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445B1 -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445B1
KR101497445B1 KR20130119084A KR20130119084A KR101497445B1 KR 101497445 B1 KR101497445 B1 KR 101497445B1 KR 20130119084 A KR20130119084 A KR 20130119084A KR 20130119084 A KR20130119084 A KR 20130119084A KR 101497445 B1 KR101497445 B1 KR 101497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ce
user
experience
information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9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택연
오수미
Original Assignee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홍익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9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4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터의 장점을 살리는 정보 공유 방법을 위해 제한 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장소의 영상 및 상기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상기 장소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제공한다.
또한,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WEARABLE COMPUTER FOR SHARING VISITING EXPERIENCE, EXPERIENCE SHARING SYSTEM BY USING THE WEARABLE COMPUTER AND METHOD THEREOF}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웨어러블 컴퓨터(wearable computer)를 착용한 사용자가 어떤 장소를 방문하였을 때 그 장소에 대한 방문 경험을 기록하고, 기록된 방문 경험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시스템 및 공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웨어러블 컴퓨터는 사용자가 움직이면서도 컴퓨팅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이 의복 형태의 착용형 컴퓨터이다. 착용 가능한 웨어러블 컴퓨터는 기존의 노트북 컴퓨터나 PDA의 형태에서 진화하여 경량화, 소형화된 모듈들이 옷 속에 내장되며, 이때 각 모듈들의 무게 분산 정도와 인체공학적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착용감과 활동성을 최대화 한 형태의 차세대 컴퓨터이다. 웨어러블 컴퓨터에 대해서는 착용의 편의성 및 사용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사용자가 특별한 학습 기간을 갖지 않고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시간과 장소에 구에 받지 않고 정보를 취득하고 생성할 수 있으나, 웨어러블 컴퓨터의 장점을 살릴 수 있는 정보 공유 방법은 아직 그 개발이 미진한 상태이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컴퓨터의 장점을 살리는 정보 공유 방법을 위해 제한 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가 어떤 장소를 방문하였을 때 그 장소에 대한 방문 경험을 기록하고, 기록된 방문 경험을 다른 사용자와 공유하는 시스템 및 공유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단,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1 특징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장소의 영상 및 상기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장소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를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2 특징은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개시된 기술의 제3 특징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소 인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경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은 다음의 장점을 포함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개시된 기술의 실시예들이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컴퓨터,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 및 장소 방문 경험 공유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장소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문한 장소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한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지리기반 공간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표시 받고,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대한 경험을 작성하여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에 전송하여 장소에 대한 경험을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블록도이다. 도 1에 의하면 웨어러블 컴퓨터(100)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 통신부(120) 및 표시부(130)를 포함한다.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사용자가 현재 있는 장소의 위치를 확인한다.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GPS 수신기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 위치 확인부(110)는 GPS 위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실내에 있거나, 위성으로부터의 신호 수신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통신부(120)와 기지국과의 위치 관계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통신부(12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영상 및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한다.
통신부(120)는 실시예에 따라 3G 통신 방식의 3세대 이동 통신망 또는 LTE, LTE-A 통신 방식의 4세대 이동통신 망을 이용하여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으나, 통신 방식은 상기 방식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상용화 된 데이터 통신 방식은 모두 이용 가능하다.
표시부(130)는 적어도 장소의 정보 또는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부(130)는 착용 가능한 안경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표시부(130)는 반투명한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의 정보를 표시한다. 장소의 정보는 장소의 지명, 주소, 장소에 위치한 건물명, 건물에 입주한 공공기관, 쇼핑몰, 레스토랑 및 은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장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장소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한편, 표시부(130)는 사용자가 웨어러블 컴퓨터(100)에 어떠한 정보를 입력하고자 할 때 입력 수단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30)는 반투명한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가상 키보드를 나타낼 수 있고 사용자는 가상 키보드를 손으로 가리키어 입력하려는 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웨어러블 컴퓨터(100)는 사용자의 글자를 입력하려는 손 움직임을 인식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입력 방법은 기재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종래의 키보드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음성 인식을 통한 입력등 다양하게 실시 가능하다.
