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429B1 -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429B1
KR101498429B1 KR20140129800A KR20140129800A KR101498429B1 KR 101498429 B1 KR101498429 B1 KR 101498429B1 KR 20140129800 A KR20140129800 A KR 20140129800A KR 20140129800 A KR20140129800 A KR 20140129800A KR 101498429 B1 KR101498429 B1 KR 10149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acrylic powder
coating film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9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덕수
Original Assignee
윤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덕수 filed Critical 윤덕수
Priority to KR20140129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4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4/2641Polyacrylates; Polymethacry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0Oxides other than silica
    • C04B14/308Iron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524Multiple coatings, comprising a coating layer of the same material as a previous coating lay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 C09D1/06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 C09D1/08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inorganic substances cement with organic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7Water resistance, i.e. waterproof or water-repellent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써,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와, 1.2 내지 1.5mm의 입도를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가 교반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서, 구조물의 방수성 및 통기성이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WATERPROOF MATERIALS USING ACRYLIC POWDERS,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TERPROOFING METHOD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에 관한 것으로써,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구조물의 방수성 및 통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막 방수란, 구조물의 표면에 연속된 피막을 형성하여 외기변화에 의한 수분 및 염분 등이 구조물에 침투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구조물의 동결, 부식 및 중성화에 의한 피해, 즉, 물리, 화학적인 열화현상으로부터 구조물을 보호하여 내구성을 유지 또는 증진시키는 방수법을 의미하는 것이며, 도막 방수제는 이러한 도막 방수에 사용되는 방수제를 의미한다.
도막 방수는 아스팔트 3겹 8층방수, 우레탄 도막 방수, 가열식 시트방수, 우레탄 복합 방수, 아스팔트 복합 방수 등 방수제의 종류 및 도포방법에 따라 여러 종류로 분류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도막 방수 중, 우레탄 도막 방수는 유성의 액상 형태의 방수제를 방수하고자 하는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한 후, 수분 또는 용제가 증발되고 남은 피막을 이용하는 방수공법으로써, 방수성이 뛰어나며, 시공이 용이하고 착색이 자유로워 콘크리트 구조물 등 일반적인 구조물의 방수제로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상술한 우레탄 도막 방수에 이용되는 우레탄 도막 방수제는 휘발성의 용제를 사용하므로 화재의 발생 위험이 높아, 환기 등의 필요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단점이 있다.
특히, 상술한 우레탄 도막 방수는 우레탄 도막 방수제의 특성상 통기성에 매우 취약한 단점이 있다. 즉, 우레탄 도막 방수제를 이용하여 우레탄 도막 방수 시공을 하는 경우, 우레탄 도막 방수층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구조물의 표면에 접촉되는 것이 대부분 차단된다. 이에 의해서, 구조물 내로 침투한 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구조물 내부에 상당부분 머물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레탄 도막 방수를 이용하는 경우, 상술한 과정에 의해, 습기가 구조물 내부에 머물게 됨으로써, 구조물이 내부의 습기에 의해 침식되어 구조물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구조물의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구조물의 방수성 및 통기성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와, 1.2 내지 1.5mm의 입도를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가 교반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0.5 내지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혼합용액생성단계; 1.2 내지 1.5mm의 입도를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를 교반하여 혼합분말을 생성하는 혼합분말생성단계; 상기 혼합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혼합분말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혼합분말생성단계는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0.5 내지 1.5 중량부를 첨가하여 상기 혼합분말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용액생성단계는 10 내지 20분 동안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제5항과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제1차도포단계; 상기 제1차도포단계 이후, 상온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 이후,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제5항과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제2차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방수성 및 통기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하여 도막 방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구조물의 표면에 2단의 방수 도포층이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통기성 및 방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지금부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는 아크릴 분말 5 내지 15 중량부와, 희석제 5 내지 15 중량부와, 규사 15 내지 45 중량부와, 시멘트 15 내지 45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0.5 내지 1.5 중량부가 교반되어 제조된다.
