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54B1 - Holder for cellphone - Google Patents

Holder for cell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54B1
KR102454654B1 KR1020210003323A KR20210003323A KR102454654B1 KR 102454654 B1 KR102454654 B1 KR 102454654B1 KR 1020210003323 A KR1020210003323 A KR 1020210003323A KR 20210003323 A KR20210003323 A KR 20210003323A KR 102454654 B1 KR102454654 B1 KR 102454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elete delete
smartphone
strap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3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101376A (en
Inventor
이경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엔디컴퍼니
Priority to KR1020210003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54B1/en
Publication of KR2022010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13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스마트폰 거치대는, 상단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 상기 상단 고정구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본체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운동기구의 철제 프레임에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효과가 있다.
Smartphon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formed with an upper fixture; a cove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body; a lower fixture to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upper fixture; and at least one magn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mounting the smartphone by using a magnetic force in the iron frame of the exercise equipment by providing a magnet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for fixing the smartphone.

Description

스마트폰 거치대{HOLDER FOR CELLPHONE}Smartphone holder {HOLDER FOR CELLPHONE}

본 발명은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운동기구의 철제 프레임 등에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phone hol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phone holder capable of holding a smartphone by using magnetic force, such as an iron frame of an exercise equipment.

스마트폰은 휴대전화에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이메일, 인터넷 쇼핑이나 인터넷 뱅킹 등이 가능하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으로 유튜브와 같은 영상 컨텐츠를 보는 용도로 사용된다.A smartphone is an intelligent terminal that adds a computer support function to a mobile phone, and by installing an application desired by the user, e-mail, Internet shopping, Internet banking, etc. are possible. Recently, a smartphone is used for viewing video contents such as YouTube.

이러한, 스마트폰으로 영상을 보고자 할 때에는 스마트폰을 손에 쥐거나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각도로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을 책상 또는 바닥에 거치할 때에 적정 거치각도로 고정되지 않는 문제점 있었다.When viewing an image with a smartphone, it is inconvenient because the smartphone must be held in the hand or fixed at a desired angle by the user. In addi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martphone is not fixed at an appropriate mounting angle when mounted on a desk or floor.

이에 따라, 최근에서 스마트폰을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책상 또는 바닥면에 거치시켜 영상 또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도록 스마트폰의 뒷면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거치대(케이스)가 보급되고 있다.Accordingly, in recent years, a holder (case) that i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so that the user can make a video or video call by placing the smartphone on a desk or floor after adjusting it to a desired angle has been popularized.

그러나, 종래의 거치대는 각도를 조절한 후 책상 또는 바닥면과 같은 수평면에 거치하는 기능만 있었다. 이러한 수평면에 거치 기능만 부가된 종래의 거치대는 그 기능적 특성에 의해 사용용도가 한정된다.However, the conventional cradle has only a function of being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such as a desk or floor after adjusting the angle. The use of the conventional cradle in which only a mounting function is added to such a horizontal surface is limited by its functional characteristics.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헬스클럽에서 운동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한 영상 시청 및 운동량을 기록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였으나 종래의 거치대는 수평면에만 거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헬스클럽의 트레드밀, 스핀싸이클과 같은 특정 운동기구에서만 거치 사용이 가능했다.Specifically, the user used an application that records the amount of exercise and watching a video to appease the boredom of exercise in the gym, but since the conventional cradle can only be mounted on a horizontal surface, it is mounted only on specific exercise equipment such as treadmills and spin cycles in the gym. use was possible.

즉, 도 1과 같이 트레드 밀, 스핀싸이클을 제외한 운동기구 사용시에는 거치할 공간이 없으므로 운동기구 위에 올려두거나 주변에 놓아뒀다. 특히 근력 운동기구에는 스마트폰을 놓아둘 공간이 부족하다.That is, as shown in FIG. 1 , when using exercise equipment other than a treadmill and a spin cycle, there is no space to mount it, so it is placed on or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In particular, there is not enough space for a smartphone in strength training equipment.

그러나, 운동기구 위에 올려두거나 주변에 놓아둔 스마트폰은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한 파손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스마트폰을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에 거치할 수 있는 개선된 형태의 스마트폰 거치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However, there is a risk of damage due to the user's negligence in the smart phone placed on or around the exercise equipment.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n improved type of smartphone holder capable of mounting the smartphone on various types of exercise equipment is required.

