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368B1 -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368B1
KR101498368B1 KR1020130064680A KR20130064680A KR101498368B1 KR 101498368 B1 KR101498368 B1 KR 101498368B1 KR 1020130064680 A KR1020130064680 A KR 1020130064680A KR 20130064680 A KR20130064680 A KR 20130064680A KR 101498368 B1 KR101498368 B1 KR 101498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ata
terminal
dangerous
integrat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4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486A (ko
Inventor
김화룡
최석민
강형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웨이브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웨이브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웨이브엠
Priority to KR1020130064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368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different aspects are considered when computing the rou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최적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시스템 간에 연동함에 있어 다양한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하는 기능들을 통해 쉽고 빠르게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인증, 검증 및 통제할 수 있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량 및 차량 단말을 포함하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M2M 센서/단말과, M2M 센서/단말인 차량 및 차량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 및 데이터 인증/검증/통제 처리하는 M2M 통합 관제 플랫폼과, 상기 M2M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안내, 차량제어 및 전국도로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물 차량의 운행경로를 안내하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Description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Administration System of a dangerous article car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위험물 차량의 관제 및 경로를 안내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경로안내, 차량 제어를 지원하고, 전국 도로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물 차량의 운행 경로를 안내하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로확장 및 신규도로 개통으로 차량을 통한 수송이 보다 빠르고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반면에, 그에 따른 차량증가와 속도제안의 상승으로 사고발생률이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유독물, 폐기물, 기름, 가스 등과 같은 위험물을 운반하는 차량이 전복되거나 고장발생시 주변지역에 토양, 공기, 인적피해가 크므로 위험물수송차량의 관리가 시급한 실정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단순히 GPS와 관제실을 연동하여 수송차량의 위치 및 도착, 출발시간, 주행속도 등을 전송하여 물류수송시스템을 운영하는바, 이러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구축된 기술 가운데에 특허공개번호 특2002-0015202호(명칭: 지피에스와 인터넷을 통한 컨테이너의 위치추적방법 및 그 시스템)를 살펴보면, 복합운송시스템에 의하여 운송되는 컨테이너의 위치를 GPS위성과 통신위성, 그리고 인터넷을 통하여 지속적으로 실시간 추적하여 운송업무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발송화주, 운송업자, 수신화주 등의 운송관련업자들이 컨테이너에 관한 정보를 공유하며, 컨테이너의 분실 및 파손가능성을 감소시키면서 위치추적에 따른 비용을 현저하게 줄임으로써 화물운송단가를 낮추기 위한 기술이 선공개된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기술은 물류의 위치추적 및 물류이송체계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스템에 불과함에 따라 수송 물류가 위험물일 경우, 사고발생시 차량운전자 혹은 제3자의 제보를 통하여 소방서 및 경찰서, 도로관리공단으로 사고 접수되면 먼저 담당자가 현장으로 출동하여 위험물의 종류, 탑재량, 누출량, 온도 등과 같은 제반적인 상황을 조사한 다음, 위험물의 상태에 따라 피해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 마련 및 조치를 취하게 되므로 사고처리에 따른 시간이 지연되어 그 피해가 더욱 확산되는 폐해가 따랐다.
뿐만 아니라, 가스, 기름과 같이 폭발성이 강한 위험물 수송차량이 전복되어 화재가 발생될 경우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상황에서도 주변지역을 운행하는 또 다른 위험물 수송차량이 사고발생사실을 미연에 통보받지 못하고 사고지역으로 진입하여 연쇄적인 대형 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또한, 유독물수송차량의 경우 사고발생 후 중화제를 도포하기까지 시간이 이후 대기, 토야, 수질 등의 환경적인 피해 정도와 직결되지만, 유독물의 종류를 파악하기까지 소용되는 시간 및 유독물을 판별하여 중화제를 요청하고 살포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지연되므로 긴급 상황에 대한 대처 능력이 전혀 고려되지 않은 시스템구조를 가진다.
