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50B1 -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350B1
KR101499350B1 KR20130120758A KR20130120758A KR101499350B1 KR 101499350 B1 KR101499350 B1 KR 101499350B1 KR 20130120758 A KR20130120758 A KR 20130120758A KR 20130120758 A KR20130120758 A KR 20130120758A KR 101499350 B1 KR101499350 B1 KR 101499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rypted encrypted
decryption system
unit
hand
gesture reco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0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헌
손명규
김동주
김현덕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20130120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3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6User authentication by graphic or iconic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46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the device orientation or free movement in a 3D space, e.g. 3D mice, 6-DOF [six degrees of freedom] pointers using gyroscopes, accelerometers or tilt-sens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은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ECODING PASSWORD USING 3D GESTURE RECOGNITION}
본 발명은 오브젝트(예, 사용자의 손)의 동작을 3차원적으로 인식하여,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암호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패스워드를 키 입력하여 암호를 해제할 수 있었다. 최근에는 터치스크린에 2차원 패턴을 그려서 암호를 해제하는 시스템이 안드로이드 휴대폰을 비롯하여 다양한 디바이스에서 상용화 되고 있다. 더불어, 사용자의 생체 정보를 이용한 암호 시스템,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음성 인식, 얼굴 인식 등과 같은 기술을 이용한 암호 시스템이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암호 시스템에서는 문자 또는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패스워드를 사용자가 항상 기억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2차원 패턴을 그려서 암호를 해제하는 시스템의 경우 보안 수준이 상대적으로 약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생체 정보를 이용한 암호 시스템은 구현하는 데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생체 정보를 인식하는 데 있어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상용화되기까지 아직 해결해야 될 부분이 많이 남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면서, 2차원 패턴 인식 암호 시스템 보다 높은 수준의 암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사용자의 손)를 검출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2D 카메라 또는 3D Depth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움직임을 추적 함으로써,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장치로서,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은,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은,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사용자의 손)를 검출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D 카메라 또는 3D Depth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움직임을 추적 함으로써,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TV 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암호 해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가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을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을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검출부(110), 감지부(120),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등록부(150), 획득부(160), 표시부(170), 디스플레이부(180) 및 메모리부(190)를 각각 추가하여 구성할 수 있다.
검출부(110)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일례로, 검출부(110)는 3차원의 공간상에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을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브젝트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라,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상되는 영상으로부터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도록, 획득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획득부(160)는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부(160)는 복수의 2D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는 시차 맵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획득부(160)는 RGB(Red Green Blue) 정보 및 깊이 정보를 제공하는 RGB-D 카메라, ToF(Time-of-Flight) 카메라 또는 레이저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3D Depth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검출부(110)는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식별하여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부(110)는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찾고, 패턴 매칭에 따라 '뼈대(스켈레톤)'를 찾은 뒤, 사용자의 '손'을 찾아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부(110)는 사용자의 손의 그랩(Grap) 상태 변화(예컨대, 주먹 쥔 상태 또는 손을 편 상태)인지 함께 검출할 수 있다.
감지부(120)는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감지부(120)는 그랩 상태 변화를 포함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감지부(120)는 3차원의 공간상에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감지부(120)는 상기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 알고리즘(Tracking algorithm)에 따라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다. 획득부(160)는 상기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깊이 정보를 표준화(Normalization)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디스플레이부(180)에 구현되는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을 표시할 수 있도록, 표시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70)는 상기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표준화된 상기 깊이 정보를 고려하여,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와 매칭되는 아이콘을 움직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표시부(170)는 3D 그래픽 화면 상의 아이콘을,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과 매칭시키고, 사용자 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움직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오브젝트 '사용자 손'의 그랩 상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손 모양의 3D 이미지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표시부(170)는 사용자의 손을 편 상태에서 주먹 쥔 상태로 바꾸는 움직임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의 상기 아이콘도 또한 손을 편 상태에서 주먹 쥔 상태로 바뀌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70)는 사용자가 손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제스쳐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블록 이미지를 잡고,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사용자가 손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앞 또는 뒤로 이동하는 제스쳐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블록 이미지를 잡고, 밀거나 또는 당기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70)는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3차원적으로 움직이도록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움직임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암호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 해제를 위한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의 아이콘에 의한 블록 이미지의 이동을 이벤트로서 등록할 수 있도록, 등록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등록부(150)는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아이콘에 의해,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이벤트를, 디바이스에 대해 등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부(150)는 사용자 손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움직이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제1 지점으로 이동 함에 따라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가 해제되도록,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좌표(x,y,z)(또는 벡터값)를 지정할 수 있다.