등록특허공보 제1062570호(2011.09.0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62570 (2011.09.05) 등록특허공보 제1481256호(2015.01.15)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481256 (2015.01.15) 등록특허공보 제1357009호(2014.02.03)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357009 (2014.02.03)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운동기구의 철제 프레임 등에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거치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martphone holder capable of holding a smartphone using magnetic force, such as an iron frame of an exercise equipment.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 상기 상단 고정구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 및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fixture; a cove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body; a lower fixture to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upper fixture; and at least one magn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한편,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피부착 기구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논슬립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non-slip pad may b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increase the bonding force with the attachment mechanism.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본체의 후면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 삽입홈, 및 상기 논슬립 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 설치홈이 형성되되, 상기 논슬립 패드는 상기 자석 삽입홈에 수용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a magnet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at least one magnet and a pad install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non-slip pad are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non-slip pad is accommodated in the magnet insertion groove It may be arranged to cover at least one magnet.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가로(Wbody)와 세로(Lbody)의 비율은 1:3 내지 1:5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 또는 상기 논슬립 패드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반으로 나누는 중심선 위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width (Wbody) to the length (Lbody) of the body is 1:3 to 1:5, and the at least one magnet or the non-slip pad may be disposed on a center line divi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half. have.

한편, 상기 본체에는 무선충전모듈 및 무선통신태그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태그는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에 안착되면 상기 스마트폰이 i) 운동세트 카운터, ii) 세트별 운동 횟수 카운터, iii) 세트간 휴식시간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ain body may be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a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i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t least one function of i) an exercise set counter, ii) an exercise number counter for each set, and iii) a rest time timer between sets when the smartphone is seated on the smartphone holder. can make it run.

바람직하게, 상기 본체의 가로(Wbody)와 세로(Lbody)의 비율은 1:3 내지 1:5이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 및 상기 논슬립 패드 중 적어도 하나는 본체의 길이 방향을 반으로 나누는 중심선 위에 배치되되, 상기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태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심선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atio of the width (Wbody) to the length (Lbody) of the main body is 1:3 to 1:5, and at least one of the at least one magnet and the non-slip pad is on a center line divi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half.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may be disposed below the center line.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둘 이상이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at least one magnet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of two or more.

바람직하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자석은 행(row)의 개수가 열(column)의 개수보다 큰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t least one magnet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in which the number of row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lumns.

일부 실시예들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랩을 힌지 결합시키는 스트랩 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the smartphone holder further includes a strap, and a strap groove for hingedly coupling the strap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body.

한편, 상기 상단 고정구와 하단 고정구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캡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 고정구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와 본체의 사이에는 신장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로드에는 압축스프링을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fixture and the lower fixture are provided with a soft cap for preventing slipping,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body, the lower fixture is provided with a sliding rod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the sliding rod and the main body A compression spring for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and a stopper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mpression spring may be formed on the main body and the sliding rod.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단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 상기 상단 고정구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부 구조물에 상기 본체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력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측 영역에 체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스트랩이 상기 본체의 하측 영역으로 처진 상태에서 상기 자력 고정부재 영역과 이격되도록 구성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having an upper fixture formed thereon; a cove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body; a lower fixture to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upper fixture; a magnetic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magnetically attach the main body to an external structure; and a strap fasten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main body; a smartphone holder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ic fixing member region in a state in which the strap is drooping to the lower region of the main body.

본 발명의 다른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단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 상기 상단 고정구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되어 외부 구조물에 상기 본체를 자력으로 부착시키는 자력 고정부재; 및 상기 본체의 상측 영역에 체결되는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스트랩은 상기 자력 고정부재 방향으로의 처짐이 방지되도록 상기 본체에 체결되거나, 상기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랩 스토퍼가 상기 본체에 별도로 구비된 스마트폰 거치대가 제공된다.According to some oth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dy having an upper fixture formed thereon; a cove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body; a lower fixture to which an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upper fixture; a magnetic fixing member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magnetically attach the main body to an external structure; and a strap fastened to the upper region of the body, wherein the strap is fastened to the body to prevent sagging in the direction of the magnetic fixing member, or a strap stopper for preventing sagging is separately provided on the body A smartphone holder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본체의 후면에 자석을 구비하여 운동기구의 철제 프레임에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stably holding the smartphone by using a magnetic force in the iron frame of the exercise equipment by providing a magnet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for fixing the smartphone.

