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3023B1 - Gripper for handheld device - Google Patents

Gripper for handheld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3023B1
KR101493023B1 KR20130123185A KR20130123185A KR101493023B1 KR 101493023 B1 KR101493023 B1 KR 101493023B1 KR 20130123185 A KR20130123185 A KR 20130123185A KR 20130123185 A KR20130123185 A KR 20130123185A KR 101493023 B1 KR101493023 B1 KR 101493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ring
base plate
polygonal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31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30121794A (en
Inventor
조성목
Original Assignee
조성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성목 filed Critical 조성목
Publication of KR201301217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17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1. 기술분야
본 발명은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2. 주요구성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파지기구는,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각면의 관통체를 구비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관통체에 결합되는 일부구간이 상기 관통체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를 포함하는 파지기구이다.
3. 기술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부주의로 인한 전자기기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1. Technical Field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a smartphone or a tablet computer to assist a user in safely hold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 Main configuration
A gripping mechanism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late having a bonding pad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lower portion; An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otating portion and including a protruding piece having a through hole on a polygonal surface; And an integral ring formed by a part of the section coupled to the penetrating member forming the same polygonal surface as the penetrating polygonal surface.
3. Technical eff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 of the electronic device due to carelessness.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GRIPPER FOR HANDHELD DEVICE}[0001] GRIPPER FOR HANDHELD DEVICE [0002]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computer to assist a user in safely hold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최근 스마트폰 및 태블릿 컴퓨터 등 휴대용 전자기기 시장이 급증하는 추세이다. 이들 휴대용 전자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은 주변 액세서리에도 관심을 기울인다. 이를테면,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각종 케이스 등이 그것이다. 특히 사용자가 케이스를 전자기기에 장착하는 주된 이유는 사용 중 낙상에 따른 파손을 조금이라도 줄이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케이스들은 낙상 후의 사후조치를 위한 것일 뿐 낙상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지 못한다. Recently,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smart phones and tablet computers are increasing rapidly. Users of these handheld electronic devices are also interested in peripheral accessories. Such as display protective films, various cases, and the like. Particularly, the main reason for the user to attach the case to the electronic device is to reduce the damage caused by the fall during use. However, these conventional cases are only for post-fall measures and do not solve the root cause of falls.

한편,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8-0013117(출원일: 2008년 09월 30일)에는 "핸드폰 손잡이"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as a conventional technique,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20-2008-0013117 (filed on September 30, 2008) discloses a "cell phone handle "

종래 실용신안에 따른 핸드폰 손잡이는, 각각의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 한 쌍의 디스크(110, 120)로 구성되어, 핸드폰 배면에 그 일면이 접착되는 회전부재(100)와; 상기 회전부재(100)의 타면에 고정 결합되는 판상의 고정부재(200)와; 고무재와 같은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이며, 상기 판상의 고정부재(200)의 양 측면에 말단부 각각이 걸착되는 걸이부재(300);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핸드폰을 사용하는 경우, 손가락 일부를 걸어 보다 안정된 핸드폰 파지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member 100 having a pair of discs 110 and 120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A plate-like fixing member 200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urface of the rotary member 100; And a hook member 300 having elasticity such as a rubber material and having distal ends attached to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like fixing member 200. When a user uses a mobile phone, So that the mobile phone can be grasped.

이러한, 종래의 핸드폰 손잡이는 한 손을 다 사용하도록 하는 구성이면서 판상의 고정부재와 걸이부재의 결합이 정확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This conventional hand phone knob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one hand is fully used, but the coupling between the plate-like fastening member and the hooking member is not accurately shown.

그리고, 핸드폰 손잡이는 단순히 손으로 파지하기만 위한 것이며 영상 컨텐츠 시청 또는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능이 배제된 기술로 전자기기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is mounted on the floor, the handset handle is merely for hand-holding, and is not equipped with a mounting function for obliquely tilting the electronic device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viewing screen or a table, There is an inconvenien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편안하고 견고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함과 바닥면에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는 두 가지 기능을 모두 구비한 파지기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ipping mechanism having both functions for allowing a user to comfortably and firmly hol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or tilting the bottom surface obliquely There is a purpos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개시되는 파지기구는,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형성되며, 다각면의 관통체를 구비한 돌출편을 포함하는 결합부재; 및 상기 관통체에 결합되는 일부구간이 상기 관통체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를 포함한다.A gripping mechanism disclosed in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plate having a bonding pad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lower portion; An engaging memb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edge of the rotating portion and including a protruding piece having a penetrating body of a polygonal surface; And an integral ring formed by a part of the portion coupled to the penetrating member forming the same polygonal surface as the penetrating polygonal surface.

바람직하게, 상기 회전부는, 회전축을 통해 상기 베이스판의 결합공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rotating portion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of the base plate through a rotation shaft.

바람직하게, 상기 일부구간의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olygonal plane of the partial section is three or more planes.

바람직하게, 상기 돌출편은,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projecting piece is a rubber material.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기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파지기구의 고리에 손가락을 끼워 휴대용 전자기기 전체를 편리하게 휴대 또는 이용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tir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easily carried or used by putting a finger in the ring of the holding mechanism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the convenience is improved.

또한, 전자기기를 떨어뜨릴 염려 없이 항상 안정적으로 전자기기 휴대하거나 이용할 수 있어 안정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always carried or used stably without fear of dropping the electronic device, thereby improving stability.

아울러, 사용자가 편안하게 전자기기를 파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 부주의로 인한 전자기기의 낙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user can comfortably hold the electronic devic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nic device from falling due to carelessness during use.

또한, 전자기기를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경우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tilted obliquely on the floor surface such as a desk or the like, the mounting angle can be smoothly secured.