한편, 위험물수송차량이 화학약품공단 및 정유공단 지역과 같은 위험지구를 통과시 별도의 관리가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무방비상태로 운행하다가 사고가 발생되면 위험지구 전체가 대형 사고를 우려하여 대피하거나 업무가 마비되는 폐단이 따랐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최적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시스템 간에 연동함에 있어 다양한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하는 기능들을 통해 쉽고 빠르게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인증, 검증 및 통제할 수 있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별 위험지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면서 실시간으로 차량을 모니터링하여 위험물 수송차량의 사고예방과 유사시 탑재물에 따른 사고대응절차를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고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의 특징은 차량 및 차량 단말을 포함하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M2M 센서/단말과, M2M 센서/단말인 차량 및 차량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 및 데이터 인증/검증/통제 처리하는 M2M 통합 관제 플랫폼과, 상기 M2M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안내, 차량제어 및 전국도로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물 차량의 운행경로를 안내하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정보 데이터는 차량의 궤적 데이터, 진단 데이터, 운행기록 데이터, 온도, 축하중 데이터 및 통신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은 비동기 NIO(Non-Blocking IO) 기반의 고성능 네트워크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 프레임워크(network framework)로서, M2M 센서/단말에서 전송된 차량정보 데이터 및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서 전송된 차량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와, RAS(REST Application Server)의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서블릿(Servlet) 컨테이너에 탑재되어 HTTP 메시지를 REST 서비스로 다룰 수 있도록 처리하여 M2M 센서/단말에서 전송받은 차량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 코덱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REST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M2M 처리 시스템간의 연동함에 있어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연계시키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은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상하고,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집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길안내를 제공하는 경로안내 처리부와, 차량단말을 통하여 수집된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고장진단 및 상태진단을 제공하는 원격 진단부와, 원격에서 차량단말로 차량의 차량 도어열림 및 원격시동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부와, 차량단말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및 침입을 감지하여 운전자 또는 외부연계 시스템으로 긴급구난을 통보하는 긴급구난 처리부와, 차량단말에서 궤적데이터를 수집하여 주행을 분석하여 통계화하고 경제운전지수를 산출하는 주행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험물 차량 관제 방법의 특징은 (A) 차량에 부착된 센서에서 궤적, 진단, 운행기록, 온도, 축하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 정보를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M2M 통합관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수집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하고, 데이터 인증, 검증 및 통제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차량단말로부터 수집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서 수신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및 위험도 기반의 경로를 분석하는 단계와, (E) 상기 분석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차량단말을 통해 길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B) 단계는 차량단말에서 전송된 차량정보 데이터에서 전송된 차량제어 데이터의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서비스 리소스에 REST 매핑을 통해 프로토콜 코덱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코덱 처리된 차량정보 데이터 패킷의 암/복호화 처리를 통한 제어를 통해 인증하는 단계와, 상기 코덱 처리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HTTP 디코더 및 HTTP 인코더를 통한 데이터(메시지, 요청, 응답)의 파싱 및 패키징을 통해 검증하는 단계와, 상기 코덱 처리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서비스 가용성 체크, 서비스 일시중지, 단말별 제어, 유효성 검증여부 제어 및 서비스 시나리오 통제를 통해 통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 단계에서 위험도 정보는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E) 단계에서의 경로안내는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M2M 통합관제 플랫폼이 전달받아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 전달하고,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서는 