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842B1 -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842B1
KR101497842B1 KR20130154456A KR20130154456A KR101497842B1 KR 101497842 B1 KR101497842 B1 KR 101497842B1 KR 20130154456 A KR20130154456 A KR 20130154456A KR 20130154456 A KR20130154456 A KR 20130154456A KR 101497842 B1 KR101497842 B1 KR 10149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ide wall
container
hydraulic actuato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4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응주
이종섭
송정한
이근안
이상목
임성주
윤덕재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130154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8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5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88/522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 B65D88/524Large containers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all side walls hingedly connected to each other or to another component of the container and one or more side walls being foldable along an additional median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하부 판넬(110); 상기 하부 판넬(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판넬(120); 상기 하부 판넬(110)과 상기 상부 판넬(120) 사이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벽 판넬(130); 상기 하부 판넬(110)에 배치되는 피스톤 구조체(170); 및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연결되는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가해진 외력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통해 상기 측벽 판넬(130)의 접힘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은 별도의 추가적인 동력원을 이용함이 없이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인력으로 컨테이너를 접고 펴기가 어려운 경우에 지게차의 포크 및 컨테이너에 장착된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Foldable Container having actuator}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함이 없이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접는 기술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컨테이너를 구성하는 측벽 판넬이 피스톤 구조체에 연결된 유압 액츄에이터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접거나 펴지게 할 수 있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란 철판으로 형성된 큰 상자 형태로서 화물 수송에 주로 쓰이는 것을 말한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화물을 보관하고 운반하기가 쉬울 뿐만 아니라, 안에 들어 있는 화물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는 전용으로 사용되는 큰 화물차량에 의해 낱개로 운송되거나 전용 열차 또는 전용 선박에 의해 다량으로 운송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컨테이너는 강철 소재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내부에 화물을 실은 상태에서나 내부가 비워진 상태에서나 똑같은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빈 컨테이너를 보관하거나 수송하는 경우에도 내부에 화물을 운송하는 때와 동일한 용적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빈 컨테이너 상태에서는 컨테이너를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들이 있어왔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특허 제10-1064803호를 참조하면, 내부가 빈 상태의 컨테이너를 접기 위하여 벨트(220)와 회전축봉(210)을 도입하고, 벨트를 컨테이너의 측벽에 고정한 후 회전축봉을 당겨서 측벽을 접을 수 있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컨테이너를 접기 위해 회전축봉과 벨트라는 별도의 부품을 장착하여야 하고, 벨트 당김에 의해 측벽이 갑작스럽게 접힘 동작이 일어남으로써 안전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종래기술은 접힌 상태의 컨테이너가 상하로 겹쳐서 쌓여서 보관 및 이동되어야 하는데, 상하로 겹쳐서 쌓이는 컨테이너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수단이 없는 등 문제가 있었다.
한편, 절첩 가능한 컨테이너형 보관상자를 제시하는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775446호를 들 수 있는데, 좌,우측판(300)의 하부측판(310)에 래쳇기어(200)를 구비하여 컨테이너형 보관박스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하는 절첩가능한 컨테이너형 보관상자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좌,우측판(300)을 이루는 상부측판(320)과 하부측판(310)을 접는 과정에 있어서 갑작스럽게 접혀짐으로써 발생하는 안전상의 문제점 및 펼쳐진 전/배면판(500)을 간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원을 이용함이 없이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인력으로 컨테이너를 접고 펴기가 어려운 경우에 지게차의 포크 및 컨테이너에 장착된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하부 판넬(110); 상기 하부 판넬(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판넬(120); 상기 하부 판넬(110)과 상기 상부 판넬(120) 사이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벽 판넬(130); 상기 하부 판넬(110)에 배치되는 피스톤 구조체(170); 및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연결되는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가해진 외력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통해 상기 측벽 판넬(130)의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상기 하부 판넬(110)에 고정배치되는 고정부재(161) 및 상기 고정부재(161)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165)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상기 하부 판넬(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는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부(171) 및 상기 실린더부(17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17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판넬(110) 상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포크 가이드(111)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는, 상기 측벽 판넬(130)의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절첩 구조체(140,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첩 구조체(140,150)는, 상기 측벽 판넬(130)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절첩 구조체(140); 및 상기 측벽 판넬(130)과 상하부 판넬(110,120)을 연결하는 측부 절첩 구조체(15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별도의 추가적인 동력원을 이용함이 없이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종래에 인력으로 컨테이너를 접고 펴기가 어려운 경우에 지게차의 포크 및 컨테이너에 장착된 유압 액츄에이터를 이용함으로써 자동으로 컨테이너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테이너의 적치 및 상하역이 이루어지는 장소에서 흔히 사용되는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쉽게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작업자가 간편하게 접을 수 있는 구조로서 내부에 화물이 빈 상태에서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하여 그에 따른 비용이 감소하는 유리한 효과가 있고, 트럭이나 선박으로 운반하는 컨테이너의 경우 빈 컨테이너 상태로 운송하거나 보관하는 경우에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와 지게차가 결합되는 상태를 보이는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하부 판넬에 지게차의 포크가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상태를 간략하게 표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가 접히는 상태를 보이는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유압 액츄에이터를 도시하는 도면, 및
도 6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의 일 예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설명에서 '절첩' 내지 '접힘' 또는 '접철' 등의 표현은 컨테이너의 측벽 판넬을 접는 동작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컨테이너(100, 이하 "컨테이너"로 칭하기로 한다)는 하부 판넬(110), 하부 판넬(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 판넬(120), 하부 판넬(110)과 상부 판넬(120) 사이의 양측방에 설치되는 측벽 판넬(130), 컨테이너(100)의 전후방에 수직한 방향으로 장착되고 내부 화물 적재 및 하역을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도어(미도시), 및 측벽 판넬(130)의 중앙 부분에 배치되거나 상하부 판넬(110,120)과 측벽 판넬(130)의 결합 부위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체(140,150)를 포함한다.