또는, 등록부(150)는 사용자 손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움직이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이동 함에 따라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가 해제되도록, 블록 이미지의 현 위치로부터의 이동 방향(예, 북서 방향)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등록부(150)는 상기 이벤트의 등록 시, 상기 좌표(x,y,z) 또는 상기 이동 방향을 복수로 지정하여, 상기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연속적으로 상기 좌표(x,y,z) 또는 상기 이동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등록부(150)는 암호 해제가 요청되는 디바이스(예, 스마트 TV,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대해 각각 상이한 이벤트를 등록할 수 있다.
판단부(130)는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한다.
일례로, 판단부(130)는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발생한 이벤트가,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단부(130)는 3차원 공간 상에서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이 주먹 쥔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위로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80)에 구현되는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손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위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암호 해제가 요청되는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메모리부(190)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판단부(130)는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손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A 지점으로 이동 후, B 지점으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암호 해제가 요청되는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메모리부(190)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판단부(130)는 블록 이미지가 이동한 A 지점과, B 지점의 각 좌표가 메모리부(190)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한다.
또한, 제어부(140)는 상기 블록 이미지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설정된 암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사용자의 손)를 검출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D 카메라 또는 3D Depth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움직임을 추적 함으로써,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TV 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암호 해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가 이동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은,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210)의 손(220)을 오브젝트로서 검출하여, 3D 그래픽 화면(230) 상의 아이콘(240)과 매칭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은 사용자(210)가 손(220)을 편 상태이면, 손 모양의 3D 이미지로 구현되는 아이콘(240)도 손을 편 상태로 3D 그래픽 화면(23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암호 해제 시스템은 사용자(210)의 손(220)의 제스쳐에 따라, 아이콘(240)을 움직여, 3D 그래픽 화면(230)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250)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210)가 손(220)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오른쪽으로 이동(251)한 후, 위로 이동(252) 함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230) 상에서 아이콘(240)이 블록 이미지(250)를 잡아, A 지점(260)으로 움직인 후, B 지점(270)으로 움직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암호 해제 시스템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사용자(210)가 손(220)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앞쪽(253)으로 손(220)을 내밀면, 3D 그래픽 화면(230) 상에서 아이콘(240)이 블록 이미지(250)를 잡고, C지점(280)으로 푸쉬(Push)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암호 해제 시스템은, 사용자(210)가 손(220)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뒤쪽으로 손(220)을 당기면, 3D 그래픽 화면(230) 상에서 아이콘(240)이 블록 이미지(250)를 잡아 당기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의 작업 흐름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을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은 상술한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31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한다.
일례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상에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을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오브젝트는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손'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다른 일례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식별하여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복수의 2D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는 시차 맵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 정보를 획득하거나, 또는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RGB(Red Green Blue) 정보 및 깊이 정보를 제공하는 RGB-D 카메라, ToF(Time-of-Flight) 카메라 또는 레이저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3D Depth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찾고, 패턴 매칭에 따라 '뼈대(스켈레톤)'를 찾은 뒤, 사용자의 '손'을 찾아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손의 그랩 상태 변화(예컨대, 주먹 쥔 상태 또는 손을 편 상태)인지 함께 검출할 수 있다.
단계(32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한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그랩 상태 변화를 포함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 상에서 센서 등을 이용하여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검출한 상기 손의 움직임을, 트래킹 알고리즘(Tracking algorithm)에 따라 추적하여 감지할 수 있다.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깊이 정보를 표준화(Normalization)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표준화된 상기 깊이 정보를 고려하여,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오브젝트와 매칭되는 아이콘을 움직여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D 그래픽 화면 상의 아이콘을,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과 매칭시키고, 사용자 손의 제스쳐에 따라,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움직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아이콘은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나, 오브젝트 '사용자 손'의 그랩 상태 변화를 반영할 수 있도록 손 모양의 3D 이미지 등과 같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손을 편 상태에서 주먹 쥔 상태로 바꾸는 움직임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의 상기 아이콘도 또한 손을 편 상태에서 주먹 쥔 상태로 바뀌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70)는 사용자가 손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상, 하, 좌, 우로 이동하는 제스쳐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블록 이미지를 잡고, 상, 하, 좌, 우로 움직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70)는 사용자가 손을 주먹 쥔 상태로 바꿔, 앞 또는 뒤로 이동하는 제스쳐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블록 이미지를 잡고, 밀거나 또는 당기도록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170)는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따라,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아이콘이 3차원적으로 움직이도록 표시 함으로써, 사용자의 실제 움직임을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암호를 해제하도록 할 수 있다.
