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8121B1 -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 Google Patents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8121B1
KR101498121B1 KR1020120130593A KR20120130593A KR101498121B1 KR 101498121 B1 KR101498121 B1 KR 101498121B1 KR 1020120130593 A KR1020120130593 A KR 1020120130593A KR 20120130593 A KR20120130593 A KR 20120130593A KR 101498121 B1 KR101498121 B1 KR 10149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buckling
compression
paper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0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3340A (ko
Inventor
노연식
김영호
Original Assignee
노연식
김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연식, 김영호 filed Critical 노연식
Priority to KR1020120130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8121B1/ko
Publication of KR20140063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3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02D17/083Shoring stru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85Shapes cylindric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Abstract

본 발명은 H형강 띠장에 거치가 용이하고, 2축 방향에서 지압력을 발생시켜 설치가 안정되고 좌굴 억제를 위한 대응 면적이 넓어지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H형강 띠장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에 있어서, H형강 띠장의 웨브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티프너 몸체와; 상기 스티프너 몸체에 상호 일정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정위치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압축과; 한 쌍의 지압축의 각기 타단에 일정 구간 진퇴 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는 지압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Buckling restrained stiffener using for retaining wall wale}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H형강 띠장에 거치가 용이하고, 2축에서 지압력을 발생시켜 설치가 안정되고 좌굴 억제를 위한 대응 면적이 넓어지며,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에 관한 것이다.
흙막이 공사시 말뚝을 설치하여 흙막이 벽체를 시공한다. 흙막이 벽체는 토압을 받기 때문에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이웃한 벽체간에 수평으로 버팀보를 설치한다. 이때 버팀보에 길이 방향으로 버팀력이 발생하도록 스크류 잭이 설치되고, 버팀력이 흙막이 벽체에 넓게 작용하도록 H형강 띠장이 흙막이 벽체에 설치된다.
이때 H형강 띠장은 스크류 잭의 버팀력을 지속적으로 전달받아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므로 H형강의 강도가 충분하지 못하거나 잭력이 과도하게 상승된 경우 H형강 띠장에 작용하는 전단력과 휨 응력으로 국부 좌굴이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좌굴 발생은 버팀보의 버팀력을 해치게 되어 흙막이 벽체의 안정적인 버팀 시공을 방해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70234호로서, 토건용 스티프너 잭이 제시되어 있다. 이는 미끄럼 방지구와 나사부가 형성된 간격 조절봉 내입구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에, 볼트 내입공이 형성되 밑판을 형성하여, 밑판의 볼트 내입공이 연통될 수 있도록 결합한 후, 고정볼트와 양방향 나사부가 양측으로 형성된 간격 조절봉으로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간격조절봉이 갖는 1축에서만 지지력을 발휘한다. 따라서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면적이 좁아지고, 간격조절봉에서 발생되는 응력이 커져 버팀력이 커질 경우 좌굴 방지에 취약하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851062호
본 발명은 H형강 띠장에 거치가 용이하고, 2축 방향에서 지압력을 발생시켜 설치가 안정되며, 좌굴 억제를 위한 대응 면적이 넓어지고, 사용자의 조작이 간편하도록 한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H형강 띠장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에 있어서,
H형강 띠장의 웨브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스티프너 몸체와;
상기 스티프너 몸체에 상호 일정한 축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정위치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압축과;
한 쌍의 지압축의 각기 타단에 일정 구간 진퇴 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는 지압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 몸체는,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정착판과;
상기 정착판의 양단에 각기 일체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축 지지판과;
상기 정착판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용 자석을 포함하고;
일측의 축 지지판에는 환형 걸림홈과 지압축 지지구멍을 갖는 지압축 지지부싱이 설치되고 타측의 축 지지판에는 지압축을 지지하는 지압축 지지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압구는 각기 지압축의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구멍을 갖는 보스와, 보스의 선단에 단면적이 확장된 원형 지압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압축에는 각기 일정 구간에 걸쳐 다각 단면을 갖는 회전조작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티프너에는 축 지지판에 지압축의 회전을 지지하는 원통형 슬리브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에 따르면, 자력으로 H형강 띠장에 쉽게 흡착 거치되어 좌굴에 대응하기 위한 설치 조작을 신속히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나란한 한 쌍의 지압축에 의해 2축 방향에서 좌굴에 대항하는 지지 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좌굴이 억제되는 면적이 넓어지고, 스티프너의 안정된 지지력이 발휘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측 단면도.
