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723B1 -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723B1
KR101494723B1 KR20140165312A KR20140165312A KR101494723B1 KR 101494723 B1 KR101494723 B1 KR 101494723B1 KR 20140165312 A KR20140165312 A KR 20140165312A KR 20140165312 A KR20140165312 A KR 20140165312A KR 101494723 B1 KR101494723 B1 KR 101494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sel
rod
socket
key
abal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65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추창오
Original Assignee
추창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창오 filed Critical 추창오
Priority to KR20140165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9/00Processing shellfish or bivalves, e.g. oysters, lobsters; Devices therefor, e.g. claw locks, claw crushers, grading devices; Processing lines
    • A22C29/04Processing bivalves, e.g. oysters
    • A22C29/043Cleaning operations on bivalves, e.g. evisceration, brushing, separation of meat and shell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06Combined or separable sets of table-service utensils; Oyster knives with openers; Fish servers with means for removing bon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ercussive Tools And Relate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각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치즐의 로드가 몸체에 간편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로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로드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치즐통공을 갖는 치즐소켓이 더 구비되며, 상기 치즐은 상기 몸체를 따라 전,후 작동하는 로드와, 그 일단부에 전복의 패각 이물질에 접촉되는 제거날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의 타측 둘레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치즐소켓의 치즐통공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의 로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즐소켓과 몸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치즐소켓을 몸체로부터 강제로 또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제작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치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Abalone shell debris removal device}
본 발명은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각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에서 채취하는 전복이나 조개와 같은 패각류의 표면에는 수초나 따개비 등 여러 종의 패각 이물질이 붙어 기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채취한 전복을 판매하기 위해서는 표면에 붙어 있는 따개비 등의 기생 패각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따라서, 전복이나 조개와 같은 패각류의 표면에 붙어 있는 패각 이물질을 가위 또는 칼로 긁거나 손으로 뽑아 일일이 수작업으로 제거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패각 이물질을 제거하는 경우 인력은 물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됨은 물론, 가위나 칼의 사용으로 인해 작업 중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등록특허공보 제10-1160046호(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러한 종래는 안전레버(7)의 작용에 의해 고압공기가 밸브핀(3)을 통과하고, 상기 밸브핀(3)을 통과한 고압공기가 피스톤(11)과 실린더(12)를 통해 빠져나가면서 실린더(12)가 왕복 운동하는 패각 이물질제거 장치몸체(100)와 실린더(12) 내의 피스톤(11)의 왕복운동을 전달받아 패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패각 이물질 제거날(50)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는 공압에 의해 전,후진되는 제거날에 의해 패각에 붙어있는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도중에 손을 다치는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패류의 크기에 따라 제거날을 교체 사용하여 단위 시간당 처리할 수 있는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는 상기 피스톤의 왕복운동으로 인한 충격으로 상기 제거날이 전,후진으로 왕복 작용하여 패각을 제거하는 동안 작업자의 손에는 상기 제거날이 왕복되는 충격이 고스란히 전달되며, 장시간 사용에 따라 진동에 의한 소음은 물론, 피로감이 상승되고, 이로 인해 제거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제거장치 본체의 수명이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더불어 대부분의 작업자는 어촌에 생활하는 노인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진동에 의해 손목, 팔꿈치, 어깨 등의 관절에 무리가 가고, 이로 인한 관절 통증 및 고통을 호소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거날의 반복적인 전,후진 왕복작용에 의해 제거날을 정확하게 패각에 접근하기가 매우 까다로워 작업성이 떨어지며, 이로 인해 전복 표면에 상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판매하고자 하는 