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170B1 -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170B1
KR101494170B1 KR20130066851A KR20130066851A KR101494170B1 KR 101494170 B1 KR101494170 B1 KR 101494170B1 KR 20130066851 A KR20130066851 A KR 20130066851A KR 20130066851 A KR20130066851 A KR 20130066851A KR 101494170 B1 KR101494170 B1 KR 1014941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ogram
user
image
smart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6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4819A (ko
Inventor
최대영
Original Assignee
최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대영 filed Critical 최대영
Priority to KR20130066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417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4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4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1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1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005Adaptation of holography to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66Digital holographic imaging, i.e. synthesizing holobjects from hologra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4Processes or apparatus for producing holograms
    • G03H1/08Synthesising holograms, i.e. holograms synthesized from objects or objects from holograms
    • G03H1/0891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to convert digital holographic data into a hologr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H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 G03H1/00Holographic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waves for obtaining holograms or for obtaining an image from them; Details peculiar thereto
    • G03H1/02Details of features involved during the holographic process; Replication of holograms without interference recording
    • G03H2001/0208Individual components other than the hologram
    • G03H2001/0228Electro-optic or electronic components relating to digital holograph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1)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2)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고 실행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성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라면 특별한 기술이나 장치 없이도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형화된 홀로그램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HOLOGRAM CONVERTING METHOD OF IMAGE DATA}
본 발명은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 기기에서 이미지 데이터를 홀로그램으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급격한 보급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갖게 되었고, 스마트폰, 스마트 노트, 태블릿 PC 등 다기능을 가진 스마트 기기가 빠른 속도로 보급되면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능에 제약이 사라지고 있다.
또한, 3D 영화가 대중의 관심을 끌고 3D TV가 출시되는 등, 3차원 데이터의 표시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3차원 데이터의 표시는 영화 스크린이나 TV 규모에서 실현되고 있고, 특수 안경을 필요로 하는 등의 제약이 있으며,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3차원 데이터의 표시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3차원 데이터 중 홀로그램은, 영상이 3차원이고 실물과 똑같이 입체적으로 보이는 사진으로서, 홀로그래피의 원리를 이용하여 만들어지며, 입체상을 재현하는 간섭 줄무늬를 기록한 매체이다. 홀로그래피는 레이저에서 나온 광을 2개로 나누어 하나의 광은 직접 스크린을 비추게 하고, 다른 하나의 광은 보려고 하는 물체에 비추는 것이다. 이때 직접 스크린을 비추는 광을 기준광(reference beam)이라고 하고, 물체를 비추는 광을 물체광(object beam)이라고 한다. 물체광은 물체의 각 표면에서 반사돼 나오는 빛이므로 물체 표면에 따라 위상차(물체 표면에서부터 스크린까지의 거리)가 각각 다르게 나타난다.
따라서 변형되지 않은 기준광이 물체광과 간섭을 일으키며 그 간섭무늬가 스크린에 저장되며 그 간섭무늬가 저장된 필름을 홀로그램이라고 한다. 그리고 저장된 홀로그램을 재생하려면 기록할 때 사용된 기준광을 다시 스크린 건판에 투사해야 한다. 재생 시 투사되는 광은 기록 시와 동일한 진동수를 가진 파만이 3차원으로 재현되고, 파장과 위상이 다른 파들은 재현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홀로그램 영상을 이용하면 특수 안경 없이 3차원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홀로그램 영상의 생성을 위해서는 간섭무늬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가 필요하므로,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홀로그램을 생성하고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적극적으로 홀로그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사진과 같은 이미지 데이터를 홀로그램으로 변환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고 실행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성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라면 특별한 기술이나 장치 없이도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형화된 홀로그램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은, 스마트 기기가,
(1)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2) 상기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1-1)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는 단계; 및
(1-2) 상기 제시한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1)과 단계 (1-2) 사이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스마트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를 연동하여 실행하되, 상기 카메라의 촬영 화면에 미리 정해진 방향 및 사용자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1)에서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방향에서 촬영된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2-1) 상기 단계 (1)에서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2-2) 상기 추출한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포인트의 내삽 및 외삽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마트 기기는,
