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325B1 -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325B1
KR101497325B1 KR20130123382A KR20130123382A KR101497325B1 KR 101497325 B1 KR101497325 B1 KR 101497325B1 KR 20130123382 A KR20130123382 A KR 20130123382A KR 20130123382 A KR20130123382 A KR 20130123382A KR 101497325 B1 KR101497325 B1 KR 10149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divided
content
cache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돈원
Original Assignee
(주)컴버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컴버스테크 filed Critical (주)컴버스테크
Priority to KR20130123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325B1/ko
Priority to JP2013229755A priority patent/JP2015080185A/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4Querying
    • G06F16/245Query processing
    • G06F16/2455Query execution
    • G06F16/24552Database cach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4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multimedia data, e.g. slideshows comprising image and additional audio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5Human resources
    • G06Q10/1053Employment or hi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ultimedia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가상 면접을 위해 최소 단위로 분할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생성하고,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에 대응하여 분할 콘텐츠를 추출하고, 추출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한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면접 정보가 실시간 조합되므로 망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조절된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용량을 고려하여 분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함으로써 다양한 질문 유형의 조합이 균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Description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VIRTUAL INTERVIEW BY DIVISION CONTENTS}
본 발명은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상 면접을 위해 분할 콘텐츠를 실시간 조합하여 제공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취업이나 입시 등과 관련한 면접은 해당 시험만큼 중요한 과정 중의 하나이다. 이는 면접을 통해 면접자와 피면접자(이하, "지원자"라 함)가 인성 및 사고 등을 파악하거나 피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지원자들은 다양한 형태로 면접을 준비하게 된다.
이러한 면접의 중요성으로 인해, 지원자들은 학원 등에서 면접에 대한 강의를 듣거나 가상으로 면접을 연습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지는 가상 면접은, 지원자들에게 다양한 방식 및 많은 시간과 연습을 할애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결국, 선배들로부터 혹은 면접에 관련된 서적 등을 통하여 막연하게 면접을 준비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온라인 상으로 가상 면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다.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가상 면접 서비스는 다양한 방식으로 많은 시간을 할애하면서 면접을 가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면접을 준비하는 지원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런데, 온라인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에서 가상 면접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지원분야 및 면접방향 등을 포함한 면접환경을 설정하게 되는데, 통상 설정된 면접환경에 대응하여 서버에서는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데이터를 일괄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 전송되는 데이터에 가상 면접을 위해 미리 제작된 영상데이터가 포함될 경우에는 용량이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스템 자원(예컨대, 대규모 서버 시스템)과 광대역 통신망이 필요하지만, 사용자 단말기의 데이터 요청이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할 때, 최대 트래픽을 기준으로 시스템 자원을 확보해 두는 것은 시스템 자원의 손실로 이어진다. 또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 모든 사용자 단말기가 서버에 연결되어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서는 서버에 연결된 노드만큼의 대역폭이 필요하며, 전송 지연의 문제나 품질(QoS) 저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다운로드의 품질을 높이기 위해서 다량의 전용 서버를 설치하거나 회선을 증설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전송 지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싱(caching)이나 부하 조정(load balancing) 그리고 트래픽 관리(traffic management) 등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거나 서버를 분산하는 IDC(Internet Data Center) 방식을 통해 서버의 부담을 최소화하거나, 서버에 집중되는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분산하고 서버에서만 이루어지던 자료와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사용자 단말기의 상호 협력과 자원의 공유를 통해 처리하는 분산형 네트워크(예컨대, P2P)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들은 온라인 상에서의 가상 면접 시스템에는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21589호(공개일 2010.11.1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1035호(공개일 2012.08.17.)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상 면접을 위한 콘텐츠를 분할하고, 요청된 가상 면접 환경(캐시 정보)에 대응하여 분할 콘텐츠를 실시간 조합하여 하나의 가상 면접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가상 면접을 위한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로부터 가상 면접을 구성하는 분할 콘텐츠를 선택 및 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버는, 상기 분할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갖는 분할 콘텐츠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콘텐츠 검색부; 추출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하여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조합부; 및 상기 조합 콘텐츠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 또한, 여기에 상기 서버는,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를 검색하는 캐시검색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캐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캐시검색 관리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방법은, (a) 가상 면접을 위해 최소 단위로 분할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b)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분할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c) 추출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한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d)는, 최초 동일한 선택 가능 확률을 갖는 상기 분할 콘텐츠에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가상 면접시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설정값으로 낮춘다.
