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9314B1 - Material load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Material load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9314B1
KR101499314B1 KR1020130033929A KR20130033929A KR101499314B1 KR 101499314 B1 KR101499314 B1 KR 101499314B1 KR 1020130033929 A KR1020130033929 A KR 1020130033929A KR 20130033929 A KR20130033929 A KR 20130033929A KR 101499314 B1 KR101499314 B1 KR 101499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space
coupling
impact
guide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39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18300A (en
Inventor
송상민
김명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39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314B1/en
Publication of KR20140118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83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31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2Piling, unpiling, unscramb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04Transverse mov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1/00Guiding, conveying, or accumulating easily-flexible work, e.g. wire, sheet metal bands, in loops or curves; Loop lif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203/00Auxiliary arrangements, devices or methods in combination with rolling mills or rolling methods
    • B21B2203/44Vibration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재가 이동되는 이동 경로의 일단에 배치되고, 소재를 적재 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고, 안내되는 소재와 충격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다중 흡수하며, 회전동작을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uiding unit which is disposed at one end of a movement path on which a work is moved and guides a work to a loading space and a work which is hinged to the guide unit and absorbs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work is guided, And a shock absorbing part for guiding the material guided through the space to the loading space.

Description

소재 적재 장치{Material loading apparatus}Material lo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소재 적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를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는 소재 적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capable of stably stacking a material.

일반적으로, 압연강재는 제강라인, 압연라인, 정정라인과 같은 일련의 단위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제조된다.Generally, the rolled steel is manufactured through a series of unit processes such as a steelmaking line, a rolling line, and a correction line.

상기와 같은 공정을 통해 제조된 압연강재는 적재 위치에 순차적으로 적재된다.The rolled steel produced through the above process is sequentially stacked at the stacking position.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 실용 제20-1998-022702호(공개일 : 1998.07.25)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냉연 공정 정정라인의 코일표면 손상방지 장치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 Public Practice No. 20-1998-022702 (published on July 25, 1998), which disclos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damage to a coil surface of a cold rolling process correction line.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 간의 충격을 최소화하여 적재할 수 있는 소재 적재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capable of minimizing impact between materials.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는 소재가 이동되는 이동 경로의 일단에 배치되고, 소재를 적재 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고, 안내되는 소재와 충격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다중 흡수하며, 회전동작을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uide portion which is disposed at one end of a movement path on which a work is moved and guides the work to a mounting space, and a material which is hinged to the guide portion, And a shock absorbing part for guiding the material guided through the rotating operation to be moved to the loading space.

여기서, 상기 소재 적재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 근방으로 이동 된 소재를 가압하여 소재를 상기 가이드부로 강제 이동시키는 소재 가압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workpiece stac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orkpiece pressing section for pressing the workpiece mov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section to forcibly move the workpiece to the guide section.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 경로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적재 공간으로 소재를 이동시키도록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가이드부로 이동되는 소재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1완충부재를 구비한다.The guide portion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workpiece to the mounting space provid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movement path. The first buffer member for relieving the impact of the workpiece moving from the movement path to the guide portion is provided on the inclined surface Respectively.

또한,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적재 공간과의 경계 부위에 세워져 힌지 결합되고, 소재가 충격됨에 따라 상기 적재 공간을 향하도록 회전이동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소재와의 충돌 시 다중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탄성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 2완충부재를 구비한다.The shock absorbing unit may include a coupling member that is hinge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unit and the loading space, rotates to face the loading space as the material is impacted,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as to mitigate an impact when the first and second cushioning members collide with the material.

이때, 상기 제 2완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이동을 통해 소재가 상기 적재 공간으로 안내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완충부재의 단부가 휘어지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member, and when the material is guided to the loading space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the end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bent by elasticity.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완충부재에는 상기 결합 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 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에 끼움 결합된다.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along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fitting member is formed on the second buffer memb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to be fitted to the coupling member.

여기서, 상기 제 2완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양측부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부에는 상기 체결 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볼트 홀들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상기 제 2완충부재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된다.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provided with a coupling groove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which is engaged with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 plurality of A bolt hole is formed, and the fastening groove is fastened to one of the bolt holes by the fastening member, so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buffer member from the fastening member is adjusted.