해당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반으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감안하여 길안내를 M2M 통합관제 플랫폼을 통하여 차량단말에 길안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단말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진단, 상태진단, 사고감지, 침입감지, 주행분석 통계 및 경제운전 지수를 추가로 제공하는 단계와, 외부시스템과의 연계가 필요한 경우, 국가교통정보 센터, 소방서/경찰서, 도로 안전국에 긴급구난 또는 디지털 운행기록을 제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최적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시스템 간에 연동함에 있어 다양한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하는 기능들을 통해 쉽고 빠르게 차량 운행 정보를 수집하고 인증, 검증 및 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차량별 위험지수를 실시간으로 산출하면서 실시간으로 차량을 모니터링하여 위험물 수송차량의 사고예방과 유사시 탑재물에 따른 사고대응절차를 시스템으로 제공하여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고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이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는 도 1의 M2M 통합관제 플랫폼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의 M2M 통합관제 플랫폼의 전송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b는 도 2의 M2M 통합관제 플랫폼의 프로토콜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3c는 도 2의 M2M 통합관제 플랫폼의 데이터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성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은 차량 및 차량 단말을 포함하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M2M 센서/단말(100)과, M2M 센서/단말(100)인 차량 및 차량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 및 데이터 인증/검증/통제 처리하는 M2M 통합 관제 플랫폼(200)과, 상기 M2M 통합 관제 플랫폼(200)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안내, 차량제어 및 전국도로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물 차량의 운행경로를 안내하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차량정보 데이터는 차량의 궤적 데이터, 진단 데이터, 운행기록 데이터, 온도, 축하중 데이터 및 통신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M2M 센서/단말(100)에서 전송된 차량정보 데이터 및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서 전송된 차량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210)와, M2M 센서/단말(100)에서 전송받은 차량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 코덱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220)와, 수신되는 차량정보 데이터의 인증, 검증, 통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230)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연계시키는 데이터 연동부(2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전송 제어부(210)는 비동기 NIO(Non-Blocking IO) 기반의 고성능 네트워크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 프레임워크(network framework)로서, 어떤 프로토콜이던지 쉽고 빠르게 코덱을 만들어 강력한 어플리케이션을 구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전송 제어부(210)는 도 3a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HTTP 형식의 암호화된 서비스 요청을 수신하는 소켓서버(210a)와, 상기 수신된 패킷의 암/복호화 처리를 수행하는 보안 처리부(210b)와, 상기 보안 처리부(210b)에서 복호화된 메시지(message), 요청(request), 응답(response) 데이터를 파싱(parsing)하는 HTTP 디코더(210c)와, 상기 보안 처리부(210b)에서 암/복호화 처리된 데이터를 텍스트(text) 및 바이너리(binary) 패킷 필터를 통해 로깅하는 패킷 로깅부(210d)와, 상기 로깅된 수신 패킷의 입력/출력(input/output)을 필터링하는 패킷 필터 처리부(210e)와, 상기 HTTP 디코더에서 가공된 데이터를 수신된 프로토콜에 대해 파싱하는 프로토콜 코덱 처리부(210f)로 구성된다. 아울러, 수신된 데이터에 이벤트가 발생되면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맵핑하는 IO 이벤트 핸들링부(210g)와, 서비스 컴포넌트 관리 및 서비스 배치, 업데이트를 관리하는 OSGI 지원부(210h)와, 상기 보안 처리부(210b)에서 암호화된 HTTP 메시지, 요청, 응답 데이터를 패키징하는 HTTP 인코더(210i)와, 서비스 요청한 M2M 센서/단말(100)로 응답결과를 송신하는 소켓 클라이언트부(210j)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20)는 RAS(REST Application Server)의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서블릿(Servlet) 컨테이너에 탑재되어 HTTP 메시지를 REST 서비스로 쉽게 다룰 수 있도록 처리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220)는 도 3b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에서 서비스 요청이 올 경우 서블릿 연동하여 REST 맵핑부(222)로 전달하는 서블릿 연동부(221)와, 전달되는 데이터의 HTTP 타입/핸들러/메소드에 따라 객체, 핸들러 맵핑을 수행하는 REST(프로토콜) 맵핑부(222)와, 객체 및 핸들러 맵핑을 수행한 데이터의 URI에 따른 리소스 매칭을 수행하는 서비스 라우팅부(223)와, 상기 서비스 리소스 및 맵핑 정보를 설정하는 환경설정 처리부(225)와, 상기 서비스 리소스에 REST 맵핑하여 실행하는 서비스 핸들러(224)로 구성된다. 