도 1은 종래의 핸드폰 손걸이를 나타낸 도면.
도 2 및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9 및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1 및 도 12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13 및 도 1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15 및 도 18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19 및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1 및 도 2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23 및 도 26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를 나타낸 구성도.
도 27 및 도 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
도 29 및 도 30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사용 상태도.
도 31 및 도 32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고정슬리브를 나타낸 도면.
도 33 및 도 3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의 일부구간의 돌기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hand phone hanger.
FIG. 2 and FIG. 4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Figs. 5 and 6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Fig. 7 and Fig. 8 are usage stat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Figs. 9 and 10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1 and 12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13 and Fig. 14 are usage stat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Fig. 15 and Fig. 18 are structural views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19 and 20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1 and Fig. 22 are usage stat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Figs. 23 and 26 are block diagrams show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Fig. 27 and Fig. 28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Fig. 29 and Fig. 30 are usage states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1 and Fig. 32 are views showing a fixing sleev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Figs. 33 and 34 are views showing protrusions of a section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이하, '파지기구'라 함)가 부재부호 '200'으로 지칭되어 있다. 파지기구(200)는 크게 베이스판(210)과 고리(2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3,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referred to as a member code '200'. The gripping mechanism 200 mainly includes a base plate 210 and a ring 220.

베이스판(2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탈·부착되는 접착패드(212)가 구비되어 있다. 베이스판(210)은 그 형상에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은 장방형일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210)에는 결합공(214)이 구비되어 있다.The base plate 210 is provided at its lower portion with an adhesive pad 212 to be detached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The shape of the base plate 21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rectangular shap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base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214.

이하에서는 몇 가지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로 휴대용 전자기기 파지기구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202)을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기구(200)를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것이다.Several other embodiments are described below.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ing mechanism which is attached to the back of a smart phone or a tablet computer, which can hold or grip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easily and stably using a finger So that the user can securely grasp it.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파지기구(200)는 크게 접착패드(212)를 구비한 베이스판(210), 고리(220) 및 일부구간(230), 결합부재(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ures 2 to 4, The gripping mechanism 2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inly includes a base plate 210 having a bonding pad 212, a ring 220 and a part 230, and a coupling member 240.

상기 베이스판(210)은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2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212)가 구비된다.The base plate 210 is provided at its lower portion with a bonding pad 212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olding mechanism 2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상기 접착패드(212)는 휴대용 전자기기(202)에 직접 접착되는 것으로 접착성분으로 형성된 패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pad 212 is preferably adhered directly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and firmly attached to the pad formed of the adhesive component.

이때, 상기 접착패드(212)는 사용 전 비접착 제지에 의해 보호되며, 사용시 그 비접착 제지를 제거한 후 휴대용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adhesive pad 212 is protected by non-adhesive paper before use, and may be used after being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after removing the non-adhesive paper.

상기 베이스판(210)은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태를 보이나 그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The base plate 210 has a rectangular shape as illustrated in the drawing, but the shape thereof is not particularly limited.

그리고 베이스판(210)에는 결합공(214)이 구비되어 있다.The base plate 2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214.

상기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는 고리(220)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결합부재(240)가 일체형으로 삽입 결합을 이룬다.A coupling member 240 including a ring 22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coupling hole 214 of the base plate 210 to form an insertion coupling.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축(250)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244) 외주연에는 돌출편(242)이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The coupling member 240 is installed in the coupling hole 214 of the base plate 210 by inserting the rotary shaft 250 and the protruding piece 242 is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ry part 244.

그리고, 상기 결합부재(240)는 휴대용 전자기기(202)를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하기 위한 고리(220)를 구비한다.The coupling member 240 has a ring 220 for stably carrying or gripp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202.

상기 고리(220)는 손가락을 끼워 파지 및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관통공을 갖는 일체형 링 형태이다.The ring 220 is in the form of an integral ring having a through hole for holding and carrying a finger.

상기 고리(220)는 사용자의 손가락(주로 중지 또는 검지)에 삽입된다. The ring 220 is inserted into the user's finger (mainly paused or indexed).

이때, 상기 고리(220)는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이 동시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즉, 중지와 검지 또는 중지와 약지 등 두 개 이상의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제작한다.At this time, the ring 220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 size capable of simultaneously inserting two or more fingers. That is, it is made to have a size enough to insert two or more fingers such as a stop, a finger or a finger, and a finger.

상기 고리(220)에는 결합부재(240)의 돌출편(242)에 내삽되는 부분으로 소정의 일부 구간이 다각면으로 형성한 일부구간(230)을 구성한다.The ring 220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iece 242 of the coupling member 240 and constitutes a partial section 230 having a predetermined partial section formed into a polygonal shape.

상기 고리(220)는 원형형태를 가지고 일부구간(230)은 원형형태의 고리(2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The ring 220 has a circular shape, and the section 230 has a shape in which some sections extend horizontally from the circular ring 220.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일부구간(230)은 돌출편(242)에 내삽되며, 베이스판(210)에서 고리(220)가 틸팅 기능과 회전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Referring to FIGS. 5 and 6, And is inserted into the protruding piece 242 so that the ring 220 at the base plate 210 can have a tilting function and a rotating function.

이때, 상기 돌출편(242)은 고리(220)가 틸팅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하드한 고무 재로 한다.At this time, the protruded piece 242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rd enough to give the ring 220 a frictional force against tilting.

상기 돌출편(242)은 일부구간(230)과 같은 다각면을 내주면에 관통체(246)를 형성하며, 상기 일부구간(230)이 돌출편(242) 내부에서 회동할 때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한다.The protruding piece 242 forms a penetrating body 246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polygonal surface such as a partial section 230 and a portion of the protruding piece 242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piece 242 directly Friction contact.

여기서, 상기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은 다각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으로 한다.Here, the part 230 and the protruding piece 242 may be formed of polygonal surfaces, and the polygonal surface may be three or more surfaces.