한편,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충격완화부를 통과한 소재가 적재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3완충부재 및 상기 제 3완충부재 상에 구비되고, 소재가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한다.
Meanwhile, the loading space may include a third cushioning member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to further mitigate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material passing through the impact modifying unit is loaded,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provided on the third cushioning member, And a guide member for preventing the guide member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space.

본 발명은, 적재를 위하여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소재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소재의 표면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a workpiece by mitigating the impact of the workpiece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 load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소재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소재의 적재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caused by stacking of materials by reduc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aterial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소재가 적재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tecting a hearing of a worker because it can reduce noise generated when a work is load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회전이동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회전이동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결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the rotation of the impact relaxation uni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rotation of the impact relaxation uni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member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impact mitigating par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impact mitigating part of the material sto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적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면, 소재 적재 장치는 롤러(10), 가이드부(100) 및 충격완화부(2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orkpiece stacking device includes a roller 10, a guide portion 100, and a shock-absorbing portion 200.

먼저, 상기 롤러(10)는 상기 소재 적재 장치 내에서 소재(1)를 이동 경로(P)를 따라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된다.First, the roller 10 is provided to move the work 1 along the movement path P in the workpiece stacking apparatus.

여기서, 상기 롤러(10)는 소재(1)의 표면 결함을 검사하는 MPI(Magnetic Particle Inspection) 검사 장치로 소재(1)를 이동시킨다.Here, the roller 10 moves the work 1 with an MPI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inspection device for inspecting surface defects of the work 1. [

또한, 상기 롤러(10)는 상기 MPI(Magnetic Particle Inspection) 검사 장치를 통해 소재(1)의 표면 결함을 검사하게 되면, 이동 경로(P)의 일단으로 소재(1)를 이동시킨다.The roller 10 moves the work 1 to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when the surface defect of the work 1 is inspected by the MPI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inspection apparatus.

이때,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에는 소재(1)가 적재 공간(400)으로 이동되도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100a)으로 형성되는 가이드부(10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at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a guide part 100 formed of an inclined surface 100a inclined downward is moved so that the work 1 is moved to the loading space 400. [

즉, 상기 가이드부(100)는 롤러(10)를 통해 소재(1)가 MPI 검사 장치를 통과하여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으로 이동되면, 소재(1)를 상기 적재 공간(400)으로 안내한다.That is, when the work 1 is mov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hrough the MPI inspection apparatus through the roller 10, the guide unit 100 moves the work 1 to the loading space 400 Guide.

여기서, 소재 적재 장치는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에 위치된 소재(1)를 가압하여 소재(1)를 상기 가이드부(100)로 강제 이동시키는 소재 가압부(300)를 더 포함한다.The workpiece stack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workpiece urging section 300 for urging the workpiece 1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o forcibly move the workpiece 1 to the guide section 100.

상기 소재 가압부(300)는, 상기 가이드부(100) 근방으로 소재(1)가 이동하게 되면, 센서(미도시)를 통해 소재(1)가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에 위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When the work 1 moves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part 100, the work pressing part 300 determines whether the work 1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hrough a sensor (not shown) .

이후, 상기 소재 가압부(300)는 소재(1)가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에 위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가압부재(310)를 동작시켜, 상기 가이드부(100)로 소재(1)가 강제 이동되도록 한다.Thereafter, when the material pressing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work 1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he pressing unit 310 is operated through a control unit (not shown) 100) so that the material (1) is forced to move.

한편, 충격완화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0)에 힌지 결합되고, 안내되는 소재(1)와의 충격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다중 흡수하며, 회전동작을 통해 안내되는 소재(1)를 적재 공간(400)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The shock absorbing part 200 is hinged to the guide part 100 and absorbs impact force generated when the impact is applied to the material 1 to be guided. (400).

여기서,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결합부재(210) 및 제 2완충부재(220)를 구비한다.Here, the shock absorbing unit 200 includes a coupling member 210 and a second buffer member 220.

상기 결합부재(210)는, 가이드부(100)의 일단과 적재 공간(400)과의 경계 부위에 세워져 힌지 결합되고, 소재(1)가 충격됨에 따라 상기 적재 공간(400)을 향하도록 회전이동된다.The engaging member 210 is hinge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100 and the loading space 400 and is hinged to the loading space 400 to be rotated and moved toward the loading space 400 as the material 1 is impacted. do.

