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722B1 - 배터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배터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722B1
KR101496722B1 KR20130109745A KR20130109745A KR101496722B1 KR 101496722 B1 KR101496722 B1 KR 101496722B1 KR 20130109745 A KR20130109745 A KR 20130109745A KR 20130109745 A KR20130109745 A KR 20130109745A KR 101496722 B1 KR101496722 B1 KR 1014967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rizontal
terminal
base
wal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09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선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20130109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7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7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7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9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61Fixed connection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기전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메인보드의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보드들을 상호 접속시키는데 적합한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크기 및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소형 기기 내의 공간을 최소한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 결합된 커넥터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배터리용 커넥터 {Connector for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전기전자 단말기에 내장되는 배터리와 메인보드의 사이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보드들을 상호 접속시키는데 적합한 플러그커넥터 및 리셉터클커넥터를 포함하는 배터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의 전원은 회로기판에 실장된 전기소자나 디스플레이 등에 공급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배터리에 연결되는 플랙서블 기판과 PCB에 연결되는 플랙서블 기판끼리의 접속 및 연결이 필요하다. 기판 간의 접속 및 연결을 위해서 커넥터를 주로 사용하며, 전원 공급용 커넥터의 경우 통상 4핀 정도의 커넥터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 스마트폰과 같은 전기전자 단말기는 점점 얇아지고 소형화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기 위해서는 내부에 사용되는 커넥터의 두께도 점점 얇아져야만 한다.
또한, 제조 편의성을 위해서 조립 및 결합이 용이하여야 하고, 일단 체결된 커넥터는 외부의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아울러 수리나 교환을 위해서, 작업자의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간편한 동작을 통해 체결 상태를 분리할 수도 있어야 한다.
통상의 커넥터 어셈블리는, 플러그커넥터와 리셉터클커넥터의 접점들이 서로 결합할 때, 회로기판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서 배열되고 상호 마주보며 상하 결합됨으로써, 회로기판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같은 평면 내에 있게 되어 돌출형 커넥터에 비해 높이가 낮아지게 되는데, 이러한 커넥터의 높이를 좀 더 낮추고 얇게 형성하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 제 특개2012-049013 호 (2012년03월08일 공개)
본 발명은 결합 후의 전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원 공급 접속용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정적인 체결력을 제공하며, 쉽게 분리되지 않는 배터리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베이스 및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제2베이스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2베이스는: 중앙의 안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외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부의 연결하며 전후측 방향으로 정면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측벽부 및 상기 정면벽부에 의해 그 내측으로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안착부 내에 내입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상기 제1터미널은: 고정편부; 및 상기 고정편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가압되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제2터미널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수평연장편부들의 사이에 내입되면, 양 측방에서 상기 수평연장편부가 내측으로 가압하며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터미널은: 고정편부; 및 상기 고정편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가압되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제1터미널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수평연장편부들의 사이에 내입되면, 양 측방에서 상기 수평연장편부가 내측으로 가압하며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터미널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들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분할하는 분할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부의 사이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편부가 위치되는 지지공간 및 상기 제1터미널의 수평연장편부가 위치되는 결합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터미널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들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분할하는 분할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부의 사이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부가 위치되는 지지공간 및 상기 제1터미널의 수평연장부가 위치되는 결합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안착부 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지지공간 내에 내입되어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은: 짝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1베이스에 전후 방향 교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교차 배치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제1터미널에 대응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전후 방향 교대로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교차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어 감싸며 상기 제2커넥터의 측방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외측벽부 양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측방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 양측에 형성되는 측방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지지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측방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연장편부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연장편부 내측의 상기 수평부를 향한측 모서리는 비스듬하거나 곡면 형상으로 처리된 내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 외측의 상기 수평연장편부를 향한측 모서리는 비스듬하거나 곡면 형상으로 처리된 내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커넥터의 크기 및 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소형 기기 내의 공간을 최소한 적게 차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일단 결합된 커넥터는 외부 충격에 의해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필요시에는 조작자의 조작에 의해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러그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커넥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커넥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미널이 체결되며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수평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종래 방식의 커넥터와 본 발명 방식의 커넥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체결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측으로는 플러그커넥터(100), 하측으로는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구비되며, 이는 각각 제1커넥터, 제2커넥터로 지칭될 수 있다.