단계(33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한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오브젝트 '사용자의 손'이 주먹 쥔 상태에서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위로 움직임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에 구현되는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손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오른쪽으로 이동한 후, 위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암호 해제가 요청되는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메모리부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또는,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손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A 지점으로 이동 후, B 지점으로 이동하는 이벤트가 발생 시, 상기 이벤트가 암호 해제가 요청되는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메모리부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블록 이미지가 이동한 A 지점과, B 지점의 각 좌표가 메모리부에 등록되는지 판별할 수 있다.
단계(34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한다.
또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블록 이미지가, 상기 제1 지점과 다른 제2 지점으로 이동하는 것에 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대해 설정된 암호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사용자의 손)를 검출하고,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감지되는 오브젝트의 움직임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2D 카메라 또는 3D Depth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한 오브젝트를 식별하여 움직임을 추적 함으로써,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 TV 또는 휴대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서의 암호 해제 시스템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을 도시한 작업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은 상술한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41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카메라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상되는 영상을 수집하여, 상기 영상으로부터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복수의 2D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는 시차 맵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RGB(Red Green Blue) 정보 및 깊이 정보를 제공하는 RGB-D 카메라, ToF(Time-of-Flight) 카메라 또는 레이저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3D Depth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42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고, 단계(43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손을 오브젝트로서 검출한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사용자의 '얼굴'을 찾고, 패턴 매칭에 따라 '뼈대(스켈레톤)'를 찾은 뒤, 사용자의 '손'을 찾아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손을 주먹 쥔 상태인지, 손을 편 상태인지 함께 검출할 수 있다.
단계(44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실제 손 위치와 화면 상의 손 위치를 매칭한다.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에 매칭되는 아이콘을 상기 깊이 정보를 고려하여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D 그래픽 화면 상에 표시되는 블록 이미지를 상기 아이콘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단계(450)에서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3차원 공간 상에서 손의 움직임으로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 해제한다.
예를 들어,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사용자 손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움직이는 아이콘에 의해, 블록 이미지가 제1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이때,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지점에 대한 좌표(x,y,z)(또는 벡터값)가 메모리부에 등록되는 경우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또는, 암호 해제 시스템(100)은 상기 제1 지점으로의 이동 방향이 메모리부에 등록되는 경우 암호를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2D 카메라 또는 3D Depth 카메라를 통해 촬상되는 영상에서 획득되는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3차원 공간 상에 위치한 사용자의 손을 식별하여 움직임을 추적 함으로써, 연관되는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간단히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암호 해제 시스템
110: 검출부 120: 감지부
130: 판단부 140: 제어부
150: 등록부 160: 획득부
170: 표시부 180: 디스플레이부
190: 메모리부

Claims (11)

  1.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감지부;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된 아이콘에 의해 이동하는 블록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블록 이미지의 이동 지점이,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더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지점이, 메모리부에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된 제1 지점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지점이, 상기 디바이스와 연관되지 않는 제2 지점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바이스에 대해 설정된 암호를 유지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에 의해 촬상되는 영상 내 사용자에 대한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획득된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영상에서 상기 사용자의 손을 식별하여 상기 오브젝트로서 검출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복수의 2D 카메라에 의해 구성되는 시차 맵을 이용하여 상기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는,
    RGB(Red Green Blue) 정보 및 깊이 정보를 제공하는 RGB-D 카메라, ToF(Time-of-Flight) 카메라 또는 레이저 카메라 중 적어도 하나의 3D Depth 카메라
    를 포함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부에서 상기 3차원의 공간 상에서의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깊이 정보를 표준화(Normalization)하는 경우,
    상기 암호 해제 시스템은,
    상기 표준화된 깊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와 매칭되는 아이콘을 움직여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트래킹 알고리즘에 따라 상기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그랩(Grap) 상태 변화를 포함하여, 상기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11. 3차원의 공간 상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3D 그래픽 화면 상에서, 상기 오브젝트의 움직임에 매칭된 아이콘에 의해 이동하는 블록 이미지의 이동 방향이, 디바이스와 연관되어 등록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연관되어 등록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디바이스에 설정된 암호를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방법.
