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812B1 -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812B1
KR101493812B1 KR1020120072640A KR20120072640A KR101493812B1 KR 101493812 B1 KR101493812 B1 KR 101493812B1 KR 1020120072640 A KR1020120072640 A KR 1020120072640A KR 20120072640 A KR20120072640 A KR 20120072640A KR 101493812 B1 KR101493812 B1 KR 101493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burr
weight
recycled
bisphen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4994A (ko
Inventor
이동원
Original Assignee
이동원
피씨케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원, 피씨케이(주) filed Critical 이동원
Priority to KR1020120072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381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8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1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11/00Use of ingredients of unknown constitution, e.g. undefined reaction products
    • C08K11/005Waste materials, e.g. treated or untreated sewage sludg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3Phenols; Phen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3Phosphorus bound to oxygen bound to oxygen and to carbon only
    • C08K5/5317Phosphonic compounds, e.g. R—P(:O)(OR')2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08L2207/24Recycled plastic recycling of old tyres and caoutchouc and addition of caoutchouc part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은 불소고무 신재 70 내지 99.99 중량% 및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를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원료고무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0.05 내지 2 중량부,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0.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버를 재활용하면서도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특히 상기 버를 이루는 불소고무의 종류 또는 조성에 무관하고, 배합내용물의 조정에 따라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우수한 경도 및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Description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RUBBER COMPOSITION FOR RUBBER RECYCLING BURR AND RUBBER MANUFACTU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불소고무 혼합물을 사용하면서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무 제품을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는 고무제품 성형시 제품 이외에 발생하는 찌꺼기로써, 고무제품 성형 후, 폐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잔류하는 버를 그대로 폐기할 경우, 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이 될 수 있다. 특히, 환경에 관한 협약 및 탄소 배출권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면서, 폐기되는 원료에 대한 재활용여부가 가장 중요한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불소고무 신재와 동일한 조성을 가지는 불소고무 버(burr)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혼합된 원료고무의 물성이 균일할 수 있지만, 상기 동일한 조성의 버는 그 사용범위에 제한이 따른다. 따라서, 버를 일정한 분류로 나누어 보관해야 하고, 성형되는 고무제품의 컴파운드를 종류를 고려하여 혼합해야 하므로 공정상 상기 버를 재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불소고무 신재와 동일한 조성이 아닌 불소고무 버를 혼합하여 고무제품을 성형하는 경우 상기 버의 조성 및 물성이 불소고무 신재와 불균일 하기 때문에 불소고무 신재 또는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동일한 조성의 불소고무 버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물성의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상기 버의 조성 및 물성 차이에 의해 이를 사용하여 성형된 고무 제품 역시 물성의 차이에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불소고무 신재와 버를 이루는 고무의 조성 및 물성이 상이한 경우에도 이를 혼합하여 원료고무로 사용하면서도, 상기 원료고무를 사용한 고무 제품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버를 활용하는 방안이 대두되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565828호(2006.03.30.)
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8152호(2011.01.26.)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불소고무의 버를 재활용하면서도 상기 버를 포함하는 원료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조성이 서로 상이한 버를 불소고무와 혼합하여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은 불소고무 신재(新材) 70 내지 99.99 중량% 및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를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원료고무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0.05 내지 2 중량부,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0.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아크릴고무(ACM), 불소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고무 신재는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와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는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불소고무 종류 또는 조성이 서로 다른 불소 고무를 성형 후 잔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VF2-HFP-TFE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HFP-VF2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브롬화비스페놀 A형, 수첨비스페놀A형,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AF형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를 소련(素練)하여 소련화 고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소련화 단계; 상기 소련화 고무 혼합물과 불소고무 신재를 혼합하여 혼련(混練)시켜 성형용 고무를 형성하는 원료고무 제조단계 및 상기 원료고무에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를 혼합하시는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단계는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단계는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불소고무 신재(新材) 70 내지 99.99 중량% 및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를 0.01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원료고무 100 중량부, 그리고,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0.05 내지 2 중량부,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0.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불소고무는 불화 비닐리덴과 6불화 플로필렌의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고무를 말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특징을 가지며, 불소고무의 가교방법에 따라 그 종류가 구분될 수 있는데, 상기 불소고무는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와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불소고무 신재는 재활용이 아닌 새 불소고무를 의미한다.