아크릴 분말은 플라스틱의 일종으로, 아세톤과 청산, 메틸 알코올 원료로 제조된 것을 분말형태로 가공한 것이다. 이러한 아크릴 분말은 무색 투명하며, 태양광선에 노출시켜도 변색하지 않고, 내약품성도 좋으며, 전기 절연성, 내수성이 모두 양호한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아크릴 분말 5 내지 15 중량부는 후술하는 희석제 5 내지 15 중량부에 용해되어 혼합액체를 형성한다.
이러한 아크릴 분말이 희석제에 용해되어 후술하는 규사 및 시멘트와 교반되면, 규사 입자에 아크릴 입자 및 시멘트 입자가 결합하여 특정한 결합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특정한 결합 구조에 의하면, 외부의 유체(빗물 등)가 결합 구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는 동시에, 외부 및 내부의 공기는 결합 구조 내부로 유입되거나 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아크릴 분말 및 이에 따른 결합 구조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가 도포된 구조물의 방수성이 확보되며, 또한, 통기성이 확보되므로, 여러 경로를 통해 구조물로 침투한 습기를 구조물의 외부로 배출시켜, 습기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희석제는 일반적인 시너(Thinner)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상술한 아크릴 분말이 녹을 수 있는 용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희석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분말 5 내지 15중량부에 대해 5 내지 15 중량부로 혼합되어 혼합액체를 형성한다.
상술한 아크릴 분말 및 희석제의 배합 비율에 따라 상술한 혼합액체의 점도가 조절되며, 혼합액체의 점도의 변화에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특성, 즉, 접착성, 내구성, 통기성, 방수성이 영향을 받는다.
아크릴 분말의 중량부가 15 이상인 경우, 혼합액체의 점도가 높아져, 혼합액체에 포함되는 아크릴 분말 입자가 후술하는 규사 입자에 결합되는 비율이 향상된다. 이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이 증대되나, 후술하는 규사 입자에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는 비율이 감소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은 감소된다.
반대로 희석제의 중량부가 15 이상인 경우, 혼합액체의 점도가 낮아지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전체 점도가 감소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이 감소된다. 또한, 혼합액체에 포함된 아크릴 분말의 입자가 혼합분말과 교반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분산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도포된 면적에 대해 균일한 통기성 및 방수성이 보장되지 못한다.
따라서,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는 5 내지 15 중량부 범위 내에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5 내지 15 중량부의 범위에서 각각 동일한 비율(1:1)로 배합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규사는 이산화규소(SiO2) 성분이 포함된 석영 알갱이, 즉, 모래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15 내지 45 중량부가 후술하는 시멘트 15 내지 45 중량부에 혼합되어 혼합분말을 형성한다.
이러한 규사의 입자에는 상술한 아크릴 분말 입자와 시멘트 분말 입자가 결합되며, 이러한 결합의 정도 의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성질 및 특성이 결정된다.
이러한 결합의 정도는 규사의 입자 크기, 즉, 입도에 의해 결정된다.
규사의 입도가 너무 큰 경우(1.5mm 이상), 규사 입자의 표면에 시멘트의 입자가 결합되는 비중이 커지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점도도 커지며, 이에 의해서,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는 반대로, 규사의 입도가 너무 작은 경우(1.2mm 이하), 규사 입자의 표면에 아크릴 및 시멘트의 입자가 결합되는 비중이 적어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점도도 적어지며, 이에 의해서, 접착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구조물 표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가 도포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방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규사는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판매되는 규사 4호의 입도, 즉, 1.2 내지 1.5mm의 입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현장에 이용되는 포클랜드 시멘트를 의미하는 것으로써, 15 내지 45 중량부가 상술한 규사 15 내지 45 중량부에 혼합되어 혼합분말을 형성한다.
상술한 시멘트 및 시멘트와 규사의 배합비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특성, 즉,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에 영향을 준다.
시멘트의 중량부가 규사의 중량부의 1배 이상인 경우, 규사 입자에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는 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방수성 및 통기성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는 반대로, 시멘트의 중량부가 규사의 중량부의 1배 이하인 경우, 규사 입자에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는 비율이 낮아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적절한 접착성 및 내구성이 유지되면서 우수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확보되도록, 시멘트와 규사는 1:1의 배합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로 형성되는 혼합액체와 규사 및 시멘트로 형성되는 혼합분말의 배합비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특성, 즉,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에 영향을 준다.
