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5788B1 -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5788B1
KR101495788B1 KR20140115196A KR20140115196A KR101495788B1 KR 101495788 B1 KR101495788 B1 KR 101495788B1 KR 20140115196 A KR20140115196 A KR 20140115196A KR 20140115196 A KR20140115196 A KR 20140115196A KR 101495788 B1 KR101495788 B1 KR 101495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exchanger
pipe
expansion
heat
defro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15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희
Original Assignee
윤정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정희 filed Critical 윤정희
Priority to KR20140115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57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5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5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7/00Arrangement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 F25B47/02Defrosting cy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47/00Details for preventing or removing deposits or corrosion
    • F25B2347/02Details of defrosting 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고압 열을 팽창밸브에서 팽창시키어 저온시 결빙될 때 이러한 결빙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고압(온도)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제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2개를 사용하는 컴푸레샤의 어는 것을 방지하여 제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물탱크(13)에서 입수구(11)와 출수구(12)가 연결된 판열교환기(10)를 설치하며, 상기 판열교환기(10)와 연결되는 제1관(14)이 연결되는 어쿰 열교환기(20)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와 제2관(22)으로 연결되는 보상 열교환기(21)와;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와 어쿰 열교환기(50)에 연결되는 제3관(23)과 판열교환기(30)에 연결되는 팽창관(31) 및 제4관(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열교환기(30)와 어쿰 열교환기(20)에 제5관(36)이 연결된 후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와 제6관(37)이 콤푸레샤(38)를 통하여 판열교환기(10)에 연결되는 제7관(3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쿰 열교환기(50)와 제10관(52)으로 연결되며 제9관(51)이 어쿰 열교환기(50)에 연결되는 응축, 증발기(40)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50)와 제11관(53)으로 연결하는 콤푸레샤(54)에서 제8관(55)이 판열교환기(30)와 연결되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0관(52)이 연결되는 1단 코일(41)과 제9관(51)이 연결되는 2단 코일(42)로 이루어지는 응축, 증발기(40)와;
상기 1단 코일(41)에 연결되며 팽창밸브(44)와 체크밸브(45)를 설치하며 2단 코일(42)에 연결되는 팽창관(43)과;
상기 팽창관(43)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난방용 솔레노이드밸브(47)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46)과;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와 판열교환기(30)를 연결하며 팽창밸브(32)와 체크밸브(33)를 설치하는 팽창관(31)과;
상기 팽창관(31)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난방용 솔레노이드밸브(35)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The thermal expansion pressure used to having two won the defrost function for heat pump heating unit}
본 발명은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고압 열을 팽창밸브에서 팽창시키어 저온시 결빙될 때 이러한 결빙을 해소하기 위하여 중고압(온도)을 일정한 간격으로 공급함으로써 제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2개를 사용하는 컴푸레샤의 어는 것을 방지하여 제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히트펌프는 냉매의 발열 또는 응축열을 이용하여 저온의 열원을 고온으로 전달하거나 고온의 열원을 저온으로 전달하는 냉난방 장치를 의미한다.
히트 펌프는 냉동사이클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데,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증발기에서 냉매가 비등하면서 열을 외부에서 흡수하고, 비등한 냉매가스는 압축기에서 고온고압의 가스로 압축되어 응축기로 보내어지며, 상기 응축기에서 외부로 열을 방출하여 고압의 냉매가스는 응축 액화되어 저온 고압의 액체상태로 이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축된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하여 교축(Throttling) 팽창되면서 일부 냉매 액은 증발을 하고, 이 잠열의 흡수를 통하여 냉매 액은 더욱 차가워진 저온 저압의 액상, 기상이 공존하는 이상상태가 되어 증발기를 통하여 비등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냉동사이클은 열을 흡수하는 부분과 방출하는 부분을 동시에 가지며, 열을 증발기에서 흡수하여 응축기에서 배열시키는 즉 열을 이송하는 펌프로 볼 수가 있다.
히트 펌프는 이와 같은 냉동 사이클에서 응축기 및 증발기를 기능이 전환 가능한 열교환기로 구성하여, 예컨대 난방시에 응축기 기능을 열교환기가 냉방시에는 증발기 기능을 하도록 함으로써, 냉난방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원이 인가되면 압축기 냉매가 유입되어 압축되고,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는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액상 및 기상의 2상 상태로 변하게 되고, 계속적인 열교환에 의해서 실내 열교환기 출구에서는 액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때, 실내공기는 실내팬의 회전에 의해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어 고온고압의 냉매와 열교환을 하고, 온도가 올라간 상태에서 실내로 토출되어 난방을 실시하게 된다.
