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7094B1 -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7094B1
KR101497094B1 KR20130136459A KR20130136459A KR101497094B1 KR 101497094 B1 KR101497094 B1 KR 101497094B1 KR 20130136459 A KR20130136459 A KR 20130136459A KR 20130136459 A KR20130136459 A KR 20130136459A KR 101497094 B1 KR101497094 B1 KR 101497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extension pipe
spray
groove
uni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숙
이영수
Original Assignee
이희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숙 filed Critical 이희숙
Priority to KR2013013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0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압축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프레이부; 및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에 연결되며, 용기의 입구부의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기 교체부를 포함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BEAUTY TREATMENT AIR SPRAY APPARATUS}
본 발명은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입구 직경을 갖는 용기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한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용함에 있어서 미용에 사용되는 제품을 신체에 스프레이하여 처리하는 방식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예컨대, 미용용 에어스프레이는 미용에 필요한 용액을 필요한 곳에 분사시키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그러한 종래의 미용용 에어스프레이는 일반적으로 용액을 프레온개스등과 함께 용기에 밀봉되게 충진시켜 소비자들에게 공급된다.
그러나,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미용용 에어스프레이는 프레온개스 등이 용액과 함께 충진됨으로써, 화기에 의해 폭발의 위험이 있으며, 특히 용액과 함께 배출되는 프레온개스가 오존층을 파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환경의 보호차원에서 그 사용을 규제하고 있는 실정일 뿐만아니라, 용액을 완전히 사용한 후 금속으로된 용기를 재사용하지 못하고 버리게 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환경을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제20-1994-0023997호에서 미용용 에어스프레이 노즐에 관한 발명을 제시하였으나, 이는 용기를 탈착하기 어려운 구성으로, 용기 내 재료를 모두 소진 후 교체하는 경우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사이즈 또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의 입구 직경을 갖는 용기들을 스프레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교체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 내부의 재료가 잔존하지 않도록 용기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압축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프레이부; 및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에 연결되며, 용기의 입구부의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기 교체부를 포함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 교체부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하방을 따라 벤딩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연장관을 연통시키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의 입구부와 결합되는 용기 체결 유닛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체결 유닛은, 하단에 상기 용기의 입구부가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인입홈의 내측 둘레부 다수 위치에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 테두리에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 유닛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재료를 상기 연장관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인출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상기 인입홈의 내측 테두리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배치되며,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 베어링과, 상기 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홈부의 내측벽과 상기 볼 베어링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결 유닛 몸체는, 상기 인입홈이 형성되는 내측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측 체결 유닛 몸체를 구비한다.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외측 체결 유닛 몸체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단부는,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장관은, 상기 스프레이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연장관과, 상기 제 1연장관의 타단에서 하방을 따라 벤딩되는 제 2연장관을 구비한다.
상기 제 1연장관의 일단은 상기 스프레이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 스프레이 장치는 회전각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회전각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에 연결된 상기 연장관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기설정된 회전각 범위 내에서 상기 연장관의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연장관의 회전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이 연결되는 스프레이부 몸체와,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에 설치되며, 외부의 압축 공기를 상기 유로로 전달하는 압축기 연결관과,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에 전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유로의 형성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밸브는 개폐 동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양한 사이즈 또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의 입구 직경을 갖는 용기들을 스프레이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하여 교체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 내부의 재료가 잔존하지 않도록 용기의 자세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 교체가 용이한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에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유닛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각 제어부에 따르는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용기 교체가 용이한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기 교체가 용이한 에어 스프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에어 스프레이 장치는 크게 스프레이부(100)와, 용기 교체부(200)로 구성된다.
스프레이부 (100)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스프레이부(100)는 스프레이부 몸체(110)와, 압축기 연결관(120)과, 개폐 밸브(130)로 구성된다.
스프레이부 몸체(1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가 형성되며, 일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내부에는 압축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a)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110)의 단부에는 유로(a)를 따라 흐르는 압축 공기를 외부로 토출할 수 있는 토출구(111)가 형성된다.