상기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VF2(Vinylidene Fluoride)-HFP(HexaFluoro Propylene)-TFE(TetraFluoro Ethylene)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HFP-VF2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불소고무 신재는 불소고무 100 중량부 및 상기 불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가교조제로서 MgO 1 내지 5 중량부, Ca(OH)2 3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하는 불소고무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소고무 신재는 불소고무 및 유기인 화합물을 60 내지 40 또는 70 내지 30 중량비로 혼합한 불소고무 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상품으로는 67:33 중량비로 혼합한 Curatative #20(Dupont사)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불소고무 신재는 불소고무 및 다이하이드록시 방향성화합물을 40:60 또는 60:40으로 혼합한 불소고무혼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제형의 상품으로는 Curatative #30(Dupont사)가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원료고무는 불소고무 신재와 상기 불소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버는 원료고무에 10 내지 3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는 불소고무의 성형 후 발생한 것으로서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조성, 물성, 종류가 동일하지 않은 것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버는 고무제품 성형시 발생되고 잔류하는 찌꺼기로써, 고무제품 성형 후, 폐기처리 된다. 폐기되는 버의 양은 완성된 고무 제품에 포함된 고무량의 10 내지 20%정도 된다. 이와 같이, 잔류하는 버를 그대로 폐기할 경우, 환경 보호와 자원 재활용 측면에서 상당한 손실이 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버를 그대로 상기 불소고무로서 사용하는 경우 버의 불균일한 물성의 차이에 따른 조성물의 가교반응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버를 사용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의 경도 및 인장물성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불소고무로 이루어진 버를 소련하여, 불소고무 신재와 혼합물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버의 균일성을 높일 수 있다. 특히, 상기 버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버의 불균일성에 따른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의 급격한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버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버의 재활용률이 현저히 줄어들어, 환경 보호 및 자원 재활용의 효과가 미미해질 수 있다.
상기 버는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불소고무 종류 또는 조성이 서로 다른 불소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것일 수 있다. 버는 고무제품 성형 후 발생하는 찌꺼기이므로, 성형제품에 따라 상기 버의 조성 및 물성이 상이한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에 의하는 경우 상기 버를 이루는 고무의 조성이나 물성 등이 불소고무 신재와 상이한 경우라도 상기 고무 조성이 신재와 상이한 버를 불소고무 신재에 포함시켜 원료고무로 사용하여도 인장물성 등의 저하 없이 고무제품을 제조함으로서 상기 버의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버는 물성의 균일성 확보를 위하여 불소고무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HNB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NB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DM), 아크릴고무(ACM), 불소 고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제1 가교제로서,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2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가 0.0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가교 속도가 저하되고 2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되는 경우 가교효과 저하로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브롬화비스페놀 A형, 수첨비스페놀A형,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AF형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일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F형일 수 있다. 상기 비스페놀 AF형을 사용하는 경우 가교 효과가 가장 우수하여 버를 재활용한 고무조성물에 대한 물성 향상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가교제만을 사용하는 경우 보다 버를 재활용한 고무조성물의 경도와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 2 가교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가교제는 버를 사용하는 경우 저하되는 고무조성물의 물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제2 가교제로서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유기 포스포늄염의 함량이 0.03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무조성물의 경도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내열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포스포늄염은 제1 가교제로서 0.2 내지 0.6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가교효과 증대로 고무조성물의 전반적인 물성이 가장 우수하고, 특히 인장물성 우수하다.
상기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은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고무조성물에 대한 보강성능 저하로 경도가 저하될 수 있고, 4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고무 조성물에 대한 가공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본블랙은 25 내지 31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물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카본블랙은 질소흡착 비표면적(nitrogen surface area per gram, N2SA)이 30 내지 300m2/g일 수 있고, DBP(n-dibutyl phthalate) 흡유량이 60 내지 180cc/100g 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카본블랙의 질소흡착 비표면적이 300m2/g을 초과하면 타이어용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불리해질 수 있고, 30m2/g미만이면 충진제인 카본블랙에 의한 보강 성능이 불리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본블랙의 DBP 흡유량이 180cc/100g을 초과하면 고무 조성물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고, 60cc/100g 미만이면 충진제인 카본블랙에 의한 보강 성능이 불리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본블랙의 입자경이 250 내지 