즉, 상기 결합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부(100)의 일단에 세워져 힌지 결합된 상태로 설치되고, 소재(1)가 상기 가이드부(100)를 따라 하강하면, 소재(1)와의 충격에 의해 회전이동하여 충격력을 흡수한다.2, the coupling member 210 is hingedly installed on one end of the guide part 100. When the workpiece 1 descends along the guide part 100, And absorbs the impact force by rotating by the impact with the material (1).

이때, 상기 결합부재(210)는 회전이동 시 적재 공간(400)의 바닥면과 상기 결합부재(210)의 일단부가 맞닿을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상기 가이드부(1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upling member 210 is hinged to one end of the guide unit 100 with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one end of the coupling member 210 can contact the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400 when the coupling member 210 rotates .

한편, 제 2완충부재(220)는 상기 결합부재(210)의 일면에 결합되고, 소재(1)와의 충돌 시 다중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is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10 and is formed so as to mitigate the impact in multiple collisions with the work 1.

여기서, 상기 제 2완충부재(220)는 가이드부(100)의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는 소재(1)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Here,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s formed to have an elastic force so as to absorb an impact with the material 1 descen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of the guide unit 100.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도면을 바탕으로 소재(1)의 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movement of the work 1 on the basis of the drawings shown in Figs. 1 and 2 will now be described.

먼저, 봉강 형상으로 형성된 소재(1)는 압연 공정이 완료되면, 롤러(10)를 통해 이동 경로(P)를 따라 이동한다.First, the material 1 formed in a bar shape moves along the movement path P through the roller 10 when the rolling process is completed.

이후, 상기 롤러(10)는 소재(1)의 표면에 대한 결함 여부를 판단하는 MPI(Magnetic Particle Inspection) 검사 장치로 소재(1)를 이동시킨다.Thereafter, the roller 10 moves the work 1 with an MPI (Magnetic Particle Inspection) inspection device for judging whether the surface of the work 1 is defective or not.

상기 MPI 검사가 완료되면, 상기 롤러(10)의 작동을 통해 소재(1)를 이동 경로(P)의 일단으로 이동시킨다.When the MPI inspection is completed, the work 1 is mov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hrough the operation of the roller 10.

이때, 센서(미도시)는 소재(1)가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으로 이동되었는지를 판단한다.At this time, a sensor (not shown) determines whether the work 1 has been mov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상기 센서(미도시)를 통해 소재(1)가 상기 이동 경로(P)의 일단으로 이동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가압부재(310)를 동작시킨다.If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sensor (not shown) that the work 1 has been moved to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P, the control unit (not shown) operates the pressing member 310.

상기 제어부(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상기 가압부재(310)가 소재(1)의 일측을 가압하면, 소재(1)는 가이드부(100)의 경사면(100a)으로 이동한다.When the pressing member 310 presses one side of the work 1 by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not shown), the work 1 moves to the slope 100a of the guide 100.

이때, 상기 가이드부(100)에는 상기 소재 가압부(300)를 통해 상기 가이드부(100)로 이동되는 소재(1)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제 1완충부재(110)가 결합된다.At this time, the first buffer member 110 is coupled to the guide unit 100 so as to mitigate the impact of the workpiece 1 moved to the guide unit 100 through the workpiece pressing unit 300.

상기 가이드부(100)의 경사면(100a)을 따라 이동한 소재(1)는 상기 경사면(100a)의 일단부에 세워져 힌지 결합된 충격완화부(200)와의 충돌한다.The work 1 mov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of the guide portion 100 is stood on one end of the inclined surface 100a and collides with the hinge-coupled impact mitigating portion 200.

여기서,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상기 경사면(100a)을 따라 이동하는 소재(1)와 충돌 시 충격을 흡수하고, 일면에 결합된 제 2완충부재(220)를 통해 소재(1)의 충격을 다중으로 흡수한다.The shock absorbing part 200 absorbs the shock when colliding with the material 1 moving along the slope 100a and absorbs the impact of the material 1 through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As shown in FIG.

