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1517B1 -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 Google Patents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1517B1
KR102131517B1 KR1020180129295A KR20180129295A KR102131517B1 KR 102131517 B1 KR102131517 B1 KR 102131517B1 KR 1020180129295 A KR1020180129295 A KR 1020180129295A KR 20180129295 A KR20180129295 A KR 20180129295A KR 102131517 B1 KR102131517 B1 KR 102131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mobile terminal
rotating ring
finger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29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047174A (en
Inventor
박수성
Original Assignee
박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수성 filed Critical 박수성
Priority to KR102018012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1517B1/en
Publication of KR20200047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71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1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1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고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핑거링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가 회전링의 외측에서 상하 회전할 뿐 아니라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있고, 휴대단말기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패드가 핑거링의 일측에 끼워져 고정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that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and has a ring through which a finger can be fitte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nd easily grip the mobile terminal. The finger ring of the user can freely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ng the rotating ring as well as rotating the ring on which the user hangs or holds the finger. A wireless charging pad that can be fitted to one side of the fingering provides a fingering for a portable terminal.

Description

휴대단말기용 핑거링{Fingering for mobile terminal}Fingering for mobile terminals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고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ngering for a portable terminal, which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has a ring through which a finger can be fitte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nd easily grip the portable terminal.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테블릿pc 등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장소에 제한없이 전화 또는 인터넷과 같은 통신업무를 즉시 수행할 수 있도록 휴대하는 장치로써, 최근에는 음악 또는 영화 등과 같은 다양한 컨텐츠를 장소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확인할 수 있게 되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is a device that carries a communication service such as a telephone or the Internet without limitation in any place. Recently, various contents such as music or movies are not restricted at any place time. I can confirm without it.

한편, 휴대단말기는 장소에 제한없이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인하여 사용자의 소지시간이 대폭 길어지게 되었고, 휴대단말기를 소지한 후 이동시 고가의 휴대단말기를 땅에 떨어트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제시되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portable terminal can be checked without limitation in a place, the user's holding time has been significantly lengthened, and various methods for preventing damage by dropping an expensive mobile terminal on the ground when carrying the mobile terminal are prevented. Becam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 중 휴대단말기의 일면에 부착되어 손가락을 끼워 파지할 수 있는 핑거링(Fingering)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고, 이에 따른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062570호가 개시되었다.Among the methods for solving this problem, a technique for fingering, which is attached to one side of a portable terminal and capable of pinching and gripping a finger, was developed, and Korean Patent No. 10-1062570 was disclosed as a technical document.

개시된 종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은 일측면은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고, 타측면에는 결합홈이 양측에 형성된 회전돌기가 좌우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회전돌기의 결합홈에 양단부가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링부재;를 포함하여 휴대단말기의 부착된 베이스플레이트의 링부재에 사용자의 손가락을 끼워 상기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The disclosed finger ring for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one sid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other side has a base plate to which rotation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groove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and both ends of the rotation groove are vertically coupled. It is possible to securely grip the portable terminal by inserting a user's finger into the ring member of the base plate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ring member that is rotatably coupled in the direction.

한편, 최근 휴대단말기는 사용용도 즉, 다양한 컨텐츠를 보다 원활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휴대단말기의 액정크기가 확대되는 추세가 이어지고, 이에 따라 종래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은 확대된 액정크기를 조작하기 위하여 핑거링에 손가락을 끼운채 조작하게 되는데, 확대된 액정크기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못미치는 부분이 발생되어 조작의 한계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in recent years, the trend of the use of the mobile terminal, that is, the liquid crystal size of the mobile terminal is enlarged in order to use various contents more smoothly, and accordingly, the conventional fingering for the mobile terminal is used for fingering to manipulate the enlarged liquid crystal size. The operation is performed while the finger is inserted, but a problem that the user's finger does not reach is generated due to the enlarged liquid crystal size, thereby limiting the operation.

