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276B1 -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 Google Patents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276B1
KR101498276B1 KR1020130070492A KR20130070492A KR101498276B1 KR 101498276 B1 KR101498276 B1 KR 101498276B1 KR 1020130070492 A KR1020130070492 A KR 1020130070492A KR 20130070492 A KR20130070492 A KR 20130070492A KR 101498276 B1 KR101498276 B1 KR 101498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blade
carrier
respect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7377A (ko
Inventor
이상현
Original Assignee
이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현 filed Critical 이상현
Priority to KR102013007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276B1/ko
Publication of KR20140147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7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2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00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 B26B1/08Hand knives with adjustable blade; Pocket knives with slid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9/00Guards or sheaths or guides for hand cutting tools; Arrangements for guiding hand cutting tools
    • B26B29/02Guards or sheaths for kn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Kn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상기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는, 일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커팅부가 구비된 칼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구비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뒤짚혀진 제2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캐리어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때 상기 칼날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Compatiable Cutter}
본 발명은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날이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돌출되거나 삽입되도록 구성된 커터에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을 구비한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커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 커터(4)는 칼날(1)과, 상기 칼날(1)이 결합되는 캐리어(2)와, 상기 캐리어(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본체(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커터(4)는, 상기 캐리어(2)를 상기 본체(3)에 대하여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칼날(1)을 본체(3)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삽입되도록 한다. 사용자는 상기 캐리어(2)를 상기 본체(3)의 전단 측으로 슬라이딩시켜서 필요한 길이로 상기 칼날(1)을 상기 본체(3)로부터 돌출시켜 피절단물을 커팅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캐리어(2)를 상기 본체(3)의 후단 측으로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칼날(1)을 상기 본체(3)에 다시 삽입한다.
도1은 오른손잡이용 커터를 도시한 것으로,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캐리어(2)에 형성된 손잡이를 밀거나 당겨 칼날(1)을 본체(3)로부터 돌출시키거나 삽입시킨다. 그러나, 도1에 도시된 커터를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왼손으로 본체(3)를 파지하여 사용하는 경우, 캐리어(2)의 손잡이를 밀거나 당길 수 없기 때문에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종래 커터(4)는 사용자가 작업 중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피절단물을 커팅하게 되는데, 피절단물에 가해지는 힘의 반작용력에 의해 상기 칼날(1)이 뒤로 밀려서 의도하지 않게 상기 칼날(1)이 본체(3)로 삽입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 커터(4)는 사용자가 상기 칼날(1)이 다시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힘을 조절하면서 작업을 해야하는 불편이 따르고, 예기치 않게 칼날(1)이 뒤로 밀리는 경우에 작업자가 부상을 당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사용 가능하여 호환성을 확보한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는, 일단부에 결합공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커팅부가 구비된 칼날; 상기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구비하는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은,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커팅부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뒤짚혀진 제2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캐리어가 상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때 상기 칼날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공의 중심은 상기 칼날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은 상기 결합공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은 핀부와 상기 핀부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칼날이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는, 상기 칼날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뾰쪽하게 형성되되 상기 본체 폭의 중심을 지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기준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커터는, 칼날을 본체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시켜서 작업하는 도중에 사용자가 피절단물에 가한 힘의 반작용력에 의해 다시 칼날이 본체로 의도하지 않게 삽입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은 종래 커터에 관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칼날이 제1 위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칼날이 제2 위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의 사시도,
도5은 도4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
도6는 도4의 캐리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
도7 및 도8은 도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
도9 및 도10을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작동 상태도,
도11는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본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삽입홈 및 스토퍼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칼날이 제1 위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칼날이 제2 위치에서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의 사시도이고, 도5은 도4의 일부를 생략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6는 도4의 캐리어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7 및 도8은 도4의 요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9 및 도10을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커터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11는 캐리어의 작동상태를 배면에서 개략적으로 본 도면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채용된 삽입홈 및 스토퍼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는, 칼날(10)과, 상기 칼날(10)이 결합되는 캐리어(20)와, 상기 캐리어(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30)를 구비하여, 상기 캐리어(20)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때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30)로 삽입되는 커터에 관한 것으로, 오른손잡이 또는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모두 사용이 가능하도록 호환성을 확보하고, 사용자가 커팅 작업을 수행하는 도중에 칼날(10)이 본체(30)의 내측으로 밀려서 의도하지 않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에 관한 것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는, 칼날(10), 캐리어(20), 본체(30)를 포함한다.