파지기구(200)를 바닥면에 거치함에 있어 전자기기(202)가 바닥면에 소정의 각도를 비스듬히 거치할 수 있도록 고리(220)가 전자기기(202)를 지탱할 수 있는 지지력을 부여한다.The ring 220 imparts a supporting force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202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202 can be mounted at an angle at a predetermined angle on the floor surface when the holding device 200 is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이러한, 고리(220)의 지지력은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의 다각면에 의해 구현된다.The supporting force of the ring 220 is realized by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section 230 and the protruding piece 242.

상기 일부구간(230)과 돌출편(242)이 가지고 있는 다각면이 서로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전자기기(2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202)를 지탱한다.The polygonal faces of the sections 230 and the protruding pieces 242 are directly brought into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spective faces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and when the electronic apparatus 202 is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Thereby supporting the electronic device 202.

이러한, 기능을 보다 상세히 비교설명하면, 일예로 고리(220) 링 전체가 원형 형태일 경우 거치하려는 전자기기(2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전자기기(202)에서 고리(220) 링으로 향하는 소정의 힘을 지탱하기에 부족함이 있다.For example, when the entire ring 220 of the ring 220 is in a circular shape, it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202 to be mounted, There is a lack of support for strength.

원형의 링과 상기 원형 링을 계합하는 고정편이 모두 원형형태를 가진다면 마찰 접촉이 없게 되어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holding force is weak because there is no frictional contact if both the circular ring and the stationary member engaging the circular ring have a circular shape.

또한, 원형 링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절단된 양 끝에 회전돌기를 구성하여 베이스판에 수평축으로 체결을 이루는 구성을 갖는 구성일 경우, 이 역시 수평축에 의해 지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원형 링의 마찰력이 증대되지 않고,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으로 원형 링의 지지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Further, in the cas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circular ring is cut, and the rotary protrusion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circular ring and is fastened to the base plate on the horizontal axis, the frictional force of the circular ring, And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support force of the circular ring is weak due to rotation about the horizontal axis.

이때, 위 두 가지 모두 회동 기능을 장시간 사용하면 마모가 발생하고, 부착판에서의 원형 링이 헐거워져 헛 회전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when both of the above functions are used for a long time, abrasion occurs, and the circular ring in the attachment plate is loosened, causing a problem of rotating the hut.

이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는 본 발명의 베이스판(210)의 돌출편(242)과 상기 돌출편(242)에 결합된 고리(220)의 일부구간(230)을 다각면으로 형성하여 베이스판(210)에서 고리가 틸팅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보안되었다.A protruding piece 242 of the base plate 2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ection 230 of the ring 220 coupled to the protruding piece 242 are formed into a polygonal surface to solve the above- ), The ring is secured to have the tilting function.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2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Thus, a mounting angle at which the electronic device 202 can be obliquely rough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tabletop can be smoothly secured.

한편, 상기 돌출편(242)은 결합부재(240)의 회전부(244) 외주연에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부(244)가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삽입 결합으로 베이스판(210)의 일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된 구성을 이룬다.The protruding piece 242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on part 244 of the coupling member 240 and the rotation part 244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214 of the base plate 210, And is integrally attached to one surface of the base 210.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축(250)과 결합되어 일면에 일체적으로 부착되는 구성을 갖는다.The coupling member 240 is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214 of the base plate 210 and coupled to the rotary shaft 250, and is integrally attached to one surface.

상기 결합부재(240)는 베이스판(210)의 결합공(214)에 회전 가능하게 일체로 축 설치된다.The coupling member 240 is rotatably and integrally installed on the coupling hole 214 of the base plate 210.

상기 결합부재(240)는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베이스판(210)의 배면에서 360도 회전 가능하게 축 설치되며 상기 고리(220)는 베이스판(210)에 수용 설치된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다.The coupling member 2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so as to be rotatable 360 degrees around the rotation axis 250. The rotation axis 250,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base plate 210, .

또한, 상기 고리(220)는 결합부재(240)의 돌출편(242)에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는 결합을 이룬다.In addition, the ring 220 is coupled to the projecting piece 242 of the engaging member 240 so as to be rotatable at an angle of 180 degrees.

아울러, 상기 고리(220)는 베이스판(210)의 배면에서 회전축(25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돌출편(242)을 중심으로 180도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The ring 220 is rotatable 360 degrees about the rotation axis 250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210 and is vertically adjustable 180 degrees around the protrusion 242.

상기 고리(22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서만 임의적으로 회전 또는 수직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고리(220)에 마찰가능하게, 즉 헐겁지 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ing 220 is formed to be rotatable, and is preferably frictionally or non-loosely inserted into the ring 220 so that it can be arbitrarily rotated or vertically adjusted only by the user.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파지기구 사용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Figs. 7 and 8 are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hold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파지기구(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면에 부착되어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200)의 고리(2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20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기기(202)를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파지기구(200)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간이 거치대 기능을 겸하고 있다. The gripping mechanism 20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ses the electronic device 202 after inserting the finger into the loop 220 of the holding mechanism 200. [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202 can be used safely without fear of inadvertently dropping the electronic device 202. Further, the gripping mechanism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rves as a simple holder function as illustrated in Fig.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의 파지기구(200)에서 더욱 간편하고 안정적으로 휴대 또는 파지할 수 있는 파지기구(300)를 제안한다.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embodiment proposes a gripping mechanism 300 that can be carried or gripped more easily and stably in the gripping mechanism 200 of the first embodiment.

제2 실시예의 파지기구(300)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보조한다.The gripping mechanism 3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a smartphone or a tablet computer to assist the user in safely gripping the gripping mechanism.