그리고, 스프레이부 몸체(110)의 상단에는 장공(113)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 밸브(130)는 상기 장공에 위치되어 전후로 회전동작 가능하다.
한편,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110)의 하단에는 외부의 압축기(20)의 튜브와 연결되는 압축기 연결관(120)이 형성된다.
따라서, 압축기(20)로부터 발생된 압축 공기는 압축기 연결관(120)을 통해 유로(a)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 밸브(130)는 전후로 회전동작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 연결관(120)과 상기 유로(a)와 연결되는 부분을 개폐할 수 있다.
용기 교체부 (200)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에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용기 교체부(200)는 연장관(210)과, 용기 체결 유닛(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장관(210)은 스프레이부 몸체(110)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며, 하방을 따라 벤딩되어 구성된다.
상기 연장관(210)은 스프레이부 몸체(110)의 측부로부터 수평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1연장관(211)과,제 1연장관(211)의 타단에서 수직 방향 또는 하방을 따라 벤딩되는 제 2연장관(2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연장관(211)은 스프레이부 몸체(110) 내부의 유로(a)와 연통된다.
상기 연장관(210)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용기 체결 유닛(220)은 체결 유닛 몸체(221)와, 용기 고정부재(222)와, 인출관(2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 유닛 몸체(221)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체결 유닛 몸체(221)는 바람직하게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 유닛 몸체(221)의 하단에는 일정 깊이를 이루는 인입홈(221a)이 형성된다.
상기 인출관(223)은 상기 인입홈(221a)을 관통하여 하방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갖는 관으로,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재료가 흡입되어 이동되는 관이다. 또한, 상기 인출관은 연장관(223)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용기 고정부재(222)는 체결 유닛 몸체(221)의 인입홈(221a) 내측 테두리 다수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용기 고정부재(222)는 홈부(222a)와, 볼 베어링(222b)과, 탄성 스프링(222c)으로 구성된다.
상기 홈부(222a)는 체결 유닛 몸체(221)의 인입홈(221a) 내측 테두리 다수 위치에서 깊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볼 베어링(222b)은 상기 홈부(222a)에 위치되어 삽입 및 돌출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탄성 스프링(222c)은 홈부(222a)에 설치되고, 홈부(222a)의 내측면과 볼 베어링222bv을 탄성 지지하여, 볼 베어링(222b)이 홈부(222a)로 삽입되면, 압축력을 형성하여 홈부(222a)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 스프레이 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내부에 미용에 사용되는 재료가 저장된 용기(10)를 마련한다. 상기 용기(10)의 입구부는 소정의 직경을 형성한다.
상기 용기(10)의 입구부를 체결 유닛 몸체(221)의 인입홈(221a)에 밀어 위치시킨다.
여기서, 용기(10)의 입구부 테두리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부분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때, 인입홈(221a)의 내측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설치된 볼 베어링들(222b)은 인입되는 용기(10)의 입구부 테두리에 의해 눌리면서, 각 홈부(222a)의 내부에 삽입되는 상태를 이룬다.
이와 동시에, 각 볼 베어링들(222b)은 각 홈부(222a)에 삽입되는 상태를 이루고, 각 홈부(222a)에 설치된 탄성 스프링(222c)의 압축력에 의해 용기(10)의 입구부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고정력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용기(10)는 그 입구부 테두리가 다수의 볼 베어링(222b)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로, 체결 유닛 몸체(221)의 인입홈(221a)에 끼워진 상태로 결합된다.
그리고, 인출관(223)은 용기(1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재료를 흡입할 수 있도록 대기 상태를 이룬다.