또한, 최근에는 휴대단말기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패드가 시판되고 있다. 상기 무선충전용 패드는 공급되는 전원을 휴대단말기에 무선방식으로 공급하여 휴대단말기를 충전시키는 수단으로, 휴대단말기를 무선충전용 패드에 올려놓거나 근거리에 위치시킬 경우 무선충전용 패드의 전원이 휴대단말기로 공급되는 것이다. 그러나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된 핑거링으로 인해 무선충전용 패드에 휴대단말기를 올려놓는 것이 불편하며, 핑거링을 피해 휴대단말기의 일단부를 무선충전용 패드의 중심에 맞추어 올릴 경우 휴대단말기가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무선 충전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recently, a pad for wireless charging, which can charge a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is commercially available. The wireless charging pad is a means for charging the portable terminal by wirelessly supplying the supplied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placed on or near the wireless charging pad, the power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is supplied to the portable terminal. Is to be supplied. However, it is inconvenient to place the mobile terminal on the pad for wireless charging due to the fingering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and if the end of the mobile terminal is raised to the center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to avoid fingering, the mobile terminal easily falls. There is, there is a inconvenience that the wireless charging is not easily made.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257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No. 10-106257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핑거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가 회전링의 외측에서 상하 회전할 뿐 아니라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고, 휴대단말기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패드가 핑거링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ingering as described above, the ring that the user hangs or grips the finger rotates freely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as well as rotating up and down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ing. The main objective is to provide a fingering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is capable of being wirelessly charged with a wireless charging pad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ngering and fix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은, 하부가 개방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양측에는 돌기축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리;Finger ring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of the lower opening, the protruding shaft protruding inwar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상기 돌기축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가 회전에 의해 외측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링; 및A rotating ring in which a concave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shaft is rotatably inserted is formed, and supporting the ring to be erected or laid from the outside by rotation; And

소정 길이의 몸체부가 상기 회전링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이 몸체부의 외측에서 회전되고, 상기 몸체부의 하부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링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가 형성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dy portion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ring so that the rotating ring is rotat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s fixed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xed body is formed to cover the upper plat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하부가 개방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하단부에는 돌기축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리;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protruding shaft protruding ring;

상기 돌기축이 삽입되는 요입홈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정 너비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가 회전에 의해 외측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링; 및A concave groove into which the protrusion shaft is inserted, an incision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one side, and a rotating ring supporting the ring to be erected or laid from the outside by rotation; And

소정 길이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하에 상기 회전링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상판부 및 하판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가 절개부에 의해 벌어지는 상기 회전링을 관통하여 상기 상판부와 하판부가 회전링의 상하부를 차단하며, 상기 회전링이 몸체부의 외측에서 회전하고, 상기 하판부가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고정체;를 포함한다.Upper and lower plate portions having a diameter grea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body portion of the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body portion, and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lower plate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penetrate the rotating ring opened by the incision. Includes; blocking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 rotating ring is rotated outside the body portion, the lower plate is attached to the mobile terminal or the mobile terminal case.