350nm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입자경의 범위에 의하는 경우 신율 및 인장강도 물성의 향상 효과가 월등히 우수하고, 가교반응이 증가하여 원료고무에 대한 우수한 보강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은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왁스는 피마자유, 면실유, 아마인유, 카놀라유, 대두유, 팜유, 야자유, 낙화생유, 파인유, 파인타르, 톨유, 콘유, 쌀겨기름, 홍화유, 참기름,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팜핵유, 동백유, 호호바유, 마카다미아너트유, 사플라워 오일, 동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왁스를 포함하는 경우 몰드와 제품사이의 윤활성 향상으로 상기 몰드로부터 제품의 인출성이 향상되어 고무성형시 작업성이 우수해질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왁스가 불소고무 100 중량부 대하여 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 윤활성 향상효과가 거의 없고,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식물성 왁스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여 고무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성 왁스는 0.4 내지 0.6 중량부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제품의 인출성 향상 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를 소련(素練)하여 소련화 고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소련화 단계; 상기 소련화 고무 혼합물과 불소고무 신재를 혼합하여 혼련(混練)시켜 성형용 고무를 형성하는 원료고무 제조단계; 및 상기 원료고무에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를 혼합하시는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의 소련화 단계에서 버를 소련화 고무 혼합물로 형성하는 것은, 소련용 롤러장치에 버를 삽입하고, 소정시간 동안 버를 소련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련화 고무 혼합물로 형성된 버는 비교적 고른 균일도를 가질 수 있어, 가공성이 향상될 수 있다. 소련이라 함은 고무의 분자사슬을 기계적으로 절단하고 사슬 상태의 분자 간의 꼬임을 풀어서 중합도(重合度)를 낮춤으로써, 고무의 점탄성(粘彈性)을 떨어뜨리고, 고무의 가소성(可塑性)을 크게 하는 작업을 일컫는다. 소련 과정을 거치게 되면, 고무의 분자량이 줄어들게 되어 혼합(混合)시에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원료고무의 제조단계에서 원료고무 혼합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오픈 롤(roll)타입의 혼련(混練) 장치에 원료 고무를 권취시킬 수 있다. 한편, 혼련 장치로는 오픈 롤타입의 혼련 장치 이외에, Kneader 혼련 장치나, Banbury 혼련 장치나, Intermixer 혼련 장치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불소고무 권취 후 충진제, 산화방지제 및 제1 가교제를 투입하고, 오픈 롤 장치를 가동시켜, 혼련 시킨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단계는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원료고무에 대한 물성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 단계는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의해, 고무 혼합물 형성후, 고무 혼합물이 오일이나 오존에 의해 산화되는 것이 방지되어, 물성의 안정성 및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추가적으로 상기 제1가교제 및 제2가교제를 사용하는 가교제 첨가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버는 불소고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닌바, 불소고무와 버의 성상 및 물성 차이로 발생하는 고무 조성물의 경도 및 인장물성의 저하를 가교반응 증대로서 보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버를 재활용하면서도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으며, 특히 상기 버를 이루는 불소고무의 종류 또는 조성에 무관하고, 배합내용물의 조정에 따라 고무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우수한 경도 및 인장강도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 실시예 비교예의 제조]
하기의 표 1에 기재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조성에 따라 버를 재활용 고무 조성물에 대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하기의 조성에 따른 불소고무의 제조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통상적인 고무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따랐으며, 하기의 버는 소련과정을 거친 것으로 하기의 원료고무인 동종의 불소고무에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불소고무(FKM) 80 80 80 80 80
버(burr) 20 20 20 20 20
비스페놀 AF 0.5 0.5 0.5 - -
유기 포스포늄염 0.3 0.3 0.3 - 0.3
카본블랙 - 28 28 - -
식물성 왁스 - - 0.5 - -
(단위: 중량부)
- 불소고무(FKM):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 버(burr): 상기 불소 고무와 조성이 서로 다른 불소고무(FKM) 고무제품 성형시 발생되고 잔류하는 찌꺼기의 혼합물.
- 카본블랙: N990.
[ 실험예 : 실시예 비교예에 대한 물성 측정]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측정경도(shore A) 63 70 70 60 61
인장강도(MPa) 95 120 118 80 88
연신률(%) 300 240 250 380 350
- 연신율(elongation at break): 파단시 신장률을 의하는 것으로 그 수치가 낮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 인장강도: 인장 부하를 받고 있는 물체가 파괴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최대 응력을 나타낸 것으로서 그 수치가 높을수록 우수한 것이다.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내지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를 재활용한 고무조성물은 경도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전반적으로 우수한 인장물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고, 연신율이 낮아 원료고무에 버를 포함하면서도 고무조성물의 물성저하가 없어 상기 고무 조성물은 고무성형 제품에 요구되는 물성을 충족시킬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을 참조하면, 원료고무에 버를 포함하는 경우 고무조성물의전반적인 인장물성 저하가 동반됨을 확인할 수 있고, 유기 포스포늄염을 가교제로 사용하는 경우라 하여도 인장물성 저하에 대한 보강효과는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0.05 내지 2 중량부,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 0.03 내지 1 중량부를 포함하되,
    상기 원료고무는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burr) 0.01 내지 30 중량%와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및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와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불소고무 신재(新材) 70 내지 99.99 중량%로 이루어지며,