아울러,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으로 요청 정보를 송신하고 HTTP 클라이언트에 REST 클라이언트 리소스 개념을 적용하는 REST(프로토콜) 클라이언트부(229)와, 서비스 핸들러(224)에서 발생되는 예외 데이터를 처리하는 예외처리부(228)와, DB 커넥션, ResultSet 등 리소스의 자동 정리와, 예외 및 트랜잭션을 처리하는 DB 처리부(227)와, 로깅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로그 처리부(226)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제어부(230)는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서 REST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간의 연동함에 있어 다양한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데이터 제어부(230)는 도 3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M2M 센서/단말(100)의 사용자에 대한 인증과정을 수행하는 사용자 인증부(231)와, REST 서비스 시나리오를 체크하고 설정된 시나리오 정보 로드 및 저장과, 시나리오 환경을 설정하는 시나리오 처리부(232)와, 서비스 가용성 체크, 서비스 일시 중지, 단말별 제어, 유효성 검증 여부 제어 및 서비스 시나리오를 통제하는 데이터 통제부(233)와, 데이터 유효성 검증 및 유효성 검증여부의 환경을 설정하는 데이터 유효성 검증부(234)와, 서비스 이용, 서비스 상태 분포율 및 DB 질문 에러, 횟수, 처리시간을 각각 통계되는 통계 처리부(235)와, 로깅 설정 정보를 제공하는 로그 처리부(236)와, 수신한 메시지를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으로 연계하여 헤더 및 콘텐츠 타입을 처리하여 메시지를 로깅하는 프록시 처리부(237)와, 데이터의 압축 처리, 압축 풀림 처리 및 압축 허용 최소 크기를 설정하는 데이터 압축 처리부(23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데이터 연동부(240)는 도 3c에서 도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의 연동을 통해 센서/단말 연동 서비스, 휴대폰 연동 서비스, 내동 연동 서비스, 콜센터 연동 서비스, 세션 연동 서비스를 수행한다.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은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상하고,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집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길안내를 제공하는 경로안내 처리부(310)와, 차량단말을 통하여 수집된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고장진단 및 상태진단을 제공하는 원격 진단부(320)와, 원격에서 차량단말로 차량의 차량 도어열림 및 원격시동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부(330)와, 차량단말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및 침입을 감지하여 운전자 또는 외부연계 시스템으로 긴급구난을 통보하는 긴급구난 처리부(340)와, 차량단말에서 궤적데이터를 수집하여 주행을 분석하여 통계화하고 경제운전지수를 산출하는 주행 분석부(35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험물 차량 관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차량에 부착된 센서에서 궤적, 진단, 운행기록, 온도, 축하중 데이터 등을 감지하고, 이렇게 감지된 차량상태 정보를 차량단말에 제공하고, 차량단말은 차량에서 제공되는 차량정보를 수집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으로 전송한다(S10). 이때,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으로 전송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는 차량의 궤적 데이터, 진단 데이터, 운행기록 데이터, 온도, 축하중 데이터 및 통신단말 정보를 포함한다.
이어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은 차량단말로부터 수집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하고, 데이터 인증, 검증 및 통제를 설정한다(S20). 즉, 차량단말에서 전송된 차량정보 데이터에서 전송된 차량제어 데이터의 수신하고, 수신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부(220)를 통한 서비스 리소스에 REST 매핑을 통해 프로토콜 코덱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코덱 처리된 차량정보 데이터의 인증, 검증, 통제를 제어한다. 이때 데이터의 인증은 수신된 패킷의 암/복호화 처리를 통한 제어하고, 데이터 검증은 HTTP 디코더 및 HTTP 인코더를 통한 데이터(메시지, 요청, 응답)의 파싱 및 패키징을 통해 검증한다. 또한 데이터의 통제는 서비스 가용성 체크, 서비스 일시중지, 단말별 제어, 유효성 검증여부 제어 및 서비스 시나리오 통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렇게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을 통해 처리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으로 전송한다(S30).
그러면,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은 수신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및 위험도 기반의 경로를 분석한다(S40). 이때, 상기 위험도 정보는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산한다.
그리고 분석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차량단말을 통해 길안내를 제공하여 안전운전 및 생태계 오염 및 파괴를 예방한다(S50).
이때, 상기 경로안내는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은 전달받아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전달하고,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서는 해당 출발지 및 목적지를 기반으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감안하여 길안내를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을 통하여 차량단말에 길안내를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은 차량단말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고장진단, 상태진단, 사고감지, 침입감지, 주행분석 통계 및 경제운전 지수를 추가로 제공한다. 그리고 외부시스템(400)에 연계가 필요한 경우, 국가교통정보 센터, 소방서/경찰서, 도로 안전국 등에 긴급구난 또는 디지털 운행기록을 제출한다.