또한, 본 발명은, 일측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결합부가 상기 상판부의 하측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링의 일측을 감싸 고정되는 무선충전용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pad for wireless charging that is fixed to be wrapped around one side of the rotating ring while the coupling portion of the semi-circle formed 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따라서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가 회전링의 외측에서 상하 회전할 뿐 아니라 회전링의 회전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고, 무선충전용 패드가 핑거링의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inger ring for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emarkable effect that the ring on which the user hangs or holds the finger rotates up and down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ing as well as freely rotating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 Wireless charging pad is inserted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finger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의 전체적인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의 분해도
도 4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에 구비되는 회전링의 개략도 및 부분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 및 아래에서 바라본 개략도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a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diagram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a rotating ring provided in a finger ring for a mobile terminal
5 and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chematic view seen from below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components or functions are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bscured.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를 감싸는 케이스의 배면에 부착되고, 손가락을 끼울 수 있는 고리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휴대단말기를 안전하고 쉽게 파지할 수 있으며, 고리에 손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휴대단말기를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사용편의성이 대폭 증대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to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se surrounding the mobile terminal, and a ring through which a finger can be fitted is formed, so that the user can safely and easily grip the mobile terminal, and the mobile terminal is in various states while the finger is inserted into the ring. It relates to a fingering for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rotated at an angle to greatly increase the usabilit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ingering f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100)은, 요입홈(11)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회전링(10); 하부가 개방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기축(21)이 상기 요입홈(11)에 삽입되며, 상하 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링(10)의 외측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고리(20); 및 소정 길이의 몸체부(31)가 상기 회전링(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전링(10)이 몸체부(31)의 외측에서 회전되고, 상기 몸체부(31)의 하부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부(31)의 상부에는 상기 회전링(10)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2)가 형성되는 고정체(30);를 포함한다.1 to 4, the finger ring 100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ry ring 10 formed at a position where the recesses 11 face each other; The lower portion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o be opened, and a protruding shaft 21 protruding inward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at the lower end portion, and the ring is erected or laid on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ing 10 by up and down rotation. (20); And the body portion 3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otary ring 10, the rotary ring 10 is rotated outside the body portion 31,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is a mobile terminal Or it is fixed to the mobile terminal case,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the upper body portion 32, which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ring 10, 30 is formed;

상기 회전링(10)은 내측이 관통된 링 형상으로, 2개의 요입홈(11)이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형성되며,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20)가 체결되며, 상기 고리(20)가 외측에서 상하 및/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지지한다. 상기 요입홈(11)은 경우에 따라서 1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The rotary ring 10 has a ring shape with an inner perforation, and is formed at a position where two recess grooves 11 face each other, and a ring 20 through which a user puts or holds a finger is fastened, and the ring ( 20) is supported to rotate freely up and down and/or (anti)clockwise from the outside. In some cases, only one recess groove 11 may be formed.

상기 요입홈(11)은 회전링(10)의 중심축에서 수직방향으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링(1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 방향으로 소정 깊이 파여 회전링(10)의 외측면(회전링의 외주연)에 제1 개구부(11a)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홈(11)은 회전링(1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까지 관통되어 외측면과 내측면 모두에 제1 개구부(11a)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concave groove 11 is formed at a position mutually symmetrical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axis of the rotating ring 10, and digs a predetermined depth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10 to rotate the ring 10 The first opening (11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ring). The recess groove 11 may be penetrated from the outer surfac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10 so that the first opening 11a may be formed on both the outer surface and the inner surface.

또한, 상기 요입홈(11)은 회전링(10) 내부에서 단면이 소정 반경 또는 소정 너비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어 회전링(10)의 상면에 제2 개구부(11b)가 형성되며, 특히 회전링(10) 상면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11b)는 개방되는 전후 폭이 내부 중앙부의 지름보다 좁게 형성되고, 제2 개구부(11b)의 입구에는 요입홈(11)의 내측방향으로 완만하게 하향 경사진 완충면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dentation groove 11 has a predetermined cross-section or a predetermined width within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form a second opening 11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ting ring 10, in particular The second opening 11b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ing 10 is formed such that the width before and after the opening is narrow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entral portion, and the entrance of the second opening 11b is gently inward in the inward groove 11. A downwardly inclined buffer surface is formed.

한편, 상기 회전링(10)에는 하부가 개구된 "∩" 또는 아치 형상의 고리(20)가 체결되는데, 상기 고리(20)는 개방된 양측 하단부에 돌기축(21)이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돌기축(21)이 상기 요입홈(11)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고리(20)가 회전링(10)에 상하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rotating ring 10 is fastened to the ring 20 having an “∩” or an arch shape with an opening at the bottom, and the protruding shaft 21 protrudes inward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ring 20, The protrusion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so that the ring 20 is fastened to the rotating ring 10 so as to be rotated up and down.