또한, 상기 단계 (d)는, 최초 동일한 선택 가능 확률을 갖는 상기 분할 콘텐츠에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가상 면접시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0"으로 설정하고,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분할 콘텐츠로부터 추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 (b)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검색 관리부가 추출된 분할 콘텐츠 공유에 대한 카운트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캐시검색 관리부의 분할 콘텐츠를 요청에 따라 전송된 상기 분할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저장 관리부에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캐시검색 관리부가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캐시저장 관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저장 관리부에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는, 상기 분할 콘텐츠를 읽은 횟수, 상기 분할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읽은 날짜, 및 상기 분할 콘텐츠의 공유횟수의 표준화를 통해, 수치상 가장 낮은 값이 지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를 고려하여 가상 면접 정보가 실시간 조합되므로 망운용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조절된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하고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용량을 고려하여 분할 콘텐츠를 추가 또는 삭제함으로써 다양한 질문 유형의 조합이 균일하게 조절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합 콘텐츠 생성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을 조절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이 조절되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이 조절되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의 제거 흐름도이다.
먼저, 도면의 도시에 있어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동일하게 반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구비" 또는 "구성"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기억장치를 구비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상 면접을 위해 비디오 클립을 분할하고, 이후, 요청된 가상 면접 환경에 대응하여 비디오 클립을 조합하여 하나의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가상 면접을 수행한다.
또한, 가상 면접시 특정 질문이 계속 이용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특정 질문이 너무 많이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비디오 클립의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면접 유형의 조합이 균일하게 제어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랜덤하게 비디오 클립을 사용하지만, 모든 비디오 클립을 균등하게 사용하게 할 수 있도록 모든 비디오 클립을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분포도를 생성한다. 이에, 가상 면접 질문들을 랜덤하게 계속 추출할 경우, 확률적으로 모든 문제들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비디오 클립이 설정 크기 이상일 경우, 캐시 용량을 고려하여 비디오 클립을 추가 또는 삭제하여 전송 용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캐시 관리는, 접근한 횟수가 가장 적거나, 마지막으로 접근한 날짜별로 해당 비디오 클립을 삭제하는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삭제 대상의 비디오 클립이 다수개이고, 접근 횟수 정보와 접근 날짜 정보가 유사할 경우에는, 하나의 콘텐츠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작은 비디오 클립부터 우선 삭제한다.
이에, 본 발명은 제공된 공동의 자원들을 조합하여 가상 면접 서비스를 수행함으로써 시스템에서 캐시(Cache)를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은, 가상 면접을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기(10)와, 가상 면접 요청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 정보로부터 가상 면접을 구성하는 분할 콘텐츠를 선택 및 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서버(20)와,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20)간 송수신 데이터를 전송하는 네트워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가상 면접 요청이 있을 경우, 서버(20)는 해당 가상 면접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분할 콘텐츠 중에서 실시간으로 선택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하여 가상 면접 정보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서버(20)는 분할 콘텐츠를 선택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 정보를 통해 분할 콘텐츠를 선택하게 된다. 즉,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 정보로부터 분할 콘텐츠의 중복을 피하도록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을 조절함으로써 분할 콘텐츠의 균등한 이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 정보로부터 분할 콘텐츠의 용량에 따른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한 후, 선택된 분할 콘텐츠를 네트워크(3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는 가상 면접 정보의 용량을 최소화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서버(20)는, 분할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저장부(201)와,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 정보를 검색하는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콘텐츠 저장부(201)로부터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갖는 분할 콘텐츠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콘텐츠 검색부(203)와, 콘텐츠 검색부(203)에서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204)와, 캐시저장 관리부(204)로부터 전달된 관리정보와 콘텐츠 검색부(203)로부터 출력되는 분할 콘텐츠를 조합하는 콘텐츠 조합부(205)와, 조합된 분할 콘텐츠를 전송하는 통신부(206)를 포함한다.
