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483B1 - 런닝머신 - Google Patents

런닝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483B1
KR101498483B1 KR1020130068552A KR20130068552A KR101498483B1 KR 101498483 B1 KR101498483 B1 KR 101498483B1 KR 1020130068552 A KR1020130068552 A KR 1020130068552A KR 20130068552 A KR20130068552 A KR 20130068552A KR 101498483 B1 KR101498483 B1 KR 101498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heel
induction rod
folding induction
treadm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8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858A (ko
Inventor
김창욱
Original Assignee
김창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욱 filed Critical 김창욱
Priority to KR1020130068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483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힘유도로드; 상기 접힘유도로드에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축; 상기 휠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휠;및 상기 휠의 둘레에 끼어지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하중 및 수평 방향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런닝머신를 제공하여, 보관성 및 이동성을 높이면서도, 사용 횟수가 증가하여도 사용자가 달리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런닝머신{Running machine}
본 발명은 런닝머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격 흡수 구성이 포함된 런닝머신에 관한 것이다.
런닝머신이라 함은, 실내에서 달리기 내지는 걷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기구이다. 일반적으로, 런닝머신은 런닝벨트와, 런닝벨트를 움직이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38273(2012.04.23. 공개,)에서는, 런닝머신을 기재하고 있으며, 런닝머신은 지지포스트들이 지지면에 접촉하여 지지프레임과 롤러를 포함하는 본체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런닝머신은 본체 저면에 지지면과 접촉하는 지지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지 구조는 런닝벨트 위에서 사용자가 달리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이 지지면에 그대로 전달되는 구성이다.
이에, 런닝머신의 본체 저면에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런닝머신의 충격 흡수구조로서, 이중 발판 구조를 구비하거나 런닝머신 본체 저면에 별도의 패드를 설치되는 방안이 제시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91942(2005.09.16. 공개,)에서는, 런닝머신용 지지판을 기재하고 있으며, 지지판은 코르크 또는 발포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충격 흡수층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충격 흡수층은 다공성. 발포성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충격 흡수 구조는 충격 흡수층을 이루는 소재의 피로도가 누적됨에 따라 탄성이 감소하여 런닝머신의 사용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충격 흡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충격 흡수층이 런닝벨트를 이루는 지지판에 형성되기 때문에 이를 교체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보관성 및 이동성이 중시되는 최근 런닝머신의 경향을 고려할 때, 본체 저면에 별도의 충격 흡수 구조를 설치하는 것은 런닝머신의 보관성 및 이동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2-0038273(2012.04.2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5-0091942(2005.09.16.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런닝머신의 사용 횟수가 증가하여도 런닝벨트 위에서 사용자가 달리는 동안 발생하는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관성 및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런닝머신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힘유도로드와, 상기 접힘유도로드에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축과, 상기 휠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휠 및, 상기 휠의 둘레에 끼어지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하중 및 수평 방향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런닝머신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의 저면에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어 상기 완충부를 대향하도록 형성되는 판스프링과, 상기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누름 동작에 회동하여 상기 판스프링이 상기 완충부에 접촉하도록 상기 판스프링을 가압하는 페달부를 포함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힘유도로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완충부의 트레드 영역(tread area) 및 사이드 월(side wall)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지지면에 맞닿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에 따르면, 회전하는 휠의 둘레에 끼워지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는 완충부를 구비함으로써, 보관성 및 이동성을 높이면서도, 사용 횟수가 증가하여도 사용자가 달리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에 따르면, 접힘유도로드의 회전을 통해 완충부의 둘레면 또는 측면 중 어느 하나를 지지면으로 선택하여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런닝머신의 이동 여부 및 설치 장소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충격 흡수 구조를 구현할 있게 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런닝머신에 따르면, 완충부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스토퍼부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런닝벨트 위를 달릴 때, 런닝머신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접힘유도로드와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완충부의 공기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접힘유도로드의 회전에 의해 접히는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런닝머신으로서, 스토퍼가 부착된 런닝머신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스토퍼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스토퍼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런닝머신의 본체 저면에 공기층이 형성된 완충부를 구비하여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 것을 주요 기술적 특징으로 합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을 도시한 도면이고,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접힘유도로드와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 및 도 2를 병행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런닝머신은, 접힘유도로드(100)와, 휠축(200)과 휠(300)과, 완충부(400)를 포함할 수있다.