구체적으로 파지기구(300)는 크게 접착패드(312)를 구비한 베이스판(310), 회전부(344), 걸이단(340) 및 고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the gripping mechanism 300 mainly includes a base plate 310 having a bonding pad 312, a rotating portion 344, a hooking end 340, and a ring 320.

상기 베이스판(3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3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3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312)를 구비한다.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310 is provided with a bonding pad 312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olding mechanism 3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2.

상기 접착패드(312)는 휴대용 전자기기(302)에 직접 접착되는 것으로 접착성분으로 형성된 패드로 견고하게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pad 312 is preferably adhered directly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2 and is firmly attached to the pad formed of the adhesive component.

그리고 베이스판(310)에는 결합공(314)이 구비되어 있다.The base plate 3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314.

상기 베이스판(310)의 결합공(314)에는 베이스판(310)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350)이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350)의 외주연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무재의 걸이단(340)을 구성한다.A rotation shaft 350 coupled to the base plate 310 so as to be horizontally rotatable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314 of the base plate 310 and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section 350 to one side Thereby constituting a hooking end 340 of the rubber material.

상기 걸이단(340)은 'ㄷ' 형상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중앙이 소정으로 절개된 공간부(342)가 형성되고, 상기 공간부(342) 양측 내벽에는 다각면의 회동홈(346)을 형성한다.The hanging end 340 can be seen in a 'C' shape and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342 cut at a predetermined center, and a polygonal turning groove 346 is formed in the inner wall on both sides of the space portion 342 .

그리고, 상기 걸이단(340)에 고리(320)가 결합을 이룬다.The hook 320 is engaged with the hook 340.

상기 걸이단(340)과 고리(320)의 결합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320)에 일체로 형성된 회동바(330)에 의해 걸이단(340) 양측 회동홈(346)에 결합되어 9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ing end 340 and the hook 320 is coupled to the both side turning groove 346 of the hooking end 340 by the pivoting bar 330 integrally formed in the loop 320 as shown in FIG. It can be rotated at an angle of 90 degrees.

상기 회동바(330)는 고리(320)의 일측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어 회동홈(346)에 수평하게 결합되도록 회동바(330)의 양측 단부는 회동홈(346)에 결합된다.Both ends of the pivoting bar 330 are coupled to the pivoting groove 346 so that the pivoting bar 330 protrudes from one side of the ring 320 and is horizontally coupled to the pivoting groove 346.

상기 회동바(330)는 회동홈(346)의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다.The rotation bar 330 forms the same polygonal surface as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rotation groove 346.

여기서, 상기 회동바(330)의 다각면은 3개 이상의 면인 것이다.Here, the polygonal face of the pivot bar 330 is three or more faces.

상기 고리의 회동바(330)는 걸이단(340)의 공간부(342)에 내삽되는 부분으로 원형형태의 고리(3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외측으로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The pivoting bar 330 of the ring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342 of the hooking end 340 and has a shape in which a part of the circle extends horizontally outwardly from the circular ring 320.

상기 회동바(330)는 공간부(342)의 양측 회동홈(346)에 삽입되며, 베이스판(310)에서 고리(320)가 틸팅 기능과 회전 기능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The pivot bar 330 is inserted into the pivot holes 346 of the space portion 342 so that the pivot 320 can have a tilting function and a rotation function at the base plate 310.

이때, 상기 걸이단(340)은 고리(320)가 틸팅에 대한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하드한 고무 재로 한다.At this time, the hooking end 34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hard enough to give the hook 320 a frictional force against tilting.

상기 걸이단(340)의 회동홈(346)은 회동바(330)와 같은 다각면으로 회동바(330)가 회동홈(346)에서 회동할 때 각 면과 직접적으로 마찰 접촉한다.The pivoting groove 346 of the hooking end 340 is in the same polygonal shape as the pivoting bar 330 and is in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spective faces when the pivoting bar 330 is pivoting in the pivoting groove 346.

도 14를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300)에 의해 전자기기(3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302)를 지탱한다.Referring to FIG. 14, a frictional contact is provided to support the electronic device 302 with a predetermined for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302 is mounted on the floor by the holding mechanism 300.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3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Thus, a mounting angle at which the electronic device 302 can be obliquely rough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tabletop can be smoothly secured.

한편, 상기 고리(32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판(310)의 배면에서 회전축(35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 가능하고, 걸이단(340)을 중심으로 90도의 수직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11 and 12, the ring 320 is rotatable 360 degrees around the rotation axis 350 at the rear surface of the base plate 310, and has a vertical angle of 90 degrees around the hook end 340 The angle can be adjusted.

아울러, 고리(320)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3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300)의 고리(3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302)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전자기기를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13, the ring 32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302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nger into the ring 320 of the holding mechanism 300 and then use the electronic device 302 It will be done.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safely without fear of inadvertently dropping the electronic device.

또한, 상기 고리(32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바, 사용자에 의해서만 임의적으로 회전 또는 수직 각도 조절할 수 있도록 고리(320)에 마찰가능하게, 즉 헐겁지 않게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ring 320 is rotatably formed,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ring 320 is frictionally or non-loosely inserted into the ring 320 so as to be arbitrarily rotated or vertically adjusted only by the user.

따라서, 파지기구(300)를 구비하는 전자기기(302)는 부주의하게 떨어뜨릴 우려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electronic device 302 having the holding mechanism 300 can be used safely without fear of inadvertently dropping it.

한편, 도 15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5 and 17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실시예의 파지기구(400)는 구체적으로 크게 접착패드(412)를 구비한 베이스판(410), 회전부(430), 결합편(420) 및 고리(440), 회동 슬리브(4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ripping mechanism 400 of the third embodiment specifically includes a base plate 410 having a bonding pad 412, a rotating portion 430, a coupling piece 420 and a ring 440, and a pivoting sleeve 460 .

상기 베이스판(4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4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4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412)를 구비한다.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410 is provided with a bonding pad 412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olding mechanism 4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402.