여기서,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캐시저장 관리부(204)를 포함하는 캐시 매니저는,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콘텐츠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콘텐츠를 찾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캐시의 용량은 한계가 있고 네트워크(30)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캐시 매니저는,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로부터 랜덤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서버(20)의 구성으로서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캐시저장 관리부(20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캐시저장 관리부(204)는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고, 이 경우 콘텐츠 검색부(203)에서 검색된 분할 콘텐츠는 콘텐츠 조합부(205)로 전달되어 조합이 이루어진 후, 통신부(206)를 통해 조합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며, 이후 사용자 단말기(10)에 구성된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캐시저장 관리부(204)에서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합 콘텐츠 생성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콘텐츠 저장부(201)에는 최소 단위로 분할된 분할 콘텐츠가 저장되어 있으며, 분할 콘텐츠는 캐시 정보에 근거하여 랜덤한 선택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 선택된 분할 콘텐츠는 콘텐츠 조합부(205)에 의해 조합이 이루어지게 되며, 조합된 분할 콘텐츠는 통신부(206)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텐츠 저장부(201)에 저장된 분할 콘텐츠의 조합에 의해 가상 면접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여기서, 콘텐츠 조합시, 분할 콘텐츠 각각이 사용되는 횟수가 확률적으로 비슷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충전 횟수가 제한된 10개의 건전지를 4개씩 이용한다고 가정하면, 4개 건전지의 선택은 랜덤하게 이루어지지만, 분포도에 따라 10개 건전지의 사용 횟수가 비슷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분포도에 더욱 빠른 시간에 접근할 수 있도록, 특정 건전지가 사용되었다면 다음에 선택될 확률을 줄임으로써 다른 건전지가 선택될 수 있는 확률을 높이는 기법을 이용한다. 즉,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분포도를 생성함으로써, 분포도에 이르는 시간을 더욱 빠르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은 10가지 운동 중 랜덤하게 3개씩 매일 선택하여 운동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법은, 여러 가지 것들을 동시에 할 수는 없고 몇 개씩 나뉘어서 실행하지만 랜덤요소를 추가하여 반복적인 일을 꾸준히 하려고 할때 적합하다할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분할 콘텐츠가 선택된 횟수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단순히 횟수에 의해서만 이러한 기법을 적용할 경우에는 집중적으로 사용된 분할 콘텐츠는 계속 사용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다른 변수를 조합하여 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면,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을 이용한 본 발명의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을 조절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캐시 매니저의 캐시저장 관리부(204)에서는 각 분할 콘텐츠의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생성한다. 여기서, 각 콘텐츠는 특정범위를 할당받으며, 최초 모두 동일한 범위를 갖는다(S1).
N개의 분할 콘텐츠를 추출했는가 판단하여(S2), N개의 분할 콘텐츠가 추출되지 않았을 경우, 분포도의 특정범위 내에서 랜덤값을 생성한다(S3).
이어서, 랜덤값에 포함하고 있는 콘텐츠를 삭제하고, 분포도에서도 삭제한다(S4).
사용된 콘텐츠는 사용 횟수를 증가시키고(S5), N개의 분할 콘텐츠를 추출할 때까지 반복한다.
여기서, 분할 콘텐츠 관리 과정에 대해 개념적으로 설명한다.
