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0135B1 -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0135B1
KR101500135B1 KR20130106222A KR20130106222A KR101500135B1 KR 101500135 B1 KR101500135 B1 KR 101500135B1 KR 20130106222 A KR20130106222 A KR 20130106222A KR 20130106222 A KR20130106222 A KR 20130106222A KR 101500135 B1 KR101500135 B1 KR 101500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blow tube
tube
blow
guid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6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경호
박월성
최종률
김준한
이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30106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01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0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01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BMANUFACTURE OF IRON OR STEEL
    • C21B7/00Blast furnaces
    • C21B7/16Tuyéres
    • C21B7/163Blowpipe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5/00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 F27D25/008Devices or methods for removing incrustations, e.g. slag, metal deposits, dust; Devices or methods for preventing the adherence of slag using fluids or gases, e.g. blowers, suc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73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6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 F27D2003/168Introducing a fluid jet or current into the charge through a l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공기에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블로우 튜브의 밀폐를 위해 결합되는 패킹을 용이하게 결합하며, 결합과정에서 패킹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는 블로우 튜브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홈에 패킹을 조립하기 위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로서, 상기 블로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블로우 튜브에 패킹이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부가 일측에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압부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부; 및 상기 블로우 튜브의 패킹홈에 상기 패킹이 결합되도록 상기 패킹을 확장하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PACKING ASSEMBLING APPARATUS OF BLOW TUBE}
본 발명은 고로의 출선구를 개방하는데 사용되는 개공기에 연결되는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공기에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블로우 튜브의 밀폐를 위해 결합되는 패킹을 용이하게 결합하기 위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로부터 용강 등과 같은 용융물을 출강하는 출선과정은 고로의 출선구에 구멍을 뚫어 용융물을 배출한다. 고로에는 출선구가 복수개로 형성되며, 이 출선구들을 폐쇄한 상태에서 용융물을 제조하고, 이중 하나의 출선구를 개방하여 용융물을 배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공기를 이용하여 고로의 출선구를 개공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에는 고로(1)의 출선구(10)를 개방하기 위해 개공기(50)에 고로의 출선구 개공바(60)를 장착하고, 개공바(60)를 출선구(10)에 밀어 넣어 출선구를 개방한다. 여기서, 개공바(60)는 강철 소재 등으로 제공되는 봉 또는 테핑바(Tapping bar)로 제공된다.
또한, 고로(1)는 용융물이 배출되는 과정에서 고로(1) 내부의 코크스 등이 출선구(10)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크스는 용융물 등과 함께 출선구(10)를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선구(10)가 막히게 되면 용융물이 정상적으로 배출될 수 없으므로 개공기(50)를 이용하여 출선구(10)에 막힌 배출선을 제거한다.
한편, 개공기(50)에 장착되는 개공바(60)의 선단부에는 출선구(10)를 막고 있는 내화물 덩어리 등을 분쇄하기 위한 비트가 제공된다. 또한, 개공바(60)는 내부에 유로가 제공되고, 이 유로를 통해 물과 질소(N2) 등이 혼합된 냉각수를 분사하여 비트를 냉각한다. 이와 같이, 개공바(60)로 냉각수가 공급됨에 따라 출선구(10)의 개공과정에서 비트가 열화에 의해 용손, 마모되어 굴착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고, 비트의 마모로 인한 출선구 미관통이 최소화되며 굴착능력이 향상되어 분쇄효율을 높여 출선구 개공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공기와 블로우 튜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우 튜브에 패킹을 조립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한편, 개공바(60)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고압으로 블로잉(blowing)되어 공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을 위해 개공바(60)에 연결되는 블로우 튜브(70)에는 개공바(60)와의 결합시 밀폐력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72)이 제공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블로우 튜브(70)에 제공된 패킹(72)이 마모 또는 손상이 발생할 경우, 냉각수가 개공바(60)와 블로우 튜브(70) 사이로 누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트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압력저하에 따른 출선구 미관통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더하여 다량의 냉각수 유출로 인한 대탕도의 폭발 위험이 있다.