소재(1)와 충돌한 상기 충격완화부는(200)는 회전동작을 통해 소재(1)를 적재 공간(400)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한다.The impact modifier 200 colliding with the work 1 guides the work 1 to move to the loading space 400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따라서, 소재 적재 장치는 경사면(100a)을 따라 이동하는 소재(1)에 대하여 상기 충격완화부(200)의 회전동작을 통해 적재 공간(400)으로 안내함으로써, 소재(1)의 적재에 따른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Therefore,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guides the material 1 mov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to the stacking space 400 through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impact relaxation unit 200, so that the impact caused by the stacking of the material 1 And noise can be reduced.

이하,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회전이동 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회전이동 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rotary movement of the impact relaxation uni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rotation of the impact relaxation uni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적재 장치는 가이드부(100)에 힌지 결합된 충격완화부(200)의 회전동작을 통해 상기 가이드부(100)의 경사면(100a)을 따라 이동하는 소재(1)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3 and 4, the workpiece stacking apparatus move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of the guide portion 100 through a rotation operation of the shock-absorbing portion 200 hinged to the guide portion 100 The impact of the material (1) can be absorbed.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상기 가이드부(100)의 일단에서 힌지 축(240)에 의해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축(240) 상에 설치된 탄성부재(230)에 의해 소재(1)의 충격에 따라 회전이동한다.The shock absorbing part 200 is hinge-coupled to the hinge shaft 240 at one end of the guide part 100 and the elastic member 230 provided on the hinge shaft 240 It rotates according to impact.

상기 충격완화부(200)는 결합부재(210)와 제 2완충부재(220)가 결합되어 형성되며, 상기 충격완화부(200)의 결합관계는 도 1과 도 2에서 설명되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The shock absorbing part 200 is formed by coupling the coupl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The coupling relationship of the shock absorbing part 200 is described in FIGS. 1 and 2 do.

상기 결합부재(210)는, 힌지 축(240) 상에 설치된 탄성부재(230)를 통해 가이드부(100)의 경사면(100a)을 따라 하강하는 소재(1)가 충돌하게 되면, 회전 이동을 통해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한다.When the material 1 descending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of the guide part 100 collides with the engaging member 210 through the elastic member 230 provided on the hinge shaft 240, Allow the impact to be mitigated.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결합부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100a)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설치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 the engaging member 210 is installed so as to be erec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inclined surface 100a.

여기서, 소재(1)가 상기 경사면(100a)을 따라 하강하여 상기 결합부재(210)와 충돌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0)는 상기 경사면(100a)과 동일한 경사면을 형성하도록 회전 이동한다.4, when the material 1 descends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and collides with the engaging member 210, the engaging member 210 forms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clined surface 100a .

이때, 상기 결합부재(210)를 힌지 축(24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부(100)의 일단에서 회전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탄성부재(230)는 토션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성을 가지며 상기 탄성부재(230)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다른 부재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astic member 230, which is installed to rotate on one end of the guide part 100 while the coupling member 210 is coupled to the hinge shaft 240, is preferably formed of a torsion spring, Other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elastic member 230 may be used.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결합부재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member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격완화부(200)의 제 2완충부재(220)는 결합부재(210)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된다.5,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of the shock absorbing unit 200 is coupled to protrude from the end of the coupling member 210.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제 2완충부재(220)는 상기 결합부재(210)의 일면에 결합 시, 도 5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적재 공간(400)으로 적재되는 소재(1)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5,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member 210 so as to protrud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Can be reduced.

다시 말해, 상기 제 2완충부재(220)는 상기 결합부재(210)의 회전이동을 통해 소재(1)가 상기 적재 공간(400)으로 안내되면, 탄성에 의해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단부가 휘어지도록 하여 용이하게 상기 적재 공간(400)으로 소재(1)를 안내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the work 1 is guided to the loading space 400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210,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lasticity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The end portion can be bent so that the work 1 can be easily guided to the loading space 400. [

이때, 상기 적재 공간(400)에는 최종적으로 안내되는 소재(1)에 대한 충격 및 소음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제 3완충부재(410) 및 가이드 부재(420)가 구비된다.At this time, a third buffer member 410 and a guide member 420 are provided in the loading space 400 to mitigate shock and noise to the material 1 finally guided.