먼저, 접힘유도로드(100)는 본체(11)의 길이방향이 축방향이 되도록 본체(11)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본체(11)라 함은 런닝벨트와, 런닝벨트를 움직이는 구동장치 및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이들을 둘러싸는 프레임을 통칭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본체(11)의 길이방향이라 함은 런닝벨트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도 2의 y축 방향을 의미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접힘유도로드(100)는 본체(11)의 저면에 형성되는 프레임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힘유도로드(10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도면에는 도시하진 않았으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마다 요철이 형성되어, 본체(11)의 저면에서 단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접힘유도로드(100)는 본체(11)의 저면에서 형성되는 완충부(400)의 수만큼 형성될 수 있다.
휠축(200)은 접힘유도로드(100)에서 본체(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본체(11)의 폭 방향이라 함은 도 2의 x축 방향을 의미한다. 이러한 휠축(200)은 휠(300)의 회전축 역할을 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휠축(200)은 접힘유도로드(100)에 하향하여 연장된 이후, 폭 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휠축(200)은 단면이 원형인 봉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접힘유도로드(100)와 완충부(400)를 연결함에 있어서 구조적 강성 및 안전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변경 실시 가능하다.
휠(300)은 중심부가 휠축(2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휠(300)과 휠축(200) 사이에는 베어링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휠(300)의 둘레에는 완충부(400)가 끼워진다.
완충부(400)는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런닝벨트에서 사용자가 달리면서 발생하는 충격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완충부(400)는 환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완충부의 공기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완충부(400)의 내부에는 공기층(410)이 형성되며, 표면은 고무 탄성체로 형성될 수 있다. 완충부(400)의 표면은 지지면(R)에 접하도록 형성된다. 완충부(400)에 수직하중이 작용하면, 표면과 공기층(410)이 어느 정도 수축하면서 수직하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렇게 공기층에 의해 본체(11)에서 지지면(R)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경우, 소재의 구조를 통해 충격을 흡수하는 구성보다 충격 흡수 효과가 클 뿐만 아니라 충격 흡수의 지속성이 큰 이점이 있다. 따라서, 런닝머신의 사용 횟수가 누적되어도 완충부(400)의 충격 흡수 성능은 크게 감소하지 않게 된다.
또한, 완충부(400)의 표면과 지지면(R)의 마찰력을 통해 본체(11)에서 전달되는 수직방향 에너지와 더불어 수평방향 에너지를 흡수하여 러닝머신의 수평방향 충격에 의한 흔들림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한편, 환형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완충부(400)의 구조상, 본체(11)의 길이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흔들림을 유발하기 때문에 전혀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런닝머신보다 런닝벨트 위에서의 탑승감이 좋아지게 된다.
완충부(400)의 눌림정도는 완충부(400)의 표면의 소재, 두께 및 공기층의 밀도 등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본체(11)의 중량 및 완충부(400)의 개수 및 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도 4는 접힘유도로드의 회동에 의해 접히는 완충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완충부(400)는 접힘유도로드(100)가 회전함에 따라 세워진 상태로 지지면에 접하거나 눕혀진 상태로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완충부(400)는 세워진 상태에서 트레드 영역(tread area)(420)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접힘유도로드(100)가 회전하여 눕혀진 상태에서 사이드 월(side wall)(430)이 지지면에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완충부(400)의 트레드 영역(tread area)(420)이 지지면에 접하는 경우, 런닝머신의 이동이 용이하며 런닝벨트 위의 탑승감이 좋아질 수 있다. 반면에, 완충부(400)의 사이드 월(side wall)(430)이 지지면에 접하는 경우, 트레드 영역(tread area)(420)이 지지면에 접하는 경우보다 구조적 안정감을 줄 수 있다.
사용자는 런닝머신의 설치환경을 고려하여 접힘유도로드(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지지면과 접하는 완충부(400)의 영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런닝머신으로서, 스토퍼가 부착된 런닝머신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스토퍼의 잠금 해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서 도시한 스토퍼의 잠금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저면에는 스토퍼(50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500)는 완충부(4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구속하여 제동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500)는 각 완충부(400)에 대응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스토퍼(500)는 브라켓(510)과 판스프링(520)과 페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510)은 본체(11) 저면에 결합될 수 있다. 판스프링(520)은 브라켓(510)에 일단이 고정되어 완충부(400)를 대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판스프링(520)은 마찰력이 우수한 수지재질로 구성되거나 혹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페달부(530)는 브라켓(510)에 회동 가능하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대응하여 회동하여 판스프링(520)이 완충부(400)에 접촉하도록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페달부(530)를 누르면, 페달부(530)의 하단 돌출부가 판스프링(520)을 완충부(400)쪽으로 밀게 된다. 판스프링(520)이 밀려 완충부(400)에 맞닿게 되여 이로 인한 마찰력에 의해 완충부(40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제동이 수행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접힘유도로드
200 : 휠축
300 : 휠
400 : 완충부
500 : 스토퍼
510 : 브라켓
520 : 판스프링
530 : 페달부