또한, 블로우 튜브(70)에 제공된 패킹(72)이 마모 또는 손상 등으로 인해 출선지연으로 인한 저선 및 풍압상승과 같은 노황 불안정을 초래하거나 잦은 감풍으로 생산량이 감소되고, 개공바(60)가 출선구(10)에 용착됨에 따라 이를 제거하기 위해 출선구(10)에 인위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개공작업이 요구되어 전체적인 작업부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패킹(72)은 링 형태로 제공되며, 어느 정도의 신축성은 있으나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는 약간의 경질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패킹(72)은 블로우 튜브(70)에 형성된 패킹홈(74)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결합되고 있으며, 기밀성 향상을 위해 복수개, 예컨대 3개로 제공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패킹(72)을 블로우 튜브(70)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패킹(72)을 블로우 튜브(70)의 외경 치수 이상으로 늘린 상태로 패킹홈(74)으로 이동하여 끼우고 있으나, 패킹(72)의 신축성이 낮아 결합이 용이하지 않다.
즉, 종래에는 블로우 튜브(70)에 인접하게 패킹(72)을 위치시킨 후, 최소한 3방향 이상에서 드라이버 등의 수공구를 이용하여 늘린 상태에서 끼우고 블로우 튜브(70)에 끼운 후, 가압하여 패킹홈(74)에 삽입하고 있다. 이때, 패킹(72)은 원하는 위치의 패킹홈(74)에 끼우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일례로 가까운데 위치한 패킹홈(74)에 패킹(72)을 결합하게 되면, 이 패킹(72)으로 인해 멀리 위치한 패킹홈(74)에 패킹(72)을 결합하는 과정에서 간섭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패킹(72)을 끼우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사람 이상의 작업자가 드라이버와 같은 도구(80)를 이용하여 함께 작업해야 하고, 복수의 패킹(72)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작업시간이 요구된다.
또한, 패킹(72)의 결합시 좁은 작업범위에서 작업자 사이의 상호 협력 및 힘의 밸런스가 무너질 경우, 경질의 패킹(72)이 조립되기 전에 과도하게 찌그러지거나 심할 경우 절손되는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하며, 조립과정에서 작업자가 도구(80)에 의해 상해를 입을 위험도 상존하고 있다. 또한, 패킹(72)이 조립된다 하더라도 조립과정에서 도구(80)에 의해 패킹(72)에 찍힘 등의 흠집이 발생할 수도 있고, 이와 같이 흠집 등이 발생하면 삽입된 패킹(72)을 짤라 제거한 후, 새로운 패킹(72)을 조립해야 하므로, 전체적인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패킹(72)의 사용량 증가로 인한 제조 비용 상승이 발생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패킹(72)에 작업자의 육안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흠집 등이 잔존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72)은 사용시간 증가에 따라 파손 등이 쉽게 발생하여 냉각수 유출을 일으키는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공기에 냉각제를 공급하기 위해 연결되는 블로우 튜브의 밀폐를 위해 결합되는 패킹을 용이하게 결합하며, 결합과정에서 패킹에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안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는 블로우 튜브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홈에 패킹을 조립하기 위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로서, 상기 블로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블로우 튜브에 패킹이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부가 일측에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압부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부; 및 상기 블로우 튜브의 패킹홈에 상기 패킹이 결합되도록 상기 패킹을 확장하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패킹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튜브로 제공되는 패킹거치부와, 상기 패킹거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블로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확장되는 패킹확장부와, 상기 패킹확장부에서 연장되어 패킹이 삽입되지 않는 패킹홈을 차폐하는 패킹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우 튜브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킹홈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패킹차폐부가 위치하도록 각 패킹홈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삽입위치를 조절하는 복수의 간격용 끼움봉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블로우 튜브의 단부로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확장되며 상기 패킹을 밀도록 제공된 복수의 가압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봉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서 상기 블로우 튜브의 단부로 연장된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축부재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며, 하부에 상기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로우 튜브에 패킹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블로우 튜브의 밀폐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패킹을 결합하는 작업이 용이해지고, 이에 따른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패킹이 블로우 튜브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밀폐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개공기를 이용하여 고로의 출선구를 개공하는 상태의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개공기와 블로우 튜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블로우 튜브에 패킹을 조립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100)는, 블로우 튜브(70)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홈(74)에 패킹(72)을 조립하는데 활용되는 장치이다.
블로우 튜브(70)는 고로(1)의 출선구(10)를 개공하기 위한 개공기(50)의 개공바(60)와 결합되며, 개공바(60)가 출선구(10)를 개공하는 과정에서 냉각수 등을 공급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다.