이어, 압축기(20)의 구동 및 개폐 밸브(130)를 통해 압축기 연결관(120)과 유로를 연결하면, 압축 공기는 압축기 연결관(120)을 통해 공급되고, 유로(a)를 따라 토출구(111) 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압축 공기는 연장관(210) 주변에 진공을 형성시킬 수 있고, 이 진공에 의해, 용기(10) 내부의 미용 재료는 인출관(223)을 통해 흡입되어 압축 공가의 유동에 의해 토출구(11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서는 용기(10)를 체결 유닛 몸체(221)에 원터치 식으로 탈착 고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른 용기(10)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다른 용기(10)의 입구부를 체결 유닛 몸체(221)의 인입홈(221a)에 끼워 고정하고, 다수의 볼 베어링(222b)을 통해 탄성 지지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유닛 몸체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체결 유닛 몸체(221)는 인입홈(221a)이 형성되는 내측 체결 유닛 몸(221-1)체와,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221-1)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측 체결 유닛 몸체(221-2)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내측 체결 유닛 몸체(221-1)와 상기 외측 체결 유닛 몸체(221-2)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연장관(210)의 단부는,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221-1)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탈착 방식은 후크 결합 방식 또는 스크류 체결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내측 체결 유닛 몸체(221-1)를 외측 체결 유닛 몸체(221-2)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하고, 내측 체결 유닛 몸체들(221-1)을 다수로 구비하여 인입홈(221a)의 내경을 서로 다르게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입구부 직경을 갖는 용기들을 결합 및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르는 회전각 제어부에 따르는 구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에어 스프레이 장치는 회전각 제어부(30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각 제어부(300)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H)에 연결된 상기 연장관(210)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310)와, 기설정된 회전각 범위 내에서 상기 연장관(210)의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3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320)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기(320)는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연장관(210)의 회전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회전 모터(31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용기(10)를 일정 각도로 기울일 수도 있고, 연속적으로 스윙되도록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용기(10) 내부의 재료를 토출하는 경우, 용기(10)에 저장된 재료를 골고루 섞이도록 하여 토출되는 경우 굳어지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잔존하는 양이 적은 경우, 용기(10)를 기울여서 용기(10) 내부 공간 바닥 모서리로 모아 토출시 용이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개폐 밸브(130)는 개폐 동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기(32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320)는 상기 개폐 밸브(130)의 개방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회전 모터(310)를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압축 공기를 통해 재료를 토출시키는 경우에만, 용기를 회전 위치 또는 스윙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판단되어야 할 것이다.
10 : 용기 100 : 스프레이부
110 : 스프레이부 몸체 120 : 압축기 연장관
130 : 개폐 밸브 200 : 용기 교체부
210 : 연장관 220 : 용기 체결 유시
221 : 체결 유닛 몸체 222 : 용기 고정부재
223 : 인출관 300 : 회전각 제어부

Claims (10)

  1. 외부로부터 제공받은 압축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고, 단부에 토출구가 형성되는 스프레이부; 및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에 연결되며, 용기의 입구부의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용기 교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용기 교체부는, 상기 유로와 연통되도록 상기 스프레이부로부터 측방으로 돌출 연장되며 하방을 따라 벤딩되는 연장관과, 상기 연장관의 단부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과 상기 연장관을 연통시키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 테두리 다수의 위치에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용기의 입구부와 결합되는 용기 체결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연장관은, 상기 스프레이부의 측부로부터 연장되는 제 1연장관과, 상기 제 1연장관의 타단에서 하방을 따라 벤딩되는 제 2연장관을 구비하고, 상기 제 1연장관의 일단은 상기 스프레이부의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단에 힌지 연결되어 상하를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체결 유닛은,
    하단에 상기 용기의 입구부가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인입홈의 내측 둘레부 다수 위치에서 삽입 및 돌출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입구부 테두리에 탄성력을 가하는 용기 고정부재와,
    상기 체결 유닛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에 위치되어 상기 용기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재료를 상기 연장관으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인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고정부재는,
