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815B1 - Movable fence - Google Patents

Movable fe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815B1
KR101499815B1 KR20140045313A KR20140045313A KR101499815B1 KR 101499815 B1 KR101499815 B1 KR 101499815B1 KR 20140045313 A KR20140045313 A KR 20140045313A KR 20140045313 A KR20140045313 A KR 20140045313A KR 101499815 B1 KR101499815 B1 KR 101499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tension
wire rope
movable assembly
rai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453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서현
Original Assignee
윤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0266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49981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윤서현 filed Critical 윤서현
Priority to KR20140045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81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815B1/en
Priority to PCT/KR2015/002764 priority patent/WO201516010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fence that can prevent a ball from coming out above a facility, and more specifically, a movable fence for preventing fly ball that can minimize deformation of a mesh and replace a part of the mesh, thereby easily repairing the mesh. The movable fence includes a plurality of posts installed on the ground at regular intervals; a rail member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ost in a vertical direction;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y engaged to the rail member to be able to move in a vertical direction; a connecting wire for connecting the movable assembli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a movable wire with one end being engaged to an upper end of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and the other end being connected to a driving winch for lifting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a tension wire rope for connecting the movable assembly and the movable assembly of the adjacent rail member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mesh installed between the tension wire ropes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Description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Movable fence}Movable fence}

본 발명은 공이 체육시설 등의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물망의 변형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그물망의 부분 교체가 가능하여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가능한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anti-collision fence for preventing a ball from going out to a sports facility, etc.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anti-collision fence for minimizing deformation of a mesh network, For a movable anti-collapse fence.

축구장, 야구장, 골프장 등의 체육 시설 또는 학교 울타리 등에는 공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구방지 휀스를 설치한다. In order to prevent the ball from going out to the athletic facilities such as a soccer field, a baseball field, a golf course, or a school fence, an anti-bug fence is installed.

종래 비구방지 휀스는 지주에 메쉬 또는 그물망을 연결하여 이용하고 있으나, 이중 메쉬 타입의 휀스는 충격에 의하여 용접부가 손상되거나 찌그러지는 등의 변형 현상을 수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공에 맞아도 원래 형상으로 돌아오기 쉽고, 원가가 비교적 저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한 그물망 타입의 비구방지 휀스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Conventionally, the anti-bulb fence is used by connecting a mesh or a net to the strut, but the double mesh type fence may cause a deformation phenomenon such as damage or collapse of the weld due to impact. Therefore, a mesh-type hedge preventing fence which is easy to return to the original shape even if hit by a ball, is relatively low in cost, and is light in weight and easy to carry and construct, is widely used.

그러나 그물망 타입의 비구방지 휀스는 바람에 의하여 그물망 중앙부에 배부름 현상이 일어나 미관을 저해하거나, 풍압 등에 의하여 그물망이 손상되어 휀스를 훼손할 염려가 있다.However, the mesh-type anti-blob fence is likely to damage the aesthetics due to the wind blowing at the center of the mesh and damage the mesh due to wind pressure or the like, thereby damaging the fence.

또한, 종래 그물망을 보수 또는 교체하기 위해서는 지주 높이 전체에 걸쳐 설치된 그물망을 모두 교체하여야 하였다. 따라서 유지 관리 비용 면에서 비경제적이고, 그물망의 높이가 높을 경우 고소 장비가 필요하며 고소 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repair or replace the conventional net, all of the net installed over the entire height of the support has to be replaced. Therefore, it is not economical from the viewpoint of maintenance cost. If the height of the mesh is high, a high - altitude equipment is needed and safety problems of the operator due to the high - altitude work can occur.

한편, 하천 주변의 공원 등에 설치되는 휀스는 하천 범람시 일정 높이가 물에 침수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에 잠긴 휀스 부분은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물에 휩쓸려 떠내려 오는 각종 부유물이 휀스의 그물망에 걸려 휀스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다.On the other hand, a fence installed in a park around the river can be flooded with water at a certain height when the river floods. In this case, the part of the fence that is immersed in the water may interfere with the flow of water, and various floats that are being washed away from the water may be caught by the fence mesh, thereby damaging the fence.

이에 공개특허 제10-2011-0126027호 등에서 휀스의 그물망을 상부로 상승시켜 휀스 하부를 개방하는 기술이 제안된바 있으나, 외부로 노출된 부분은 여전히 그물망의 배부름 현상과 그물망 교체에 따른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Open No. 10-2011-0126027 proposes a technique of raising the mesh of the fence to the upper part to open the lower part of the fence. However, the exposed part of the fence still has problems due to the mesh phenomenon of the mesh and the replacement of the mesh There are limitations that accompany.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함으로써, 풍압 등에 의한 그물망의 배부름 현상과 휀스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anti-bullion prevention fence which can minimize the effect of the wind and prevent the phenomenon of folding of the net and damage to the fence due to wind pressur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그물망의 일부 교체가 가능하고 그물망의 보수 또는 교체시에 고소 작업이 불필요한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vable type antifogging fence in which a part of the mesh can be replaced and a complicated operation is unnecessary when the mesh is repaired or replaced.