전복의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물론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피스톤의 반복적인 충격으로 인해 제거날을 갖는 치즐의 취약 지점인 목 부분이 자주 파손됨에 따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압축공기의 압력을 통해 몸체의 선단에 구비된 치즐에 진동을 전달하는 피스톤을 갖는 몸체에 간편하게 치즐을 간편하게 결합하는 치즐소켓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며,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제작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치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몸체의 선단에는 상기 치즐의 로드가 몸체에 간편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로드가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로드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치즐통공을 갖는 치즐소켓이 더 구비되며, 상기 치즐은 상기 몸체를 따라 전,후 작동하는 로드와, 그 일단부에 전복의 패각 이물질에 접촉되는 제거날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의 타측 둘레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치즐소켓의 치즐통공에는 상기 걸림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의 로드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치즐소켓과 몸체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치즐소켓을 몸체로부터 강제로 또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키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제작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치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의 분해 상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 및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의 다른 실시 예 구성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2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10)의 후단에 구비된 호스연결부(220)에 공기압축기(P)의 호스(H)를 연결하고, 작업자가 상기 몸체(210)와 함께 이 몸체(210)의 둘레에 형성된 레버(230)를 파지하여 작동스위치(240)를 조작함에 따라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26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피스톤(250)을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작동시킴에 따라 그 충격력에 의해 몸체(210)의 전방에 구비된 치즐(280)을 통해 전복(A)의 표면에 붙은 패각 이물질(F)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도 3에 의하면, 상기 몸체(210)의 선단에는 상기 치즐(280)의 로드(283)가 몸체(210)에 간편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로드(283)가 몸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로드(283)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치즐통공(271)을 갖는 치즐소켓(27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치즐(280)은 상기 몸체(210)를 따라 전,후 작동하는 로드(283)와, 그 일단부에 전복(A)의 패각 이물질(F)에 접촉되는 제거날(281)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283)의 타측 둘레에 걸림돌기(285)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치즐소켓(270)의 치즐통공(271)에는 상기 걸림돌기(285)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280)의 로드(28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7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치즐소켓(27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치즐통공(271)을 따라 삽입된 로드(283)가 다시 빠져나가지 않게 상기 가이드홈(273)의 직각 위치에 상기 로드(283)의 걸림돌기(285)에 대응하여 걸림홈(275)이 절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치즐소켓(270)을 바깥쪽에서 바라보면 치즐통공(27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가이드홈(273)이 나비넥 형상으로 형성되고, 치즐소켓(270)을 몸체(210) 쪽에서 바라보면 치즐통공(271)을 중심으로 십자모양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73)과 걸림홈(275)이 번갈아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치즐통공(271)을 따라 관통하는 로드(283)의 걸림돌기(285)가 가이드홈(273)을 따라 이동하여 상치 치즐소켓(270)을 관통한 후 로드(283)를 90°회전시켜 상기 걸림돌기(285)가 걸림홈(275)에 안착되어 더 이상 치즐(280)이 몸체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에 의하면, 상기 치즐소켓(270)과 몸체(210)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치즐소켓(270)을 몸체(210)로부터 강제로 또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키(29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치즐소켓(270)의 둘레에는 상기 몸체(210)의 중공부(211)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소켓(270)을 몸체(210)에 간편하게 체결 결합할 수 있게 수나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링키(290)는 상기 몸체(210)와 치즐소켓(270)의 접촉부분을 감아 쥐는 링부(291)와; 상기 링부(291)의 단부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210)와 치즐소켓(270)의 접촉부분을 끼움 결합하여 치즐소켓(270)의 회전을 방지하는 키부(293)로 구성된다.