즉, 돌기축(21)과 요입홈(11)의 체결에 의해 상기 회전링(10)과 고리(20)가 결합하고, 고리(20)가 상기 회전링(10)의 외측에서 회전에 의해 세워지거나 눕혀지는 것이다.That is, the rotation ring 10 and the ring 20 are engaged by the fastening of the protrusion shaft 21 and the recess groove 11, and the ring 20 is erected by rotation from the outside of the rotation ring 10. It is to lose or lay down.

상기 고리(20)는 하단부를 회전링(10)의 지름보다 더 넓게 벌려 상기 돌기축(21)이 회전링(10)의 측면에서 상기 요입홈(11)의 제1 개구부(11a)를 통해 삽입될 수 있고, 회전링(10)의 상측에서 제2 개구부(11b)를 통해 상기 요입홈(11)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The ring 20 is wid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ry ring 10, the protruding shaft 21 is insert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of the recess groove 11 at the side of the rotary ring 10 It can be,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b) from the upper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돌기축(21)의 외주연에는 링 형태로 파인 걸림홈(21a)이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의 내주연에는 상기 걸림홈(21a)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는 걸림돌기(11c)가 형성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4,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jection shaft 21 is formed with a fine locking groove (21a) in the form of a ring, the locking groove (21a) is inserted into the inner periphery of the concave groove (11) It is formed with a locking projection (11c) that can be fastened.

따라서 상기 돌기축(21)이 회전링(10)의 상부에서 제2 개구부(11b)를 통해 상기 요입홈(11)에 삽입되고, 상기 걸림홈(21a)에 상기 걸림돌기(11c)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돌기축(21)이 회전링(10)의 요입홈(11)의 제1 개구부(11a)를 통해 측면방향으로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protrusion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through the second opening 11b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c is fastened to the locking groove 21a. , The protrusion shaft 21 is not to be pulled out in the lateral direction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of the indentation groove 11 of the rotating ring 10.

한편, 상기 회전링(10)은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가 수용되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의 배면에서 고정체(30)에 의해 지지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tary ring 10 is supported by the fixed body 30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which the portable terminal is accommodated.

상기 고정체(30)는 대략 "ㅜ"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회전링(10)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2)가 형성되고, 하부는 상기 회전링(10)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소정 길이의 몸체부(31)가 형성된다.The fixed body 30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T” shape, an upper portion is formed with an upper plate portion 32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nd a lower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ring 10 inside. The body portion 31 of a predetermined length is formed.

상기 회전링(10)은 상기 고정체(30)의 몸체부(3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고, 몸체부(31)의 하부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 배면에 부착, 연결 또는 고정되며, 상판부(32)는 상기 회전링(10)의 내경보다 큰 지름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전링(10)의 상부를 차단한다.The rotating ring 10 is rotatably fitted to the body portion 31 of the fixed body 30,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is attached, connected or fixed to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top plate portion ( 32) is formed with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to block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즉, 상기 회전링(10)은 상기 몸체부(31)에 끼워져 상기 상판부(32)와 휴대단말기 배면 사이에서 회전하고, 상하부가 상기 상판부(32)와 휴대단말기에 의해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링(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리(20)가 회전한다.That is, the rotating ring 10 is fitted to the body portion 31, rotates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back of the mobile terminal,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locked by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mobile terminal. And the ring 20 is rotated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

상기 상판부(32)는 회전링(10)의 외경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축(21)이 요입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리(20)의 양측 하단부를 회전링(10)에서 소정 거리 이격시켜 상판부(32)의 외측에 위치시킨다.The upper plate portion 32 may be formed to a larger diamet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in this case, the lower end of both sides of the ring 20 while the projection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It is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ring 10 and placed outside the top plate 32.