여기서, 상기 제 3완충부재(410)는 충격완화부(200)를 통과한 소재(1)가 상기 적재 공간(400)으로 적재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적재 공간(400)의 바닥면에 결합된다.The third cushioning member 410 may be disposed in the loading space 400 so as to further mitigate the impact generated when the material 1 passed through the impact relaxation unit 200 is loaded into the loading space 400. [ And is coupled to the bottom surface.

상기 제 3완충부재(410)는, 탄성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충격완화부(200)를 통과하여 적재되는 소재(1)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재(1)의 적재 시 발생되는 낙하 소음 또한 완화시킬 수 있다.The third cushioning member 410 may be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as to alleviate an impact of the material 1 to be loaded through the impact damping unit 200, Falling noise can also be mitigated.

한편, 가이드 부재(420)는 상기 제 3완충부재(410) 상에 구비되고, 소재(1)가 적재 공간(4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guide member 420 is provided on the third buffer member 410 to prevent the material 1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space 400.

즉, 상기 가이드 부재(420)는 소재(1)가 안내되는 상기 적재 공간(400)의 일단부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복수개 설치되고, 가이드부(100)의 경사면(100a)을 따라 안내된 소재(1)의 이동을 차단한다.That is, the guide member 420 includes a plurality of guide members 420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t one end of the loading space 400 in which the workpiece 1 is guided, and the plurality of guide members 420 are dispos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100a of the guide unit 100, (1).

이때, 상기 가이드 부재(420)에는 상기 소재(1)와 충돌이 발생될 수 있는 내측면에 별도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소재(1)의 충돌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At this time, a separate elastic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420, which may cause collision with the work 1, so that the noise and shock generated when the work 1 collides .

이하,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결합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의 결합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impact mitigating par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impact mitigating part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재 적재 장치의 충격완화부(200)는 결합부재(210)와 제 2완충부재(22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6 and 7, the impact absorbing unit 200 of the material stacking apparatus is provided with the coupling member 210 and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coupled to each other.

먼저, 상기 결합부재(210)에는 상기 결합부재(210)의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211)이 형성된다.First,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211 are formed in the coupling member 210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210.

그리고, 제 2완충부재(220)에는 상기 결합 홀(2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끼움 부재(221)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10)에 끼움 결합된다.A fitting member 221 protrudes from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211 and is fitted to the coupling member 210.

또한, 돌출 형성된 상기 끼움부재(221)가 상기 결합 홀(211)에 슬라이드 형식으로 끼움 결합되면,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protruding shim member 221 is slidably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211, the length of the second shock absorber 220 can be adjusted by sliding the second shock absorber 220.

즉, 상기 제 2완충부재(22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재(210)의 일면과 결합되는 양측부에 체결 홈(222)이 형성된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6,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s formed with coupling grooves 222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210, which are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210.

이때, 상기 결합부재(210)의 양측부에는 상기 체결 홈(222)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 홀(212)이 형성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bolt holes 21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2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grooves 222.

여기서, 상기 체결 홈(222)은 체결부재(250)에 의해 상기 복수의 볼트 홀(212)들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210)로부터 제 2완충부재(220)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The coupling groove 222 is coupl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bolt holes 212 by the coupling member 250 so tha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from the coupling member 210 Lt; / RTI >

따라서, 충격완화부(220)는 상기 결합부재(210)에 대하여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여, 소재(1)의 직경의 크기가 큰 경우에도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다.Therefore, the shock absorbing part 220 can adjust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with respect to the coupling member 210, so that even when the diameter of the blank 1 is large, .

결과적으로, 상기 제 2완충부재(220)는 돌출되는 단부가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직경을 가진 소재(1)를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길이 조절을 통해 적재 공간(400)으로 효과적으로 적재시킬 수 있다.As a result, since the protruded end portion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can be bent, the material 1 having a variety of diameters can be transferred to the loading space 400 through the length adjustment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t can be effectively loaded.