하부 판넬(110)에는 지게차(10)의 포크(11,fork)가 삽입되는 포크 가이드(111)가 형성된다. 포크 가이드(111)는 하부 판넬(110) 상의 가로 방향을 따라 한쌍이 나란히 형성된다. 포크(11)는 포크 가이드(111) 상에 배치되는 피스톤 구조체(170)를 조작하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100)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인 작동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100)의 측벽 판넬(130)은 상부 측벽 판넬(131)과 하부 측벽 판넬(133)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측벽 판넬(131)과 하부 측벽 판넬(133)은 측부 힌지 구조체(140)에 의해서 각각 상부 판넬(120)과 하부 판넬(1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부 측벽 판넬(131)과 하부 측벽 판넬(133)은 메인 힌지 구조체(15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다. 즉, 측벽 판넬(130)은 측부 힌지 구조체(140)를 매개로 상하부 판넬(110,120)에 결합되고, 상부 측벽 판넬(101)과 하부 측벽 판넬(133)은 메인 힌지 구조체(150)를 매개로 상호 결합된다.
한편, 메인 힌지 구조체(150) 및 측부 힌지 구조체(140)는 컨테이너(100)의 측벽 판넬(13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가 소정 간격을 이룬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컨테이너(100) 상에 배치되는 피스톤 구조체(170) 및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이용한 작동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피스톤 구조체(170)는 하부 판넬(110)에 가로 방향으로 한쌍이 형성된 포크 가이드(111) 상에 배치된다. 피스톤 구조체(170)는 실린더부(171), 실린더부(17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173), 및 실린더부(171)에 수용되는 유체(175)를 포함한다.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하부 판넬(110)의 가장자리 구역에 배치된다. 일예로서, 4개의 유압 액츄에이터(160)가 직사각 형태의 하부 판넬(110)의 각 모서리 측에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정적으로 측벽 판넬(130)의 접힘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3 및 도 4에서 A는 Actuator의 약어로서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나타낸다.
피스톤 구조체(170)와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하부 판넬(110)에 배치되는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유압이 전달되는 구조일 수 있다. 즉, 지게차(10)의 포크(11)를 통해 실린더부(171)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피스톤부(173)의 병진 운동에 의해 실린더부(171) 내에서 가압되는 유체가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유동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압전달유로(180)의 유체로부터 유압을 전달받는 유압 액츄에이터(160)의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하부 판넬(110)에 고정배치되는 고정부재(161) 및 고정부재(161)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165)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재(165)는 측벽 판넬(130) 중 하부 측벽 판넬(133)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161)에는 유압전달유로(180)로부터 유입되는 유체가 유동하는 유체유동로(162) 및 유체유동로(162)에 연통하는 동시에 상기 유체의 이동 방향을 전환하게 하는 가압 유로(163)가 형성된다.
유체유동로(162)를 통해 유입되는 유체의 방향(도 5의 도면부호 164 참조)은 가압 유로(163)를 통하면서 거의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도 5의 도면부호 166 참조) 변경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피스톤 구조체(170)를 통해 일직선으로 가해지는 포크(11)의 가압력은 유압전달유로(180) 및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거쳐 유체의 가압하는 힘의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후, 유체의 가압력은 회전부재(165)가 고정부재(161)를 기준으로 회전 작동하는 과정을 형성하게 한다(도 5의 도면부호 168 참조).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측벽 판넬(130)의 접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 판넬(110)의 포크 가이드(111)에 지게차(10)의 포크(11)가 삽입되어 포크 가이드(111)에 배치된 피스톤 구조체(170)의 병진 운동을 시행한다. 피스톤 구조체(170)의 병진 운동시 가압된 유체는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유압 액츄에이터(160)에 유압을 전달한다.