플러그커넥터(100)는 합성수지 절연재질의 제1베이스(110)가 성형되며, 전후방향으로 마주보며 4개의 제1터미널(130)이 교차로 배치된다. 리셉터클커넥터(200)는 내측에 빈 공간이 있도록 외측 사방에 테두리가 구비되는 사각 박스 형태의 제2베이스(210)에 상기 제1터미널(130)과 마주보며 대응되는 위치에 제2터미널(230)이 4개 구비된다. 양 측방으로는 측방걸림부(250)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2터미널(130, 230)의 수와 위치는 반드시 이와 같이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2는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는 리셉터클커넥터(200)의 내측에 인입되며 결합되고, 이 때 제1터미널(130)과 제2터미널(230)은 상호 접촉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리셉터클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리셉터클커넥터(200)는 전후 방향으로는 정면벽부(212)를 전후 양단에 구비하고, 좌우 양 측방향으로는 외측벽부(214)를 좌우 양단에 구비한다. 정면벽부(212) 및 외측벽부(214)에 의해 사방에는 측벽이 형성된다.
정면벽부(212)에는 각각 2개씩 제2터미널(230)이 결합되어 있는데, 제2터미널(230)의 내측 부분의 사이 공간에는 안착부(218)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218)는 제2터미널(230)들의 사이 및 제2터미널(230)과 외측벽부(214)의 사이에 일정 너비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플러그커넥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는 좌우 양 측방향으로는 외면부(116)로부터 수직되는 외측벽부(114)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와 나란하게 전후 방향으로 내측에 3개의 분할벽부(112)를 구비한다. 분할벽부(112) 사이의 전후방향으로 개방되는 부분은 측개방부(111)이며, 제1터미널(130)이 제2터미널(230)과 결합되는 위치는 결합공간(113)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는 지지공간(115)이 형성된다. 지지공간(115)측으로는 제1터미널(130)이 결합을 위해 삽입되는 부분이다. 제1터미널(130)은 마주보며 교차로 배치되므로, 결합공간(113) 및 지지공간(115)은 교대로 위치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리셉터클커넥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정면벽부(212) 들에는 한 쌍의 안착공(213)이 형성되고, 안착공(213) 내에 제2터미널(230)이 결합된다. 제2터미널(230)은 미리 형성된 안착공(213) 내로 삽입되며 결합될 수도 있고, 처음 베이스(210)의 형성시부터 함께 사출되어 형성되며 자연스럽게 안착공(213)이 내측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플러그커넥터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플러그커넥터(100)의 외면부(116)에는 결합홈(117)이 교대로 마주보며 형성되고, 결합홈(117)에는 제1터미널(130)의 고정편부(132)가 결합된다. 이러한 제1터미널(130)은 미리 형성된 결합홈(117) 내로 삽입되며 결합될 수도 있고, 처음 베이스(110)의 형성시부터 함께 사출되어 형성되며 자연스럽게 결합홈(117)이 형성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제1터미널(130)의 수평연장편부(134)는 분할벽부(112)의 사이 결합공간(113)에 배치되며, 상하 방향으로 접근하는 제2터미널(230)과 접속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터미널이 체결되며 접촉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터미널(130)과 제2터미널(230)은 상하 방향으로 접근하게 된다.
제2터미널(230)은 고정부(232)와 수평부(234)를 구비하며, 고정부(232)는 정면벽부(212)에 결합되며 외측 기판의 접점과 연결되고, 수평부(234)는 수평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제1터미널(130)은 외부 기판의 접점과 접속되며, 결합홈(117)에 결합되는 고정편부(132)를 구비하고, 고정편부(132)로부터 수평 연장되다가 한 차례 하방 절곡된 후에는, 다시 수평 방향으로 수평연장편부(134)가 길게 연장된다. 수평연장편부(134)는 전후의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 양 측방향으로 멀어지거나 근접되며 탄성 이동된다. 한 쌍으로 구성되는 수평연장편부(134)는 그 사이에 수평부(234)를 안착시키며, 돌출된 접촉돌기(136)와 함께 가압하며 접속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의 수평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도 2와 같이 결합된 상태의 수평면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것인데, 수평부(234)는 수평연장편부(134)의 사이에 끼워져 상호 접속되고 있다. 이러한 터미널간의 결합은 분할벽부(112)에 의해 상호 독립적인 공간 내에서 이뤄지고 있으며, 지지부(218)는 분할벽부(112) 사이의 지지공간(115) 내에 안착되며, 빈 공간을 채워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동시에, 분할벽부(112)를 지지할 수 있다.