여러개의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할 때, 단순한 랜덤방식으로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가장 큰 단점은 특정 콘텐츠를 너무 많이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며, 또한 하나의 분할 콘텐츠가 계속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몇 개의 분할 콘텐츠의 사용이 지나치게 많이 이용된다고 하더라도 해당 분할 콘텐츠들을 무조건 배제할 것이 아니라, 이를 적절하게 사용하면서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구현하는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1. 1차원 배열에 각 분할 콘텐츠가 조합 콘텐츠에 사용된 횟수를 기록한다.
2. 분할 콘텐츠 사용 횟수를 모두 더하고, 각 분할 콘텐츠 사용 횟수로 나눈다.
3. 2번의 결과를 모두 합하면 1이 되므로, 2번의 값을 아래에서부터 위로 더하면서 합을 한다(맨 마지막 요소의 값은 1이 됨).
예) [0.1, 0.05, 0.03, 0.1, ..., 0.05] -> [0.1, 0.15, 0.18, 0.28, ..., 1]
4. 0 ~ 1 사이에 랜덤값을 생성하고, 그 값이 포함된 위치에서 분할 콘텐츠를 사용한다.
예) 0.17이 나올 경우 3번째 값인 0.18보다 작기 때문에 3번째 분할 콘텐츠를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분할 콘텐츠가 많이 사용될수록 2번에 결과 값이 점점 커지기 때문에, 이를 회피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 방안은 도 5를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이 조절되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1차 가상 면접시, 특정 사용자에 대하여 붉은색 부분의 분할 콘텐츠가 사용되었다면, 2차 가상 면접이 이루어질 경우에 붉은색 부분의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다른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보다 낮게 설정한다. 이에, 다른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후, 3차 가상 면접시 붉은색 부분의 분할 콘텐츠는 2차 가상 면접에 대비하여 높아진 선택 가능 확률을 갖도록 단계적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과정을 반복함에 따라 n차 가상 면접시에는 모든 분할 콘텐츠가 거의 유사한 확률을 갖게 된다.
이와 같이, 2번에서 분할 콘텐츠의 선택이 많아질수록 해당값의 선택폭이 역으로 작아지고, 선택된 횟수가 적을수록 해당값의 선택폭이 커지게 조절함으로써 모든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유사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여러개의 콘텐츠를 조합하여 하나의 패키징 데이터를 생성할 때, 단순한 랜덤방식으로 콘텐츠를 선택할 경우, 동일한 분할 콘텐츠가 계속 사용될 수 있는 문제점은 도 6을 통해 해결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선택 확률이 조절되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분할 콘텐츠가 적어도 하나 이상 사용될 수 있으므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조합 콘텐츠를 구성하면, 다음 가상 면접시 임시적으로 상기한 2번의 결과값에서 해당 분할 콘텐츠 값을 0으로 치환한 후, 분할 콘텐츠 선택 과정을 진행한다. 도 6에서와 같이, 최초 가상 면접시 4번째 분할 콘텐츠가 선택되었다면, 다음 가상 면접시 4번째 분할 콘텐츠를 임시적으로 삭제한 9개의 분할 콘텐츠 중에서 특정 분할 콘텐츠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연속적으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이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상 면접시 직전에 사용된 분할 콘텐츠는 임시적으로 삭제하여 선택 가능 확률을 0으로 조절한다.
이러한 기법은 램덤요소를 적용하면서도 적절하게 반복을 회피하여 분할 콘텐츠를 균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분할 콘텐츠의 전송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캐시검색 관리부(202)와 캐시저장 관리부(204)가 사용자 단말기(10)의 구성으로 포함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분할 콘텐츠가 사용자 단말기(10)에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서버(20)로부터 분할 콘텐츠를 전송받아야 하며, 캐시 용량이 부족할 경우에 관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는 가상 면접과 관련된 초기 세팅값을 서버(20)로 전송한다(S11).