또한, 본체에 NFC(near field communication)태그 등 근거리 무선통신태그를 구비하여 본체에 스마트폰 결합 시 운동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은 근력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트(set) 수를 카운팅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tag such as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may be provided in the body to drive an exercise management application when the smartphone is coupled to the body. The application can count the number of sets to efficiently perform strength training.

또한, 본체에는 무선충전 모듈이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을 거치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so that the smartphone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 피트니스 센터 등에서 스마트폰이 보관되는 양상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1 is a reference diagram illustrating an aspect in which a smartphone is stored in a conventional fitness center or the like.
Figure 2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2;
4 is an exploded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4;
6 is a use state diagram exemplari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use state diagram illustrating a mounting state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ar view showing a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ublish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make the pub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may be used with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defined in particular.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Also,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a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text.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전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분해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6a 내지 6b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의 거치 상태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를 도시한 배면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2, Figure 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phone holder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exploded , Figure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ed state of Figure 4, Figures 6a to 6b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user holds the smartphon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martpho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cradle, and FIG. 8 is a rear view showing the smartphon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폰 거치대(A)는, 상단 고정구(110)가 형성된 본체(100)와, 본체(100)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200)와, 상단 고정구(110)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300) 및 본체(100)의 후면에 구비된 자석(400)으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ures 2 to 8, the smartphone holder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00 formed with the upper fixture 110, and the cover 200 fo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main body 100 ), and a magnet 40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lower fixture 300 and the main body 100 in whic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acts toward the upper fixture 110 .

본 명세서에서는 상단 고정구(110)가 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된 것을 구체적 예로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단 고정구(110)가 아닌 하단 고정구(300)가 본체(10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상단 고정구(110) 및 하단 고정구(300)가 본체(100)와 결합되는 별개 파츠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xample that the upper fixture 110 is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main body 100, but unlike the upper fixture 110, the lower fixture 300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with the main body 100. , or the upper fixture 110 and the lower fixture 300 may be configured as separate parts coupled to the body 100, of course.

먼저, 본체(100)는 대략 'ㄱ'자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스마트폰의 상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First, the main body 100 is formed to support the upper end of the smartphone is composed of a cross-section approximately 'L'.

또한, 본체(100)의 내측으로 외력이 작용할 시에 휨 등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격자형태의 보강 리브(120)가 구비된다.In addition, reinforcing ribs 120 in the form of a grid are provid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bend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

그리고, 커버(200)는 연질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어 있어 스마트폰과 밀착도를 높여줌과 동시에 스마트폰과 밀착시 흠집이 나는 것을 방지한다.And, the cover 200 is formed of a soft silicone material to increase the degree of adhesion to the smartphone and at the same time to prevent scratches when in close contact with the smartphone.

이때, 본체(100)와 커버(200)의 결합구조는 암수가 형합하여 상호 끼움 구조로 결합되거나 접착제에 의한 접착 구조로 결합되거나 상호 끼움 구조에 접착제가 혼합되어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cover 20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in a mutually fitting structure by mating, or by an adhesive structure by an adhesive, or by mixing an adhesive to the mutually fitting structure.

한편, 커버(200)는 스마트폰의 배면과 면대면 접촉이 이루어져야 하나 스마트폰 거치시 들뜸이 발생할 수도 있으므로 커버(200)의 정면에 양각 구조의 돌출물이 형성되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200 must be in face-to-face contact with the back of the smartphone, but lifting may occur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embossed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over 200 .

또한, 하단 고정구(300)는 대략 'ㄴ'자 단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스마트폰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형성된다.In addition, the lower fixture 300 is formed to support the lower end of the smartphone is composed of an approximately 'L'-shaped cross-section.

그리고, 자석(400)은 네오디움 자석으로 구성되어 있어 본 발명의 거치대는 자력에 의해 철제 운동기구에 부착된다.And, since the magnet 400 is composed of a neodymium magnet, the crad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iron exercise device by magnetic force.