상기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응축된 액 냉매는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압력과 온도가 급격히 떨어져 2상 상태의 냉매로 변해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된다.
상기 실외 열교환기로 유입된 2상 상태의 냉매는 실외공기와의 열교환을 실시하면서 기상상태의 냉매가스로 증발되고, 다시 압축기로 유입되어 사이클이 반복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의 난방운전시는 압축기로부터 나온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로 유입되지만 냉방 운전시는 4방 변에 의해 냉매의 유로가 변하여 반대로 압축기로부터 나온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로 먼저 유입된다.
이때, 상기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열교환작용은 흡입된 실외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는 것으로, 실외온도 7oC 이상, 실외온도 5℃ 이하에서 실외공기의 온도가 약 7℃라면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는 약 1 ∼ 2℃인 상태에서 사이클이 형성되고, 실외공기가 더 내려가서 4 ∼ 5℃이하가 되면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도 실외공기를 따라 내려가면서 사이클이 형성되므로 실외 열교환기의 온도는 0℃ 이하로 내려가게 된다.
이에 따라, 실외공기의 온도가 4 ∼ 5℃ 이하(이를 착상조건이라 함)가 되면 실외 열교환기의 외벽 위에는 착상이 발생하고, 이 서리층은 공기와 냉매 사이에서 열전달을 방해하는 열저항체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실외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실외공기의 유로를 가로막아 공기의 시스템 저항을 증가시키므로 실외 열교환기 내로 유입되는 풍량을 감소시켜 실외 열교환기의 공기측 열전달 계수가 감소하고, 실외 열교환기에서의 열전달량의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냉매를 난방운전시와 반대방향으로 유동하게 하는 제상운전을 실시하게 된다.
종래의 제상운전은 실외 열교환기 온도를 운전시간에 따라 감지하여 제상운전 시점을 결정하게 되는데, 난방운전 시간이 특정시간(예를 들어 40분) 경과 후 특정온도(예를 들어 -9℃) 이하이면 제상운전을 수행하고, 그 온도 이하가 아니면 계속 난방운전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히트펌프는 외기온이 낮은 경우는 증발온도가 -10℃ 이하로 내려갈 수 있기 때문에 실외 열교환기에 착상이 발생되지 않더라고 불필요한 제상운전을 수행하게 되고, 또한 난방운전중 실내를 환기시키기 위해 창문을 열어 놓으면 실내 열교환기의 응축온도가 저하되어 증발온도도 저하하게 된다. 이
때도 역시 증발온도가 특정온도보다 낮아지게 되면 필요없는 제상운전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실외 열교환기에 서리가 어느 정도 있는지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한 제상운전을 하게 되어 난방 쾌적감을 떨어뜨리고(제상운전 동안은 역사이클 운전을 하게 되어 난방이 안됨), 에너지 손실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1. 특허공개번호 제2003-0003811호(2003. 01. 14. 공개) 문헌 2.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96481호(2005. 09. 14.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0256371호(2000. 02. 22. 등록) 문헌 4. 특허등록번호 제0194105호(1999. 02. 0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증발기를 통하여 공급된 공급되는 팽창관에서 팽창이 일어나도록 하고, 팽창관을 가로지르는 제상관에 설치하는 전자변을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하여 중고압(온도)을 공급하여 어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상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2개의 콤푸레샤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원 난방을 수행하며 어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상 기능을 제공하여 콤푸레샤의 어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물탱크에서 입수구와 출수구가 연결된 판열교환기를 설치하며, 상기 판열교환기와 연결되는 제1관이 연결되는 어쿰 열교환기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와 제2관으로 연결되는 보상 열교환기와; 상기 보상 열교환기와 어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제3관과 판열교환기에 연결되는 팽창관 및 제4관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열교환기와 어쿰 열교환기에 제5관이 연결된 후 상기 어쿰 열교환기와 제6관이 콤푸레샤를 통하여 판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제7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쿰 열교환기와 제10관으로 연결되며 제9관이 어쿰 열교환기에 연결되는 응축, 증발기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와 제11관으로 연결하는 콤푸레샤에서 제8관이 판열교환기와 연결되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0관이 연결되는 1단 코일과 제9관이 연결되는 2단 코일로 이루어지는 응축, 증발기와;
상기 1단 코일에 연결되며 팽창밸브와 체크밸브를 설치하며 2단 코일에 연결되는 팽창관과;
상기 팽창관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과;
상기 보상 열교환기와 판열교환기를 연결하며 팽창밸브와 체크밸브를 설치하는 팽창관과;