따라서 본 발명의 핑거링(100)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20)가 회전링(10)의 외측에서 상하방향으로 회전하여 세워지거나 눕혀지며, 회전링(10)의 회전에 따라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inger r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user's finger ring or grip ring 20 is erected or laid by rot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outside of the rotating ring 10, the watch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lternatively,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of free rotation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한편, 상기 회전링(10)의 일측부에는 소정 너비의 절개부(13)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체(30)의 몸체부(31)가 회전링(10)의 내측으로 삽입시 상기 절개부(13)에 의해 회전링(10)이 쉽게 벌어지고, 탄성복원력에 의해 다시 원상태로 복원된다.On the other hand, an incision 13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and when the body 31 of the fixed body 30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ring 10, the incision is made. The rotating ring 10 is easily opened by (13), and is restored back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상기 몸체부(31)는 상기 회전링(10)의 내경과 거의 동일하거나 조금 큰 지름으로 형성하여 회전링(10)의 내주연에 밀착되게 하고, 이 경우 몸체부(31)와 회전링(10)의 마찰로 인해 회전링(10)의 회전이 제어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 body portion 31 is form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or slightly larger in diamet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y of the rotating ring 10, in this case the body portion 31 and the rotating ring (10 ), it is possible to obtain an effect that the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 is controlled.

또한, 상기 회전링(10)에는 상기 요임홈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유동홈(12)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홈(12)은 하부 폭은 좁고, 상부의 폭은 넓게 형성되는 "V" 자 단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돌기축(21)이 요입홈(11)에 끼움될 때, 상기 요입홈(11)의 제1 개구부(11a) 및 제2 개구부(11b)가 쉽게 벌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flow groove 12 is formed in the rotating ring 10 at the front and/or rear of the yoke groove. The flow groove 12 is formed with a "V" 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lower width is narrow and the upper width is wide, and when the protrusion shaft 21 is fit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the recess groove 11 ), the first opening 11a and the second opening 11b are easily opened.

상기 유동홈(12)은 상기 요입홈(11)에 근접하는 일측면이 상기 요입홈(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flow groove 12 is preferably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indentation groove 11, one side close to the indentation groove (11).

한편, 본 발명의 핑거링(100)은 휴대단말기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패드(40)가 일측에 연결 및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finger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harging pad 40 capable of charging a portable terminal wirelessly is connected and fixed to one side.

상기 고정체(30)의 일측에는 상기 상판부(32)와 휴대단말기 또는 상판부(32)와 휴대단말기 케이스 사이에 휴대단말기 무선충전용 패드(40) 일측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상판부(32)는 회전링(10)의 외경보다 더 큰 반경으로 형성된다.One side of the fixed body 30 is fixed by inserting one side of the pad 40 for wireless charging of the mobile terminal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mobile terminal or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mobile terminal case. In this case, the upper plate portion 32 is formed with a larger radius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무선충전용 패드(40)는 일측부가 회전링(10)의 일측부와 맞물리도록 반원 형상으로 깎여진 결합부(41)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41)가 상기 상판부(32)와 휴대단말기 또는 케이스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되며, 상기 결합부(41)의 상단에는 "ㄴ"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회전링(1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판부(32)의 테두리부가 덮어지는 또는 안착되는 단턱부(42)가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링(10) 및/또는 상판부(32)와 무선충전용 패드(40)의 결합부(41)가 상호 맞물려 상기 무선충전용 패드(40)가 본 발명의 핑거링(100)에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고리(20)는 무선충전용 패드(40)의 반대방향에서 상하 회전하게 된다.The pad 40 for wireless charging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41 that is cut into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one side portion engages with one side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coupling portion 41 includes the top plate portion 32 and the portable terminal. Or is inserted into the space between the case,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portion 41 is formed in a cross section of the "b" shape is covered or seated on the rim of the upper plate portion 32 protruding outward of the rotating ring 10 The stepped portion 42 is formed. That is, the rotating ring 10 and/or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engaging portion 41 of the wireless charging pad 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wireless charging pad 40 is coupled to the finger r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fixed. At this time, the ring 20 is rotated up and down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ad 40 for wireless charging.