    상기 인입홈의 내측 테두리 다수 위치에 형성되는 홈부와,
    상기 홈부에 배치되며, 삽입 및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볼 베어링과,
    상기 홈부에 설치되며, 상기 홈부의 내측벽과 상기 볼 베어링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유닛 몸체는,
    상기 인입홈이 형성되는 내측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의 외주에 설치되는 외측 체결 유닛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와 상기 외측 체결 유닛 몸체는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장관의 단부는, 상기 내측 체결 유닛 몸체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스프레이 장치는 회전각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각 제어부는,
    외부로부터 제어 신호를 받아 상기 힌지단에 연결된 상기 연장관을 회전시키는 회전 모터와,
    기설정된 회전각 범위 내에서 상기 연장관의 회전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회전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가변적으로 설정되는 회전 속도로 상기 연장관의 회전각을 연속적으로 가변시키도록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레이부는,
    상기 토출구와 상기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관이 연결되는 스프레이부 몸체와,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에 설치되며, 외부의 압축 공기를 상기 유로로 전달하는 압축기 연결관과,
    상기 스프레이부 몸체에 전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유로의 형성을 개폐하는 개폐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밸브는 개폐 동작에 따른 신호를 상기 제어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개폐 밸브의 개방에 따른 신호를 전달 받으면, 상기 회전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KR20130136459A 2013-11-11 2013-11-11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KR101497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459A KR101497094B1 (ko) 2013-11-11 2013-11-11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6459A KR101497094B1 (ko) 2013-11-11 2013-11-11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094B1 true KR101497094B1 (ko) 2015-03-03

Family

ID=53025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6459A KR101497094B1 (ko) 2013-11-11 2013-11-11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709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90B1 (ko) * 2020-06-22 2020-12-31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092Y1 (ko) * 2005-05-18 2005-07-29 주식회사 태평양 다양한 크기의 내용물 접시를 수용할 수 있는 리필케이스
JP2010274019A (ja) * 2009-06-01 2010-12-09 Incubator Kk 可搬式除菌・消臭噴霧器
KR20110122497A (ko) * 2010-05-04 2011-11-10 주태숙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액체분사장치
KR101206079B1 (ko) * 2011-07-15 2012-11-28 정점숙 도장용 스프레이 캔과 스프레이 건의 체결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1092Y1 (ko) * 2005-05-18 2005-07-29 주식회사 태평양 다양한 크기의 내용물 접시를 수용할 수 있는 리필케이스
JP2010274019A (ja) * 2009-06-01 2010-12-09 Incubator Kk 可搬式除菌・消臭噴霧器
KR20110122497A (ko) * 2010-05-04 2011-11-10 주태숙 유로연결부가 구비된 액체분사장치
KR101206079B1 (ko) * 2011-07-15 2012-11-28 정점숙 도장용 스프레이 캔과 스프레이 건의 체결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390B1 (ko) * 2020-06-22 2020-12-31 주식회사 다산씨엔텍 휴대용 에어브러시용 앰플 탄성 장착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75563C (en) Fluid supply assembly
US9381535B2 (en) Portable humidifier
TWI667074B (zh) 注射器裝卸機構及具備該機構之裝置
US5971207A (en) Nozzle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powder coating material
US6237896B1 (en) Portable fan with misting nozzles
AU2003277324A1 (en) Spary gun with pressure assisted liquid supply cup comprising an inner liner
CN105188953A (zh) 用于手持式喷涂装置的涂料罐适配器
RU2009118112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ределения при помощи насоса текучих веществ, содержащихся в герметичных условиях в деформируемом мешке, помещенном в жесткий контейнер
US4540301A (en) Apparatus for applying liquid coatings
ES2673288T3 (es) Máquina mezcladora y revestimiento interior para ella
CN101977697B (zh) 用于从刚性容器中分配流体的手持式蠕动泵
KR101497094B1 (ko) 용기 교체가 용이한 미용용 에어 스프레이 장치
WO2020228639A1 (zh) 多功能清洗机
CN103702842A (zh) 清洁仪器
JP2018537656A5 (ko)
KR20090094221A (ko) 세척장치 및 세척방법
US9724738B2 (en) Vessel spray cleaning device
US4067485A (en) Paint tank unit
US11660908B2 (en) Roller-type applicator cleaning apparatus
KR20150141325A (ko) 휴대용 페인트 자동도장설비
CN209887818U (zh) 喷涂装置
KR101848596B1 (ko) 유체이송장치
KR101931702B1 (ko) 휴대용 진공압축장치
JP2013006617A (ja) 飲料充填設備とその洗浄殺菌方法
KR20160031112A (ko) 이동 가능한 도료 도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