한편, 본체(100)에는 슬라이딩 홈(130)이 형성되며, 하단 고정구(300)에는 슬라이딩 홈(130)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로드(310)가 구비되며, 슬라이딩 로드(310)와 본체(100)의 사이에는 신장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50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sliding groove 130 is formed in the main body 100, the lower fixture 300 is provided with a sliding rod 310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130, the sliding rod 310 and the main body 100 A compression spring 500 providing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is installed therebetween.

또한, 본체(100)의 슬라이딩 홈(130)과 슬라이딩 로드(310)에는 압축스프링(500)을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131,311)가 각각 형성된다.In addition, stoppers 131 and 311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mpression spring 500 are formed in the sliding groove 130 and the sliding rod 310 of the main body 100 , respectively.

이에 따라, 하단 고정구(300)는 압축스프링(5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양한 사이즈(길이)의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Accordingly, the lower fixture 300 firmly fixes smartphones of various sizes (lengths)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compression spring 500 .

이때, 상단 고정구(300)와 하단 고정구(110)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실리콘 캡(320,111)이 설치됨에 따라 스마트폰을 견고하게 고정한다.At this time, as soft silicone caps 320 and 111 for preventing slipping are installed in the upper fixture 300 and the lower fixture 110 , the smartphone is firmly fixed.

그리고, 도 4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후면에는 자석(400)이 고정 설치되는 자석 삽입홈(140)이 형성된다.And, as shown in Figures 4 to 5, the back of the body 100 is formed with a magnet insertion groove 140 in which the magnet 400 is fixedly installed.

이때, 자석 삽입홈(140)은 둘 이상이 2열로 배치되어 원형 파이프 구조물에 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도면에서는 자석 삽입홈(140)이 2*3 배열로 도시하였지만 2*4, 3*3 등으로 배열을 변경하여도 무방하다.At this time, two or more magnet insertion grooves 140 are arranged in two rows to facilitate attachment to the circular pipe structure. Although the drawing shows the magnet insertion groove 140 in a 2*3 arrangement, the arrangement may be changed to 2*4, 3*3, or the like.

바람직하게, 자석 또는 자석 삽입홈은 도시된 것과 같이 행(row)의 개수가 열(column)의 개수보다 큰 행렬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일반적으로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다각형 파이프 또는 원형 파이프 구조물 등으로의 결합력을 고루 확보할 수 있게 되며(거치대가 피부착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현상 또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가로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에도 복수의 행으로 구성된 자석들이 선택적으로 부착됨으로써 사용성이 더욱 극대화될 수 있게 된다.Preferably, the magnet or the magnet insertion groove may be arranged to form a matrix in which the number of rows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columns as show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evenly secure the bonding force to a polygonal pipe or a circular pipe structure that generally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phenomenon that the holder rotates relative to the adherent can also be effectively prevented), an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Magnets composed of a plurality of rows are selectively attached to the extended structure to further maximize usability.

한편, 자석 삽입홈(140)에는 논슬립 패드(600)가 설치된다. 이때, 논슬립 패드(600)는 연질 실리콘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부착 부위의 금속소재와 밀착하여 미끄러짐을 방지하게 된다.Meanwhile, a non-slip pad 600 is installed in the magnet insertion groove 140 . At this time, as the non-slip pad 600 is formed of a soft silicon material, i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etal material of the attachment portion to prevent slipping.

또한, 본체(100)의 자석 삽입홈(140) 주위에는 논슬립 패드(600)가 설치되는 패드 설치홈(150)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패드 설치홈(150)에 의해 논슬립 패드(600)가 본체(100)에서 돌출되지 않으므로 미감이 향상된다.In addition, a pad installation groove 150 in which a non-slip pad 600 is installed is formed around the magnet insertion groove 140 of the main body 100 . Accordingly, since the non-slip pad 600 does not protrude from the body 100 by the pad installation groove 150 , the aesthetic feeling is improved.

논슬립 패드(600)는 자석 삽입홈(140)에 수용된 적어도 하나의 자석(400)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 일부에서, 상기한 자석(400)와 논슬립 패드(600)는 자력 고정부재 등으로 통칭될 수도 있다.The non-slip pad 600 may be disposed to cover at least one magnet 400 accommodated in the magnet insertion groove 140 . Meanwhile, in som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magnet 400 and the non-slip pad 600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gnetic fixing member or the like.