상기 팽창관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증발기와 열교환기를 통하여 공급된 공급되는 팽창관에서 팽창이 일어나도록 하고, 팽창관의 온도가 낮아져 성애가 발생하게 되므로 팽창관을 가로지르는 제상관에 전자변을 설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전자변이 개방되는 경우 중고압(온도)을 공급하여 팽창관에서 어는 현상을 방지하는 제상 기능을 통해 전력 소비에 대한 부담이 없이 제상이 가능하며 냉방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2개의 콤푸레샤를 사용함에 있어서, 이원 난방 싸이클 구조를 제공하며 제상 기능을 통해 팽창관의 어는 현상을 방지하고, 콤푸레샤가 얼지 않도록 보호하여 안정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응축, 증발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회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주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회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설치상태 회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응축, 증발기에 대한 주요 부분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열교환기 주변에 대한 주요 부분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물탱크(13)와 각각 배관이 연결되는 입수구(11)와 출수구(12)를 설치하는 판 열교환기(10)에서 상기 입구수(11)와 연결되는 제1관(14)이 어쿰 열교환기(20)를 통과하며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어쿰 열교환기(20)를 통과한 제2관(22)은 보상 열교환기(21)를 통하여 제3관(23)과 제4관(24) 및 팽창관(31)이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관(31)은 체크밸브(33)를 지난 위치와 팽창밸브(32)에 이르기 이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에 연결되는 팽창관(31)은 판열교환기(30)에 연결되며, 상기 팽창관(31)에는 팽창밸브(32)와 체크밸브(33)를 설치하고, 상기 팽창밸브(32)와 보상 열교환기(21)의 사이와 판열교환기(30)와 체크밸브(33) 사이에 제상관(34)을 설치한 후 상기 제상관(34)에는 솔레노이드밸브(35)를 설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함으로써 제상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4관(24)은 판열교환기(30)에 연결되며, 판열교환기(30)에서 제5관(36)이 어쿰 열교환기(20)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와 콤푸레샤(38)는 제6관(37)으로 연결하며, 상기 콤푸레샤(38)와 출구수(12) 방향의 판열교환기(10)에는 제7관(39)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3관(23)은 액열기가 함께 설치된 어쿰 열교환기(20)에 연결되며,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에서 제10관(52)이 응축, 증발기(40)의 1단 코일(41)에 연결되고, 상기 1단 코일(41)에는 팽창관(43)이 연결된 후 2단 코일(42)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관(43)에는 팽창밸브(44)와 체크밸브(45)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관(43)을 가로질러 제상관(46)이 연결된 후 상기 제상관(46)에는 솔레노이드밸브(47)를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팽창관(43)은 체크밸브(45)를 지난 위치와 팽창밸브(44)에 이르기 이전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2단코일(42)에 연결되는 제9관(51)은 제10관(52)의 한 부분에 연결하며, 어쿰 열교환기(20)에 연결되는 제11관(53)은 콤푸레샤(54)에 연결되고, 상기 콤푸레샤(54)에는 제8관(55)이 판열교환기(30)와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난방을 이원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패널 형태나 매트 형태에 연결되어 난방수를 공급함으로써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난방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물탱크(13)를 통하여 입수구(11)로 공급되는 온수를 판열교환기(10)를 통하여 제1관(14)에서 어쿰 열교환기(20)로 공급되면 저온의 냉매를 중고압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어쿰 열교환기(2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제2관(22)을 통하여 보상 열교환기(21)에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팽창관(31)을 통하여 판열교환기(30)에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4관(24)을 통하여 보상 열교환기(21)로 다시 보내져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3관(23)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보강 열교환기(21)에서는 냉매가 온도를 보상받아 들어가며 팽창 후 냉매를 일부가 코일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80∼100℃) 고압관의 저온(10∼30℃) 썩션에 의해 겨울철에도 콤퓨레샤(38)가 얼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팽창관(31)을 통과하는 온수는 체크밸브(33)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팽창밸브(32)를 통과하면서 중고압 열이 팽창되어 공급되는 것이다.
