내부공간(111)이 구성되어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수용되되, 가스 투과성을 가지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밴딩이 가능한 중공스틱(110);
    상기 내부공간(111)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스틱(110)의 일측 개방면을 밀폐하는 커버(120);
    내부 수용공간(131)에 염화수소 화합물(2)이 수용되고, 상기 중공스틱(110)내에 삽입되는 앰플(130)을; 포함하며,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상기 앰플(130)을 감싸 고착된 고체 상태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스틱(110) 밴딩 시, 상기 앰플(130)이 파단되며 접촉하는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과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의 접촉 면적이 제한되어 총 반응시간 제어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130)은 원주 방향을 따라 파단홈(132)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스틱(110)의 밴딩 시 상기 파단홈(132)을 따라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상기 앰플(130)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파단되는 상기 파단홈(132)의 개수에 따라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과 상기 염화수소 화합물(2)의 총 반응시간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V'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앰플(130)은 상기 파단홈(132)이 상기 앰플(13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되, 복수개의 격자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스틱(110)을 밴딩하면 복수개로 파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은 아염소산 나트륨과 한천 및 물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장치(100)는 'S'자 구조를 가지는 하우징(140)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40)은 'S'자 구조 일측에 형성된 수납홈(141)에 상기 중공스틱(110)이 끼움 결합 되며,
    상기 하우징(140)은 'S'자 구조 타측에 형성된 고정홈(142)에 고정 대상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8.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소정의 온도로 가열하여 이동 가능한 액체 또는 반고체로 만드는 단계(S10);
    액체 또는 반고체화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내부공간(111)으로 주입하는 단계(S30);
    상기 중공스틱(110)에 삽입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의 온도를 자연 건조하여 반고체화 시키는 단계(S40);
    반고체 상태의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에, 원주방향을 따라 파단홈(132)이 형성되되 염화수소 화합물(2)이 구비된 앰플(130)을 삽입하는 단계(S50);
    상기 중공스틱(110)에 구성된 상기 내부공간(111)을 커버(120)로 밀폐시키는 단계(S7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제작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상기 내부공간(111)으로 주입하는 단계(S3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주입기(150)로 유입 시키는 단계(S2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제작 방법.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공간(111)을 상기 커버(120)로 밀폐 시키는 단계(S70) 이전에,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자연 건조해 고체화시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이 상기 앰플(130)에 고착되는 단계(S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제작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150)는 외면 또는 내부에 열선(151)이 구비되고,
    상기 열선(151)은 상기 주입기(150)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아염소산 나트륨 화합물(1)을 40℃~90℃로 유지시켜 반고체 또는 액체 상태로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장치(100) 제작 방법.




KR20140091682A 2014-07-21 2014-07-21 살균장치 KR101500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1682A KR101500418B1 (ko) 2014-07-21 2014-07-21 살균장치
PCT/KR2015/007527 WO2016013838A1 (ko) 2014-07-21 2015-07-21 살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91682A KR101500418B1 (ko) 2014-07-21 2014-07-21 살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418B1 true KR101500418B1 (ko) 2015-03-10