Claims (3)

  1. 본체의 길이방향을 축방향으로 하여 상기 본체의 저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접힘유도로드;
    상기 접힘유도로드에서 상기 본체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휠축;
    상기 휠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휠; 및
    상기 휠의 둘레에 끼어지며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상기 본체에 가해지는 수직 방향 하중 및 수평 방향 하중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되,
    상기 완충부(400)의 표면과 지지면(R)의 마찰력을 통해 본체(11)에서 전달되는 수직방향 에너지와 더불어 수평방향 에너지를 흡수하여 런닝머신의 수평방향 충격에 의한 흔들림을 방지하고,
    상기 접힘유도로드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완충부의 트레드 영역(tread area) 및 사이드 월(side wall)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지지면에 맞닿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닝머신.

  2. 삭제
  3. 삭제
KR1020130068552A 2013-06-14 2013-06-14 런닝머신 KR101498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52A KR101498483B1 (ko) 2013-06-14 2013-06-14 런닝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8552A KR101498483B1 (ko) 2013-06-14 2013-06-14 런닝머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58A KR20140145858A (ko) 2014-12-24
KR101498483B1 true KR101498483B1 (ko) 2015-03-04

Family

ID=5267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8552A KR101498483B1 (ko) 2013-06-14 2013-06-14 런닝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4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05B1 (ko) 2018-11-15 2019-06-19 박재준 설치성과 완충성이 향상된 지지유닛을 구비한 런닝머신
KR102465183B1 (ko) * 2021-08-06 2022-11-09 백광일 진동소음 저감용 런닝머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976U (ko) * 1986-09-16 1988-03-31
KR20060026247A (ko) * 2004-09-20 2006-03-23 광 섭 정 캐스터
KR200428778Y1 (ko) * 2006-07-20 2006-10-16 유알텍(주) 런닝 머신용 진동 흡수장치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47976U (ko) * 1986-09-16 1988-03-31
KR20060026247A (ko) * 2004-09-20 2006-03-23 광 섭 정 캐스터
KR200428778Y1 (ko) * 2006-07-20 2006-10-16 유알텍(주) 런닝 머신용 진동 흡수장치
KR101157919B1 (ko) * 2010-02-26 2012-06-22 강기태 런닝머신용 진동 완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1205B1 (ko) 2018-11-15 2019-06-19 박재준 설치성과 완충성이 향상된 지지유닛을 구비한 런닝머신
KR102465183B1 (ko) * 2021-08-06 2022-11-09 백광일 진동소음 저감용 런닝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858A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71589B1 (en) Wheel with suspension system and centralizing unit with suspension system
KR101498483B1 (ko) 런닝머신
CN107458148A (zh) 一种气压辐条减震车轮
JP2008502521A (ja) 制振式の車両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KR101840675B1 (ko) 완충 장치를 갖는 이송 캐스터
US20090193997A1 (en) Vehicle and track system for flying corner amusement park rides
CN209739209U (zh) 万向轮、底盘总成以及机器人
KR101202260B1 (ko) 단일의 수직 샤프트를 구비하는 이동 로봇의 구동휠 어셈블리
JP4907367B2 (ja) 自転車のための衝撃吸収装置
EP2955032A1 (en) Wheels and vehicles comprising the same
CN107745615B (zh) 一种轮式机器人缓震结构
CN202991976U (zh) 可调式复合减震装置
KR101588863B1 (ko) 완충수단을 구비한 휠체어
KR101762656B1 (ko) 충격완충구조를 갖는 평행봉
KR101932615B1 (ko) 자전거 안장
KR101873698B1 (ko) 완충형 바퀴 장치
KR102109426B1 (ko) 스트럿 어셈블리
KR101504755B1 (ko) 전동 휠체어
KR200418958Y1 (ko) 자전거의 짐받이 완충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KR101282683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컬럼 틸트장치
JP200306341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KR200295807Y1 (ko) 런닝머신의 런닝벨트 완충구조
KR200407989Y1 (ko) 움직이는 샌드백
JP2006290106A (ja) キャスター用車輪
KR200373307Y1 (ko) 충격흡수 벨트가 장착된 런닝머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