이때, 상기 고장진단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서 원격으로 고장진단 명령을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으로 전달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서는 차량단말에 지시사항을 전달하여 차량고장진단을 수행하며, 수행 후 진단결과를 차량단말이 수집하여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으로 전송받아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저장하여 결과를 웹서비스 또는 모바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상태진단은 상기 고장진단과 유사한 방식으로 차량의 상태(엔진오일, 미션오일 등)를 진단하여 차량단말을 통하여 진단결과를 수집하여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으로 전송받아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저장하여 결과를 웹서비스 또는 모바일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차량 도어열림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 또는 외부연계 시스템(400)인 스마트폰에서 원격으로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 차량 도어열림을 요청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은 요청사항을 차량단말에 전달하여 차량도어를 열어준다. 그리고 상기 원격시동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 또는 외부연계 시스템(400)인 스마트폰에서 원격시동을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 요청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은 요청사항을 차량단말에 전달하여 시동을 건다.
또한 상기 사고감지는 차량단말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를 감지하여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 전달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서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전달하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서는 외부 연계 시스템(400)인 119 또는 긴급구난센터에 통보하여 긴급구단을 요청한다. 그리고 상기 침입감지는 차량단말에서 차량침입을 감지하여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 전달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서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전달하여 운전자 또는 외부 연계 시스템(400)인 긴급구난센터에 전달하여 사건/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상기 주행분석통계는 차량단말에서 궤적데이터를 수집하여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 전달하고, M2M 통합관제 플랫폼(200)에서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300)에 저장한 후 이를 분석하여 통계화 한다. 그리고 상기 경제운전지수는 상기 저장된 차량의 궤적데이터를 분석하여 경제운전지수를 산출하여 외부 연계 시스템(400)인 스마트폰으로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차량 및 차량 단말을 포함하며, 차량에 부착된 센서부를 통해 차량정보를 수집하는 M2M 센서/단말과,
    M2M 센서/단말인 차량 및 차량 단말에서 실시간으로 전송되는 차량정보 데이터를 프로토콜 처리 및 데이터 인증/검증/통제 처리하는 M2M 통합 관제 플랫폼과,
    상기 M2M 통합 관제 플랫폼에서 수신되는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경로안내, 차량제어 및 전국도로의 위험도를 기반으로 위험물 차량의 운행경로를 안내하는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때,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은
    비동기 NIO(Non-Blocking IO) 기반의 고성능 네트워크 서버 및 클라이언트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크 프레임워크(network framework)로서, M2M 센서/단말에서 전송된 차량정보 데이터 및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서 전송된 차량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제어하는 전송 제어부와,
    RAS(REST Application Server)의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서블릿(Servlet) 컨테이너에 탑재되어 HTTP 메시지를 REST 서비스로 다룰 수 있도록 처리하여 M2M 센서/단말에서 전송받은 차량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 코덱 처리를 수행하는 프로토콜 처리부와,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REST 기반의 서비스와 프로토콜들을 처리하고 M2M 처리 시스템간의 연동함에 있어 정책과 환경설정으로 서비스 메시지를 인증, 검증 및 통제를 제어하는 데이터 제어부와,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연계시키는 데이터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은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자신의 차량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차량에 따른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산하고,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집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길안내를 제공하는 경로안내 처리부와,
    차량단말을 통하여 수집된 차량정보를 기반으로 고장진단 및 상태진단을 제공하는 원격 진단부와,
    원격에서 차량단말로 차량의 차량 도어열림 및 원격시동을 제공하는 원격 제어부와,
    차량단말에서 사고 발생시 사고 및 침입을 감지하여 운전자 또는 외부연계 시스템으로 긴급구난을 통보하는 긴급구난 처리부와,
    차량단말에서 궤적데이터를 수집하여 주행을 분석하여 통계화하고 경제운전지수를 산출하는 주행 분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정보 데이터는 차량의 궤적 데이터, 진단 데이터, 운행기록 데이터, 온도, 축하중 데이터 및 통신단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A) 차량에 부착된 센서에서 궤적, 진단, 운행기록, 온도, 축하중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차량상태 정보를 차량단말에서 수집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해 실시간으로 M2M 통합관제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B)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수집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RAS(REST Application Server)의 네트워크 프레임워크 또는 WAS(Web Application Server)의 서블릿(Servlet) 컨테이너에 탑재되어 HTTP 메시지를 REST 서비스로 다룰 수 있도록 처리하여 M2M 센서/단말에서 전송받은 차량정보 데이터의 프로토콜 코덱 처리하고, 데이터 인증, 검증 및 통제를 설정하는 단계와,