홀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홀로그램 표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계 (2) 이후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단계 (2)에서 생성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스마트 기기에 설치하고 실행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생성함으로써, 스마트 기기를 소지한 사용자라면 특별한 기술이나 장치 없이도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으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정형화된 홀로그램이 아닌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사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고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홀로그램 데이터를 표시한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카메라 촬영 화면에서 가이드라인을 표시한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홀로그램 데이터가 생성된 스마트 기기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10)는, 이미지 입력부(100) 및 홀로그램 생성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표시부(300), 카메라(400), 디스플레이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활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고 활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기기(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스마트 기기(1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스마트 기기(10)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미지 입력부(100)는,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입력부(100)는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입력받는 사용자 이미지는 복수일 수 있다. 이미지 입력부(100)는 스마트 기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추후 상세히 설명할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홀로그램 생성부(200)는, 이미지 입력부(100)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를 전달받아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홀로그램 생성부(200)는, 사용자 이미지를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으며, 3차원 영상 복원 기술이나 이미 저장되어 있는 홀로그램 데이터를 참조하여, 변환 과정을 처리할 수 있다.
홀로그램 표시부(300)는, 홀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홀로그램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서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홀로그램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으며, 홀로그램 표시부(300)는 광의 조사를 통해 홀로그램을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기기(10)는 복수의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카메라(400)는, 사진, 동영상 등을 촬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홀로그램 데이터의 생성을 위한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10)는 카메라(400)를 구비하고 있으며, 카메라(4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400)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이미지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함으로써,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00)는,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거나 홀로그램 데이터의 생성 등을 위한 안내를 위해 각종 인터페이스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400) 촬영 시에는 홀로그램 생성을 위해 정확한 사용자 이미지가 촬영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출력하여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은,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S100) 및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0)를 포함하며, 홀로그램 데이터를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S300)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0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미지 입력부(100)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는,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2차원의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3차원의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게 되므로, 3차원 데이터의 생성을 위하여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특히, 단계 S100에서는, 서로 상이한 복수의 방향에서 촬영된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의 원활한 조합을 위하여 촬영된 방향을 지정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20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계 S200은 홀로그램 표시부(200)에서 처리될 수 있다. 즉,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2차원의 사용자 이미지를 변환하여 3차원의 사용자 형상을 홀로그램 데이터로 생성할 수 있다.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에 대해서는 추후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단계 S30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단계 S200에서 생성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는, 단계 S300을 반드시 처리할 필요는 없고, 스마트 기기(10)가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처리될 수 있다. 특히, 단계 S300에서는, 사용자의 요청이 있는 경우 단계 S200에서 생성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표시함으로써, 생성된 홀로그램 데이터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홀로그램 데이터를 표시한 스마트 기기(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300에서는,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홀로그램 데이터가 출력될 수 있다. 