그리고, 도 2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스트랩(700)이 구비된다. 본체(100)에는 스트랩 홈(160)이 형성되며, 스트랩 홈(160)에는 스트랩(700)이 힌지 결합된다.And, as shown in Figure 2 or Figure 4,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strap 700 that can be gripped by the user. A strap groove 160 is formed in the body 100 , and a strap 700 is hinged to the strap groove 160 .

이에 따라, 도 6a 내지 6b와 같이 스트랩(700)을 사용자가 파지한 상태로 이동하거나 운동기구에 탈부착하는 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as shown in FIGS. 6A to 6B , it is possible to further facilitate the operation of moving the strap 700 in a state held by the user or attaching and detaching it to the exercise device.

한편, 스트랩(700)은 스트랩(700)이 본체(100)의 하방으로 처진 상태에서 논슬립 패드(600)와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처진 상태'라 함은, 스트랩(700)의 자중에 의해 스트랩(700)이 하방으로 늘어진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고, 외력에 의해 스트랩(700)을 본체(100)와 밀착되도록 하방으로 최대한 잡아당긴 상태를 의미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스트랩(700)이 논슬립 패드(600)가 외부 구조물 사이에 위치하여 거치대가 부착 고정되지 않거나 고정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strap 70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non-slip pad 600 in a state in which the strap 700 is drooping downward of the main body 100 . The above-mentioned 'sagging state' may mean a state in which the strap 700 is drooping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strap 700, and the strap 700 is moved downwar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dy 100 by an external force. It can also mean the state of being pulled as far as possible. By configuring in this way, the strap 700 can prevent the non-slip pad 600 from being positioned between the external structures to prevent the cradle from being attached or fixed or from falling in the fixing force.

또는, 스트랩(700)이 논슬립 패드(600) 방향으로 처지는 것 자체가 방지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홈(160)과 스트랩(700)의 힌지 결합부는 스트랩(700)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스트랩(700)이 체결된 영역에 스트랩 처짐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스트랩 스토퍼(미도시)가 본체(100) 등에 구비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the strap 700 may be implemented to prevent itself from sagging in the non-slip pad 600 direction. For example, the hing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strap groove 160 and the strap 700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strap 700 does not rotate downward more than a certain level. As another example, a separate strap stopper (not shown) for preventing the strap from sagging in the region to which the strap 700 is fastened may be provided on the main body 100 or the like.

또한, 도 5와 같이 본체(100)에는 무선충전모듈(800)이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 거치시에 무선으로 충전이 이루어진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800, so that charging is performed wirelessly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이러한 무선충전을 위해서는 본체(100)에 배터리, 외부 전원 입력부 및 광충전패널 등이 구비된다.For such wireless charging, a battery, an external power input unit, and an optical charging panel are provided in the main body 100 .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00)의 가로(Wbody)와 세로(Lbody)의 비율은 1:3 내지 1:5이며, 자석 또는 논슬립 패드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반으로 나누는 중심선 위에 배치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8 , the ratio of the width (Wbody) and the length (Lbody) of the main body 100 is 1:3 to 1:5, and the magnet or non-slip pad halves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 placed on the dividing center line.

이에 따라, 스마트폰을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도 후면부 카메라 사용이 가능하며, 스마트폰의 안정적 거치가 가능하고, 거치대가 운동기구에 부착된 상태에서 거치대 전체가 운동기구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ar camera can be used even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cradle, and the smartphone can be stably mounted. can be prevented

그리고, 본체(100)에는 NFC태그 등의 무선통신모듈(미도시)이 더 구비되며, NFC태그가 스마트폰을 인식하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은 ① 운동세트 카운터, ② 세트별 운동 횟수 카운터 및 ③ 세트간 휴식시간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가 화면에 출력되는 하기 참고도 1과 같은 운동관리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And, the main body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not shown) such as an NFC tag,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run an application when the NFC tag recognizes a smartphone.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is composed of an exercise management application as shown in Reference Figure 1 below, in which at least one of ① an exercise set counter, ② a counter for the number of workouts per set, and ③ a rest time timer between sets is output on the screen.