    (C) 상기 M2M 통합관제 플랫폼에서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축하여 연계시켜 차량단말로부터 수집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와,
    (D) 상기 위험물 차량 운전 안전 시스템에서 수신된 차량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부 시스템과 연계하여 도로안전 조사국의 교통사고율 및 위험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수집된 자신의 차량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자신의 차량에 따른 각 도로의 위험율을 계산하고, 차량단말로부터 출발지 및 목적지를 수신하여 상기 수집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경로를 분석하는 단계와,
    (E) 상기 분석된 도로 네트워크상의 위험율을 기반으로 차량단말을 통해 길안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KR1020130064680A 2013-06-05 2013-06-05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8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80A KR101498368B1 (ko) 2013-06-05 2013-06-05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4680A KR101498368B1 (ko) 2013-06-05 2013-06-05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486A KR20140143486A (ko) 2014-12-17
KR101498368B1 true KR101498368B1 (ko) 2015-03-05

Family

ID=52674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4680A KR101498368B1 (ko) 2013-06-05 2013-06-05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3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3264B (zh) 2017-01-13 2020-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云的车辆故障诊断方法、装置及其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256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행경로상의 유고정보에 따른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80019401A (ko) * 2006-08-28 2008-03-04 (주)플러스빅 실시간 재난구조 지원 시스템
KR20110038965A (ko) * 2009-10-09 2011-04-15 조재춘 차량 정보 획득 장치, 차량 정보 수집 장치, 차량 정보 분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0256A (ko) * 2005-06-27 2007-01-0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주행경로상의 유고정보에 따른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장치 및 그 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KR20080019401A (ko) * 2006-08-28 2008-03-04 (주)플러스빅 실시간 재난구조 지원 시스템
KR20110038965A (ko) * 2009-10-09 2011-04-15 조재춘 차량 정보 획득 장치, 차량 정보 수집 장치, 차량 정보 분석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운행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486A (ko) 2014-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989B (zh) 无人载具之间的认证消息
US9930027B2 (en) Authenticated messages between unmanned vehicles
US9912655B2 (en) Unmanned vehicle message exchange
US20170270295A1 (en) Cyber security for physical systems
US9663226B2 (en) Influencing acceptance of messages in unmanned vehicles
US9714088B2 (en) Unmanned vehicle rollback
WO2017080039A1 (zh) 车辆行驶安全监控方法和装置、系统
US20190141045A1 (en) Observation system
EP3531331B1 (en) Providing secure inter-vehicle data communications
US11027697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to mitigate and or prevent autonomous vehicle misuse through the use of security enabled sensors
US20220055657A1 (en) System and method to enhance autonomous vehicle operations
US20180352027A1 (en) Cloud enabled cognitive radio adhoc vehicular networking with security aware resource management and internet of vehicles applications
WO200811303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ed transportation management
EP3014853A1 (en) Transport communication management
CN107680354A (zh) 报警处理方法、报警平台及存储介质
US201902305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chain of custody verification
KR101498369B1 (ko) 환경 원격감시제어를 위한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756372B1 (en) Providing secure sensor data to automated machines
KR20140143485A (ko) 카쉐어링을 위한 차량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402590B (zh) 用于至少部分自主的车辆的鉴权系统
KR20120063764A (ko) 차량의 사고 전파 시스템 및 방법
KR101498368B1 (ko) 위험물 차량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98367B1 (ko) 차량용 디지털 운행 기록계의 관제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70284816A1 (en) Establishing convergence points and determining time to convergence of related objects in motion
KR101628141B1 (ko) 텔레매틱스 기반 대리운전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