그리고 베이스판(410)에는 결합공(414)이 구비되어 있다.The base plate 41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hole 414.

상기 베이스판(410)의 결합공(414)에는 베이스판(410)에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450)이 삽입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회전부(430)의 외주연에서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체형의 결합편(420)이 형성된다.A rotation shaft 450 coupled to the base plate 410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414 of the base plate 410 and extends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rotation portion 430 to one side An integral engagement piece 420 is formed.

상기 회전축(450)을 중심으로 베이스판(410)에서 결합편(420)에 결합된 고리(440)는 회전한다.The ring 440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420 at the base plate 410 about the rotation axis 450 rotates.

상기 결합편(420)은 회전축(450)에서 일체형이며,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다단으로 절곡을 이루는 '┏┓' 형상을 가진다. The coupling piece 42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rotary shaft 450 and has a shape extending to one side and has a shape of '┏ ┓' that bends in a multi-stage manner.

상기 결합편(420)은 하방이 개구되고, 양 측부는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422)를 구성한다.The engaging piece 420 is open downward, and both side portions constitute a downward tongue groove portion 422 of a polygonal shape passing through.

이러한, 상기 하방요홈부(422)에 회동 슬리브(460)와 함께 고리(440)가 결합을 이룬다.The ring 440 is coupled with the pivoting sleeve 460 to the lower pivotal groove 422.

상기 고리(440)는 일부구간(442)이 상기 하방요홈부(422)의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다.The ring 440 forms a polygonal surface in which a section 442 is the same as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lower hollow 422.

상기 회동 슬리브(460)는 상기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을 내삽하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상방요홈부(462)를 구성한다. The pivoting sleeve 460 constitutes a polygonal upper oblique groove portion 462 through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pivoting sleeve 460 is open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portion 442 of the ring 440 for interpolating the segment 442.

이때,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 고리(440)의 일부구간(442), 회동 슬리브(460)의 상방요홈부(462)에 형성되는 다각면은 동일한 형태를 가진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polygon formed in the lower side recessed groove portion 422 of the engagement piece 420, the partial section 442 of the annulus 440, and the upper side recessed portion 462 of the pivotal sleeve 460 have the same shape.

아울러, 상기 고리(440)와 회동 슬리브(460)는 고무재로 결합편(420)에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결합된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내삽 고정된다.The ring 440 and the rotating sleeve 460 are joined to the coupling piece 420 by a rubber material so that the rotation sleeve 460 coupled to the section 442 of the ring 440 is engaged with the coupling piece 42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lower side recessed portion 422 of the lower portio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되고, 고리(440)와 회동 슬리브(460)가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내삽된다.More specifically, the rotation sleeve 460 is coupled to the section 442 of the ring 440 and the ring 440 and the rotation sleeve 460 are coupled to the lower side groove 422 of the engagement piece 420 Interpolated.

이때, 결합는 순서는 임의적인 것으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이 결합편(420)에 먼저 내삽되고, 결합편(420)의 하방요홈부(422)에 회동 슬리브(460)가 내합되면서 고리(440)의 일부구간(442)에 상방요홈부(462)가 결합되는 방식으로도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order of the coupling is arbitrary, and a section 442 of the ring 440 is first inserted into the coupling piece 420, and the pivoting sleeve 460 is inserted into the lower pivotal groove portion 422 of the coupling piece 420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the upper recessed groove portion 462 to the section 442 of the annulus 440.

한편, 회전부(430)는 결합편(420)과 함께 베이스판(410)에 결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회전부(430)는 상하 체결구조를 가지는 체결부재(470)에 의해 베이스판(410)의 결합공(414)에 결합된다.The rotation part 43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4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part 420 so that the rotation part 430 is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420 of the base plate 410 by the coupling member 470 having a vertically- Gt; 414 < / RTI >

상기 체결부재(470)를 중심으로 회전부(430)와 일체로 형성된 결합편(420)이 회전하는 것이다.And the engaging piece 420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portion 430 rotates around the engaging member 470. [

이러한, 상기 결합편(420)은 도 19 및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부(420)와 함께 베이스판(410)에 결합을 이루고 상기 결합편(420)에 결합된 고리(440)는 회동 슬리브(460)를 통해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19 and 20, the coupling piece 42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410 together with the rotation part 420, and the ring 440 coupled to the coupling piece 420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410, (460).

이때, 상기 고리(440)는 임의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ing 440 can be rotated at an arbitrary angle.

그리고, 상기 고리(440)는 베이스판(410)의 배면에서 회전부(430)를 중심으로 결합편(420)과 함께 360도 회전한다.The ring 440 is rotated 360 degrees together with the coupling piece 420 around the rotation part 430 at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410. [

아울러, 고리(440)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4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400)의 고리(440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402)를 사용하게 된다. 21, the ring 44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402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nger into the ring 4400 of the holding mechanism 400 and then use the electronic device 402 .

또한, 도 22을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400)에 의해 전자기기(4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402)를 지탱한다.Referring to FIG. 22, a frictional contact is mad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402 is mounted on the floor by the holding mechanism 400, the electronic device 402 is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force.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4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Thus, a mounting angle at which the electronic device 402 can be obliquely rough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tabletop can be smoothly secured.

한편, 도 23 및 도 2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23 and 26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4 실시예의 파지기구(500)는 구체적으로 크게 접착패드(512)를 구비한 베이스판(510), 고리(520), 슬리브(530), 회전캡(540), 고정부재(5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gripping mechanism 500 of the fourth embodiment specifically includes a base plate 510 having a bonding pad 512, a ring 520, a sleeve 530, a rotating cap 540, and a fixing member 550 .