Figure 112021003275172-pat00001
Figure 112021003275172-pat00001

[참고도 1][Reference 1]

거치대에 무선충전모듈 및/또는 무선통신태그가 더 구비된 경우, 자석 또는 논슬립 패드는 본체(100)의 길이 방향을 반으로 나누는 중심선 위에 배치되되, 무선충전모듈 및 상기 무선통신태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중심선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When the cradle is further equipp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or a wireless communication tag, the magnet or non-slip pad is disposed on the center line divi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body 100 in half, at least one of the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is It may be disposed below the center line.

이에 따라, 상기한 고정력 강화와 함께, 자성에 의한 무선충전/무선통신 간섭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스마트폰 내부 하단영역에 위치하는 무선통신모듈과의 싱크율을 증가시켜 무선충전/무선통신 효율 또한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wireless charging/wireless communication due to magnetism, along with strengthening of the above-described fixing power, and at the same time increase the sync rate wit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located in the lower area inside the smartphon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wireless charging/wireless communication can be maximized.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을 고정하는 본체(100)의 후면에 자석(400)을 구비하여 운동기구의 철제 프레임에 자력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을 안정적으로 거치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agnet 400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100 for fixing the smartphone, and the smartphone is stably mounted on the iron frame of the exercise device using magnetic force.

또한, 본체에는 무선충전모듈(800)이 구비되어 있어 스마트폰을 거치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is provided with a wireless charging module 800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smartphone.

또한, 본체(100)에 NFC태그를 구비하여 본체에 스마트폰 결합 시 운동관리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한다. 즉, 근력 운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세트(set) 수를 카운팅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is equipped with an NFC tag to drive the exercise management application when the smartphone is coupled to the main body. That is, the number of sets can be counted to efficiently perform strength training.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related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implemented in a modified form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above description. Therefore, the disclosed methods are to be considered in an illustrative rather than a restrictive sens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in the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difference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 스마트폰 거치대
100 - 본체 200 - 커버
300 - 하단 고정구 400 - 자석
500 - 압축스프링 600 - 논슬립패드
700 - 스트랩 800 - 무선충전모듈
A - Smartphone cradle
100 - body 200 - cover
300 - bottom fixture 400 - magnet
500 - compression spring 600 - non-slip pad
700 - Strap 800 - Wireless Charging Module

Claims (13)

상단 고정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의 개방된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 및
상기 상단 고정구를 향해 탄성 복원력이 작용하는 하단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후면에 구비된 적어도 셋 이상의 행(row)과 적어도 둘 이상의 열(column)을 이루도록 배치된 복수의 자석들; 상기 복수의 자석들을 수용하기 위한 자석 삽입홈; 상기 자석 삽입홈에 수용된 상기 복수의 자석들을 덮도록 배치되며 피부착 기구와의 결합력 증대를 위한 논슬립 패드; 상기 논슬립 패드를 수용하기 위한 패드 설치홈; 및 무선충전모듈 및 무선통신태그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된 무선전파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가로(Wbody)와 세로(Lbody)의 비율이 1:3 내지 1:5로서 세로방향 길이(Lbody)가 가로방향 폭(Wbody)보다 크되, 상기 복수의 자석들 및 상기 논슬립 패드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반으로 나누는 중심선 위에 배치되되, 상기 무선전파유닛은 자성에 의한 간섭을 회피하도록 상기 중심선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는 격자형태의 보강 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커버는 연질 실리콘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상단 고정구와 하단 고정구에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연질의 실리콘 캡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단 고정구에는 상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슬라이딩 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 로드와 본체의 사이에는 신장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와 슬라이딩 로드에는 압축스프링을 탄성 지지하는 스토퍼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무선통신태그는 스마트폰이 스마트폰 거치대에 안착되면 상기 스마트폰이 i) 운동세트 카운터, ii) 세트별 운동 횟수 카운터, iii) 세트간 휴식시간 타이머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며,
상기 스마트폰 거치대는 스트랩을 더 포함하되,
상기 본체의 상단에는 상기 스트랩을 힌지 결합시키는 스트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거치대.
a body formed with an upper fixture; a cover closing the open end of the body; and
Containing;
The body is
a plurality of magnets arranged to form at least three or more rows and at least two or more columns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a magnet inser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plurality of magnets; a non-slip pad disposed to cover the plurality of magnets accommodated in the magnet insertion groove and for increasing bonding force with an attachment mechanism; a pad installation groove for accommodating the non-slip pad; and a wireless propagation unit composed of at least one of a wireless charging module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ag.
The main body has a width (Wbody) to a length (Lbody) ratio of 1:3 to 1:5, and a longitudinal length (Lbody) is greater than a width (Wbody)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the plurality of magnets and the non-slip pad are Doedoe arranged on the center line divid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in half, the radio propagation unit is arranged below the center line to avoid magnetic interference,
The body is provided with reinforcing ribs in the form of a grid,
The cover is formed of a soft silicone material, and a soft silicone cap for preventing slippage is installed in the upper and lower fixtures,
A sliding groove is formed in the main body, and a sliding rod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is provided in the lower fixture, and a compression spring is installed between the sliding rod and the main body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extension direction, and the main body and Stoppers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compression springs are formed on the sliding rods,
The wireless communication tag executes an application that provides at least one function of i) an exercise set counter, ii) an exercise number counter for each set, and iii) a rest time timer between sets when the smartphone is mounted on the smartphone holder. and
The smartphone holder further includes a strap,
A smartphone holder, characterized in that a strap groove for hingedly coupling the strap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10003323A 2021-01-11 2021-01-11 Holder for cellphone KR1024546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23A KR102454654B1 (en) 2021-01-11 2021-01-11 Holder for cell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323A KR102454654B1 (en) 2021-01-11 2021-01-11 Holder for cell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76A KR20220101376A (en) 2022-07-19
KR102454654B1 true KR102454654B1 (en) 2022-10-13