한편, 체결부재(250)는 볼트로 형성되어 결합부재(210)에 상기 제 2완충부재(220)를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부재의 사용을 통해 상기 제 2완충부재(22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astening member 250 may be formed of a bolt to fix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to the coupling member 210. It is preferable that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is fixed .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210)의 하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완충부재(220)를 고정시켜야 하며, 이는 안내되는 소재(1)의 표면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7, the fastening member 250 must pass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210 to fix the second buffer member 220, which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uided material 1 To prevent damage to the product.

만일,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일면에서 체결부재(250)의 체결을 통해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상기 제 2완충부재(220)의 일면으로 안내되는 소재의 표면이 상기 체결부재(250)로 인하여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The surface of the workpiece guided to one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may b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220 by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250 ) May cause damage.

본 발명은, 적재를 위하여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소재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소재의 표면에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surface of a workpiece by mitigating the impact of the workpiece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for loading.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안내되는 소재의 하강 속도를 저감시킴으로써, 소재의 적재에 따른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caused by stacking of materials by reduc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aterial guided along the inclined surface.

또한, 본 발명은 소재가 적재됨에 따라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청력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otecting a hearing of a worker because it can reduce noise generated when a work is loaded.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to,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some of the elements (s) may be optionally construct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 : 소재 10 : 롤러
100 : 가이드부 100a : 경사면
110 : 제 1완충부재 200 : 충격완화부
210 : 결합부재 211 : 결합 홀
212 : 볼트 홀 220 : 제 2완충부재
221 : 끼움부재 222 : 체결 홈
230 : 탄성부재 240 : 힌지 축
250 : 체결부재 300 : 소재 가압부
310 : 가압부재 400 : 적재 공간
410 : 제 3완충부재 420 : 가이드 부재
P : 이동 경로
1: Material 10: Roller
100: guide portion 100a:
110: first buffer member 200: shock-absorbing member
210: coupling member 211: coupling hole
212: bolt hole 220: second buffer member
221: fitting member 222: fastening groove
230: elastic member 240: hinge shaft
250: fastening member 300:
310: pressure member 400: loading space
410: third buffer member 420: guide member
P: Movement path

Claims (8)

소재가 이동되는 이동 경로의 일단에 배치되고, 소재를 적재 공간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 힌지 결합되고, 안내되는 소재와 충격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다중 흡수하며, 회전동작을 통해 안내되는 소재를 상기 적재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충격완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과 상기 적재 공간과의 경계 부위에 세워져 힌지 결합되고, 소재가 충격됨에 따라 상기 적재 공간을 향하도록 회전이동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에 결합되고, 소재와의 충돌 시 다중으로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탄성을 가지며 형성되는 제2완충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결합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재의 회전이동을 통해 소재가 상기 적재 공간으로 안내되면 탄성에 의해 단부가 휘어지며,
상기 결합부재에는,
회전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완충부재에는 상기 결합 홀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 부재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에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적재 장치.
A guide part disposed at one end of the movement path on which the work is moved and guiding the work to the loading space; And
And a shock absorbing unit hinged to the guide unit to absorb the material to be guided and the impact force generated at the time of impact and to guide the material guided through the rotating operation to the loading space,
Wherein the shock-
An engaging member hinged to a boundary portion between one end of the guide portion and the loading space and rotatably moved toward the loading space as the material is impacted; And
And a second cushioning member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and formed to have elasticity so as to mitigate an impact in multiple collisions with the material,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The end portion is bent by elasticity when the work is guided to the loading space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engaging member,
In the coupling member,
A plurality of engagement holes are formed along the rotation direction,
Wherein the second cushioning member is formed with a fitting member protruding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coupling hole, and is fitted to the coupling member so as to be adjusted in length through slide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적재 장치는,
상기 가이드부 근방으로 이동 된 소재를 가압하여 소재를 상기 가이드부로 강제 이동시키는 소재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적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orkpiece stacking apparatus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material pressing unit for pressing the material moved in the vicinity of the guide unit to move the material to the guide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이동 경로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적재 공간으로 소재를 이동시키도록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에는 상기 이동 경로에서 상기 가이드부로 이동되는 소재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제 1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적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uide portion
And an inclined surface for moving the workpiece to the loading spac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ving path,
Wherein the inclined surface is provided with a first cushioning member for relieving the impact of the material moved from the movement path to the guide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완충부재에는,
상기 결합부재의 일면과 결합되는 상기 제 2완충부재의 양측부에 체결 홈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재의 양측부에는 상기 체결 홈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볼트 홀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 홈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볼트 홀들 중 어느 하나와 체결되어 상기 결합부재로부터 상기 제 2완충부재의 돌출되는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적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cond buffer member,
A coupling groove is formed in both side portions of the second buffer member to be engaged with one surface of the coupling member,
Wherein a plurality of bolt hole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member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of the coupling grooves and the coupling grooves are engaged with any one of the bolt holes by a coupling member, And the protruding length of the member is adju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공간은,
상기 충격완화부를 통과한 소재가 적재되는 경우 발생되는 충격을 추가적으로 완화시키도록 상기 적재 공간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제 3완충부재; 및
상기 제 3완충부재 상에 구비되고, 소재가 상기 적재 공간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적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ading space
A third buffer member coupled to a bottom surface of the loading space to further mitigate an impact generated when the material passed through the impact modifier is loaded; And
And a guide member provided on the third cushioning member to prevent the material from being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loading space.
KR1020130033929A 2013-03-28 2013-03-28 Material loading apparatus KR10149931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29A KR101499314B1 (en) 2013-03-28 2013-03-28 Material load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3929A KR101499314B1 (en) 2013-03-28 2013-03-28 Material load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300A KR20140118300A (en) 2014-10-08
KR101499314B1 true KR101499314B1 (en) 2015-03-05