사용자가 생성하는 장소의 경험 기록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장소의 경험 기록은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 갔을 때 사용자가 그 장소에 대해서 느낀 소감, 그 장소를 찍은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30)에 대한 설명에서 밝힌 바와 같이 사용자는 표시부(130)에 표시된 가상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웨어러블 컴퓨터(100)에 구비된 카메라(미도시)로부터 손동작을 인식하여, 사용자가 장소에 대해서 느낀 소감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사진 및 영상을 더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의 경험 기록은 통신부(120)를 통하여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저장된다. 통신부(120)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타 사용자가 작성한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 "사용자"는 "사용자 1", "타 사용자"는 "사용자 2"로,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의 경험 기록"은 사"용자 1의 기록"으로, "타 사용자가 생성한 장소의 경험 기록은" "사용자 2의 기록"으로 기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부(120)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 2의 기록을 수신하고, 표시부(130)는 사용자 2의 기록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2의 기록은 사용자 1이 사용자 2가 사용자 2의 기록을 생성한 장소에 위치했을 때 표시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사용자 2가 어떤 장소(예를 들어 명동성당 앞)에서 사용자 2의 기록(예를 들어 "홍길동 명동성당에 왔다감")을 생성하여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에 송신하였다면, 사용자 1이 명동성당 앞에 왔을 때 사용자 1의 표시부(130)는 "홍길동 명동 성당에 왔다감"을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 1은 사용자 2의 장소 방문 경험을 사용자 2와 공유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2는 사용자 2의 기록을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에 송신할 때 사용자 2의 기록을 공유할 수 있는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모든 사람에게 사용자 2의 기록이 공유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 2가 선택한 사용자에게만 공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웨어러블 컴퓨터(100)는 사용자들에게 장소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사용자는 웨어러블 컴퓨터(100)에 의해 장소에 대한 경험 기록을 공유하여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200)은 영상 제공부(210), 장소 정보 제공부(220) 및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를 포함한다.
영상 제공부(21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영상은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에서 미리 촬영된 360ㅀ영상을 의미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제공부(210)는 구글의 스트리트뷰 또는 다음의 로드뷰에서 제공하는 영상과 같은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제공된 영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웨어러블 컴퓨터(100)의 표시 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장소 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장소의 정보는 장소의 지명, 주소, 장소에 위치한 건물명, 건물에 입주한 공공기관, 쇼핑몰, 레스토랑 및 은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장소 정보 제공부(220)로부터 제공된 장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장소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제공된 장소 정보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웨어러블 컴퓨터(100)의 표시 장치에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영상과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는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한다. 장소의 경험 기록은 사용자가 어떤 장소에 갔을 때 사용자가 그 장소에 대해서 느낀 소감, 그 장소를 찍은 사진 및 영상을 포함하며, 사용자에 의한 경험 기록 생성 과정은 도 1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라, 장소 정보 제공부(220)는 사용자에게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에 저장된 경험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경험 기록 제공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에 어떤 장소에 관한(예를 들어 명동 성당 앞) 사용자 1의 기록(예를 들어 "Tom visited here with Jerry")과, 사용자 2의 기록(예를 들어 "홍길동 명동성당에 왔다감")이 저장되어 있다면, 장소 정보 제공부(220)는 명동 성당 앞에 위치한 사용자에게 "Tom visited here with Jerry" 또는 "홍길동 명동성당에 왔다감"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1 및 사용자 2는 각자 작성한 장소 경험 기록을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에 전송할 때 기록을 공유할 수 있는 대상을 설정할 수 있다. 즉, 모든 사용자에게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기록이 공유되도록 설정하거나, 사용자 1 및 사용자 2 각각이 선택한 사용자에게만 공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소 정보 제공부(220)는 장소 경험 기록을 공유할 때 공유 되는 시간을 더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 1이 명동 성당 앞에서 장소 경험 기록(예를 들어 "홍길동 명동성당에 왔다감")을 작성할 때 공유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유 시간을 "10년 뒤"로 설정하고 공유 대상을 사용자 2로 설정하면 사용자 2는 10년이 지나기 전에는 명동 성당 앞에 가도 사용자 1이 작성한 "홍길동 명동성당에 왔다감"을 볼 수 없다.
상술한 실시예에 의하면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200)은 사용자들에게 장소에 대한 경험을 공유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문한 장소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을 시계열적으로 구현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해당하므로, 영상 제공부(210), 장소 정보 제공부(220) 및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에 대하여 설명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적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장소 방문 경험 공유 방법은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S310), 사용자에게 장소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S320), 사용자로부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는 단계(S330) 및 장소의 경험 기록을 공유하는 단계(S340)를 포함한다.