이에 사용자 단말기(10)의 캐시검색 관리부(202)는 세팅값을 확인하고, 세팅값에 대응하는 분할 콘텐츠를 검색하며, 이때 요구된 분할 콘텐츠 공유에 대한 카운트 관리를 수행한다(S12).
이어서, 캐시검색 관리부(202)는 서버(20)로 분할 콘텐츠를 요청하고(S13), 이에 서버(20)에서는 콘텐츠 저장부(201)로부터 해당 분할 콘텐츠를 독출하여 캐시저장 관리부(204)로 전달한다(S14 ~ S15).
캐시저장 관리부(204)는 캐시용량 확보를 위해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의 검색을 요청한다(S16).
이에 캐시검색 관리부(202)는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검색하고(S17), 검색결과를 캐시저장 관리부(204)로 전달한다(S18).
캐시저장 관리부(204)는 분할 콘텐츠에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삭제한 후(S19), 나머지 콘텐츠를 사용자 단말기(10)로 전송한다(S20).
여기서, 조합형 콘텐츠를 관리할 때 분할 콘텐츠들은 사용자 단말기(10)에 캐시공간에서 임시적으로 저장되어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분할 콘텐츠를 삭제할 경우 삭제 대상을 찾는 것은 조합형일 경우 단순히 접근날짜, 접근횟수로만 처리하는 것보다 콘텐츠 공유횟수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캐시 관리 과정에 대해 설명하다.
본 발명에서는 분할 콘텐츠를 조합하여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므로, 분할 콘텐츠는 서버(20)로부터 다운로드되며, 조합 콘텐츠를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10)는 저장용량의 제한으로 인해 자신의 저장공간에 모든 분할 콘텐츠를 저장하기 보다는 캐시를 이용하여 제한된 저장용량만큼 저장하고, 저장용량이 부족할 경우에는 정보대로 가장 사용될 확률이 낮은 분할 콘텐츠부터 삭제하여 필요한 저장용량을 확보한다.
캐시에서 삭제 우선 대상을 선택하는 것은 서버(20)와 사용자 단말기(10)간의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 캐시에 저장된 분할 콘텐츠들 중에 사용될 확률이 가장 낮은 분할 콘텐츠를 선택하는 기준으로서, 분할 콘텐츠를 읽은 횟수, 분할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읽은 날짜를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분할 콘텐츠는 공유되는 콘텐츠들이므로, 분할 콘텐츠의 공유횟수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0개의 조합 콘텐츠에서 공유하는 분할 콘텐츠와 2개의 조합 콘텐츠에서 공유하는 분할 콘텐츠 중에서 후자가 사용될 확률이 낮기 때문에 삭제 우선 대상이 된다.
이러한 3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삭제 우선 순위를 결정하기 위해서 스코어(score)값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3가지 요소의 유닛(unit)이 각각 다르기 때문에 표준화(normalization) 과정을 거쳐야 한다.
Figure 112013093441818-pat00001

각 N(X)값에 가중치(w)를 부여하여 score값을 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13093441818-pat00002

이러한 방식으로 score가 낮은 것부터 삭제 우선 대상으로 지정하면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의 제거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조합 콘텐츠를 선택하고, 해당 분할 콘텐츠를 캐시 매니저에게 요청한다.
캐시 매니저는 해당 분할 콘텐츠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해당 분할 콘텐츠의 공유정보와 횟수를 기록하고 서버(20)에 해당 분할 콘텐츠를 요청을 한다.
사용자 단말기(10)는 서버(20)부터 전송받은 분할 콘텐츠를 공유횟수, 사용 횟수, 최근접근날짜에 따라 정렬한다(S31). 가장 작은 용량의 콘텐츠를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 리스트에 추가한다(S32).
이어서, 캐시 용량이 충분한가 판단하여(S33), 캐시용량이 충분하지 않다고 판단할 경우에는 score를 계산하여 삭제 우선 대상자들을 선택한다.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삭제한 후, 나머지 분할 콘텐츠를 캐시에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저장된 위치를 알려준다.