혼합분말의 중량부가 혼합액체의 중량부의 3배 이상인 경우, 규사 입자에 시멘트 입자의 결합비율이 높아지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은 향상되지만, 방수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이와는 반대로, 혼합분말의 중량부가 혼합액체의 중량부의 3배 미만인 경우, 규사 입자에 아크릴 분말 입자의 결합비율이 높아지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 향상되나,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혼합액체 및 혼합분말의 비율은 1:3으로 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료는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0.5 내지 1.5 중량부로 상술한 혼합분말에 첨가된다.
상술한 안료에 포함되는 철 성분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색 지속력을 향상시킨다. 상술한 안료가 0.5 중량부 미만이거나, 1.5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색 지속력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안료는 0.5 내지 1.5 중량부 범위로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_도막 방수제 제조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 분말 3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아크릴 분말 17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3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7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13 중량부와 시멘트 13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47 중량부와 시멘트 47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시멘트 46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8]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7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와 시멘트 46 중량부와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1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9]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상온에서 15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고, 1.2 내지 1.5mm의 입도의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를 상온에서 10분 이상 혼합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한 후,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을 상온에서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하기의 표 1의 조건으로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와 비교예 1 내지 9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특성 실험을 진행하였다.
혼합용액 혼합분말 도막 방수제
시험 챔버의 크기 10m3 30m3 40m3
시험 챔버 내부의 온도 상온(20℃ ~30℃) 상온(20℃ ~30℃) 상온(20℃ ~30℃)
시험체의 혼합 및 교반 시간 15분 10분 30분
여기서, 시험 챔버의 크기는 각각의 시험시(혼합용액 혼합 제조, 혼합분말 제조, 도막 방수제 제조), 시험 재료가 채워지는 공간의 부피(m3)를 의미한다.
혼합용액과 혼합분말을 교반시켜 생성된 도막 방수제의 도포 두께는 170 내지 190μm 이며, 건조시간은 24시간이다.
실시예 1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2와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최상 최상
여기서, 효과란, 특성, 즉,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에 있어서의 효과를 각각 5단계로 구분한 것으로써, '최상', '상' , '중', '하', '최하'로 구분되며, 실용성이 있는 최초의 단계를 '상' 단계로 설정하였다.
비교예 1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3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표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크릴 분말의 양 및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의 혼합비율이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아크릴 분말에 의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가 결정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예 2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4와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최상 최상
표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2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는 '중'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아크릴 분말의 양 및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의 혼합비율이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규사 입자에 보다 많은 아크릴 분말 입자가 결합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규사 입자에 대한 시멘트 입자의 결합비율이 저하되었으므로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예 3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5와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표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3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희석제의 양 및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의 혼합비율이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희석제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희석제에 용해되는 아크릴 분말의 입자수가 감소되며, 이에 의해, 규사 입자에 결합되는 아크릴 분말 입자의 양도 감소됨으로써, 방수성 및 통기성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4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6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표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4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는 '중',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 '상',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희석제의 양 및 아크릴 분말과 희석제의 혼합비율이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희석제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점도가 감소 되었으며, 이에 의해, 접착성 및 내구성이 상당부분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교반과정에서 아크릴 분말 입자가 과도하게 분산되고, 이러한 과정에서 아크릴 분말 입자가 규사 입자에 결합되는 확률이 감소됨으로써, 통기성 및 방수성이 다소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5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7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표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5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는 '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 '상',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규사 및 시멘트의 양이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규사 및 시멘트의 양이 감소함에 따라, 전체 점도가 감소되며, 이에 의해,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규사의 입자수가 감소됨으로써 아크릴 분말 입자가 규사 입자에 결합되는 비율이 감소되고, 이에 의해, 방수성 및 통기성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6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8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최상 최상
표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6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는 '최상',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 '상' 보다 더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는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규사 및 시멘트의 양이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규사 및 시멘트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전체 점도도 증가 되며, 이에 의해, 내구성 및 방수성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규사 입자와 시멘트 입자의 결합 비율이 증가됨에 따라, 규사 입자에 아크릴 분말 입자가 결합 되는 비율이 감소됨으로써, 방수성 및 통기성이 상당부분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7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9와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표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7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의 효과는 '중'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 '상'과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규사의 입도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규사 입자에 결합할 수 있는 아크릴 분말 입자와 시멘트 입자가 적어진 것에 기인하여,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의 효과가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규사 입자에 아크릴 분말 입자 및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는 비율이 감소되며, 이에 따라, 아크릴 분말 입자와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거나, 아크릴 분말 입자간의 결합, 또는, 시멘트 입자간의 결합 비율이 증대된다. 이에 의해서, 접착성 및 내구성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아크릴 분말 입자와 시멘트 입자가 결합되거나, 아크릴 분말 입자간의 결합, 또는, 시멘트 입자간의 결합 비율이 증대됨에 따라, 균일한 방수성 및 통기성이 보장되지 못하므로,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상당부분 저하된 것으로 판단된다.