따라서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부착되는 핑거링(100)에 무선충전용 패드(40)가 일체로 결합함으로써, 핑거링으로 인해 무전충전용 패드에 올려놓는 것이 불편한 종래 핑거링(100)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ireless charging pad 40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fingering 100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fingering 100, which is inconvenient to place on the pad for exclusive use of charging due to fingering.

한편,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용 핑거링의 또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체(30)의 몸체부(31) 하부에는 소정 반경의 하판부(33)가 더 형성된다.Meanwhile, FIGS. 5 and 6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lower portion 33 of a predetermined radius is further formed below the body portion 31 of the fixed body 30 do.

즉, 상기 고정체(30)를 대략 "I"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회전링(10)의 상부를 덮어 차단하는 상판부(32); 회전링(10)이 끼워지는 몸체부(31); 및 상기 회전링(10)의 하부를 차단하고 지지하는 하판부(33);를 포함한다.That is, the upper plate portion 32 is formed to form the substantially fixed body 30 in an "I" shape, covering and block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The body portion 31 to which the rotary ring 10 is fitted; And a lower plate portion 33 for block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상기 하판부(33)는 회전링(10)의 내측으로 관통하고, 회전링(10)의 하부를 차단 및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링(10)의 내경보다 더 큰 지름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링(10)이 절개부(13)에 의해 벌어짐으로써 상기 회전링(10) 내측으로 쉽게 관통한다. 그리고 회전링(10)은 상기 하판부(33)가 관통한 후에 탄성에 의해 절개부(13)가 다시 좁아지면서 원상태로 복원된다.The lower plate portion 33 penetrates into the inner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and blocks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nd is formed to have a larger diamet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rotating As the ring 10 is opened by the incision 13, it easily penetrates into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rotary ring 10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s the incision 13 is narrowed again by elasticity after the lower plate portion 33 passes.

상기 회전링(10)은 몸체부(31)가 내측으로 관통하여 몸체부(31)의 외측에서 회전하고, 상판부(32)와 하판부(33)에 의해 상하부가 차단되어 고정체(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상기 고리(20), 회전링(10) 및 고정체(30)가 일체로 체결된 상태에서 고정체(30)의 하판부(33) 하면을 접착수단에 의해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어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장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In the rotating ring 10, the body portion 31 penetrates inward to rotate on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31,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locked by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so that the fixed body 30 is It is not easily separated,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33 of the fixed body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ring 20, the rotating ring 10, and the fixed body 30 are integrally fastened by a portable terminal or portable Since it can be attached to the terminal case, there is an effect of easy mounting on the mobile terminal or the case of the mobile terminal.

또한, 회전링(10)이 상판부(32)와 하판부(33) 사이에서 안전하게 회전하고, 회전링(10)이 하판부 위에서 회전됨으로써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가 회전링(10)에 의해 긁히거나 까질 수 있는 문제점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ring 10 is safely rotated between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and the rotating ring 10 is rotated on the lower plate portion, so that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portable terminal case is scratched by the rotating ring 10. It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problems that may or may not break.

또한, 상기 하판부(33)는 상기 상판부(32)의 지름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하되, 상기 회전링(10)의 내경보다는 크고 회전링(10)의 외경보다는 작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portion 33 is form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upper plate portion 32,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또한, 상기 하판부(33)는 몸체부(31)에서 분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즉, 하판부(33)의 상부에 몸체부(31)에 억지끼움되거나 나사결합할 수 있는 연결구(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고, 하판부(33)가 몸체부(31)에서 분리 결합 될 경우에는 회전링(10)에 절개부(13)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portion 33 may be formed to be separable and coupled from the body portion 31. That is, a connector (not shown) that can be forcibly fitted or screwed to the body portion 31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portion 33,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may be separated and coupled from the body portion 31. In this case, it is not necessary to form the incision 13 in the rotating ring 10.