도 3은 도 1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지압축의 다양한 단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의 다양한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측 단면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실시 에에 따른 스티프너(10)는 스티프너 몸체(12)가 구비된다. 스티프너 몸체(12)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H형강 띠장(2)의 웨브(2a)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스티프너 몸체(12)는 금속재로 제작된 것으로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폭(W)과 H형강 띠장(2)의 대향하는 플랜지 간격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정착판(121)과, 정착판(121)의 양단에 각기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고 있는 축 지지판(122,123)과, 정착판(1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용 자석(125)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부착용 자석(125)은 2개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러한 개수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스티프너 몸체(12)는 정착판(121)과 축 지지판(122,123)에 의해 대략 ㄷ자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일측의 축 지지판(122)에는 환형 걸림홈(124a)과 지압축 지지구멍(124b)을 갖는 지압축 지지부싱(124)이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축 지지판(123)에는 지압축 지지구멍(123a)이 형성된다.
스티프너 몸체(12)에는 상호 일정한 축간 거리(L)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정위치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금속재로 제작된 한 쌍의 지압축(14,14)이 설치되어 있다. 지압축(14,14)은 작업자의 손으로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착판(121)에서 일정한 간격(H)을 두고 설치된다. 따라서 지압축(14,14)의 회전 조작시 정착판(121)의 장애를 받지 않는다. 지압축(14와 14)간의 축간 거리(L)는 적어도 작업자의 회전 조작시 어려움이 없는 거리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지압축(14,14)은 금속재로 제작된다. 이때 지압축(14,14)에는 각기 일정 구간에 걸쳐 다각 단면을 갖는 회전조작부(142)가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회전조작부(142)는 원형 뿐만 아니라 도 4와 같이 사각 또는 육각 단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지압축(14,14)의 단면적은 금속재의 강성과 좌굴에 영향을 주는 사용 하중을 고려하여 증감될 수 있다.
한 쌍의 지압축(14,14)은 그의 일단이 지지부싱(124)에 회전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고, 그의 타단에는 일정 구간에 걸쳐 수나사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한 쌍의 지압축(14,14)은 환형 걸림홈(124a)에 걸림되는 환형 걸림턱(143)이 구비된다.
한 쌍의 지압축(14,14)에 금속재로 제작된 지압구(16,16)가 설치된다. 지압구(16,16)는 지압축(14,14)에 일정 구간 진퇴 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으로 설치되어 있다. 지압구(16,16)는 각기 지압축(14)의 수나사부(141)와 결합되는 나사구멍(161a)을 갖는 보스(161)와, 보스(161)의 선단에 단면적이 확장된 원형 지압판(162)이 구비된다. 지압구(16,16)는 각기 일단이 스티프너 몸체(12)의 가이드홀(123b,123b)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지압구(16,16)에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15,15)에 의해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 예의 사용 방법 및 작용을 설명한다.
스티프너(10)는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데 사용되는 사용되는 H형강 띠장에 설치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스티프너(10)는 버팀보(4)로 흙막이 벽체(1)에 지지된 서로 마주하는 H형강 띠장(2,2)에 설치되거나 도 6과 같이 어스 앵커(100)를 지지하는 H형강 띠장(2,2)에 설치될 수 있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지압축(14,14)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후방으로 지압구(16,16)를 후퇴이동시킨 후, 스티프너(10) 전체를 H형강 띠장(2)의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2b,2b)의 사이에 위치시키고, 부착용 자석(125)이 설치되어 있는 정착판(121)을 H형강 띠장(2)의 웨브(2a)에 접촉시켜 놓는다. 이 경우 부착용 자석(125)의 자력에 의해 스티프너(10)가 H형강 띠장(2)의 웨브(2a)에 부착된다.