상기 칼날(10)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일측에 커팅부(12)가 구비되고, 일단부에 결합공(11)이 형성된다. 상기 커팅부(12)는 피절단물을 커팅하는 날이 형성된 부분이며, 사용 중에 마모된 경우 칼날(10)의 앞쪽에서 순차적으로 절편을 잘라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칼날(10)은 이미 공지된 슬라이딩형 타입의 커터에서 사용되는 칼날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11)은 상기 칼날(11)의 후단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의 중심은 상기 칼날(1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편심되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공(11)의 중심은 상기 커팅부(12) 측으로 다소 치우쳐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칼날(10)이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공(11)이 삽입되는 결합핀(215)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핀(215)은 핀부(2151)와 돌기부(2152)를 포함한다.
상기 핀부(2151)는 상기 결합공(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다.
상기 돌기부(2152)는 상기 핀부(215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돌기부(2152)는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칼날(10)은 상기 커팅부(12)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215)에 삽입될 수 있다(도2 참조). 또한 상기 칼날(10)은 상기 커팅부(12)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뒤짚혀진 제2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215)에 삽입 가능하다(도3 참조). 즉, 상기 칼날(10)은 상기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서 모두 결합핀(215)에 삽입 가능하다. 제1 위치에서 상기 칼날(10)이 결합된 경우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칼날(10)이 결합된 경우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10)이 제1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핀(215)은 상기 결합공(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2152)가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과 접촉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10)이 제2 위치에서 결합된 경우, 상기 결합핀(215)은 상기 결합공(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배치되고, 상기 돌기부(2152)가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에 접촉된다. 도3에 따르면, 상기 칼날(10)의 커팅부(12)가 상측을 향하도록 되어 있지만,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본체(30)를 파지하여 사용할 때는 커팅부(12)가 하측을 향하게 되는 것이며, 다만, 후술하는 손잡이부(22)를 회동시키기 위해서, 도2은 오른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22)를 아래로 밀어야 하고, 도3은 왼손의 엄지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부(22)를 위로 당겨야 하는 차이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캐리어(20)는 이동블럭(21), 손잡이부(22), 스토퍼핀(23), 및 탄성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블럭(21)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213)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213)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기 스토퍼핀(23)을 가이드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블럭(21)은 슬라이딩블럭(211)과 지지블럭(212)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딩블럭(211)과 상기 지지블럭(212)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블럭(211)은 후술하는 상기 본체(30)의 제1,2 절곡부(32,33)에 끼워져 슬라이딩된다. 상기 칼날(1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기 결합핀(215)은 상기 슬라이딩블럭(211)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블럭(212)은 후술하는 손잡이부(2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부분으로 상기 슬라이딩블럭(211)으로부터 돌출되어 제1,2 절곡부(32,33)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블럭(212)에는 상기 손잡이부(22)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공(216)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는 상기 이동블럭(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상기 회전축공(216)에 삽입되는 회전축(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22)는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손잡이부(22)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돌기(221)가 형성된다. 도11를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에는 상기 손잡이부(22)의 회동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돌기(222)가 형성된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핀(23)을 하측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스토퍼돌기(222)가 상기 이동블럭(21)의 후측 면에 접촉되어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핀(23)은 상기 가이드홈(213)에 삽입되며, 상기 손잡이부(22)의 회동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도4에 도시된 바를 기준으로, 상기 손잡이부(2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핀(23)은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토핑을 해제하고, 상기 스토핑이 해제된 상태에서 상기 손잡이부(22)가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스토퍼핀(23)은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삽입홈(34)에 삽입된다. 상기 스토퍼핀(23)이 상기 삽입홈(34)에 삽입되면,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못하는 스토핑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토퍼핀(23)은 수직바(231)와 삽입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바(23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분이고, 상기 삽입부(232)는 상기 수직바(231)의 단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34)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삽입부(232)의 폭은 상기 수직바(231)의 폭(W1)보다 넓은 폭을 갖는다.