유압 액츄에이터(160)의 고정부재(161)에 전달된 유체의 유압으로 인해서 회전부재(165)는 고정부재(161)를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실시하게 된다. 이에 따라 결과적으로 고정부재(161)와 회전부재(165)에 각각 연결된 하부 판넬(110)과 측벽 판넬(130)이 이루는 각도의 변경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컨테이너는 지게차의 포크를 이용하여 하부 판넬에 설치된 유압 액츄에이터에 가해진 유압을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측벽 판넬을 자동으로 접히게 하는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해 컨테이너 상에 별도의 추가적인 동력원의 설치를 필요로 함이 없이 쉽게 작업이 이루어지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접이식 컨테이너
110: 하부 판넬
120: 상부 판넬
130 : 측벽 판넬
140 : 측부 힌지 구조체
150 : 메인 힌지 구조체
160 : 유압 액츄에이터
161 : 고정부재
165 : 회전부재
170 : 피스톤 구조체
180 : 유압전달유로

Claims (5)

  1. 하부 판넬(110);
    상기 하부 판넬(110)의 상부에 이격 배치되는 상부 판넬(120);
    상기 하부 판넬(110)과 상기 상부 판넬(120) 사이에 접힘 가능하게 설치되는 측벽 판넬(130);
    상기 하부 판넬(110)에 배치되는 피스톤 구조체(170); 및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유압전달유로(180)를 통해 연결되는 유압 액츄에이터(160);
    를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는 작동 유체가 수용되는 실린더부(171) 및 상기 실린더부(171) 상에서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부(173)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판넬(110) 상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한쌍의 포크 가이드(111)에 배치되며,
    상기 피스톤 구조체(170)에 가해진 외력은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를 통해 상기 측벽 판넬(130)의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상기 하부 판넬(110)에 고정배치되는 고정부재(161) 및 상기 고정부재(161)에 피봇운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회전부재(1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액츄에이터(160)는 상기 하부 판넬(110)의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 컨테이너는, 상기 측벽 판넬(130)의 접힘을 가능하게 하는 절첩 구조체(140,1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절첩 구조체(140,150)는,
    상기 측벽 판넬(130)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절첩 구조체(140); 및
    상기 측벽 판넬(130)과 상하부 판넬(110,120)을 연결하는 측부 절첩 구조체(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테이너.
KR20130154456A 2013-12-12 2013-12-12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KR10149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56A KR101497842B1 (ko) 2013-12-12 2013-12-12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4456A KR101497842B1 (ko) 2013-12-12 2013-12-12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842B1 true KR101497842B1 (ko) 2015-03-04

Family

ID=53025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4456A KR101497842B1 (ko) 2013-12-12 2013-12-12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8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08A (ko) 2021-11-19 2021-12-07 이봉주 접이식 슬라이딩 컨테이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449A (ja) * 2006-09-21 2008-04-03 Honda Kinzoku Kogyo Kk 輸送用コンテナ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KR20100007413U (ko) * 2009-01-13 2010-07-22 박여웅 자동 압축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74449A (ja) * 2006-09-21 2008-04-03 Honda Kinzoku Kogyo Kk 輸送用コンテナ及びその折り畳み方法
KR20100007413U (ko) * 2009-01-13 2010-07-22 박여웅 자동 압축식 컨테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8008A (ko) 2021-11-19 2021-12-07 이봉주 접이식 슬라이딩 컨테이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2900B2 (ja) 折畳み式コンテナ
FI123448B (fi) Häkki tavaroiden käsittelyä tai säilyttämistä varten
CN101304930B (zh) 自升/降运输容器
KR100744815B1 (ko)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JP2016507431A (ja) 折り畳み式コンテナ
CA2671791A1 (en)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US9004832B1 (en) Intermodal container
US20120061390A1 (en) Collapsible freight container
US11370606B2 (en) Hopper-in-frame for transporting proppant material
CN106794847A (zh) 用于货运车厢的车厢附属装置以及带有这种车厢附属装置的货运车厢、带有这种货运车厢的货物转运设备和货物转运方法
EP3260403B1 (en) Cargo handling method
CN1868831B (zh) 超长折叠箱
KR101497842B1 (ko) 액츄에이터를 포함한 접이식 컨테이너
CA3100293C (en) Cargo container
US11891240B2 (en) Main body of carrying box
CN107472721B (zh) 折叠集装箱
CN107351752A (zh) 一种多用途工地车
EP1500610A2 (en) Modified shipping container
JP3129686U (ja) リターナブルコンテナ
EP3260404B1 (en) Cargo handling device
CN204474259U (zh) 一种叉车属具及包含该叉车属具的叉车
KR101375805B1 (ko) 접이식 컨테이너
US11167916B2 (en) Modular container system
KR100919646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결합장치
CA2717418A1 (en) Collapsible intermodal flatbed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