이 상태에서 지압축(14,14)을 타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지압구(16,16)를 각기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H형강 띠장(2)의 일측 플랜지(2b)에 지압구(16,16)를 밀착된다. 이때 타측 플랜지(2b)에는 스티프너 몸체(12)의 축 지지판(122)이 밀착된다. 여기서 회전조작부(142)의 회전 조작력으로 지압축(14)은 쉽게 회전되어지며 지압구(16)는 수나사부(141)와의 나사 결합구간의 증감에 따라 이동 방향이 결정된다.
이에 의해 스티프너(10)가 H형강 띠장(12의 서로 마주하는 플랜지(2b,2b)의 사이에서 지압축(14)과 지압구(16)간의 나사 풀림력이 축방향의 양쪽으로 밀게 되는 지압력으로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스티프너(10)가 설치되는 부분에 버팀보(4)의 설치시 발생되는 스크류 잭(screw jack)(3)의 잭력과 이에 대응하는 지압축(14)의 지압력이 상쇄되어 H형강 띠장(2)의 좌굴이 방지된다.
특히 본 발명은 한 쌍의 지압축(14)을 갖아 2축에서 지압력을 발휘하여 좌굴 대응 면적이 넓어지고, 안정적으로 잭력(버팀력)에 저항하게 된다.
이후 흙막이 버팀 장비의 철거시 지압축(14)을 역회전시켜 지압력을 해제시키고 지압구(16)와 H형강 띠장(2)의 플랜지(2b,2b)의 사이에 간극을 발생시킨 후 부착용 자석(125)의 자력보다 큰 힘을 이용하여 스티프너(10)를 강제적으로 잡아당기면 H형강 띠장(2)에서 스티프너(10)가 간단히 탈거된다.
여기서 지압축(14)의 회전시 지압구(16,16)는 가이드홀(123b,123b)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로드(15,15)의 안내를 받으므로 직선운동만 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스티프너(10)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축 지지판(123)에 금속재로 제작된 지지구멍(31)을 갖는 원통형 슬리브(3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원통형 슬리브(30)는 지압축(14)의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축 지지판(123)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지압구(16,16)에는 각기 1개의 가이드 로드(15)를 설치하였으나 복수 개 이상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2: 스티프너 몸체
121: 정착판
122,123: 축 지지판
124: 지압축 지지부싱
123a: 지압축 지지구멍
124a: 환형 걸림홈
124b: 지압축 지지구멍
14: 지압축
142: 회전조작부
16: 지압구
161: 보스
162: 원형 지압판

Claims (6)

  1. H형강 띠장(2)의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스티프너(10)에 있어서,
    H형강 띠장(2)의 웨브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며, 손으로 파지하기 적당한 폭과 일정한 길이를 갖는 정착판(121)과, 상기 정착판(121)의 양단에 각기 일체로 직각 방향으로 절곡되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있는 축 지지판(122,123)과, 상기 정착판(121)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부착용 자석(125)을 포함하고, 일측의 축 지지판(122)에는 환형 걸림홈(124a)과 지압축 지지구멍(124b)을 갖는 지압축 지지부싱(124)이 설치되고 타측의 축 지지판(123)에는 지압축(14)을 지지하는 지압축 지지구멍(123a)이 형성되어 있는 스티프너 몸체(12)와;
    상기 스티프너 몸체(12)에 상호 일정한 축간 거리를 두고 나란하게 배치되어 각기 정위치에서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지압축(14,14)과;
    한 쌍의 지압축(14,14)의 각기 타단에 일정 구간 진퇴 운동가능하도록 나사 결합되어 있는 지압구(16,16);를 포함하며,
    상기 지압구(16,16)는 일단이 스티프너 몸체(12)의 가이드홀(123b,123b)에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지압구(16,16)에 각기 고정되어 있는 가이드 로드(15)에 의해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구(16,16)는 각기 지압축(14)의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나사구멍(161a)을 갖는 보스(161)와, 보스(161)의 선단에 단면적이 확장된 원형 지압판(162)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축(14,14)에는 각기 일정 구간에 걸쳐 다각 단면을 갖는 회전조작부(142)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프너(10)에는 축 지지판(123)에 지압축(14)의 회전을 지지하는 원통형 슬리브(30)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6. 삭제