아울러 본 발명은 하부에서 상부로 그물망을 들어 올릴 수 있어, 하천 등의 범람에 의한 휀스의 훼손을 줄일 수 있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ovable anti-bulb fence capable of lifting a ne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reby reducing the damage of the fence due to overflow of river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 상하로 인접하는 가동어셈블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와이어; 최상단 가동어셈블리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상단 가동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 상기 가동어셈블리와 인접하는 레일부재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 method comprising: A rail member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surface;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coupled to the rail member and dispos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connecting wire interconnecting the vertically adjacent movable assemblies; A moving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for moving up and down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A tension wire rope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moveable assembly of the rail member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And a mesh network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ropes for ten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anti-bullion prevention fenc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 상기 지주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레일부재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 최하단 가동어셈블리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하단 가동어셈블리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 상기 가동어셈블리와 인접하는 레일부재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image form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rail member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support surface;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coupled to the rail member and dispos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ing wire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for moving up and down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A tension wire rope for horizontally connecting the moveable assembly of the rail member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And a mesh network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ropes for tens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anti-bullion prevention fenc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레일부재는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 상기 전면 플랜지와 후면 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전면 플랜지 및 후면 플랜지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부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어셈블리는 웨브와 지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member comprises a front flange and a rear flang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eb connecting the front flange and the rear flange, a support member vertically bent inward at the ends of the front flange and the rear flange, And the movable assembly is positioned between the web and the suppor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가동어셈블리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 내측에 지지되는 롤러부 및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어 텐션용 와이어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assembly includes a body portion, a roller portion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and a wire rope fastener coupled to the body portion and having one end of the tension wire rope fix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anti-frieze fence characterized by being constituted by a doo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의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부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긴장구; 및 상기 긴장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텐션용 와이어로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긴장구의 단부에 걸려 상기 긴장구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걸림부가 형성된 이동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at the center of the body,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body passes; And a moving member having a tension wire wire rope fixed at one end thereof and an engag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thereof to engage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and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nsion memb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anti-frieze fenc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긴장구의 일단 외측에는 긴장구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on fence, wherein a rotary shaft for rotating the tension arm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fitment.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 중앙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는 상기 관통공 내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에 텐션용 와이어로프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관통공보다 지름이 큰 걸림부가 형성된 이동구; 및 상기 이동구 후단 외측의 걸림부와 몸체부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구를 몸체부 후단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rough hol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reciprocated in the through hole to fix a tension wire rope to one end, A moving member having a large-diameter latching portion;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art and the body part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moving part and pressing the moving part toward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vable anti-frieze fenc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하로 이동 가능한 가동어셈블리에 텐션용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고 상하 텐션용 와이어로프 사이에 그물망을 배치함으로써,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그물망 중 일부 그물망의 부분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유지 관리 비용이 저렴하다. First, by connecting a wire rope for tension to a movable assembly movable up and down and arranging a mesh between the wire ropes for upper and lower tensions, it is possible to replace part of a plurality of meshes among a plurality of meshes vertically disposed. Therefore, the maintenance cost is low.

둘째, 가동어셈블리를 하부로 이동시켜 그물망을 하부로 내릴 수 있으므로, 별도의 고소 장비 없이 그물망의 설치 또는 교체가 가능하다. 따라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movable assembly can be moved downward and the mesh can be lowered, it is possible to install or replace the mesh without any additional equipment. Therefo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셋째, 복수의 텐션용 와이어로프 사이에 설치된 그물망을 텐션용 와이어로프로 팽팽하게 잡아 당길 수 있다. 따라서 바람에 의한 배부름 현상 등 그물망의 변형의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휀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ird, a mesh installed between a plurality of wire ropes for tension can be pulled out with a tension wir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mesh network, such as the occurrence of a run-in due to the wind,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fence.