블로우 튜브(70)는 개공바(60)를 통해 출선구(10)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고압으로 불로잉(blowing)하여 공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블로우 튜브(70)와 개공바(60) 사이의 밀폐력을 유지하기 위해 개공바(60)에 삽입되는 전단부의 외주면에 복수의 패킹(72)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로우 튜브(70)는 전단부의 외주면에 패킹(72)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패킹홈(7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100)는, 전술된 블로우 튜브(70)의 패킹홈(74)에 패킹(72)을 조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100)는 패킹(72)을 조립하고자 하는 블로우 튜브(7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10)는 작업면에 설치되는 지지부(13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110)는 블로우 튜브(70)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고정블록(112)과, 제1고정블록(112)에 블로우 튜브(70)가 개재된 상태에서 블로우 튜브(70)의 상부를 고정하며 제1고정블록(112)에 결합되는 제2고정블록(1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블록(114)은 제1고정블록(112)의 상부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를 통해 고정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10)는, 블로우 튜브(70)의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복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컨대 블로우 튜브(70)의 하단부 인접 위치 및 전단부와 인접하여 패킹홈(74)이 없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부(110) 중 적어도 하나는 블로우 튜브(70)가 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블로우 튜브(70)의 단차진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의 타측에는 블로우 튜브(70)에 패킹(72)을 삽입하기 위한 가압부(150)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블로우 튜브(70)에는 가압부(150)에 의해 이동되는 패킹(72)이 블로우 튜브(70)에 끼워져 패킹홈(74)에 안내될 수 있도록 패킹(72)을 확장하여 패킹홈(74)으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가압부(150)는 지지부(130)의 타측에서 고정부(110)에 고정된 블로우 튜브(70)측으로 이동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가압부(150)는 지지부(130)의 타측에서 블로우 튜브(70)의 단부로 이동하는 이동부(152)와, 이동부(152)에서 연장되는 복수의 가압봉(154)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봉(154)은 이동부(152)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유닛(170)을 따라 확장되며 패킹(72)을 밀며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압봉(154)은 이동부(15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제공되며, 가이드유닛(170)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유닛(17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확장될 수 있다.
가압부(150)는 지지부(130)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지지부(130)의 단부에 설치되는 벽체(160)와, 이 벽체(160)에서 블로우 튜브(70)의 단부 방향으로 연장된 축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50)의 이동부(152)는 이 축부재(162)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52)의 하부에는 지지부(130)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수단은 이동부(152)의 하부에 결합되는 이동본체(156)를 포함하고, 이동본체(156)의 일측에는 기어휠(157)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130)에는 이 기어휠(157)과 치합되는 래크기어(132)가 제공될 수 있다.
이동수단은 기어휠(157)이 래크기어(132)와 치합되어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150)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150)는 이동본체(156)에 얹혀져 지지된 상태에서, 상부로부터 끼워진 고정쇠(158)가 볼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이동본체(156)와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압부(150)에는 외주면에 이동본체(156)와의 결합을 위한 홈부(153)가 제공되고, 이동본체(156)에는 가압부(150)를 일체로 이동시키기 위해 홈부(153)에 삽입되는 돌출턱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쇠(158)는 이 홈부(153)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본체(156)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동본체(156)의 하부에는 지지부(130)의 길이방향으로 돌기(156b)가 형성되고, 지지부(130)에는 이 돌기(156b)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홈(134)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유닛(170)은 패킹(72)의 삽입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구체적으로 가이드유닛(170)은 패킹(72)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패킹(72)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튜브로 제공되는 패킹거치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유닛(170)은, 패킹거치부(172)에서 연장되어 블로우 튜브(70)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확장되는 패킹확장부(174)를 포함하며, 이 패킹확장부(174)에는 패킹(72)이 삽입되지 않는 패킹홈(74)을 차폐하기 위해 연장되는 패킹차폐부(176)가 제공될 수 있다.