상기 베이스판(510)의 하부에는 휴대용 전자기기(502)의 배면에서 파지기구(500)를 탈부착 가능하게 하는 접착패드(512)를 구비한다.A lower portion of the base plate 510 is provided with a bonding pad 512 for detachably attaching the holding mechanism 500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502.

그리고, 베이스판(510)의 중앙에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결합공(514)이 구비되어 있다.A coupling hole 514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510.

고리(520)는 원형형태를 가지고 일부구간(522)은 원형형태의 고리(520)에서 일부 구간이 수평하게 연이어지는 형태를 갖는다.The ring 520 has a circular shape, and some sections 522 have a shape in which some sections extend horizontally in a ring 520 of a circular shape.

이때, 상기 일부구간(522)은 다각면으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partial section 522 is formed as a polygonal surface.

상기 고리의 일부구간(522)에 결합하는 슬리브(530)는 고무재로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을 내삽하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상방요홈부(532)를 구성한다.The sleeve 530 coupled to the section 522 of the annulus is formed with a polygonal upper upper groove portion 530 which is opened at the top so as to be engaged with a portion of the annulus 520 to be inserted into the annular portion 520, 532).

상기 슬리브(530)를 결합한 고리(520)는 회전캡(540)에 의해 베이스판(510)에 고정된다.The ring 520 that joins the sleeve 530 is fixed to the base plate 510 by the rotation cap 540.

상기 회전캡(540)은 베이스판(510)의 결합공(514)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고리(520)와 슬리브(530)를 하부 측으로 내입할 수 있는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544)를 구성한다.The rotation cap 540 has the same diameter as the engagement hole 514 of the base plate 510 and has a polygonal lower recessed groove portion 544 capable of inserting the ring 520 and the sleeve 530 into the lower side, .

상기 회전캡(540)은 하부의 내면 양측에 체결공(542)을 형성하면서 중앙으로 관통하는 하방요홈부(544)가 구성된다.The rotary cap 540 has a lower recessed portion 544 penetrat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while forming a fastening hole 542 on both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thereof.

상기 회전캡(540)의 하부는 원형이면서 하방요홈부(544) 양측으로 소정부분 채워진 형태로 체결공(542)을 형성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ry cap 540 is circular and forms a fastening hole 542 in a form partially filled with both sides of the lower recessed portion 544.

그리고 회전캡(540)은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회전캡(540)의 하부에 고정부재(550) 결합으로 베이스판(510)에 고정된다.The rotary cap 540 is fixed to the base plate 510 by a fixing member 550 in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cap 540 about the base plate 510.

이때, 상기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상부로는 회전캡(540)이 위치하고, 베이스판(510) 하부로는 고정부재(550)가 위치하여 각각 형성된 체결공(542)으로 체결부재(560)가 삽입 고정한다.At this time, the rotation cap 54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plate 510, the fixing member 550 is positioned below the base plate 510, and the fastening members 560 ) Is inserted and fixed.

즉, 상기 베이스판(510)을 중심으로 하부로 고정부재(550)가 위치하고. 회전캡(540)은 슬리브(530)와 고리(520)를 내입한 상태로 베이스판(510) 상부로 놓여지면서 고정부재(550) 측의 체결공(542)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560)에 의해 조립된다.That is, the fixing member 550 is positioned below the base plate 510. The rotation cap 54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member 560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542 of the fastening member 550 while the sleeve 530 and the ring 52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plate 510 .

이러한, 상기 베이스판(510)에서 회전캡(540)에 결합된 고리(520)는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530)를 통해 180도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The ring 520 coupled to the rotary cap 540 in the base plate 510 may be rotated at an angle of 180 degrees through the sleeve 530 as shown in FIGS. 27 and 28.

이때, 상기 고리(520)는 임의의 각도로 회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ing 520 can be rotated at an arbitrary angle.

그리고, 상기 고리(520)는 베이스판(510)의 배면에서 회전캡(540)을 중심으로 360도 회전한다.The ring 520 is rotated 360 degrees about the rotation cap 540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base plate 510.

아울러, 고리(520)는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502)의 배면에 부착되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파지기구(500)의 고리(520)에 삽입한 후 전자기기(502)를 사용하게 된다. 29, the ring 520 i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502 so that the user can insert the finger into the ring 520 of the holding device 500 and use the electronic device 502 .

또한, 도 30을 참조하면, 마찰 접촉을 하게 되어 지지력이 부여되고, 파지기구(500)에 의해 전자기기(5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502)를 지탱한다.Referring to FIG. 30, a frictional contact is made to provide a supporting force, and when the electronic device 502 is mounted on the floor by the holding mechanism 500, the electronic device 502 is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force.

이리하여 탁상 등과 같은 바닥면에 전자기기(502)를 비스듬히 거칠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 각도가 원활히 확보된다.Thus, a mounting angle at which the electronic device 502 can be obliquely roughed on a floor surface such as a tabletop can be smoothly secured.

한편, 도 31 및 도 32를 참조하면, 슬리브(530)의 다른 일 실시형태로 고정슬리브(570)를 고리(520)의 일부구간(522)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한다.31 and 32, the fixing sleeve 57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portion 522 of the ring 5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sleeve 530. [

상기 고정슬리브(570)는 고무재로 구성되며, 상기 일부구간(522)의 둘레를 사각형태로 감싸 일부구간(522)에 결합된다.The fixing sleeve 570 is made of a rubber material and is coupled to the section 522 by wrapping the circumference of the section 522 in a rectangular shape.

고리의 일부구간(522)에 고정슬리브(570)가 결합된 상태로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에 내삽된다.And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cessed portion 544 of the rotary cap 540 in a state where the fixed sleeve 570 is engaged with the section 522 of the ring.

이렇게, 상기 고정슬리브(570)가 일부구간(522)에 부착된 상태를 이루어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과의 결합이 수월해 진다.In this way, the fixing sleeve 570 is attached to the section 522, so that the rotation cap 540 can be easily coupled with the lower recessed portion 544.