넷째, 최하부 가동어셈블리에만 이동와이어를 결합하여 하부 그물망을 상부로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하천 등의 범람에 의한 휀스의 훼손을 줄일 수 있다.
Fourth, only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can be coupled to the moving wire to raise the lower mesh.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damage to the fence due to overflow of rivers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일실시예에 의한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면.
도 8은 텐션용 와이어로프가 결합된 가동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가동어셈블리와 텐션용 와이어로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vable antifouling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vable antifoul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assembly to which a tension wire rope is coupled.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movable assembly and the wire rope for tension. Fig.
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일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able anti-frieze preven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of the movable anti-frieze preven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anti- 4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side view showing a part of the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는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 상기 지주(1)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2); 상기 레일부재(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3); 상하로 인접하는 가동어셈블리(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와이어(4);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5); 상기 가동어셈블리(3)와 인접하는 레일부재(2)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movable anti-frieze prevention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pillars 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A rail member (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3) coupled to the rail member (2) and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connecting wire 4 interconnecting the vertically adjacent movable assemblies 3; A moving wire 5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8 for moving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up and down; A tension wire rope (6) for horizontally connecting movable assemblies of the rail member (2)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3); And a wire net (7)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wire ropes (6); .

본 발명의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는 체육 시설 또는 학교 울타리 등의 외곽에 설치되어 공이 외부로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movable anti-collision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utside the sports facility or the school fence to prevent the ball from going out.

상기 지주(1)는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지면에 삽입되거나 지면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고정되며 타단은 지상으로 노출된다. 지주(1)의 타단은 체육 시설의 내측 또는 외측을 향하도록 소정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e struts (1) are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ne end of the strut is inserted into the ground or fixed to the ground with a fixing member such as bolt, and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ground. The other end of the pillar 1 can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so as to face toward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athletic facility.

상기 지주(1) 전면에는 수직 방향으로 레일부재(2)가 배치된다. A rail member (2) i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상기 레일부재(2)는 지면에 수직 방향이 되도록 지주(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가동어셈블리(3)가 레일부재(2)에 면하여 상하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rail member 2 is install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lumn 1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paper surface and guides the movable assembly 3 to move up and down facing the rail member 2.

상기 지주(1) 전면은 통상적으로 유지 관리의 편의성 면에서 휀스가 설치되는 공간 내측을 향하는 면으로 할 수 있으나, 체육시설 등의 외측을 향하는 면으로 할 수도 있다. In general,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may be a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space where the fence is installed from the viewpoint of maintenance, but may be a surface facing the outside of a sports facility or the like.

상기 레일부재(2)는 지주(1)에 직접 설치할 수도 있으나 도 3 등에서와 같이 연결부재(9)로 지주(1)와 이격되도록 설치 가능하다.
The rail member 2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strut 1, but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strut 1 by a connecting member 9 as shown in Fig.

상기 가동어셈블리(3)는 레일부재(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복수 개 배치되고, 상하로 인접하는 가동어셈블리(3)는 연결와이어(4)에 의하여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와이어(5)가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된다. A plurality of the movable assemblies 3 are connected to the rail member 2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the movable assemblies 3 that are vertically adjacent to each other are interconnected by a connecting wire 4. The moving wire 5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inch 8,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the other end which moves up and down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따라서 구동윈치(8)를 작동시켜 이동와이어(5)를 구동윈치(8) 측으로 권취시키면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연결와이어(4)로 연결된 복수의 가동어셈블리(3)가 차례대로 상부로 이동한다. 반대로 이동와이어(5)를 구동윈치(8) 측으로부터 권출하면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와 연결와이어(4)로 연결된 다른 가동어셈블리(3)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이동한다. Therefore, when the driving winch 8 is operated to wind the moving wire 5 to the driving winch 8 side,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3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ire 4 while the uppermost moving assembly 3 moves upward And moves to the top in order. Conversely, when the moving wire 5 is pulled out from the driving winch 8 side, the other movable assembly 3 connected to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the connecting wire 4 moves downward by their own weight.

그물망(7)의 좌우 양측에 결합된 이동와이어(5)를 하나의 구동윈치(8)에 연결하면, 구동윈치(8) 구동시 그물망(7)에 기울기가 발생하지 않고 수평을 이루면서 승하강할 수 있다. When the moving wire 5 coupled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net 7 is connected to one driving winch 8, the net 7 can be raised and lowered have.

도 5는 구동윈치(8)의 실시예로 지주(1) 일측에 구비된 수동 윈치를 도시하고 있으나, 콘트롤 박스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제어 가능한 전동 윈치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5 shows a manual winch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1 as an embodiment of the drive winch 8, it is also possible to use an electric winch which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by providing a control box.

상기 가동어셈블리(3)와 인접하는 레일부재(2)의 가동어셈블리(3)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에 의하여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사이에는 그물망(7)이 설치된다. The movable assembly 3 of the rail member 2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3 is connec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the tension wire rope 6 and between the vertically adjacent wire ropes 6 A mesh network 7 is installed.