도 9는 종래 방식의 커넥터와 본 발명 방식의 커넥터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는 종래 방식의 커넥터 결합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사이에 끼워지는 통상의 수평부(234)에 대하여 U 형의 접촉편이 상측으로 개방된 형태로 배치되어, 상방에서 끼워지는 형태로서, 수평부(234)를 내측으로 가압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기 위해서, H1과 같이 상당한 높이의 공간을 필요로 한다.
이에 반해 (b)와 같은 본 발명의 방식에 따르면, 수평연장편부(13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H2와 같이 그 자체 두께만큼의 공간만을 필요로 한다.
한편, 이 경우 수평연장편부(134)가 상측에서 하방으로 밀려 들어오게 되므로, 수평연장편부(134)의 내측 하단은 각지지 않고, 비스듬하거나 곡면형으로 내입된 내입부(134a)가 형성되도록 하고, 마찬가지로 수평부(234)의 상측 양 모서리도 비스듬하거나 곡면형으로 내입된 내입부(234a)가 구비되도록 하여, 원활하게 상호 밀며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커넥터에 체결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PCB(2)에 구비된 플랙서블 PCB(4)에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구비되고, 배터리(1)에 구비된 플랙서블 PCB(3)에 플러그커넥터(100)가 결합되어 체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각 커넥터는 서로 반대의 위치에 구비될 수도 있다.
플러그커넥터(100)와 리셉터클커넥터(2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으로는 ㄷ형의 체결부재(300)가 감싸며 끼워지고, 측방의 측방걸림부(250)에 걸려 견고하게 결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커넥터와 체결부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각각의 커넥터(100, 200)는 각각 플랙서블 PCB의 접점에 결합되며, 플러그커넥터(100)는 리셉터클커넥터(200) 내에 삽입되며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은 수평연장편부(134)의 수평부(134) 가압력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서, 외부의 외력에 의해 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이에 커넥터가 삽입된 상태에서,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외측에 결합되는 동시에, 플러그커넥터(100)와 플랙서블 PCB(3) 까지도 감싸는 체결부재(300)를 결합시킨다.
체결부재(300)는 수평지지부(310)와 그 양 측단의 측방지지부(320)를 구비하고, 측방지지부(320)에는 관통되는 홀 형태 또는 내입된 홈 형태의 걸림부(330)가 형성된다. 걸림부(330)에는 리셉터클커넥터(200)의 측방걸림부(250)가 내입되며 맞물려 상호 견고하게 체결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외력에 의해서 커넥터들이 분리되지 않게 되므로 안정성을 갖게 된다. 만약 작업자가 부품의 수리나 교체를 위해 이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탄성 재질의 체결부재(300)를 도구, 외력에 의해 벌림으로써 측방걸림부(250)로부터 걸림부(330)가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플러그커넥터(100)에는 제1터미널(130), 리셉터클커넥터(200)에는 제2터미널(230)이 결합되나, 이를 상호 교차로 적용하여, 플러그커넥터(100)에 제2터미널(230), 리셉터클커넥터(200)에 제1터미널(130)이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플러그커넥터 110 : 제1베이스
111 : 측개방부 112 : 분할벽부
113 : 결합공간 114 : 외측벽부
115 : 지지공간 116 : 외면부
117 : 결합홈 130 : 제1터미널
132 : 고정편부 134 : 수평연장편부
136 : 접촉돌기 200 : 리셉터클커넥터
210 : 제2베이스 212 : 정면벽부
213 : 안착공 214 : 외측벽부
216 : 안착부 218 : 지지부
230 : 제2터미널 232 : 고정부
234 : 수평부 250 : 측방걸림부
300 : 체결부재 310 : 수평지지부
320 : 측방지지부 330 : 걸림부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1베이스 및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제2베이스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2베이스는:
    중앙의 안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외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부의 연결하며 전후측 방향으로 정면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측벽부 및 상기 정면벽부에 의해 그 내측으로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안착부 내에 내입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제1터미널은:
    고정편부; 및
    상기 고정편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가압되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제2터미널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수평연장편부들의 사이에 내입되면, 양 측방에서 상기 수평연장편부가 내측으로 가압하며 접촉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터미널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들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분할하는 분할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부의 사이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편부가 위치되는 지지공간 및 상기 제1터미널의 수평연장편부가 위치되는 결합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5. 제1베이스 및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제2베이스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2베이스는:
    중앙의 안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외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부의 연결하며 전후측 방향으로 정면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측벽부 및 상기 정면벽부에 의해 그 내측으로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안착부 내에 내입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고정편부; 및
    상기 고정편부에 연결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이격되는 한 쌍의 수평연장편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가까워지도록 가압되는 탄성력을 갖고,