아울러,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부착된 고정슬리브(570)를 회전캡(540)의 하방요홈부544에 내입하고, 베이스판(510) 상부로 놓여지며, 베이스판(510)의 하부로 고정부재(550) 측의 체결공(542)으로 삽입되는 체결부재(560)에 의해 조립된다.The fixed sleeve 570 attached to the section 522 of the ring 520 is inserted into the lower recessed groove portion 544 of the rotary cap 540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late 510, By a fastening member 560 inserted into a fastening hole 542 on the fixing member 550 side.

한편, 도 33 및 도 34를 참조하면,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대한 다른 일 실시형태로서, 상기 고리(520)의 일부구간(522)에 다수의 돌기(580)가 형성한다.33 and 34,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ction 522 of the ring 520, a plurality of protrusions 580 are formed in a section 522 of the ring 520 .

상기 돌기(580)는 일부구간(522)의 둘레로 각 면에 수평하게 다수 구성할 수 있고, 일부구간(522)에서 상하 높이의 차 즉,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는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The protrusions 580 may be formed horizontally on the respective surfaces around the sections 522 and may be formed in a zigzag shape having different heights, that is,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in the sections 522.

상기 돌기(580)를 구성한 일부구간(522)에는 고정슬리브(570)가 결합되고, 파지기구(500)에 결합된 상태에서의 회동 시 고정슬리브(570)의 내면과 돌기에 마찰이 부여되어 회동에 대한 임의의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하면서, 전자기기(502)를 바닥면에 거치할 경우 소정의 힘으로 전자기기(502)를 지탱하도록 한다.The fixing sleeve 570 is coupled to the section 522 constituting the protrusion 580 and friction is applied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protrusion of the fixing sleeve 570 during rotation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olding mechanism 500, So that the electronic device 502 can be supported with a predetermined force when the electronic device 502 is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몇 가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l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refore to be regarded as be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00:파지기구 202:전자기기
210:베이스판 212:접착패드
214:결합공 220:고리
230:일부구간 240:결합부재
242:돌출편 244:회전부
246:관통체 250:회전축
300:파지기구 302:전자기기
310:베이스판 312:접착패드
314:결합공 320:고리
330:회동바 340:걸이단
342:공간부 344:회전부
346:회동홈 350:회전축
400:파지기구 402:전자기기
410:베이스판 412:접착패드
414:결합공 420:결합편
422:하방요홈부 430:회전부
440:고리 442:일부구간
450:회전축 460:회동 슬리브
462:상방요홈부 470:체결부재
500:파지기구 502:전자기기
510:베이스판 512:접착패드
514:결합공 520:고리
522:일부구간 530:슬리브
532:상방요홈부 540:회전캡
542:체결공 544:하방요홈부
550:고정부재 560:체결부재
570:고정슬리브 580:돌기
200: gripping mechanism 202: electronic device
210: base plate 212: adhesive pad
214: engagement ball 220: ring
230: partial section 240: coupling member
242: projecting piece 244:
246: penetrating member 250: rotating shaft
300: gripping mechanism 302: electronic device
310: base plate 312: adhesive pad
314: engaging ball 320: collar
330: rotation bar 340:
342: Space portion 344:
346: rotating groove 350: rotating shaft
400: holding mechanism 402: electronic device
410: base plate 412: adhesive pad
414: coupling hole 420: coupling piece
422: lower side groove portion 430:
440: Ring 442: Some sections
450: rotating shaft 460: rotating sleeve
462: upper recessed portion 470: fastening member
500: gripping mechanism 502: electronic device
510: base plate 512: adhesive pad
514: coupling ball 520: ring
522: partial section 530: sleeve
532: Upper recessed portion 540: Rotating cap
542: fastening hole 544: lower side groove portion
550: fixing member 560: fastening member
570: Fixing sleeve 580: projection

Claims (14)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한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수평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 외주연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하방이 개구되어 관통하는 3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진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를 구성한 결합편;
일부구간이 상기 하방요홈부의 다각면과 동일한 다각면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
상기 일부구간의 다각면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상방요홈부에 일부구간이 내삽되어 틸딩시의 지지력을 유지하는 회동 슬리브를 포함하는 파지기구.
A gripp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bonding pad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lower portion thereof;
An engaging piec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part and constituting a polygonal lower recessed part having three or more surfaces which are opened downward and penetrate;
An integral ring in which some sections form the same polygonal side as the polygonal side of the lower recess;
And a pivoting sleeve for holding a supporting force at the time of tilting by inserting a part of the upper pivoting groove into the upper pivoting groove through which the upper part is opened and which corresponds to the polygonal surface of the partial se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일부구간에 결합된 회동 슬리브가 결합편의 하방요홈부에 내삽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And a pivoting sleeve coupled to a part of the ring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lower recessed portion of the coupling pie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하 체결구조를 가지는 체결부재에 의해 베이스판의 결합공에 결합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결합을 이룬 회전부를 중심으로 결합편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The method of claim 5,
The rotation unit includes:
And is coupled to a coupling hole of the base plate by a coupling member having a vertical coupling structure,
And the engaging member is rotated about a rotating portion which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회동 슬리브를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6. The method of claim 5,
The ring may be,
And is pivoted at an arbitrary angle around the pivoting sleeve.
휴대용 전자기기의 파지기구에 있어서,
하부에 상기 전자기기의 배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접착패드를 구비하며, 중앙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결합공을 형성한 베이스판;
3개 이상의 면으로 이루어진 다각면을 갖는 일부구간을 형성한 일체형 고리;
상기 일부구간에 삽입되어 틸딩시의 지지력을 유지하는 슬리브;
결합공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며, 하부 내면 양측에 체결공을 형성하면서 중앙으로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하방요홈부를 구성한 회전캡;
상기 베이스판을 중심으로 회전캡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파지기구.
A gripping mechanism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 base plate having a bonding pad detachably attached to a back surface of the electronic device in a lower portion thereof and having a coupling hol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t the center;
An integral ring formed with a section having a polygonal surface of three or more surfaces;
A sleeve inserted in the section and maintaining a supporting force during tilting;
A rotary cap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engaging hole and forming a lower recessed portion having a polygonal shape passing through the center while forming a fastening hole on both sides of the lower inner surface;
And a fixing member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rotary cap about the base plat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는,
슬리브를 중심으로 임의의 각도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ing may be,
And is rotated at an arbitrary angle around the sleev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를 회전캡의 체결공에 체결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파지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astening member for fastening the fastening member to the fastening hole of the rotary ca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고리의 일부구간을 내삽하는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상부가 개방되어 관통하는 다각면 형상의 상방요홈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sleeve
And a polygonal upper concave portion is formed so as to penetrate through the upper portion so that a coupling for interpolating a part of the loop is form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일부구간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된 고정슬리브를 더 포함하는 파지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fixing sleeve configured to surround a portion of the loo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의 일부구간에 다수의 돌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지기구.
10. The method of claim 9,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are formed in a part of the loop.
KR20130123185A 2011-09-28 2013-10-16 Gripper for handheld device KR101493023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8720 2011-09-28
KR20110008720 2011-09-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65A Division KR101357009B1 (en) 2011-01-11 2012-01-04 Gripper for handheld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1794A KR20130121794A (en) 2013-11-06
KR101493023B1 true KR101493023B1 (en) 2015-02-16