스마트 기기(10)에 구비된 홀로그램 표시부(300)의 위치에 따라 홀로그램 데이터의 출력 위치나 형태는 상이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홀로그램의 회전, 이동 등이 가능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단계 S1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100은,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는 단계(S110) 및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S1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카메라(400)를 연동하여 실행하되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S115)를 더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11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는, 2차원 이미지를 3차원의 홀로그램 데이터로 변환하기 때문에, 사용자 이미지에 포함되지 않은 차원의 데이터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생성하여야 한다. 따라서 3차원 데이터의 원활한 생성을 위하여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여, 정해진 방향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임의의 방향의 데이터로부터 3차원 데이터를 생성하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형상의 이미지가 생성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는 스마트 기기(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110에서는, 정면, 좌측면 및 우측면 등의 방향을 제시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미리 정해진 방향은 도 5에 도시된 세 방향 이외에도 다양할 수 있으며, 정면과 측면 사이의 대각선 방향 등을 제시하여 더욱 정교한 홀로그램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단계 S115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스마트 기기(10)에 구비된 카메라(400)를 연동하여 실행하되, 카메라(400)의 촬영 화면에 미리 정해진 방향 및 사용자 이미지의 촬영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표시할 수 있다. 즉, 단계 S110에서 제시된 방향에 따라 이미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으나, 제시된 방향에 따라 실시간으로 촬영이 가능하도록 스마트 기기(10)에 구비된 카메라(400)를 연동하여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3차원 홀로그램의 생성을 위해서는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얼굴이나 구체적인 형상을 정확하게 인식하여야 하므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사용자의 정확한 이미지 촬영을 도울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카메라(400) 촬영 화면에서 가이드라인을 표시한 스마트 기기(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115에서는, 스마트 기기(10)의 카메라(400)를 연동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하되, 얼굴이 위치하도록 디스플레이부(500)에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촬영하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400) 연동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단계 S12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제시한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다. 즉, 단계 S120에서는 단계 S110에서 제시된 방향에 따라 스마트 기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 있고, 단계 S115에서 연동되어 제공된 카메라(400)를 이용하여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카메라(400) 연동 화면에서, 디스플레이부(500)에 표시된 가이드라인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 촬영된 이미지의 썸네일(thumbnail)이 표시되도록 하고, “만들기” 메뉴를 선택하면 스마트 기기(10)에 사용자 이미지가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썸네일을 확인하고 재촬영을 할 수 있고 다른 사진 파일을 입력하는 등의 수정을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단계 S200의 세부적인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200은,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추출하는 단계(S210) 및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포인트의 내삽 및 외삽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S220)를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즉, 단계 S100에서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에서 배경을 삭제하고 사용자의 형상을 추출할 수 있다. 이때, 각종 필터링 기술을 활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 이미지의 그림자나 하이라이트 등에 따라 사용자의 3차원 얼굴 윤곽을 복원할 수 있다.
단계 S220에서는, 스마트 기기(10)가 추출한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포인트의 내삽(interpolation) 및 외삽(extrapolation)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을 생성할 수 있다. 즉, 단계 S210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추출하여 3차원 얼굴 윤곽을 복원하였더라도, 이는 3D 영화에서 볼 수 있는 정도의 효과에 불과할 뿐 홀로그램과 같이 완전한 3차원의 데이터일 수는 없다. 또한, 단계 S100에서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았더라도, 입력받은 사용자 이미지는 연속된 것이 아니므로, 3차원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내삽 및 외삽법을 이용하여 단계 S210에서 추출한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각 포인트들로부터 부족한 방향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데이터와 단계 S210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인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에서, 홀로그램 데이터가 생성된 스마트 기기(10)를 예를 들어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의 단계 S220에서는, 스마트 기기(10)의 디스플레이부(500)로 홀로그램 데이터가 생성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으며, 생성된 홀로그램 데이터를 인터넷, 인트라넷,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 등 각종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매체로 전송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전송하도록 공유 기능을 지원할 수도 있다. 한편, 홀로그램 데이터는 디스플레이부(500)를 통해서 표시할 수는 없으므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에서 “미리보기” 메뉴를 선택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로그램 표시부(300)를 통해 생성된 홀로그램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다양한 통신 단말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_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스마트 기기 100: 이미지 입력부
200: 홀로그램 생성부 300: 홀로그램 표시부
400: 카메라 500: 디스플레이부