여기서, 팽창관(31)을 통과하는 중고압 열은 팽창밸브(32)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상관(34)에 설치한 솔레노이드밸브(35)를 일정한 시간 동안 개방하게 되며, 솔레노이드밸브(35)가 개방되면 중고압 열이 팽창밸브(32) 방향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상관(34)으로 이동하여 보상 열교환기(21)로 공급되므로 팽창관(31)에서 발생하는 제상현상을 팽창으로 버려지는 열과 중고압 열을 함께 이용하여 제상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제3관(23)으로 공급되는 온수는 어쿰 열교환기(50)에서 냉매를 중고압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어쿰 열교환기(50)에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온수는 제10관(52)을 통하여 응축, 증발기(40)의 1단 코일(41)에 공급되어 증발이 1차로 이루어진 후 팽창관(43)을 통하여 2단 코일(42)로 공급되는 것이다.
상기 팽창관(43)을 통과하는 온수는 체크밸브(54)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팽창밸브(44)를 통과하면서 중고압 열이 팽창되어 응축, 증발기(40)의 2단 코일(42)에 전달되어 제9관(51)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팽창관(43)을 통과하는 중고압 열은 팽창밸브(45)를 통과하면서 서서히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고, 어느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제상관(46)에 설치한 솔레노이드밸브(47)를 일정한 시간 동안 개방하게 되며, 솔레노이드밸브(47)가 개방되면 중고압 열이 팽창밸브(44) 방향으로 공급되지 않고 제상관(46)으로 이동하여 2단 코일(42)로 공급되므로 팽창관(43)에서 발생하는 제상현상을 팽창으로 버려지는 열과 중고압 열을 함께 이용하여 제상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어쿰 열교환기(50)에 공급된 온수를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11관(53)을 통하여 콤푸레샤(54)에 공급되고, 다시 제8관(55)을 통하여 판열교환기(30)에서 재차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제5관(36)에서 어쿰 열교환기(20)로 공급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지며, 다시 제6관(37)에서 콤푸레샤(38)를 통하여 제7관(39)에서 판열교환기(10)를 통하여 출구수(12)로 출수되어 물탱크(13)에 고온의 온수를 공급하는 것이다.
즉, 종래에는 이원 난방을 수행하면서 하나의 콤푸레샤로는 난방에 필요한 고온의 온수로 제공할 수 없으므로 2대의 콤푸레샤(38, 54)를 사용하여 온수를 고온으로 제공할 수 있었으나, 온수를 소정의 온도로 열교환에 의해 공급하는 경우 제상현상이 발생하여 외부 기온이 영하 15℃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얼어버려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보상 열교환기(21)에 연결되는 팽창관(31)과, 1단 코일(41)과 2단 코일(42)을 설치하여 중고압 열을 전달함으로써 팽창관(31, 43)에서 팽창이 이루어지게 되고, 팽창한 후 버려지는 중고압 열과 공기열을 모두 이용하여 솔레노이드밸브(35, 47)를 소정의 간격으로 개방시켜 소정의 시간 동안 공급함으로써 제상을 수행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이용한 실험결과 영하 25℃ 에서도 제상을 수행하여 2대의 콤푸레샤(38, 54)의 사용에 문제가 없고 배관이 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히트펌프를 이용하여 난방을 수행하는 통상적인 보상 열교환기와 코일을 2단으로 사용하는 응축, 증발기에 연결되는 팽창관에 설치하는 제상관의 난방 솔레노이드를 일정한 간격으로 구동시켜 팽창 후 버려지는 중고압 열과, 공기열을 이용하여 공급하는 과정에서 제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30 : 판열교환기 11 : 입수구
12 : 출수구 13 : 물탱크
14 : 제1관 20, 50 : 어쿰 열교환기
21 : 보상 열교환기 22 : 제2관
23 : 제3관 24 : 제4관
31, 43 : 팽창관 32, 44 : 팽창밸브
33, 45 : 체크밸브 34, 46 : 제상관
35, 47 : 솔레노이드밸브 36 : 제5관
37 : 제6관 38, 54 : 콤푸레샤
39 : 제7관 40 : 응축, 증발기
41 : 1단 코일 42 : 2단 코일
51 : 제9관 52 : 제10관
53 : 제11관 55 : 제8관

Claims (3)

  1. 물탱크(13)에서 입수구(11)와 출수구(12)가 연결된 판열교환기(10)를 설치하며, 상기 판열교환기(10)와 연결되는 제1관(14)이 연결되는 어쿰 열교환기(20)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와 제2관(22)으로 연결되는 보상 열교환기(21)와;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와 어쿰 열교환기(50)에 연결되는 제3관(23)과 판열교환기(30)에 연결되는 팽창관(31) 및 제4관(24)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판열교환기(30)와 어쿰 열교환기(20)에 제5관(36)이 연결된 후 상기 어쿰 열교환기(20)와 제6관(37)이 콤푸레샤(38)를 통하여 판열교환기(10)에 연결되는 제7관(39)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쿰 열교환기(50)와 제10관(52)으로 연결되며 제9관(51)이 어쿰 열교환기(50)에 연결되는 응축, 증발기(40)와; 상기 어쿰 열교환기(50)와 제11관(53)으로 연결하는 콤푸레샤(54)에서 제8관(55)이 판열교환기(30)와 연결되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0관(52)이 연결되는 1단 코일(41)과 제9관(51)이 연결되는 2단 코일(42)로 이루어지는 응축, 증발기(40)와;