KR1020120130593A 2012-11-16 2012-11-16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KR10149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93A KR101498121B1 (ko) 2012-11-16 2012-11-16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0593A KR101498121B1 (ko) 2012-11-16 2012-11-16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40A KR20140063340A (ko) 2014-05-27
KR101498121B1 true KR101498121B1 (ko) 2015-03-04

Family

ID=508913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0593A KR101498121B1 (ko) 2012-11-16 2012-11-16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81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26B1 (ko) * 2016-04-22 2018-11-02 노연식 띠장 좌굴방지용 후크봉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983381B1 (ko)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8836B1 (ko) 2020-10-13 2022-07-08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H형강 전단보강용 멀티 스티프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68U (ja) * 1993-12-27 1995-07-21 五建工業株式会社 山留材用吊具
KR200270234Y1 (ko) * 2001-12-29 2002-03-29 최갑상 토건용 스티프너 잭
KR100851062B1 (ko) * 2007-05-29 2008-08-12 화엄토건(주)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0668U (ja) * 1993-12-27 1995-07-21 五建工業株式会社 山留材用吊具
KR200270234Y1 (ko) * 2001-12-29 2002-03-29 최갑상 토건용 스티프너 잭
KR100851062B1 (ko) * 2007-05-29 2008-08-12 화엄토건(주) 자성체가 부착된 잭 스티프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4826B1 (ko) * 2016-04-22 2018-11-02 노연식 띠장 좌굴방지용 후크봉 및 이의 설치 방법
KR101983381B1 (ko) * 2018-10-30 2019-05-28 주식회사 윤준에스티 간격조정이 가능한 띠장-강관버팀보 스티프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3340A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8121B1 (ko) 흙막이 벽체 띠장 좌굴방지용 스티프너
KR101337570B1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CN204152236U (zh) 一种体外预应力加固装置
KR20120140318A (ko) 에이치 형강용 가변 스티프너 잭
JP2013174096A (ja) 杭の載荷試験装置
KR100992736B1 (ko) 형강파일 인발기
KR101683080B1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KR101498343B1 (ko) 그라운드 앵커 두부 정착 시스템
KR101600750B1 (ko) 인장재의 긴장완화 보완용 앵커장치
JP6448683B2 (ja) スラブ支持装置及び建物の解体方法
KR100910207B1 (ko) 실린더식 하중잭
KR101274427B1 (ko) 반목조정장치
JP2003301411A (ja) 鋼桁へのプレストレス導入方法
KR101303873B1 (ko) 굴절지지대를 이용한 버팀보 지지장치
CN102244443B (zh) 用于大型电机浸渍导体棒的压制模块和装备其的压制设备
KR20120126579A (ko) 동바리용 조인트핀 복원장치
JP4297806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柱の位置決め治具および位置決め方法
KR101858177B1 (ko) 박스형 콘크리트 구조물의 우각부 보강용 장치
KR200414107Y1 (ko) 프리로딩 잭
KR100935652B1 (ko) 양방 실린더식 하중잭
JP6039124B1 (ja) 耐震性マンホール継手
KR200438316Y1 (ko) 길이 조절형 서포트
JP2000034842A (ja) コンクリート棒状構造体の補強器具および補強方法
CN202595985U (zh) 将机加工设备固定在楼层的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