KR20130120758A 2013-10-10 2013-10-10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KR101499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58A KR101499350B1 (ko) 2013-10-10 2013-10-10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0758A KR101499350B1 (ko) 2013-10-10 2013-10-10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350B1 true KR101499350B1 (ko) 2015-03-12

Family

ID=53026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0758A KR101499350B1 (ko) 2013-10-10 2013-10-10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3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9219A (zh) * 2017-02-15 2017-06-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三维空间的交互控制方法和装置、智能终端
CN108921102A (zh) * 2018-07-05 2018-11-30 盎锐(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3d影像的处理方法及装置
EP3518130A1 (en) 2018-01-30 2019-07-31 OneVisage SA Method and system for 3d graphical authentication on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280A (ja) * 2007-06-27 2009-01-15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3次元署名認証システム
KR20120048359A (ko) * 2010-11-05 2012-05-1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선박승무원 출입을 위한 3차원 영상 큐브 암호 인터페이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09280A (ja) * 2007-06-27 2009-01-15 Toyota Infotechnology Center Co Ltd 3次元署名認証システム
KR20120048359A (ko) * 2010-11-05 2012-05-15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하여 선박승무원 출입을 위한 3차원 영상 큐브 암호 인터페이스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09219A (zh) * 2017-02-15 2017-06-3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基于三维空间的交互控制方法和装置、智能终端
EP3518130A1 (en) 2018-01-30 2019-07-31 OneVisage SA Method and system for 3d graphical authentication on electronic devices
WO2019150269A1 (en) 2018-01-30 2019-08-08 Onevisage Sa Method and system for 3d graphical authentication on electronic devices
CN108921102A (zh) * 2018-07-05 2018-11-30 盎锐(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3d影像的处理方法及装置
CN108921102B (zh) * 2018-07-05 2022-07-05 盎锐(上海)信息科技有限公司 3d影像的处理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27203B2 (en) Leveraging crowdsourced data for localization and mapping within an environment
US9734379B2 (en) Guided fingerprint enrollment
US9978174B2 (en) Remote sensor access and queuing
JP6480434B2 (ja) デジタルデバイスとの対話のための直接的なポインティング検出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5947973B2 (ja) ロック解除方法、装置および電子端末
US20150049017A1 (en) Gesture recognition for device input
KR20160117207A (ko) 화상 해석 장치 및 화상 해석 방법
KR20150055543A (ko) 제스처 인식 장치 및 제스처 인식 장치의 제어 방법
EP3021206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focusing multiple depth intervals, and electronic device
US9727721B2 (en) Method and device for unlocking electronic equipment and unlocking key thereof
CN107077200B (zh) 基于反射的控件激活
JP2010067062A (ja) 入力システム及び入力方法
US20120019460A1 (en) Input method and input apparatus
KR101499350B1 (ko) 3차원 제스쳐 인식을 이용한 암호 해제 시스템 및 방법
CN105893854B (zh) 加解密方法及装置
JP5174492B2 (ja) 画像認識装置、画像認識方法、画像認識プログラム、ジェスチャ動作認識システム、ジェスチャ動作認識方法、及びジェスチャ動作認識プログラム
CN106909219B (zh) 基于三维空间的交互控制方法和装置、智能终端
CN211087230U (zh) 眼球追踪解锁系统
RU262389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ешифрования
JP5785876B2 (ja) ジェスチャー認識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押下判定システム、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該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TW202008209A (zh) 車輛之位置決定方法及系統,及其相關電腦程式產品
KR20130085754A (ko)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
KR102156175B1 (ko) 멀티 모달리티를 활용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싱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방법
JP5950806B2 (ja) 入力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WO2016004777A1 (zh) 一种终端、以及终端解密的方法、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