    상기 1단 코일(41)에 연결되며 팽창밸브(44)와 체크밸브(45)를 설치하며 2단 코일(42)에 연결되는 팽창관(43)과;
    상기 팽창관(43)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솔레노이드밸브(47)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46)과;
    상기 보상 열교환기(21)와 판열교환기(30)를 연결하며 팽창밸브(32)와 체크밸브(33)를 설치하는 팽창관(31)과;
    상기 팽창관(31)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솔레노이드밸브(35)를 설치하여 제상현상을 방지하는 제상관(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관(43)은 1단 코일(41)과 연결되며 팽창밸브(44)가 연결된 이전 위치와 체크밸브(45)의 이후 위치에 연결되는 제상관(46)에 난방용 솔레노이드밸브(47)를 설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하여 제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관(31)은 보상 열교환기(21)와 연결되며 팽창밸브(32)가 연결된 이전 위치와 체크밸브(33)의 이후 위치에 연결되는 제상관(34)에 난방용 솔레노이드밸브(35)를 설치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하여 제상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KR20140115196A 2014-09-01 2014-09-01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KR1014957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196A KR101495788B1 (ko) 2014-09-01 2014-09-01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15196A KR101495788B1 (ko) 2014-09-01 2014-09-01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5788B1 true KR101495788B1 (ko) 2015-02-25

Family

ID=52594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15196A KR101495788B1 (ko) 2014-09-01 2014-09-01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578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31B1 (ko) 2008-03-05 2009-05-14 유인석 한냉지용 중압 2원사이클 냉난방 히트펌프 시스템
JP2012107836A (ja) 2010-11-19 2012-06-07 Hitachi Appliances Inc 二元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196505B1 (ko) 2012-05-08 2012-11-01 권영철 2단 압축기를 이용한 히트펌프
JP2014031982A (ja) 2012-08-06 2014-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二元冷凍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131B1 (ko) 2008-03-05 2009-05-14 유인석 한냉지용 중압 2원사이클 냉난방 히트펌프 시스템
JP2012107836A (ja) 2010-11-19 2012-06-07 Hitachi Appliances Inc 二元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196505B1 (ko) 2012-05-08 2012-11-01 권영철 2단 압축기를 이용한 히트펌프
JP2014031982A (ja) 2012-08-06 2014-02-20 Mitsubishi Electric Corp 二元冷凍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102770A (zh) 连续制热的空调系统
CN108458511B (zh) 一种带热气融霜的直接接触冷凝制冷系统
KR101401909B1 (ko) 무착상 연속운전용 실외 열교환기가 형성된 히트펌프장치 및 제상방법
CN110925940B (zh) 一种双级压缩补气空调系统的补气控制方法
EP2257749B1 (en)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8151350B (zh) 三管制多联机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890473B1 (ko) 냉장 공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09103469A2 (en) Refrig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KR100712196B1 (ko) 히트펌프 시스템 및 실외기 제상 방법
KR20100027353A (ko) 냉장냉동장치
US10082325B2 (en) Refrigerating apparatus
KR200246301Y1 (ko) 냉온수 공급 냉동기
CN110671834A (zh) 一种热泵系统及其除霜方法
KR101495788B1 (ko)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이원 난방장치
JP4292525B2 (ja) 蒸気圧縮式冷凍サイクルの冷媒量検知方法
KR20130090133A (ko) 공기조화장치
WO2023010768A1 (zh) 一种空调系统
KR101485061B1 (ko) 중고압 열을 팽창시켜 제상 기능을 갖는 히트펌프용 냉, 난방장치
US11708981B2 (en) High-pressure re-start control algorithm for microchannel condenser with reheat coil
KR101079230B1 (ko) 이슬맺힘 방지장치가 포함된 히트펌프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N213089945U (zh) 一种空调装置
US10408513B2 (en) Oil line control system
JP3082560B2 (ja) 二元冷却装置
CN113405269A (zh) 一种制冷系统及其控制方法
KR100712192B1 (ko)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