따라서 구동윈치(8)의 구동 여부에 따라 가동어셈블리(3)가 상승 또는 하강을 하게 되므로, 가동어셈블리(3)에 연결된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상하 텐션용 와이어로프(6) 사이에 설치된 그물망(7)이 가동어셈블리(3)와 함께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하면서 휀스의 상부를 개방 또는 폐쇄한다. Therefore, since the movable assembly 3 is raised or lowered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driving winch 8 is driven, it is installed between the tension wire rope 6 connected to the movable assembly 3 and the wire rope 6 for upper and lower tension The mesh 7 moves up or down together with the movable assembly 3 to open or close the top of the fence.

따라서 복수의 그물망(7)이 텐션용 와이어로프(6)에 의하여 각각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바람에 의한 그물망(7) 중앙부의 배부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부 그물망(7)을 하부로 이동시켜 바람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그물망(7) 손상시 해당 그물망(7)만을 교체하면 되므로 유지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가동어셈블리(3)를 하부로 이동시켜 그물망(7)을 하부로 내린 다음 보수 또는 교체가 가능하므로, 고소 장비가 불필요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the plurality of net meshes 7 can be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pulled up by the tension wire ropes 6, respectively, so that the phenomenon of wind creeping at the center of the net 7 due to wind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wind can be minimized by moving some of the mesh 7 to the lower part, and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because only the mesh 7 is replaced when the mesh 7 is damaged. 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assembly 3 is moved downward and the net 7 is lowered, it is possible to perform maintenance or replacement, so that a high-altitude equipment is unnecessary and the safety of the operator can be secured.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지주(1) 양측에 그물망(7)이 설치되는 경우, 즉 중간에 배치되는 지주(1)는 레일부재(2), 가동어셈블리(3), 연결와이어(4), 이동와이어(5)가 지주(1) 전면 좌우측에 하나씩 한 쌍이 필요하다.3 and 4, when the mesh 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1, that is, the columns 1 arranged in the middle are connected to the rail member 2, the movable assembly 3, the connecting wire 4 ) And a pair of moving wires 5 are required on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

그리고 지주(1) 일측에 그물망(7)이 설치되는 경우, 즉 단부에 배치되는 지주(1)는 레일부재(2), 가동어셈블리(3), 연결와이어(4), 이동와이어(5)가 지주(1) 전면 일측에 1개소 필요하다.
When the mesh 7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olumn 1, the column 1 disposed at the end of the column 1 includes the rail member 2, the movable assembly 3, the connecting wire 4, the moving wire 5 One (1) place is required on the front side of the support (1).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6 is a view showing a part of a movable anti-collapse preventing f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형 비구방지 훼스는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 상기 지주(1)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2); 상기 레일부재(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3);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5); 상기 가동어셈블리(3)와 인접하는 레일부재(2)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6, the movable type non-asbestos protecting fen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columns 1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on the ground; A rail member (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3) coupled to the rail member (2) and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ing wire 5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8 for moving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up and down; A tension wire rope (6) for horizontally connecting movable assemblies of the rail member (2)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3); And a wire net (7)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wire ropes (6); .

상기 지주(1), 레일부재(2), 가동어셈블리(3),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그물망(7)에 대한 설명은 앞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다. The description of the strut 1, the rail member 2, the movable assembly 3, the tension wire rope 6 and the mesh 7 is the same as in FIGS.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이동와이어(5)의 일단이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된다. 6, one end of the moving wire 5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driving winch 8 for moving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up and down.

이로써, 구동윈치(8)를 구동하여 이동와이어(5)를 권취시키면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차례대로 상부의 가동어셈블리(3)들이 이동하여 그물망(7)이 들어 올려진다.Thus, when the moving winch 8 is driven to wind the moving wire 5, the movable assemblies 3 move upward and the net 7 is lifted in order as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moves upward.

따라서 하천 주변에 설치되는 휀스의 경우, 휀스 하부 그물망(7)을 개방하여 하천 범람시 물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통로수를 확보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e case of a fence installed around a river, the fence lower mesh 7 can be opened to secure the number of passages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flow of water when the river floods.

반대로 이동와이어(5)를 구동윈치(8) 측으로부터 권출하면 자중에 의하여 그물망(7)이 하부로 이동하므로 지주(1) 하부에 그물망(7)을 설치할 수 있다.
Conversely, when the moving wire 5 is withdrawn from the driving winch 8 side, the mesh 7 moves downward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mesh 7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strut 1.

도 7은 일실시예에 의한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면이고, 도 8은 텐션용 와이어로프가 결합된 가동어셈블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9는 가동어셈블리와 텐션용 와이어로프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FIG. 7 is an enlarged view of the 'A' portion of FIG. 3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able assembly to which a tension wire rope is coupled, Fig.