    상기 제1터미널은: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연결되어 수평으로 연장되는 수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평부와 상기 수평연장편부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수평부가 상기 수평연장편부들의 사이에 내입되면, 양 측방에서 상기 수평연장편부가 내측으로 가압하며 접촉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상기 제1터미널이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들의 사이에는 좌우측을 분할하는 분할벽부가 형성되고,
    상기 분할벽부의 사이 공간은 전후 방향으로 상기 제1터미널의 고정부가 위치되는 지지공간 및 상기 제1터미널의 수평연장부가 위치되는 결합공간으로 분리되며,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결합공간 내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상기 안착부 내에 돌출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지지공간 내에 내입되어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은:
    다수개 구비되되,
    상기 제1베이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2터미널은:
    상기 제1터미널에 대응되며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베이스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8. 제1베이스 및 제1터미널을 구비하는 제1커넥터; 및
    제2베이스 및 제2터미널을 구비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제2베이스는:
    중앙의 안착부를 중심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외측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벽부의 연결하며 전후측 방향으로 정면벽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측벽부 및 상기 정면벽부에 의해 그 내측으로는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커넥터의 상기 제1베이스는 상기 안착부 내에 내입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와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되며,
    상기 제1커넥터 및 상기 제2커넥터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커넥터의 상측에 위치되어 감싸며 상기 제2커넥터의 측방에 체결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상기 외측벽부 양 외측으로는 돌출되는 측방걸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수평지지부 및 상기 수평지지부 양측에 형성되는 측방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측방지지부에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걸림부와 상기 측방걸림부가 결합되며, 상기 제2커넥터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9.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편부의 마주보는 내측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접촉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10.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연장편부 내측의 상기 수평부를 향한측 모서리는 비스듬하거나 곡면 형상으로 처리된 내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평부 외측의 상기 수평연장편부를 향한측 모서리는 비스듬하거나 곡면 형상으로 처리된 내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용 커넥터.
KR20130109745A 2013-09-12 2013-09-12 배터리용 커넥터 KR1014967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45A KR101496722B1 (ko) 2013-09-12 2013-09-12 배터리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09745A KR101496722B1 (ko) 2013-09-12 2013-09-12 배터리용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722B1 true KR101496722B1 (ko) 2015-02-27

Family

ID=52594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09745A KR101496722B1 (ko) 2013-09-12 2013-09-12 배터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72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013A (ja) * 2010-08-27 2012-03-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9013A (ja) * 2010-08-27 2012-03-08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4481B1 (ko) 양방향 삽입이 가능한 이중-위치 전기 커넥터
KR102362260B1 (ko) 전기 커넥터
KR101687475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1816411B1 (ko) 기판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9548571B2 (en) Connector socket
US9954311B2 (en) Electric connector
TWI548158B (zh) 電連接器組合
JP3178072U (ja) ダブル伝送インターフェースを備えたコネクタソケット及びそのコネクタプラグ
JP3158697U (ja) 電気コネクタ
KR101328321B1 (ko) 복수개의 전송 인터페이스를 가진 전기 커넥터
TWM524574U (zh) 電連接器
JP3200315U (ja) 電気コネクタ
US9413095B2 (en) Connector
JP2015220005A (ja) 基板対基板用コネクタ
KR102345677B1 (ko) 수직 타입의 다이렉트 pcb 커넥터
US20120258633A1 (en) Connector Housing With Alignment Guidance Feature
US9312650B1 (en) Plug connector, receptacle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6782448B2 (ja) Usbコンセント
KR101562810B1 (ko) 평판 케이블 커넥터
KR101496722B1 (ko) 배터리용 커넥터
WO2015072153A1 (ja) コネクタ及びこれを備えるコネクタ装置
US933142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mating port for different transporting interfaces
US6227916B1 (en) Easily assembled electrical connector
KR101921739B1 (ko) 리셉터클 터미널
JP2015506534A (ja) 電気コネクタ、その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