비교예 8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0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최상 최상
표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8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는 '최상',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중'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접착성 및 내구성의 효과 '상' 보다 더 향상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의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 '최상' 보다는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규사의 입도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규사에 결합할 수 있는 시멘트 입자가 많아지고, 이에 의해, 접착성 및 내구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규사의 입자에 결합되는 아크릴 분말 입자가 적어진 것에 기인하여, 방수성 및 통기성의 효과는 저하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비교예 9의 시험 결과는 하기의 표 11과 같다.
접착성 내구성 방수성 통기성 색 지속력
효과 최상 최상
표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예 9에 따른 도막 방수제의 색 지속력의 효과는 '중'으로써, 실시예 1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색 지속력의 효과 '최상' 보다 저하된 효과를 나타내었다.
안료가 색 지속력의 효과에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은 제1차도포단계와 건조단계와 제2차도포단계를 포함한다.
제1차도포단계는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우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가 도포될 구조물의 일면의 분포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이후, 안료가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교반한다. 이후, 브러쉬나 롤러 스프레이 등을 이용하여 구조물의 일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도포한다. 이에 의해 제1도포층이 형성된다.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 이상을 도포하는 경우, 제1도포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통기성이 저하된다.
또한,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 이하를 도포하는 경우, 제1도포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내구성 및 방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1도포층의 두께는 170 내지 190μm 이다.
건조단계는 상술한 제1차도포단계 이후,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단계이다.
제1차도포단계에 의해 구조물의 일면에 제1도포층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도포층은 상온(약 25℃)에서 24시간이 경과하면, 대부분 건조가 완료되나, 온도 및 습도의 조건에 따라 외력에 의해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제1도포층은 상온(약 25℃)에서 24시간 이상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차도포단계는 상술한 건조단계 이후,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술한 건조단계에 의해서, 제1도포층이 건조된다. 이후, 제1도포층의 상면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다시 도포하여 제2도포층을 형성한다.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 이상을 도포하는 경우, 제2도포층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 통기성이 저하된다.
또한,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 이하를 도포하는 경우, 제2도포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져, 내구성 및 방수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제2도포층의 두께는 170 내지 190μm 이다.
상술한 제2차도포단계 이후, 약 140시간이 경과하면, 제2차도포층이 완전히 건조된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에 의하면, 구조물의 표면에 2단의 방수 도포층이 용이하게 형성됨으로써, 구조물의 통기성 및 방수성이 대폭적으로 향상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9)

  1.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와, 1.2 내지 1.5mm의 입도를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가 교반되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0.5 내지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4. 삭제
  5. 아크릴 분말 10 중량부와 희석제 10 중량부를 교반하여 혼합용액을 생성하는 혼합용액생성단계;
    1.2 내지 1.5mm의 입도를 가지는 규사 30 중량부와 시멘트 30 중량부를 교반하여 혼합분말을 생성하는 혼합분말생성단계;
    상기 혼합용액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혼합용액과 상기 혼합분말생성단계에 의해 생성되는 상기 혼합분말을 교반하는 교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분말생성단계는 산화철(FeO), 사산화삼철(Fe3O4), 삼산화이철(Fe2O3)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안료 0.5 내지 1.5 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상기 혼합분말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액생성단계는 10 내지 20분 동안 교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제조방법.