도 3 및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레일부재(2)는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 상기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를 연결하는 웨브(23), 상기 전면 플랜지(21) 및 후면 플랜지(2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부(24)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어셈블리(3)는 웨브(23)와 지지부(2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3 and 7,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ail member 2 includes a front flange 21 and a rear flange 22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front flange 21 and a rear flange 22 A web 23 connecting the front flange 21 and the rear flange 22 and a support 24 vertically bent inwardly from an end of the front flange 21 and the rear flange 22, (24).

따라서 상기 레일부재(2)는 전체적으로 전후면 플랜지(21, 22)의 단부에서 절곡된 지지부(24)가 형성된 H 형상이다. 상기 레일부재(2)의 양측에는 전후면 플랜지(21, 22) 및 웨브(23)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의 대면하는 지지부(24) 사이는 일부가 개방되어 상기 공간으로 삽입된 가동어셈블리(3)가 상하로 이동하는 통로가 된다. Therefore, the rail member 2 is H-shaped with the support portion 24 bent at the end portions of the front and rear flanges 21 and 22 as a whole.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flange 21 and the rear flange 22 by the front and rear flanges 21 and 22 on both sides of the rail member 2 and between the facing support portions 24 of the rear flange 22 And the movable assembly 3, which is partly opened and inserted into the space, becomes a passage for moving up and down.

상기 레일부재(2)의 웨브(23) 양측에 형성된 공간에 가동어셈블리(3)를 설치하며, 텐션용 와이어로프(6)는 가동어셈블리(3)에 연결한다.A movable assembly 3 is installed in a spac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eb 23 of the rail member 2 and the tension wire rope 6 is connected to the movable assembly 3.

이때, 중간에 위치한 지주(1)에 설치되는 레일부재(2)는 도 3과 같이 좌우 대칭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단부에 배치되는 지주(1)에 결합되는 레일부재(2)는 웨브(23) 일측에만 가동어셈블리(3)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3, the rail member 2 coupled to the column 1 disposed at the end portion of the rail member 2 is supported by the web 23 The movable assembly 3 can be inserted into only one space.

상기 가동어셈블리(3)가 일측으로 편심되거나 레일부재(2)가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지지부(24) 단부는 웨브(23)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절곡하여 이탈방지턱(25)을 연장 형성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the movable assembly 3 from being eccentric to one side or to prevent the rail member 2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the end of the support portion 24 is vertically bent toward the web 23, Can be extended.

도 7과 같이, 상기 가동어셈블리(3)는 몸체부(31), 상기 몸체부(31)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24) 내측에 지지되는 롤러부(32) 및 상기 몸체부(31)에 결합되어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부(33)로 구성될 수 있다. 7, the movable assembly 3 includes a body portion 31, a roller portion 32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1 and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24, And a wire rope fixing portion 33 to which one end of the tension wire rope 6 is fixed.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에 일단이 고정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가동어셈블리(3)를 레일부재(2) 외측으로 당기면, 가동어셈블리(3)와 지지부(24) 내측 사이의 마찰에 의해 가동어셈블리(3)의 상하 이동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몸체부(31) 일측에 롤러부(32)를 배치하여,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 상태에서도 가동어셈블리(3)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하였다.
When the movable assembly 3 is pulled out of the rail member 2 to adjust the tension of the tension wire rope 6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the movable assembly 3 and the support portion 24 The movement of the movable assembly 3 may be restricted by the friction between the inner side and the inner side of the movable assembly 3.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er portion 32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1 so that the movable assembly 3 can move freely even in the tension state of the tension wire rope 6. [

상기 텐션용 와이어로프(6)와 와이어로프 고정부(33) 사이의 연결 및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을 위한 구성이 도 8 및 도 9에서 개시된다. A configuration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tension wire rope 6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and for tensioning the tension wire rope 6 is disclosed in Figs.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31)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311)의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부(31)의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긴장구(331); 및 상기 긴장구(33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긴장구(331)의 단부에 걸려 상기 긴장구(331)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걸림부(333)가 형성된 이동구(332); 로 구성될 수 있다. 8 and 9, a through hole 311 having a female screw hole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31,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 tension member 331 formed with a thread to be engaged with the female thread of the body portion 311 and reciprocating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of the body portion 31 in accordance with rotation; The tension rope 6 is fixed to one end of the tension rod 331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rope 6 is hooked on the end of the tension rod 331 to move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tension rod 331. [ A moving part 332 having a part 333 formed therein; ≪ / RTI >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긴장구(331)와 이동구(332)로 구성된다.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is composed of a tension member 331 and a moving member 332.