여기서, 공유 횟수가 많으면 사용 횟수가 당장은 적어도 삭제 요청에서 우선이 되지 않을 수 있다.
공유 횟수 값은 서버(20)에서 제공되는 고정형과,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공유 횟수값을 조정하는 유동형으로 구분된다.
이상에서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201 : 콘텐츠 저장부
202 : 캐시검색 관리부
203 : 콘텐츠 검색부
204 : 캐시저장 관리부
205 : 콘텐츠 조합부
206 : 통신부

Claims (9)

  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가상 면접을 위한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로부터 가상 면접을 구성하는 분할 콘텐츠를 선택 및 조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으로서,
    상기 서버는,
    상기 분할 콘텐츠를 저장하고 있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저장부로부터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갖는 분할 콘텐츠를 랜덤하게 추출하는 콘텐츠 검색부;
    추출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하여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는 콘텐츠 조합부;
    상기 조합 콘텐츠를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를 검색하는 캐시검색 관리부; 및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며,
    최초 동일한 선택 가능 확률을 갖는 상기 분할 콘텐츠에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가상 면접시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설정값으로 낮추고,
    상기 캐시저장 관리부는, 상기 분할 콘텐츠를 읽은 횟수, 상기 분할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읽은 날짜, 및 상기 분할 콘텐츠의 공유횟수 각각에 대한 표준화(N)를 거친 값에 가중치(w)를 부여한 아래의 식에서 score가 낮은 것부터 삭제 우선 대상으로 지정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Figure 112014099146750-pat00011
    --- [식]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캐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검색을 요청하는 캐시검색 관리부; 및
    상기 서버로부터 전송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를 포함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5. (a) 가상 면접을 위해 최소 단위로 분할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콘텐츠 검색부가 사용량에 반비례하는 분포도를 생성하는 단계;
    (b) 콘텐츠 요청정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콘텐츠 검색부가 상기 분할 콘텐츠를 추출하는 단계;
    (c) 콘텐츠 조합부가 추출된 분할 콘텐츠를 조합한 조합 콘텐츠를 생성하여 통신부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d) 캐시 매니저가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사용량에 반비례하도록 선택 가능 확률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d)에서, 최초 동일한 선택 가능 확률을 갖는 상기 분할 콘텐츠에서 특정 분할 콘텐츠가 선택되면, 다음 가상 면접시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의 선택 가능 확률을 설정값으로 낮추고,
    상기 콘텐츠 검색부에서 추출된 분할 콘텐츠에 대해, 캐시 정보의 용량 정보에 근거하여 분할 콘텐츠의 추가 또는 삭제를 수행하는 캐시저장 관리부에서, 상기 분할 콘텐츠를 읽은 횟수, 상기 분할 콘텐츠를 마지막으로 읽은 날짜, 및 상기 분할 콘텐츠의 공유횟수 각각에 대한 표준화(N)를 거친 값에 가중치(w)를 부여한 아래의 식에서 score가 낮은 것부터 삭제 우선 대상으로 지정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방법.
    Figure 112014099146750-pat00012
    --- [식]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값을 "0"으로 설정하고, 상기 특정 분할 콘텐츠를 제외한 나머지 분할 콘텐츠로부터 추출이 이루어지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검색 관리부가 추출된 분할 콘텐츠 공유에 대한 카운트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캐시검색 관리부의 분할 콘텐츠를 요청에 따라 전송된 상기 분할 콘텐츠에 대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캐시저장 관리부에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의 검색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캐시검색 관리부가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검색하고, 검색결과를 캐시저장 관리부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캐시저장 관리부에서 삭제대상 분할 콘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방법.