Family

ID=5302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91682A KR101500418B1 (ko) 2014-07-21 2014-07-21 살균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00418B1 (ko)
WO (1) WO2016013838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91B1 (ko) * 2017-07-31 2018-04-12 유수영 이산화염소 기체가스 농도 조절 및 지속 방출이 가능한 살균장치
KR102149117B1 (ko) * 2020-01-17 2020-08-27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 키트
KR20210066427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이노푸스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이산화염소 제독기
WO2021145732A1 (ko) * 2020-01-17 2021-07-22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용 키트
KR102298630B1 (ko) * 2020-03-30 2021-09-03 천석태 분말제 및 액상제 혼합반응형 살균기체발생스틱
KR20210113783A (ko) * 2020-03-09 2021-09-17 김경태 살균 스틱
KR20210126958A (ko) * 2020-04-13 2021-10-21 이명오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공간살균장치
KR20210127287A (ko) * 2020-04-13 2021-10-22 이명오 실내공간 방역을 위한 자율주행 공간살균로봇
KR20220012774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보야스에너지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체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탈취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96Y2 (ja) * 1990-03-30 1994-03-2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滅菌・消臭材
JPH11255502A (ja) * 1998-03-09 1999-09-21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簡易発生キット
JP2011230956A (ja) * 2010-04-27 2011-11-17 Taiko Pharmaceutical Co Ltd スティック状の二酸化塩素発生装置
JP2013244994A (ja) * 2012-05-25 2013-12-09 Sj-Corporation インジケータ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0996Y2 (ja) * 1990-03-30 1994-03-23 積水化成品工業株式会社 滅菌・消臭材
JPH11255502A (ja) * 1998-03-09 1999-09-21 Chisso Corp 二酸化塩素水簡易発生キット
JP2011230956A (ja) * 2010-04-27 2011-11-17 Taiko Pharmaceutical Co Ltd スティック状の二酸化塩素発生装置
JP2013244994A (ja) * 2012-05-25 2013-12-09 Sj-Corporation インジケータ構造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491B1 (ko) * 2017-07-31 2018-04-12 유수영 이산화염소 기체가스 농도 조절 및 지속 방출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210066427A (ko) 2019-11-28 2021-06-07 주식회사 이노푸스 이산화염소 가스를 발생시키는 휴대용 이산화염소 제독기
KR102149117B1 (ko) * 2020-01-17 2020-08-27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 키트
WO2021145732A1 (ko) * 2020-01-17 2021-07-22 진남섭 이산화염소 훈증소독용 키트
KR20210113783A (ko) * 2020-03-09 2021-09-17 김경태 살균 스틱
KR102338058B1 (ko) 2020-03-09 2021-12-10 김경태 살균 스틱
KR102298630B1 (ko) * 2020-03-30 2021-09-03 천석태 분말제 및 액상제 혼합반응형 살균기체발생스틱
KR20210126958A (ko) * 2020-04-13 2021-10-21 이명오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공간살균장치
KR20210127287A (ko) * 2020-04-13 2021-10-22 이명오 실내공간 방역을 위한 자율주행 공간살균로봇
KR102373424B1 (ko) 2020-04-13 2022-03-11 이명오 실내공간 방역을 위한 자율주행 공간살균로봇
KR102413976B1 (ko) 2020-04-13 2022-06-27 이명오 이산화염소가스를 이용한 휴대형 공간살균장치
KR20220012774A (ko) 2020-07-23 2022-02-04 주식회사 보야스에너지 이산화염소 가스 방출용 고체형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살균·탈취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13838A1 (ko) 2016-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418B1 (ko) 살균장치
RU2703120C2 (ru) Сжимаемый картридж для жидкости для электронных сигарет
KR20160149214A (ko) 수소 발생 유니트
JP5613853B1 (ja) 携帯用の水素水生成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される水素ガス発生部材
JP7001331B2 (ja) ケーシングおよびその製造方法
MXPA02003748A (es) Cierre de envase con indicador de tiempo-temperatura.
KR20190025547A (ko) 음료용 수소 발생기
US20050007870A1 (en) Disposable cartridge for mixing exothermic or endothermic reaction substances, and relative cartridge-support assembly
US10821221B2 (en) Encased syringe
KR101848491B1 (ko) 이산화염소 기체가스 농도 조절 및 지속 방출이 가능한 살균장치
KR20020014795A (ko) 자체-가열 또는 자체-냉각 콘테이너
PE20180543Z (es) Envases autocalentables
KR200404932Y1 (ko) 향기 나는 조화(造花)
KR20170005702A (ko) 공기살균장치용 반응기체 발생 장치
US8123083B2 (en) Bottle for forming and safely housing elemental iodine and dispensing attachments
CA2899986C (en) Bottle container with bottle breakage-preventing function
KR101336790B1 (ko) 자석 보호캡
KR20140008875A (ko) 일회용 소독용구
JP2015161490A (ja) 加熱用パックおよびこの加熱用パックを備えた加熱器具
KR101284803B1 (ko) 온도조절 화장품 용기
KR20140097962A (ko) 숙성 관련 가스 발생 장치
KR102409083B1 (ko) 의료용 용기
JPH0774764B2 (ja) 過熱検出装置
JP6138743B2 (ja) 化学発光体
CN204846830U (zh) 一种发热或吸热装置及软管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