S310 단계에서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재 있는 장소의 위치를 확인한다. 위치 확인은 사용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컴퓨터가 GPS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의 웨어러블 컴퓨터로부터 확인된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수행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가 현재 있는 장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장소의 정보는 장소의 지명, 주소, 장소에 위치한 건물명, 건물에 입주한 공공기관, 쇼핑몰, 레스토랑 및 은행과 같은 정보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제공받은 장소 정보를 참조하여 그 장소에서 보다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한다. 장소의 경험 기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340 단계에서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은 장소의 경험 기록을 사용자들이 공유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장소의 경험 기록 공유에 대한 설명은 도 2의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230)에 관한 설명에서 충분히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개시된 기술인 방법 및 장치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개시된 기술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웨어러블 컴퓨터 110: 사용자 위치 확인부
120: 통신부 130: 표시부
200: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 210: 영상 제공부
220: 장소 정보 제공부 230: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

Claims (13)

  1.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장소의 영상 및 상기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상기 장소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서 촬영한 상기 장소의 영상, 사진 및 상기 장소에 대해 기록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소의 정보는 장소의 지명 내지 주소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3. 삭제
  4.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장소의 영상 및 상기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상기 장소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반투명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반투명 디스플레이 창치는 상기 장소의 정보 및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표시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6.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사용자 위치 확인부;
    장소의 영상 및 상기 장소의 정보를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으부터 상기 사용자의 위치에 상응하는 상기 장소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스템으로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송신하는 통신부; 및
    적어도 상기 장소의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중 어느 하나를 상기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상기 표시부는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상기 사용자가 이외의 타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 위치치할 경우 표시하는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7.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소 정보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 경험 기록을 더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
  8. 삭제
  9.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 경험 기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서 촬영한 상기 장소의 영상, 사진 및 상기 장소에 대해 기록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
  10. 장소의 영상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영상 제공부;
    상기 장소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부; 및
    상기 장소에 위치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장소에 대해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여 저장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소 정보 제공부는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상기 사용자가 이외의 타 사용자에게도 제공하는 장소 방문 경험 공유 시스템.
  11.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하는 장소 인식 단계;
    상기 사용자가 위치한 장소의 정보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장소 정보 제공 단계;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생성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수신하는 사용자 경험 기록 수신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장소 정보 제공 단계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장소 정보 제공 단계 이전에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 또는 타 사용자가 장소 정보 제공 단계 이전에 생성한 상기 장소의 경험 기록을 상기 사용자에게 더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경험 기록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장소에서 촬영한 상기 장소의 영상, 사진 및 상기 장소에 대해 기록한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험 공유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장소 정보 제공 단계는 상기 장소의 영상을 더 제공하는 경험 공유 방법.
  13. 삭제
KR20130119084A 2013-10-07 2013-10-07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497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084A KR101497445B1 (ko) 2013-10-07 2013-10-07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9084A KR101497445B1 (ko) 2013-10-07 2013-10-07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445B1 true KR101497445B1 (ko) 2015-03-02

Family

ID=5302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9084A KR101497445B1 (ko) 2013-10-07 2013-10-07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753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위치-기반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357A (ja) * 2002-03-28 2003-10-10 Toshiba Corp 情報共有システムと情報共有方法
JP2005056313A (ja) * 2003-08-07 2005-03-03 Fuji Xerox Co Ltd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80020110A (ko) * 2006-08-30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서비스전달 및 제어 방법
KR20130005452A (ko) * 2011-07-06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8357A (ja) * 2002-03-28 2003-10-10 Toshiba Corp 情報共有システムと情報共有方法
JP2005056313A (ja) * 2003-08-07 2005-03-03 Fuji Xerox Co Ltd 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80020110A (ko) * 2006-08-30 2008-03-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착용형 컴퓨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정보/서비스전달 및 제어 방법
KR20130005452A (ko) * 2011-07-06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정보 획득 방법 및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7753A (ko) * 2017-01-25 2018-08-02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위치-기반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41587B1 (ko) * 2017-01-25 2021-04-19 주식회사 하우스오브리벨스 위치-기반 영상공유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19807B2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ing object, and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he object
CN104838642B (zh) 用创建者身份或场景标记媒体的方法和设备
US20140152869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Social Overlay Visualization
WO2017201568A1 (en) Media tags location-anchored digital media for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CN106412222A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4423582A (zh) 移动终端
KR20210036212A (ko) 증강 현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사용자 단말 및 방법
KR20160090198A (ko) 전시 안내 장치, 전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단말 장치와 전시 안내 방법
JP7420126B2 (ja) システム、管理システム、画像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0424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of digital signage content on a mobile terminal using a server
CN106687944A (zh) 使用语言生成进行的基于活动的文本重写
JP2011060254A (ja) 拡張現実システム、拡張現実装置および仮想オブジェクト表示方法
ES2736408T3 (es)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visualizar un objeto relacionado con contenido reproducido por un segundo dispositivo
KR101497445B1 (ko)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웨어러블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장소 방문 경험을 공유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72390B1 (ko) 약도 작성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약도 작성 방법
KR20190047922A (ko) 혼합현실을 이용한 정보 공유 시스템
CN112307363A (zh) 虚实融合展示方法及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120011371A (ko) 프라이빗 태그를 제공하는 증강 현실 장치 및 방법
CN111695629A (zh) 用户特征获取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han The rise of augmented reality browsers: Trends,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N105190575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1165683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patial conversion and synchronization between geolocal augmented reality and virtual reality modalities associated with real-world physical locations
JP6872193B2 (ja) サーバ装置、電子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190053489A (ko) 가상현실에 기반한 그림지도를 이용하여 가상 답사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CN108595463A (zh) 一种虚拟三维沉浸式显示系统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