S100: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S110: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는 단계
S115: 카메라를 연동하여 실행하되 가이드라인을 표시하는 단계
S120: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S200: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S210: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추출하는 단계
S220: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포인트의 내삽 및 외삽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을 생성하는 단계
S300: 홀로그램 데이터를 홀로그램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

Claims (7)

  1. 스마트 기기에서 홀로그램 변환을 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스마트 기기가,
    (1) 서로 상이한 복수의 미리 정해진 방향에서 촬영된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 및
    (2) 상기 입력받은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를 이용하여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마트 기기에는 상기 단계 (1) 및 단계 (2)를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 및 실행되고,
    상기 단계 (1)은, 상기 스마트 기기가,
    (1-1) 정면, 좌측면 및 우측면을 포함하는 미리 정해진 방향을 제시하고, 각각의 방향에 대하여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1-2) 상기 제시한 방향에서 촬영된 사용자 이미지를 입력받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 (2)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2-1) 상기 단계 (1)에서 입력받은 상기 복수의 사용자 이미지에서 사용자의 형상을 각각 추출하는 단계; 및
    (2-2) 상기 추출한 사용자의 형상을 구성하는 포인트의 내삽 및 외삽을 통해 사용자의 3차원 형상인 홀로그램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홀로그램을 표시하기 위한 홀로그램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2) 이후에는,
    상기 스마트 기기가, 상기 단계 (2)에서 생성한 홀로그램 데이터를 상기 홀로그램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KR20130066851A 2013-06-12 2013-06-12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KR1014941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851A KR101494170B1 (ko) 2013-06-12 2013-06-12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6851A KR101494170B1 (ko) 2013-06-12 2013-06-12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19A KR20140144819A (ko) 2014-12-22
KR101494170B1 true KR101494170B1 (ko) 2015-02-23

Family

ID=5259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6851A KR101494170B1 (ko) 2013-06-12 2013-06-12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417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012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Hoso Kyokai <Nhk> ホログラムデータ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ホログラムデータ生成システムおよびホ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
KR20090108001A (ko) * 2006-10-26 2009-10-14 시리얼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KR20100084718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5686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9012A (ja) * 2005-04-28 2006-11-09 Nippon Hoso Kyokai <Nhk> ホログラムデータ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ならびにホログラムデータ生成システムおよびホログラム表示システム
KR20090108001A (ko) * 2006-10-26 2009-10-14 시리얼 테크놀로지즈 에스.에이.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이동 전화 시스템
KR20100084718A (ko) * 2009-01-19 2010-07-28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를 생성하는 휴대 단말기
KR20110045686A (ko) * 2009-10-27 2011-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홀로그램 데이터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4819A (ko)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2497B (zh) 能够提供随后体验影像的影像提供装置、影像提供方法
Dufaux et al. Emerging technologies for 3D video: creation, coding, transmission and rendering
KR20170031691A (ko) 글로벌 최소화 및 깊이 보간을 사용한 스테레오 깊이 추정을 위한 시스템들 및 방법들
JP2022009202A (ja) マルチビューインタラクティブデジタルメディア表現へのオーディオの統合
KR20140004592A (ko) 3d 깊이 정보를 기반으로 한 이미지 블러
CN106707680B (zh) 一种基于光场的全息投影方法
KR101181199B1 (ko) 배경 지형 장면의 입체 이미지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이를 위한 기록매체
JP5258049B2 (ja) 多視点画像生成装置、多視点画像生成方法および多視点画像生成プログラム
US20140313555A1 (en) Digital hologram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KR20150081010A (ko) 홀로그램 재현 영상의 시야각 측정 평가 장치 및 방법
Birklbauer et al. Light‐Field Retargeting
Yu et al. Deep learning-based incoherent holographic camera enabling acquisition of real-world holograms for holographic streaming system
KR102271853B1 (ko) 전자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hang et al. Three-dimensional computer holography enabled from a single 2D image
KR101404183B1 (ko) 홀로그램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494170B1 (ko) 이미지 데이터의 홀로그램 변환 방법
CN104483810A (zh) 采用全息技术的3d投影系统
US9915920B2 (en) Holographic image generation
JP5001570B2 (ja) ホログラムデータ作成装置、ホログラムデータ作成方法及びホログラムデータ作成プログラム
KR20130085553A (ko) 프로젝션 기반의 디지털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40482B1 (ko) 2차원 이미지의 홀로그램 이미지 변환 장치 및 그 방법
KR102502586B1 (ko) 라이트필드 데이터 변환을 이용한 왜곡 없는 홀로그램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734655B1 (ko) 360°실사 vr콘텐츠 제작공정에서 프로젝션 맵핑을 활용한 vfx 후반작업 적용 방법
Liu et al. Radiance-field holography for high-quality 3D reconstruction
JP2013081105A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