한편, 도6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홈(213)에는 스토퍼면(214)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면(214)은 상기 손잡이부(22)가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핀(23)을 상기 삽입홈(34)으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손잡이부(22)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즉, 상기 손잡이부(22)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핀(23)에 의한 스토핑을 해제할 때, 상기 손잡이부(22)가 과도하게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비된다.
상기 손잡이부(22)가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삽입부(232)는 상기 스토퍼면(214)에 걸리게 되어 손잡이부(22)의 회동 범위를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213)은 대략 "Y"자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면(214)은 "Y"자 형의 홈의 상단 부분에 마련된 경사면이다.
또한, 상기 스토퍼핀(23)에는 상기 손잡이부(22)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3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33)는 상기 수직바(231)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손잡이부(22)의 끼움공(미도시)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가이드홈(213)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핀(23)을 일방향으로 탄성 가압하기 위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부재(24)는 상기 스토퍼핀(23)의 하단과 상기 가이드홈(213)의 하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스토퍼핀(23)을 상 방향으로 탄성 가압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4)는 스프링이 사용된다.
상기 본체(30)는 상기 캐리어(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부재이다.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본체의 전면부(35)는, 상기 칼날(1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뾰쪽하게 형성되고, 또한 상기 본체 폭(W5)의 중심(C)을 지나면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기준선(L3)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즉,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35)는 상측 및 하측에 경사면이 서로 마주하여 뾰쪽하게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이 상기 기준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전면부(35)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칼날(10)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중 어느 위치에서 결합되더라도 상기 본체(30)부터 돌출되는 칼날(10)을 안정적으로 커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본체(30)에는 상기 본체(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고, 상기 스토퍼핀(23)이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홈(34)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30)는 지지부(31) 및 제1,2 절곡부(32,33)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31)는 상기 이동블럭(21)과 마주하여 일방향으로 형성되는 판형의 부재이고, 상기 제1,2 절곡부(32,33)는 상기 이동블럭(2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31)로부터 절곡된 부분이다. 상기 제1,2 절곡부(32,33)는 서로 대향하여 형성되며, 상기 본체(30)의 전단 측은 상기 칼날(10)이 출몰 가능하도록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홈(34)은 상기 제1 절곡부(32)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삽입홈(34)은 입구부(341)와 수용부(342)를 포함한다.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삽입부(232)가 삽입되거나 빠지는 입구 측의 부분이며, 상기 수용부(342)는 상기 입구부(341)를 통해 삽입되는 상기 삽입부(232)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수용부(342)의 폭(W3)은 상기 입구부(341)의 폭(W2)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삽입홈(34)과 스토퍼핀(23)의 관계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7를 참조하면, 상기 삽입홈(34)의 입구부(341)는 그 가장자리가 라운드진 라운드부(3411)가 구비된다. 상기 라운드부(3411)는 반경이 2.5mm 내지 3mm인 원호의 일부로서 라운드진다.
상기 삽입홈(34)의 수용부(342)는 경사면부(3421)와 곡면부(3422)를 포함한다.
상기 경사면부(3421)는 상기 라운드부(3411)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삽입부(232)의 폭(W2)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경사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경사면부(3421)를 연장한 가상의 제1 가상선(L1)과 상기 이동블럭(21)이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제2 가상선(L2)이 이루는 각도는 50도 내지 65도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상기 곡면부(3422)는 상기 삽입부(232)의 형상에 대응하여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 부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232)의 가장자리는 라운드지고 상기 곡면부(3422)는 상기 삽입부(232)의 형상에 대응하여 외측으로 볼록한 곡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8을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의 최대폭(W4)은 상기 수직바(231)의 폭(W1)보다 0.1mm 내지 0.3mm 만큼 크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32)의 최대폭(W4)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곡면에서 최대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점까지의 폭을 의미한다.