상기 긴장구(331)는 가동어셈블리(3)의 몸체부(31)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311)에 나사산을 따라 결합되어 나사산의 회전에 따라 몸체부(31) 전면 또는 후면으로 이동하여 텐션용 와이어로프(6)를 긴장 또는 이완시킬 수 있다.The tension member 331 is threaded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311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31 of the movable assembly 3 and moves to the front or back of the body 31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thread, The wire rope 6 can be strained or relaxed.

즉, 와이어로프 고정부(33)의 긴장구(331)를 회전시켜 긴장구(331)를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면 긴장구(331)의 단부가 이동구(332)의 걸림부(333)를 밀어 이동구(332)를 후단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긴장되게 된다. That is, when the tensioning tool 331 of the wire rope fixing part 33 is rotated to move the tensioning tool 331 to the opposite side of the tension wire rope 6, the end of the tensioning tool 331 is moved to the side of the moving tool 332 The tensioning wire rope 6 is tensioned by pushing the locking part 333 to move the moving part 332 to the rear end.

이때,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단부는 이동구(332)의 일단에 결합되며,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이동구(332)의 일단에 형성된 구멍에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단부를 걸어 텐션용 와이어로프(6)를 가동어셈블리(3)에 결합하였다. At this time, the end of the tension wire rope 6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port 332, and in the embodiment of Figs. 8 and 9, the tension wire rope 6 is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port 332, And the wire rope 6 for tension is engaged with the movable assembly 3. [

일반적으로 텐션용 와이어로프(6)는 긴장력이 도입된 채로 설치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긴장구(331)를 풀어 텐션용 와이어로프(6) 쪽으로 이동시킨 후 이동구(332) 일단에 텐션용 와이어로프(6)를 먼저 연결하고, 몸체부(31)의 관통공(311)을 따라 긴장구(331)를 조여 이동구(332)를 반대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텐션용 와이어로프(6)를 긴장하는 순서로 설치할 수 있다.Generally,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tension wire rope 6 with the tension applied thereto. The tension wire 331 is released and moved toward the tension wire rope 6 and then the tension wire rope 6 is first connected to one end of the moving tool 332 and the through hole 311 of the body part 31 It is possible to arrange the tension wire rope 6 in the order of tightening the tension ring 331 and moving the moving tool 332 to the opposite side.

휀스 사용 중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력이 완화된 경우에는 긴장구(331)를 다시 조여 재긴장할 수 있다.
When the tension of the tension wire rope 6 is relaxed during the use of the fence, the strain relief 331 can be tightened again to reinforce the tension.

상기 긴장구(331)의 일단 외측에는 긴장구(33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33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A rotation hole 334 for rotating the tension member 33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tension member 331.

상기 회전구(334)는 긴장구(331)를 쉽게 회전시켜 조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전구(334) 이외에도 긴장구(331) 외측에 구멍을 형성하고 구멍에 공구를 삽입하여 긴장구(331)를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The rotary tool 334 is configured to easily rotate and tighten the tension tool 331.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hole outside the tension hole 331 in addition to the rotary hole 334 and insert a tool into the hole to rotate the tension hole 331. [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면이다.10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은 도 10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31) 중앙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상기 관통공(311) 내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에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관통공(311)보다 지름이 큰 걸림부(333)가 형성된 이동구(332); 및 상기 이동구(332) 후단 외측의 걸림부(333)와 몸체부(31)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구(332)를 몸체부(31) 후단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5); 로 구성할 수 있다. 10, a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portion 31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1 and is reciprocated A moving hole 332 at one end of which the wire rope 6 for tension is fixed and at the other end of which an engaging portion 333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311 is formed; And an elastic member 335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art 333 and the body part 31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moving part 332 and pressing the moving part 332 to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31; .

도 10의 실시예는 앞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텐션용 와이어로프(6)와 와이어로프 고정부(33) 사이의 연결 및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을 위한 다른 실시예이다. The embodiment of Fig. 10 is another embodiment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rope 6 for tension and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shown in Figs. 8 and 9 and the tension of the wire rope 6 for tension.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몸체부(31)의 관통공(311)을 왕복 이동하는 이동구(332)와 탄성부재(335)로 구성된다.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is composed of a moving tool 332 and an elastic member 335 that reciprocate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of the body portion 31.

상기 탄성부재(335)는 이동구(332)를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반대쪽으로 가압하므로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긴장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탄성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긴장력도 유지될 수 있다. Since the elastic member 335 presses the moving tool 332 against the tension wire rope 6, the tension wire rope 6 can maintain the tension force and maintains the elastic force continuously over time The tension of the tension wire rope 6 can also be maintained.

상기 탄성부재(335)는 코일 스프링, 탄성 스프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The elastic member 335 may be a coil spring, an elastic spring, or the like.