Family

ID=82607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323A KR102454654B1 (en) 2021-01-11 2021-01-11 Holder for cell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5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15B1 (en) * 2013-06-17 2014-06-12 김병국 Versatile imprinted magnetic holder
KR101533568B1 (en) * 2014-03-27 2015-07-06 김춘규 Holder for mobile devices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9B1 (en) 2011-09-28 2014-02-03 조성목 Gripper for handheld device
KR101062570B1 (en) 2011-01-21 2011-09-05 김혜련 Finger ring for mobile terminal
KR101481256B1 (en) 2013-04-12 2015-01-15 주식회사 억스코리아 Accessary for a portable device
KR20170028516A (en) * 2015-09-04 2017-03-14 포케이 주식회사 Exercise management system, method and medium for gym users
KR102184630B1 (en) * 2019-02-20 2020-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Portable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6215B1 (en) * 2013-06-17 2014-06-12 김병국 Versatile imprinted magnetic holder
KR101533568B1 (en) * 2014-03-27 2015-07-06 김춘규 Holder for mobile devic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전기통신회선 https://www.cosmopolitan.com/health-fitness/a21095543/magnetic-phone-mount-review/을 통해 공중이 이용가능하게 된 발명 (2018.06.06.)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1376A (en) 2022-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6549Y1 (en)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KR200465394Y1 (en) A case for cell phone with dual structure
KR200470332Y1 (en) Mobile apparatus case
EP2647272A1 (en) Flip assembly and portable electr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102454654B1 (en) Holder for cellphone
WO2013147376A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250933B1 (en) Charging and correspondence holder of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CN111193823B (en) Auxiliary device is used in mutual projection device installation of cell-phone
CN104426193A (en)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2660197U (en) Mobile phone support
CN102913722A (en) Suspension, supporting and holding structure integrated device
CN204655914U (en) A kind of callisthenics arm exsercising device
CN211127877U (en) Foldable wireless charging mobile phone support
CN114006964A (en) Effectual cell-phone support that charges of shock attenuation
KR20140008849A (en) Case assembly having supporting means
CN213279241U (en) Prevent falling sharing treasured that charges and charge cabinet
KR101385242B1 (en) handphone case
CN214380158U (en) Support structure and wireless charging support
CN211018298U (en) Mobile phone charging seat convenient to operate
CN210644981U (en) Running machine with wireless charging device
CN214851350U (en) Smart phone with buffering protection function
CN214904362U (en) Bluetooth headset receiver
CN213717641U (en) Charging device
KR100790188B1 (en) Sliding type portable mobile phone amd sliding guide device thereof
CN213402492U (en) Portable mobile phone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