상기 삽입홈(34)의 입구부(341)는 상기 삽입부(232)의 최대폭(W4)이 통과하는 정도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342)는 상기 입구부(341)의 폭(W2)보다 더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10)이 제1 위치에서 결합핀(215)에 결합되면 오른손잡이인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구체적으로 도9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블럭(2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부(22)가 수평을 유지하는 상태에서는 상기 스토퍼핀(23)이 상기 삽입홈(34)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핀(23)은 상기 탄성부재(24)에 의해 상 방향으로 탄성 가압된 상태이므로 상기 삽입홈(34)으로부터 빠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는 상기 삽입홈(34)에 완전히 수용되므로 이동블럭(21)이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10을 참조하면, 상기 손잡이부(22)가 상기 이동블럭(2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핀(23)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스토퍼핀(23)이 상기 삽입홈(34)으로부터 빠져나와 스토핑이 해제되며, 이때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캐리어(20)를 상기 본체(30)의 전단 측 또는 후단 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칼날(10)을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돌출 또는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핀(23)이 상기 삽입홈(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캐리어(20)는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못하며, 상기 손잡이부(22)가 회동하여 상기 스토퍼핀(23)이 상기 삽입홈(34)으로부터 빠진 상태에서 상기 이동블럭(21)이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다.
사용자는 작업 중에 피절단물에 커터를 통해 힘을 가하게 되고, 상기 커터의 칼날(10)은 사용자가 가한 힘의 반작용력을 받는다. 그렇다 하더라도,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수용부(342)는 상기 삽입부(232)가 이탈하지 못하게 하는 경계벽을 형성하게 되므로,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의 내부로 삽입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칼날(10)이 제2 위치에서 결합핀(215)에 결합되면 왼손잡이인 사용자가 사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도3에는 칼날(10)의 커팅부(12)가 상측을 향하고 있으나, 사용시 커팅부(12)는 하측을 향하게 되며, 캐리어(20)의 손잡이부(22)는 왼손의 엄지손가락이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손장이부(22)는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스토핑이 해제되고, 아래로 내려지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스토핑되는 것이 도2와 상이하며, 그외의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삽입홈(34) 및 스토퍼핀(23)의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12에 있어서,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12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삽입홈(34)은 대략 역 삼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홈(34)은 도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구부(341)와 수용부(342)를 구비한다.
상기 입구부(341)는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가 통과할 정도의 폭을 가지며, 상기 수용부(342)는 상기 삽입부(23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물론, 상기 입구부(341)는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채용된 상기 스토퍼핀(23)은 도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수직바(231)와 삽입부(232)를 구비한다.