    상기 버는 상기 불소고무 신재와 불소고무 종류 또는 조성이 서로 다른 불소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것으로 투입 전에 소련(素練)하여 소련화 고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소련화 단계를 거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고무신재 중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VF2-HFP-TFE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불소고무신재 중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는 HFP-VF2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비스페놀 F형, 브롬화비스페놀 A형, 수첨비스페놀A형, 비스페놀 S형, 비스페놀 AF형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은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8. 고무를 성형한 후 잔류하는 버를 소련(素練)하여 소련화 고무 혼합물을 형성하는 소련화 단계;
    상기 소련화 고무 혼합물 0.01 내지 30 중량%와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 및 아민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와 비스페놀 가교 시스템계 불소고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불소고무 신재(新材) 70 내지 99.99 중량%를 혼합하여 혼련(混練)시켜 성형용 고무를 형성하는 원료고무 제조단계 및
    상기 원료고무에 글리시딜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및 유기 포스포늄염(phosphonium salt)를 혼합하는 가교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단계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카본블랙 20 내지 40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원료고무 제조단계는 상기 원료고무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식물성 왁스 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혼합하는 것인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20072640A 2012-07-04 2012-07-04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93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40A KR101493812B1 (ko) 2012-07-04 2012-07-04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640A KR101493812B1 (ko) 2012-07-04 2012-07-04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94A KR20140004994A (ko) 2014-01-14
KR101493812B1 true KR101493812B1 (ko) 2015-03-02

Family

ID=5014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640A KR101493812B1 (ko) 2012-07-04 2012-07-04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38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14B1 (ko) * 1993-12-29 2002-12-11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고무조성물및그의성형품
KR100565828B1 (ko) * 2004-05-28 200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불소고무 재생분말을 이용한 불소고무판 및 그 제조 방법
US7718736B2 (en) * 2005-06-30 2010-05-18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Base resistant FKM-TPV elastomers
KR20110008152A (ko) * 2008-03-27 2011-01-26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고무 조성물 및 불소 고무 가교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914B1 (ko) * 1993-12-29 2002-12-11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고무조성물및그의성형품
KR100565828B1 (ko) * 2004-05-28 2006-03-30 주식회사 화승알앤에이 불소고무 재생분말을 이용한 불소고무판 및 그 제조 방법
US7718736B2 (en) * 2005-06-30 2010-05-18 Freudenberg-Nok General Partnership Base resistant FKM-TPV elastomers
KR20110008152A (ko) * 2008-03-27 2011-01-26 에누오케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고무 조성물 및 불소 고무 가교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94A (ko) 2014-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30542B (zh) 一种橡套电缆用无卤耐老化可剥离屏蔽料
KR101270545B1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JP2610145B2 (ja) ゴム組成物
KR102104716B1 (ko) 재생 고무를 포함하는 신발 겉창용 고무 조성물
CN1069679C (zh) 一种热塑性橡胶型防水卷材
KR101992833B1 (ko) 플랜트 믹스형 저소음 배수성 아스팔트 개질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사용한 도로 포장방법
KR101493812B1 (ko)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한 고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6720874B2 (ja) タイヤ加硫ブラダーの使用方法
EP1008624A1 (en) Rubber composition, electric wire coating material, and electric wire
KR20160123473A (ko) 바이오 소재를 사용한 열가소성 에라스토머 조성물
CN106009108A (zh) 一种耐低温丁腈橡胶胶料及其制备方法
KR102142118B1 (ko)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아이오노머계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동적가교형 열가소성 탄성체의 제조 방법
KR102601335B1 (ko) 무발포 저비중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체
KR20160046359A (ko) 타이어 가류용 블래더 고무 조성물
KR101346667B1 (ko) 고무 가교시 발생하는 버를 재활용하는방법
DE102014212469B4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ichtung für Brennstoffzellen aus einer Kautschukmischung, sowie Dichtung für Brennstoffzellen, die über ein derartiges Verfahren hergestellt wurde
EP2920238B1 (en) Process for recovering wastes of a polymeric composition including a peroxidic crosslinking agent
KR101190733B1 (ko) 셀룰로오스 분말 충전 웨더스트립 조성물
KR20170046897A (ko) 기계적 강도와 영구압축변형률이 우수한 초분자 열가역성 가교형 탄성체 조성물을 이용한 탄성체의 제조 방법
CN108329541A (zh) 耐低温丁腈混炼胶的制备方法
EP0574591A1 (en) Vulcanizable rubber composition and vulcanized rubber
KR102575263B1 (ko) 고절연성 가황 고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신발 부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12985B1 (ko) 대전방지용 반도전성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9143059A (ja) 水素化ニトリルゴム用架橋剤マスターバッチ、水素化ニトリルゴム組成物および水素化ニトリルゴム架橋成形品
KR101653758B1 (ko) 오링용 고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