  9.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제5항과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제1차도포단계;
    상기 제1차도포단계 이후, 상온에서 20 내지 28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 이후, 구조물의 면적 7 내지 8㎡ 에 대해, 제5항과 제7항과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1ℓ를 도포하는 제2차도포단계;를 포함하는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140129800A 2014-09-29 2014-09-29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KR10149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9800A KR101498429B1 (ko) 2014-09-29 2014-09-29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9800A KR101498429B1 (ko) 2014-09-29 2014-09-29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8429B1 true KR101498429B1 (ko) 2015-03-03

Family

ID=53026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9800A KR101498429B1 (ko) 2014-09-29 2014-09-29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730Y1 (ko) * 1999-10-16 2000-03-15 임춘기 일액형 폴리머-시멘트계 무기질 도막방수제
KR20000026218A (ko) * 1998-10-19 2000-05-15 김유천 아크릴 수지 몰탈
KR100942027B1 (ko) * 2009-05-27 2010-02-11 주식회사 선마이티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식·중성화방지 방수용 도장방법
KR20120119390A (ko) * 2011-04-21 2012-10-31 온누리케이1방수(주) 주차장 바닥용 무기질계 도막방수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26218A (ko) * 1998-10-19 2000-05-15 김유천 아크릴 수지 몰탈
KR200175730Y1 (ko) * 1999-10-16 2000-03-15 임춘기 일액형 폴리머-시멘트계 무기질 도막방수제
KR100942027B1 (ko) * 2009-05-27 2010-02-11 주식회사 선마이티 수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부식·중성화방지 방수용 도장방법
KR20120119390A (ko) * 2011-04-21 2012-10-31 온누리케이1방수(주) 주차장 바닥용 무기질계 도막방수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9069B2 (en) Graphene orthosilicate/silane composite gel material,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KR101498872B1 (ko) 방수성능과 내마모성능을 강화시킨 폴리머계 시멘트 방수제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523510B1 (ko) 친환경 가소제를 이용한 피씨엠 강판용 도료 조성물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피씨엠 강판
KR101719962B1 (ko) 건축용 복합소재 방수 코팅 조성물
CN106147442B (zh) 保温涂料及其制备方法和保温涂层
CN104109471A (zh) 一种高透气性、高耐候性绿色建筑保护涂料
KR101498429B1 (ko) 아크릴 분말을 이용하는 도막 방수제, 이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는 도막 방수 시공방법
KR101578636B1 (ko) 수성 세라믹 방수도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434501B1 (ko) 차열 도료 조성물
TW201430195A (zh) 建築板及其製造方法
JP2023115332A (ja) 水性被覆材
CN107177305A (zh) 一种防火漆
KR20210029992A (ko) 장기간 균열 현상이 없이 방수표면을 갖도록 하는 도막방수제용 조성물
CN109913049A (zh) 一种环保外墙涂料及其施工工艺
KR20160100117A (ko) 콘크리트 바닥의 친환경 표면강화 시공방법
KR102354478B1 (ko) 최첨단 불연성 저온 경화형 수성 세라믹 도료 조성물
CN108301581A (zh) 室内墙面结构及其制造方法
KR102180902B1 (ko) 강관용 도료 조성물 제조방법
CN106497185A (zh) 一种贝壳粉防霉墙面干粉涂料
CN105623427A (zh) 一种水性涂料
KR102506004B1 (ko) 차열 및 방수기능을 통한 콘크리트의 수명향상 효과를 나타내는 도료 조성물
KR101462836B1 (ko)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우수한 세라믹 조성물
CN105419526A (zh) 一种建筑用透明底漆及其制备方法
JPS6117864B2 (ko)
KR102321506B1 (ko) 일체형 실리콘 방수 방근 복합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방근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