패킹 조립장치(100)는 복수의 패킹(72) 삽입시,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한 패킹홈(74)에 먼저 패킹(72)을 삽입하게 되며, 이때 패킹(72)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의 패킹홈(74)에 원치않게 패킹(72)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패킹홈(74)을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패킹 조립장치(100)는 블로우 튜브(70)의 단부로부터 멀리 위치한 패킹홈(74)으로부터 패킹(72)이 끼워질 수 있도록 가이드유닛(170)의 삽입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끼움봉(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끼움봉(180)은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끼움봉(180)은 복수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끼움봉(180)은 패킹홈(74)이 형성된 위치에 패킹차폐부(176)가 위치하도록 각 패킹홈(74)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패킹 조립장치(100)는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에 끼움봉(180)을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유닛(170)을 결합하게 되면, 각 끼움봉(180)의 길이에 따라 가이드유닛(170)의 패킹차폐부(176)가 패킹(72)이 결합되지 않을 패킹홈(74)은 차폐한 상태로 위치되며, 이에 패킹(72)이 가압부(150)에 의해 쉽게 밀리면서 패킹(72)이 삽입될 패킹홈(74)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패킹(72)이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에서 먼 위치의 패킹홈(74)에 삽입되면, 가이드유닛(170)을 분리한 후,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에 다른 길이의 끼움봉(180)으로 교환한 후, 다시 가이드유닛(170)을 결합한 상태에서 패킹(72)을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패킹홈(74)에 패킹(72)을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인 도 7을 참고하여, 본 실시예의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110)에 패킹(72)을 조립하고자하는 블로우 튜브(70)를 결합한다.
이때, 가압부(150)는 지지부(130)에 설치된 벽체(160)측에 인접한 상태로 셋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블로우 튜브(70)가 고정부(110)에 고정되면, 가이드유닛(170)의 패킹거치부(172)에 삽입하고자 하는 패킹(72)을 끼운다.
다음으로, 가압부(150)는 이동부(152)에 제공된 기어휠(157)을 회전하면, 기어휠(157)이 래크기어(132)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가압부(150)가 축부재(162)를 따라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152)에 연계된 가압봉(154)은 가이드유닛(170)의 패킹거치부(172)의 외주면에 근접하며 끼워지게 되고, 이동부(152)의 이동이 진행됨에 따라 가압봉(154)이 패킹(72)을 밀며 함께 이동하게 된다.
패킹(72)은 가압봉(154)에 따라 밀림에 따라 패킹확장부(174)로 확장되고, 이후 패킹차폐부(176)를 통과하여 패킹(72)이 삽입될 패킹홈(74)까지 밀린 후, 패킹홈(7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패킹홈(74)에 패킹(72)이 삽입되면, 이동부(152)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부(150)를 원위치시킨다. 이때, 가압봉(154)은 가이드유닛(170)을 이탈하는 과정에서 탄성에 의해 다시 오므려진 형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블로우 튜브(70)로부터 가이드유닛(170)을 분리한 후, 기존의 끼움봉(180)을 빼고 다른 패킹홈(74)의 길이에 대응하는 끼움봉(180)을 교환하여 삽입한다. 그리고, 다시 블로우 튜브(70)의 단부에 가이드유닛(170)을 결합하는 패킹(72) 조립준비 작업을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가이드유닛(170)에 패킹(72)을 끼운 후, 가압부(150)를 이용하여 패킹(72)을 블로우 튜브(70)의 패킹홈(74)에 끼우는 과정을 반복하여 블로우 튜브(70)의 모든 패킹홈(74)에 패킹(72)을 순차적으로 조립 완료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70: 블로우 튜브 72: 패킹
74: 패킹홈 100: 패킹 조립장치
110: 고정부 112: 제1고정블록
114: 제2고정블록 130: 지지부
132: 래크기어 150: 가압부
152: 이동부 154: 가압봉
156: 이동본체 157: 기어휠
160: 벽체 162: 축부재
170: 가이드유닛 172: 패킹거치부
174: 패킹확장부 176: 패킹차폐부
180: 끼움봉

Claims (6)

  1. 블로우 튜브에 형성된 복수의 패킹홈에 패킹을 조립하기 위한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로서,
    상기 블로우 튜브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 상기 블로우 튜브에 패킹이 삽입되도록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고정부가 일측에 제공되고, 타측에는 상기 가압부가 이동가능하게 제공되는 지지부; 및 상기 블로우 튜브의 패킹홈에 상기 패킹이 결합되도록 상기 패킹을 확장하며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닛은 상기 패킹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의 튜브로 제공되는 패킹거치부와, 상기 패킹거치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블로우 튜브의 외경에 대응하는 크기로 확장되는 패킹확장부와, 상기 패킹확장부에서 연장되어 패킹이 삽입되지 않는 패킹홈을 차폐하는 패킹차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로우 튜브에 교체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패킹홈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패킹차폐부가 위치하도록 각 패킹홈에 대응하는 길이로 제공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의 삽입위치를 조절하는 복수의 간격용 끼움봉을 포함하는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서 상기 블로우 튜브의 단부로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유닛을 따라 확장되며 상기 패킹을 밀도록 제공된 복수의 가압봉을 포함하는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봉은