  9. 삭제
KR20130123382A 2013-10-16 2013-10-16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49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382A KR101497325B1 (ko) 2013-10-16 2013-10-16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229755A JP2015080185A (ja) 2013-10-16 2013-11-05 分割コンテンツを利用した仮想面接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3382A KR101497325B1 (ko) 2013-10-16 2013-10-16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325B1 true KR101497325B1 (ko) 2015-03-04

Family

ID=53011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3382A KR101497325B1 (ko) 2013-10-16 2013-10-16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5080185A (ko)
KR (1) KR1014973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045A (ko) * 2007-04-06 2008-10-09 제미니 모바일 테크놀로지스, 인크.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선택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3551A (ko) * 2007-10-01 2009-04-0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메뉴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리 기능을 가진 멀티미디어처리 장치 및 메뉴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리 방법
KR20120053049A (ko) * 2009-09-24 2012-05-24 알까뗄 루슨트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원들의 할당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07968B2 (ja) * 2003-01-07 2008-06-25 シャープ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コンテンツ受信端末及び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JP4550548B2 (ja) * 2004-10-26 2010-09-22 株式会社国際電気通信基礎技術研究所 教材提示順序制御装置及び同制御プログラム
JP2006201336A (ja) * 2005-01-19 2006-08-03 Saitama Univ 学習支援サーバ、学習支援方法ならびに学生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
JP2008165123A (ja) * 2007-01-05 2008-07-17 Recruiting Studio 株式会社 イーラ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83720B2 (ja) * 2008-05-29 2012-02-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教材提示装置、教材提示方法、教材提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5544279B2 (ja) * 2010-11-11 2014-07-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学習支援システム、学習支援システムの学習履歴集計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1045A (ko) * 2007-04-06 2008-10-09 제미니 모바일 테크놀로지스, 인크. 사용자 프로파일 데이터에 기초한 컨텐츠 선택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KR20090033551A (ko) * 2007-10-01 2009-04-06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메뉴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리 기능을 가진 멀티미디어처리 장치 및 메뉴 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정리 방법
KR20120053049A (ko) * 2009-09-24 2012-05-24 알까뗄 루슨트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원들의 할당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1402533B1 (ko) * 2009-09-24 2014-05-30 알까뗄 루슨트 네트워크 내에서의 자원들의 할당을 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080185A (ja) 2015-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66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file access performance of distributed storage system
CN106031130A (zh) 具有边缘代理的内容传送网络架构
CN110474940B (zh) 请求调度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N102067094A (zh) 高速缓存优化
US9015414B2 (en) Load balancing based upon data usage
CN105868231A (zh) 缓存数据的更新方法及装置
CN111200657A (zh) 一种管理资源状态信息的方法和资源下载系统
CN111556165A (zh) 基于云计算的信息处理方法和系统
US20210021691A1 (en) Site and page specific resource prioritization
JP2023164813A (ja) 強化されたオンラインプライバシ
US8209711B2 (en) Managing cache reader and writer threads in a proxy server
CN109873855B (zh) 一种基于区块链网络的资源获取方法和系统
US11444998B2 (en) Bit rate reduction processing method for data file, and server
CN106101183A (zh) 回源请求的中转方法和装置及回源系统
CN113177179B (zh) 数据请求连接管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6712744B2 (ja)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キャッシュ方法、キャッシュプログラム、管理装置、管理方法及び管理プログラム
CN112035402A (zh) 一种文件存储方法、装置及终端设备
US10970250B2 (en) System, data management method, and file server
CN108197323A (zh) 应用于分布式系统地图数据处理方法
CN110191362B (zh) 数据传输方法及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KR101497325B1 (ko) 분할 콘텐츠를 이용한 가상 면접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12019451A (zh) 带宽分配方法、调试网元、本地缓存服务器及计算设备
CN110971647A (zh) 一种大数据系统的节点迁移方法
EP3855707B1 (en) Systems, methods, and storage media for managing traffic on a digital content delivery network
US10798147B2 (en) Constraint based controlled seed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