즉, 상기 키부(293)는 상기 치즐소켓(270)과 몸체(210)의 만나는 부분에 끼움 결합하여 치즐소켓(270)의 역 회전 또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이 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이 키부(293)에 연장되어 원형으로 형성된 링부(291)는 상기 키부(293)가 몸체(2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립 방식으로 둘레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몸체(210)의 선단 일면에는 상기 키부(293)에 대응하여 중공부(211)까지 반원형상의 제1키홈(217)이 형성되고, 상기 치즐소켓(270)의 플랜지 면에는 상기 제2키홈(277)에 대응하여 상기 키부(293)가 안착되는 제2키홈(277)이 형성되어 상기 키부(293)가 상기 제1,2키홈(217,277)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되며, 상기 링부(291)가 상기 접촉 부분을 마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2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즐소켓(270)에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링홈에 상기 키링(290)의 링부(291)가 안착되며, 상기 키부(293)는 상기 링부(291)로부터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키부(293)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소켓(270)과 몸체(210)의 일면에 제1키홈(217)과 제2키홈(277)의 키부(293)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키부(293)를 몸체(210)의 안쪽으로 밀어 넣지 않더라도, 상기 키부(293)에 의해 치즐소켓(270)이 진동 또는 역 방향의 회전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작용 및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 의하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200)의 몸체(210)와 레버(230)를 동시에 파지하고, 다른 한손으로 패각 이물질(F)이 잘 보이도록 전복(A)을 파지한 상태에서 작업자의 레버(230) 조작으로 인해 공기압축기(P)의 압축공기가 작동스위치(240), 실린더(260), 피스톤(250)을 순차적으로 통과해 상기 피스톤(250)이 반복적으로 전,후 작동하게 되며, 전방에 구비된 치즐(280)이 피스톤(250)의 타격으로 인해 상기 전복(A)에 붙어있는 패각 이물질(F)을 진동 타격하여 제거하게 된다.
한편, 도 3에 의하면, 상기 치즐소켓(270)은 상기 몸체(210)의 중공부(211)에 체결 결합하고, 상기 치즐(280)의 로드(283)를 상기 치즐통공(271)에 삽입하되, 걸림돌기(285)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73)을 따라 삽입하여 결합한 후 90°회전시켜 상기 가이드홈(273)에 교차로 치즐소켓(270)에 절개 형성된 걸림홈(275)에 상기 걸림돌기(285)를 안착시킴으로써, 인출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치즐소켓(270)과 몸체(210)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응하여 제1키홈(217)과 제2키홈(277)을 형성함으로써, 서로 맞물린 제1,2키홈에 상기 키링(290)의 키부(293)를 삽입하여 상기 치즐소켓(270)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제공함으로써, 작업에 따른 진동을 최소화하여 작업자의 관절 충격 및 피로감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복의 표면에 제거날의 접근성이 용이하여 전복의 상품가치 및 생산성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종래에 비해 구성요소가 대폭 축소됨에 따라 제작 및 보수비용을 절감하는 것은 물론, 치즐의 내구성 향상으로 인해 제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 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200: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210: 몸체 211: 중공부
217: 제1키홈 220: 호스연결부
230: 레버 240: 작동스위치
250: 피스톤 260: 실린더
270: 치즐소켓 271: 치즐통공
273: 가이드홈 275: 걸림홈
277: 제2키홈 280: 치즐
281: 제거날 283: 로드
285: 걸림돌기 290: 키링
291: 링부 293: 키부
P: 공기압축기 H: 호스
A: 전복 F: 패각 이물질

Claims (6)

  1. 몸체(210)의 후단에 구비된 호스연결부(220)에 공기압축기(P)의 호스(H)를 연결하고, 작업자가 상기 몸체(210)와 함께 이 몸체(210)의 둘레에 형성된 레버(230)를 파지하여 작동스위치(240)를 조작함에 따라 몸체(210)의 내부에 구비된 실린더(260)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피스톤(250)을 몸체(21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작동시킴에 따라 그 충격력에 의해 몸체(210)의 전방에 구비된 치즐(280)을 통해 전복(A)의 표면에 붙은 패각 이물질(F)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몸체(210)의 선단에는 상기 치즐(280)의 로드(283)가 몸체(210)에 간편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사용 중에 로드(283)가 몸체(21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로드(283)를 삽입하여 지지하는 치즐통공(271)을 갖는 치즐소켓(270)을 포함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치즐(280)은 상기 몸체(210)를 따라 전,후 작동하는 로드(283)와, 그 일단부에 전복(A)의 패각 이물질(F)에 접촉되는 제거날(281)로 이루어지되, 상기 로드(283)의 타측 둘레에 걸림돌기(28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치즐소켓(270)의 치즐통공(271)에는 상기 걸림돌기(285)에 대응하여 상기 치즐(280)의 로드(283)를 안내하는 가이드홈(273)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소켓(27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치즐통공(271)을 따라 삽입된 로드(283)가 다시 빠져나가지 않게 상기 가이드홈(273)의 직각 위치에 상기 로드(283)의 걸림돌기(285)에 대응하여 걸림홈(275)이 절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즐소켓(270)과 몸체(210)가 서로 접촉되는 부분에는 치즐소켓(270)을 몸체(210)로부터 강제로 또는 진동으로 인해 체결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링키(29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키(290)는 상기 몸체(210)와 치즐소켓(270)의 접촉부분을 감아 쥐는 링부(291)와;