1: 지주 2: 레일부재
21: 전면 플랜지 22: 후면 플랜지
23: 웨브 24: 지지부
25: 이탈방지턱 3: 가동어셈블리
31: 몸체부 311: 관통공
32: 롤러부 33: 와이어로프 고정부
331: 긴장구 332: 이동구
333: 걸림부 334: 회전구
335: 탄성부재 4: 연결와이어
5: 이동와이어 6: 텐션용 와이어로프
7: 그물망 8: 구동윈치
9: 연결부재
1: column 2: rail member
21: Front flange 22: Rear flange
23: web 24: support
25: release bust 3: movable assembly
31: body part 311: through hole
32: roller portion 33: wire rope fixing portion
331: tension zone 332: moving zone
333: Retaining portion 334:
335: elastic member 4: connecting wire
5: Moving wire 6: Wire rope for tension
7: Net 8: Driving winch
9:

Claims (7)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
상기 지주(1)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2);
상기 레일부재(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3);
상하로 인접하는 가동어셈블리(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와이어(4);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상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5);
상기 가동어셈블리(3)와 인접하는 레일부재(2)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A plurality of struts (1)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the ground;
A rail member (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3) coupled to the rail member (2) and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connecting wire 4 interconnecting the vertically adjacent movable assemblies 3;
A moving wire 5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8 for moving the uppermost movable assembly 3 up and down;
A tension wire rope (6) for horizontally connecting movable assemblies of the rail member (2)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3); And
A net 7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wire ropes 6; Wherein the movable flange is formed of a metal plate.
지면에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지주(1);
상기 지주(1) 전면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레일부재(2);
상기 레일부재(2)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가동어셈블리(3);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의 상단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최하단 가동어셈블리(3)를 승하강시키는 구동윈치(8)에 연결되는 이동와이어(5);
상기 가동어셈블리(3)와 인접하는 레일부재(2)의 가동에셈블리를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 및
상하로 인접하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사이에 설치되는 그물망(7);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A plurality of struts (1) install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one another on the ground;
A rail member (2)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1);
A plurality of movable assemblies (3) coupled to the rail member (2) and arranged to be movable up and down;
A moving wire 5 connected at one en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and at the other end to a driving winch 8 for moving the lowermost movable assembly 3 up and down;
A tension wire rope (6) for horizontally connecting movable assemblies of the rail member (2) adjacent to the movable assembly (3); And
A net 7 provid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tension wire ropes 6; Wherein the movable flange is formed of a metal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레일부재(2)는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하는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 상기 전면 플랜지(21)와 후면 플랜지(22)를 연결하는 웨브(23), 상기 전면 플랜지(21) 및 후면 플랜지(22)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지지부(24)로 형성되고, 상기 가동어셈블리(3)는 웨브(23)와 지지부(24)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rail member 2 includes a front flange 21 and a rear flange 22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web 23 connecting the front flange 21 and the rear flange 22, And a support portion (24) vertically bent inwardly at an end of the rear flange (22), the movable assembly (3) being located between the web (23) and the support portion (24) Fence.
제3항에서,
상기 가동어셈블리(3)는 몸체부(31), 상기 몸체부(31) 일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부(24) 내측에 지지되는 롤러부(32) 및 상기 몸체부(31)에 결합되어 텐션용 와이어로프(6)의 일단이 고정되는 와이어로프 고정부(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4. The method of claim 3,
The movable assembly 3 includes a body portion 31, a roller portion 32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31 and supported inside the support portion 24, and a tension member 34 coupled to the body portion 31, And a wire rope fixing portion (33) to which one end of the rope (6) is fixed.
제4항에서,
상기 몸체부(31) 중앙에는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속이 빈 원통 형상으로 외주면에 상기 관통공(311)의 암나사산에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회전에 따라 몸체부(31)의 관통공(311)을 관통하여 왕복 이동하는 긴장구(331); 및
상기 긴장구(331)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일단에는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긴장구(331)의 단부에 걸려 상기 긴장구(331)의 이동에 따라 움직이도록 하는 걸림부(333)가 형성된 이동구(332);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through hole 311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ody 31,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so as to be coupled to the female thread of the through hole 311.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311 of the body portion 31, A moving strap 331; And
The tension rope 6 is fixed to one end of the tension member 331 and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rope 6 is engaged with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331 to mov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ension member 331. [ (333) formed with a movable member (332); Wherein the movable flange is made of a metal.
제5항에서,
상기 긴장구(331)의 일단 외측에는 긴장구(33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구(334)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The method of claim 5,
And a rotation hole (334) for rotating the tension hole (331) is protruded from one end of the tension hole (331).
제4항에서,
상기 몸체부(31) 중앙에는 관통공(311)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로프 고정부(33)는 상기 관통공(311) 내에 삽입되어 왕복 이동하는 것으로 일단에 텐션용 와이어로프(6)가 고정되고, 타단에는 상기 관통공(311)보다 지름이 큰 걸림부(333)가 형성된 이동구(332); 및
상기 이동구(332) 후단 외측의 걸림부(333)와 몸체부(31)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구(332)를 몸체부(31) 후단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335);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형 비구방지 휀스.
5. The method of claim 4,
A through hole 311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31,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1 and is reciprocally moved. The tension wire rope 6 is fixed to one end of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The other end of the wire rope fixing portion 33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311 333)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member (332). And
An elastic member 335 provided between the engaging part 333 and the body part 31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end of the moving part 332 and pressing the moving part 332 to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31; Wherein the movable flange is made of a metal.
KR20140045313A 2014-04-16 2014-04-16 Movable fence KR101499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313A KR101499815B1 (en) 2014-04-16 2014-04-16 Movable fence
PCT/KR2015/002764 WO2015160101A1 (en) 2014-04-16 2015-03-20 Movable mesh f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5313A KR101499815B1 (en) 2014-04-16 2014-04-16 Movable fe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815B1 true KR101499815B1 (en) 2015-03-12