Family

ID=51991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3929A KR101499314B1 (en) 2013-03-28 2013-03-28 Material load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314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0B1 (en) * 2018-06-04 2019-08-28 박종갑 Multiple stage chute for palletizing
KR102046950B1 (en) * 2018-11-30 2019-11-20 주식회사 포스코 Transfer apparatus for scrap coil
KR102039186B1 (en) 2019-05-21 2019-11-26 유광종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bille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859U (en) * 1996-07-31 1998-04-30 김종진 Automatic removal and seating equipment of rubber sleeve
KR20020051060A (en) * 2000-12-22 2002-06-28 밍 루 Apparatus for loading rack ba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6859U (en) * 1996-07-31 1998-04-30 김종진 Automatic removal and seating equipment of rubber sleeve
KR20020051060A (en) * 2000-12-22 2002-06-28 밍 루 Apparatus for loading rack ba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5280B1 (en) * 2018-06-04 2019-08-28 박종갑 Multiple stage chute for palletizing
KR102046950B1 (en) * 2018-11-30 2019-11-20 주식회사 포스코 Transfer apparatus for scrap coil
KR102039186B1 (en) 2019-05-21 2019-11-26 유광종 Automatic loading device for bil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8300A (en)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9314B1 (en) Material loading apparatus
CN111801482B (en) Drive device for a closure element of a motor vehicle
KR101174852B1 (en) sliding door assembly
US9995078B2 (en) Rebound suppression system for sliding door
JP5340433B2 (en) Machine tool cover structure
US10633014B2 (en) Locking device for an adjustable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US20130333292A1 (en) Sliding door
EP2899350A1 (en) Stopping and damping device for carriage units of sliding doors of buildings or furniture and the like
CN104209889A (en) Holding device for workpiece
KR101048092B1 (en) Damper for Drum Washing Machine
KR20160020857A (en) Glove box for car
US20070161267A1 (en) Docking buffer
KR100867232B1 (en) Apparatus for lightening shock of hanger
JP2013040449A (en) Shock absorbing mechanism for slide door of machine tool
JP2017080143A5 (en)
KR102461467B1 (en) Shock absorber of automaticpallet changer
KR101923891B1 (en) Prevention structure for opening of door latch
JP4884815B2 (en) Press working apparatus and press method
KR20140055474A (en) Cutting machine
US20160257541A1 (en) Lift arrangement of a lift truck with mast damping devices and lift truck
JP6541445B2 (en) Moving partition device
CN109856916B (en) Collision preventing device, workpiece table and exposure device
KR102460027B1 (en) Tension weight apparatus for belt conveyor
US69785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pping a moving member
KR101586904B1 (en) Preventing device of abrasion for chu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