    상기 링부(291)의 단부에는 일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몸체(210)와 치즐소켓(270)의 접촉부분을 끼움 결합하여 치즐소켓(270)의 회전을 방지하는 키부(29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210)의 선단 일면에는 상기 키부(293)에 대응하여 중공부(211)까지 반원형상의 제1키홈(217)이 형성되고,
    상기 치즐소켓(270)의 플랜지 면에는 상기 제1키홈(217)에 대응하여 상기 키부(293)가 안착되는 제2키홈(27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6. 삭제
KR20140165312A 2014-11-25 2014-11-25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KR101494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5312A KR101494723B1 (ko) 2014-11-25 2014-11-25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65312A KR101494723B1 (ko) 2014-11-25 2014-11-25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4723B1 true KR101494723B1 (ko) 2015-02-25

Family

ID=52594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65312A KR101494723B1 (ko) 2014-11-25 2014-11-25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7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499A (ko) * 2014-03-28 2015-10-07 오지환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CN108056412A (zh) * 2018-01-24 2018-05-22 莆田市城厢区豪顺食品厂 一种花鲍螺去壳装置、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KR102172451B1 (ko) * 2019-11-29 2020-11-02 김문석 에어 치핑 햄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93B1 (ko) 2013-05-15 2013-09-17 용영길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093B1 (ko) 2013-05-15 2013-09-17 용영길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2499A (ko) * 2014-03-28 2015-10-07 오지환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KR101713616B1 (ko) 2014-03-28 2017-03-08 오지환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CN108056412A (zh) * 2018-01-24 2018-05-22 莆田市城厢区豪顺食品厂 一种花鲍螺去壳装置、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CN108056412B (zh) * 2018-01-24 2021-07-09 莆田市城厢区豪顺食品厂 一种花鲍螺去壳装置、加工系统及其加工工艺
KR102172451B1 (ko) * 2019-11-29 2020-11-02 김문석 에어 치핑 햄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723B1 (ko)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CN102554879B (zh) 集尘装置
US9079286B1 (en) Pneumatic actuator for impact engraving tool
EP2246490A3 (en) Ground engaging tool system
US8327516B2 (en) Valve punch tool
US5251367A (en) Pneumatically driven descaling tools
KR101309093B1 (ko)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US20180291735A1 (en) Service tool for cutting bit assembly
KR101576712B1 (ko)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GB2472088A (en) Improvements in pipe replacement
US6705409B2 (en) Reciprocating tool having a piston retaining system
US20180326549A1 (en) Dust suppression assembly
KR101389519B1 (ko)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US20210053200A1 (en) Blade mounting device, chisel and blade thereof, carving cutter replaceable blade, and adapter for mounting carving cutter replaceable blade on blade mounting device
KR20160056613A (ko) 패각 이물질 제거 장치
KR101901550B1 (ko) 전복 패각 이물질 제거장치
US4512072A (en) Apparatus for installing poultry feather picking fingers
KR101354371B1 (ko) 자동차용 밸브 스템실 제거장치
CN211052102U (zh) 一种手持式气动弹管清洁装置
CN109394396B (zh) 髋臼取出器
KR101775347B1 (ko) 자가정비가 용이한 패각 이물질 제거용 에어치퍼
JP3219296U (ja) 衝撃工具及びチゼル
US9527195B1 (en) Apparatus for removing a coupler from tubing
CN208293381U (zh) 一种缓冲型铣刨齿
US20190299384A1 (en) Tool bit to be used with pneumatic air ham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