상기 수직바(23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삽입부(232)는 상기 수직바(231)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상기 수직바(231)의 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삽입부(232)는 상기 수용부(342)의 형상에 대응하여 역 삼각형으로 이루어진다. 도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삽입부(232)의 최대폭(W4)은 상기 수직바(231)의 폭(W1)보다 0.1mm 내지 0.3mm 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12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 및 효과는 도4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상기 스토퍼핀(23)의 삽입부(232)는 상기 삽입부(232)의 폭보다 넓은 폭을 갖는 수용부(342)에 수용되므로 상기 손잡이부(22)가 스토핑을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 한, 상기 캐리어(20)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않으므로,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로 예기치 않게 삽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칼날 11... 결합공
12.. 커팅부 20... 캐리어
21... 이동블럭 211... 슬라이딩블럭
212... 지지블럭 213... 가이드홈
214... 스토퍼면 215... 결합핀
2151... 핀부 2152... 돌기부
216... 회전축공 22... 손잡이부
221... 미끄럼방지돌기 23... 스토퍼핀
231... 수직바 232... 삽입부
233... 결합돌기 24... 탄성부재
30... 본체 31... 지지부
32... 제1 절곡부 33... 제2 절곡부
34... 삽입홈 35... 전면부
341... 입구부 3411.. 라운드부
342... 수용부 3421... 경사면부
3422... 곡면부

Claims (3)

  1. 일단부에 결합공(11)이 형성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측에 커팅부(12)가 구비된 칼날(10);
    상기 결합공(11)에 삽입되는 결합핀(215)을 구비하는 캐리어(20); 및
    상기 캐리어(20)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본체(30);를 포함하며,
    상기 칼날(10)은, 상기 커팅부(12)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하측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제1 위치 또는 상기 커팅부(12)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상측을 향하여 배치되도록 뒤짚혀진 제2 위치에서 상기 결합핀(215)에 삽입 가능하며,
    상기 캐리어(20)가 상기 본체(30)에 대하여 슬라이딩될 때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로부터 돌출되거나 상기 본체(30)로 삽입되며,
    상기 결합공(11)의 중심은 상기 칼날(10)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일측으로 치우쳐 편심되게 형성되며,
    상기 결합핀(215)은 상기 결합공(1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은 핀부(2151)와 상기 핀부(2151)의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11)의 내주면과 접촉되는 돌기부(2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칼날(10)이 상기 본체(30)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본체(30)의 전면부(35)는, 상기 칼날(1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뾰쪽하게 형성되되 상기 본체 폭(W5)의 중심(C)을 지나며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가상의 기준선(L3)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KR1020130070492A 2013-06-19 2013-06-19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KR101498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92A KR101498276B1 (ko) 2013-06-19 2013-06-19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492A KR101498276B1 (ko) 2013-06-19 2013-06-19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77A KR20140147377A (ko) 2014-12-30
KR101498276B1 true KR101498276B1 (ko) 2015-03-05

Family

ID=52676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492A KR101498276B1 (ko) 2013-06-19 2013-06-19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2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41A (ko) 2020-09-24 2022-03-31 김태현 커터어셈블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37A (ja) * 2002-04-25 2003-11-05 Olfa Corp 左右両用のカッターナイ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1037A (ja) * 2002-04-25 2003-11-05 Olfa Corp 左右両用のカッターナイ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0641A (ko) 2020-09-24 2022-03-31 김태현 커터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7377A (ko) 2014-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6695B2 (en) Spring back safety and film cutter
EP2700482B1 (en) Box cutter with retractable blade
TWI283201B (en) Scissors
US9539732B2 (en) Cutting tool with interchangeable blade and method for replacing an AC-blade
US20090313836A1 (en) Safety cutter knife
JP2003339723A (ja) 手術用メス
NO156119B (no) Saks-slire med integrert bladsliper.
KR101498276B1 (ko) 양손 사용이 가능한 커터
US11027440B2 (en) Self-retracting knife with replaceable blade
US11679516B2 (en) Slim pen cutter
JP2015164754A (ja) 電動工具
TW201642731A (zh) 可提升結構強度之園藝剪
KR101265242B1 (ko) 칼날절단장치가 일체화된 커터칼
US20160288352A1 (en) Knife having removable blade guard
KR101435103B1 (ko) 커터
US20190111577A1 (en) Utility knife
CN106493756B (zh) 带切割器功能的剪刀
JP2008136844A (ja) カッターナイフ
US20100266359A1 (en) Blade holder, particularly joint plane, blade and method for sharpening and fining down a substrate
KR101905043B1 (ko) 날의 선택적 사용이 가능한 가위
KR101634213B1 (ko) 이중 스위치 노브를 구비한 전동공구
KR20180097230A (ko) 조정 가능한 절단턱을 가지는 손톱깎이
JP5869845B2 (ja) 携帯工具用ホルスター
JP3140436U (ja) 安全ハサミ
JPH0744297Y2 (ja) 切断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