Family

ID=4843666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65A KR101357009B1 (en) 2011-01-11 2012-01-04 Gripper for handheld device
KR20130123185A KR101493023B1 (en) 2011-09-28 2013-10-16 Gripper for handheld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0965A KR101357009B1 (en) 2011-01-11 2012-01-04 Gripper for handheld devic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357009B1 (en)
TW (1) TWM465595U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26B1 (en)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Holder for portable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88466T3 (en) * 2013-04-12 2018-11-02 Aauxx Korea Co., Ltd Accessory for mobile device
KR200468710Y1 (en) * 2013-05-30 2013-09-10 이형규 Finger insert grasp for portable mobile terminal and protective case having the same
ITMI20131774A1 (en) * 2013-10-24 2015-04-25 Gianluca INGROSSO DEVICE TO ALLOW THE REALIZATION OF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A USER OF THAT APPLIANCE
KR200484442Y1 (en) * 2015-12-18 2017-09-06 주식회사 앤비츠 Ring Accessories for mobile divice
KR101743265B1 (en) 2016-04-15 2017-06-02 구광서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CN105955409A (en) * 2016-06-08 2016-09-21 卢波 Spacing structure and mobile terminal handheld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0485457Y1 (en) * 2016-06-24 2018-01-11 민금순 Accessary for potable display device
TWI595349B (en) * 2016-08-26 2017-08-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Electronic device
KR200484282Y1 (en) * 2017-02-24 2017-08-22 (주)유윈씨앤티 Holding ring device for cellular phone
KR200485274Y1 (en) * 2017-03-31 2017-12-15 브이엠텍(주) Rotation aid for mobile terminal mounting
KR101957480B1 (en) 2017-09-21 2019-03-12 임영찬 Mobile Device Holder
KR102122722B1 (en) * 2018-01-23 2020-06-26 정승기 Smart environmentqal information and health information providing apparatus
TWD193595S (en) 2018-03-08 2018-10-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Protective case
TWI663501B (en) 2018-03-08 2019-06-2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case
KR102131517B1 (en) * 2018-10-26 2020-07-07 박수성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CN113525238A (en) * 2020-04-17 2021-10-22 爱信轻金属株式会社 Handle mounting structure of slope device
KR102454654B1 (en) 2021-01-11 2022-10-13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Holder for cellphone
KR20230114618A (en) 2022-01-25 2023-08-01 윤여신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en)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Finger ring for mobile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53603A (en) 2005-08-18 2007-03-01 Kf Planning:Kk Finger fixing tool for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570B1 (en) * 2011-01-21 2011-09-05 김혜련 Finger ring for mobile termina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26B1 (en) * 2017-08-08 2019-01-31 이진우 Holder for portabl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M465595U (en) 2013-11-11
KR20130034563A (en) 2013-04-05
KR101357009B1 (en) 2014-02-03
KR20130121794A (en)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3023B1 (en) Gripper for handheld device
JP562294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gripping instrument
KR101062557B1 (en) Ring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ase thereof
US10561228B2 (en) Phone grip attachment
TWI553256B (en) Support device
US20200169626A1 (en) Phone case
KR200483203Y1 (en) Accessory for a mobile device
KR101453889B1 (en) Two rings accessory for mobile device
KR101253763B1 (en) Multifunctional accessories for portable device
KR101267636B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insert-ring capable of inserting fingers thereto
US9772064B2 (en) Display with a supporting mechanism
JP3170743U (en) Holder with stand for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JP2014503160A (en) Finger ring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case provided with the same
US20210341097A1 (en) Adapto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TW201308050A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017142A (en) Mobile phone case having detachable insert-ring capable of inserting fingers thereto
JP5580501B1 (en) Accessories for mobile terminals
JP3186332U (en) Grip for mobile devices
KR101041225B1 (en) Supporter of portable appliance
AU2010206091B2 (en) A Single-Hand Tablet Computer Manipulation Device
TWM463857U (en) A multi-function hand-held device for tablet PC
KR20130001879U (en) Holder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KR101794915B1 (en) Case for mobile electro device
CN220749564U (en) Magnetic support
TWM423983U (en) Drop proof protection cover for handhel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