Family

ID=5302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45313A KR101499815B1 (en) 2014-04-16 2014-04-16 Movable fe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815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145B1 (en) * 2015-10-19 2016-01-05 (주)우림에프엔씨 Automatically vertically movable net fence
KR101784865B1 (en) 2016-04-25 2017-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uardrail
KR101938988B1 (en) * 2017-08-31 2019-01-15 윤기철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ing the same
KR102211387B1 (en)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Lift clamp type net lifting system
KR102211388B1 (en)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Elevating system for elevate frame type n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102A (en) * 1997-11-12 1999-05-25 Yoshi Demachi Wind shielding net device and wind shielding net used therefor
KR20140089239A (en) * 2013-01-04 2014-07-14 현수건설 주식회사 Fly ball preventing safety net fen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7102A (en) * 1997-11-12 1999-05-25 Yoshi Demachi Wind shielding net device and wind shielding net used therefor
KR20140089239A (en) * 2013-01-04 2014-07-14 현수건설 주식회사 Fly ball preventing safety net fen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145B1 (en) * 2015-10-19 2016-01-05 (주)우림에프엔씨 Automatically vertically movable net fence
KR101784865B1 (en) 2016-04-25 2017-10-1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Guardrail
KR101938988B1 (en) * 2017-08-31 2019-01-15 윤기철 Soil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Method for constructinging the same
KR102211387B1 (en)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Lift clamp type net lifting system
KR102211388B1 (en) * 2020-06-09 2021-02-03 와이에이치 주식회사 Elevating system for elevate frame type ne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815B1 (en) Movable fence
CN107795112A (en) A kind of high maneuverability external wall aerial work platform structure
DE102012007613A1 (en) Star-shaped swimming support base for offshore wind energy plant, has control unit that controls operation cycle of wind power machine such that configurations of hardware and software are introduced at wind power machine
DE102012000116B4 (en) Smoke or fire protection device
CN213269262U (en) Retractable prevents guardrail bar device
CN210563759U (en) Protective fence for protecting outdoor electrical equipment
US10354565B2 (en) Outdoor advertising structure with a tilting, lowerable screen
KR101832365B1 (en) Tensioning of the rope type fences
CN209129344U (en) Fast platform easy to operate for steel plate wall installation
KR101503428B1 (en) Movable fence with a net
CN205908105U (en) Electric power facility rail guard
KR101073529B1 (en) Stage with integrated gridiron on a separated batten wire transfer space
WO2009144439A1 (en) Telescopic mast
JP2017025560A (en) Net lifting device
JP4032315B1 (en) How to hang a suspended body such as a net in an indoor facility
JP5181315B1 (en) Net body or sheet body for ball-proofing, etc., and net body or sheet body for ball-proofing etc.
WO2017102596A1 (en) Anchor device and floating device
CN113216666A (en) Rolling type dense mesh net
CN205977255U (en) Soft net device of mining protection
KR102553833B1 (en) A free lifting type net easy to going up
TWM496667U (en) Retractable frame structure of anti-fall net
KR102123966B1 (en) Retractable bird netting
DE1020110019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pping a borehole
CN213837767U (en) High civil engineering protection equipment of security
RU70291U1 (en) HACKING PROTE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16

Effective date: 20160406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209

Effective date: 2016040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4649;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16

Effective date: 20160406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5548;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1209

Effective date: 201604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2959;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295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504

Effective date: 20180126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7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3000007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80618

Effective date: 201810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