    상기 이동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탄성에 의해 내측으로 오므려지도록 제공되는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서 상기 블로우 튜브의 단부로 연장된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축부재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며, 하부에 상기 지지부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수단이 구비되는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5. 삭제
  6. 삭제
KR20130106222A 2013-09-04 2013-09-04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KR101500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2A KR101500135B1 (ko) 2013-09-04 2013-09-04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6222A KR101500135B1 (ko) 2013-09-04 2013-09-04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0135B1 true KR101500135B1 (ko) 2015-03-06

Family

ID=53026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6222A KR101500135B1 (ko) 2013-09-04 2013-09-04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01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40222A (ko) 2018-06-11 2019-12-19 김종수 패킹 결합 장치
US10939147B2 (en) 2014-04-2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11300369B2 (en) 2018-11-22 2022-04-12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ing apparatus and water cooling type power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7719A (ja) * 1981-10-31 1983-05-11 Benkan Plant Kk 管端部フランジ成形法及びその成形機
JP2000171344A (ja) * 1998-12-07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試験装置
KR20110034481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 마스트 실린더의 패킹 교체용 지그
CN202530102U (zh) * 2012-03-22 2012-11-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炉全液压开口机水密封安装工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77719A (ja) * 1981-10-31 1983-05-11 Benkan Plant Kk 管端部フランジ成形法及びその成形機
JP2000171344A (ja) * 1998-12-07 2000-06-23 Mitsubishi Heavy Ind Ltd 衝撃試験装置
KR20110034481A (ko) * 2009-09-28 2011-04-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기로 마스트 실린더의 패킹 교체용 지그
CN202530102U (zh) * 2012-03-22 2012-11-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炉全液压开口机水密封安装工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9147B2 (en) 2014-04-27 2021-03-02 Lg Electronics Inc. Broadcast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broadcast signal receiving apparatus,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KR20190140222A (ko) 2018-06-11 2019-12-19 김종수 패킹 결합 장치
US11300369B2 (en) 2018-11-22 2022-04-12 Hyundai Motor Company Water cooling apparatus and water cooling type power modul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0135B1 (ko) 블로우 튜브의 패킹 조립장치
CN104632069B (zh) 冲击装置及拆卸该冲击装置的方法
CN102472579A (zh) 用于电炉的排渣门装置
CN109779646B (zh) 一种模拟换刀装置
KR100429155B1 (ko) 고로의 출선구 접합면 성형재 부착장치
JP2006137190A (ja) 射出成形工具
KR20020048161A (ko) 출선구 보호벽 형성장치
US20220162717A1 (en) Hole-opening bit and tap hole opening method using same
KR100428077B1 (ko) 머드건용 보조구
EP3586076B1 (en) Cooling panel for metallurgical furnace
KR100877533B1 (ko) 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융착금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냉장고 도어의 가스켓
KR101421954B1 (ko) 개공기의 중심 조정장치
KR100950370B1 (ko) 전기로 작업구의 지금 제거장치
KR101271813B1 (ko) 출선구 굴착장치
KR200163537Y1 (ko) 고로출선구의 개공장치
KR100865676B1 (ko) 고로 풍구 밀봉부재
EP1233077B1 (en) Apparatus for repairing blast furnace taphole facings
KR102034434B1 (ko) 개폐장치, 이의 제작방법, 및 개폐방법
KR102567628B1 (ko) 고로 출선구 개공용 로드
KR200268926Y1 (ko) 용융불로잉에 의한 풍구선단 무휴풍 뚫음 장치
KR101660698B1 (ko) 개공기의 방열판의 분해 장치
CN217462147U (zh) 煤矿采煤机用防护机构
US2001004569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lacing a tap hole liner in a basic oxygen furnace/QBOP/AOD and all other types of converter vessels
KR20090009988U (ko)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용 플랜지 구조체
KR100432130B1 (ko) 풍구 내경 차단판 및 해머 건을 이용한 내화물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