따라서 본 발명의 핑거링(100)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걸거나 파지하는 고리(20)가 회전링(10)의 외측에서 상하 회전할 뿐 아니라 회전링(10)의 회전에 의해 시계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고, 휴대단말기를 무선방식으로 충전할 수 있는 무선충전용 패드(40)가 핑거링(1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쉽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the finger ring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by rotation of the rotating ring 10 as well as rotating the ring 20 where the user hangs or grips the finger up and down on the outer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There is a remarkable effect that can be freely rot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wireless charging pad 40 capable of charging the wireless terminal is inserted into one side of the fingering 100 and is easily fixed.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configuration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above is only one of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that can replace them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xamples.

100 : 핑거링 10 : 회전링
11 : 요입홈 11a : 제1 개구부
11b : 제2 개구부 12 : 유동홈
13 : 절개부 20 : 고리
21 : 돌기축 30 : 고정체
31 : 몸체부 32 : 상판부
33 : 하판부 40 : 무선충전용 패드
41 : 결합부 42 : 단턱부
100: finger ring 10: rotating ring
11: recess groove 11a: first opening
11b: second opening 12: floating groove
13: incision 20: ring
21: projection shaft 30: fixed body
31: body portion 32: top plate portion
33: lower portion 40: wireless charging pad
41: engaging portion 42: stepped portion

Claims (8)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하단부에는 돌기축(21)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리(20);
상기 돌기축(21)이 삽입되는 요입홈(11)이 형성되고, 상기 고리(20)가 회전에 의해 외측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링(10); 및
몸체부(31)가 상기 회전링(10)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회전링(10)이 몸체부(31)의 외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몸체부(31)의 하부는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링(10)의 상부를 덮는 상판부(32)가 상기 몸체부(31)의 상부에 형성되는 고정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요입홈(11)은, 상기 회전링(10)의 측면과 상면에 제1 개구부(11a) 및 제2 개구부(11b)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축(21)은, 상기 회전링(10)의 측면에서 상기 제1 개구부(11a)를 통해 상기 요입홈(11)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회전링(10)의 상부에 제2 개구부(11b)를 통해 상기 요입홈(11)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It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the lower end of both sides, the projection shaft 21, the ring 20 protrudes inward;
A rotating ring 10 in which the concave groove 11 into which the projection shaft 21 is inserted is formed, and the ring 20 is supported to be erected or laid from the outside by rotation; And
The body portion 31 is inserted into the rotating ring 10, the rotating ring 10 is rotated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31,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is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Includes a; fixed to the case, the upper plate portion 32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ry ring 10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31;
The concave groove 11, the first opening (11a) and the second opening (11b)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ing (10),
The protrusion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11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on the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or the second opening 11b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through.
하부가 개방되는 아치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하단부에는 돌기축(21)이 내측으로 돌출되는 고리(20);
상기 돌기축(21)이 삽입되는 요입홈(11)이 형성되고, 일측에는 소정 너비의 절개부(13)가 형성되며, 상기 고리(20)가 회전에 의해 외측에서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지지하는 회전링(10); 및
소정 길이의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상하에 상기 회전링(10)의 내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상판부(32) 및 하판부(33)가 형성되고, 상기 하판부(33)가 절개부(13)에 의해 벌어지는 상기 회전링(10)의 내측으로 관통하여 휴대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 케이스에 부착되며, 상기 상판부(32)와 하판부(33)가 회전링(10)의 상하부를 차단하고, 상기 회전링(10)이 상기 몸체부(31)의 외측에서 회전하도록 지지하는 고정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It is formed in an arcuate shape in which the lower part is opened, and the protruding shaft 21 has a ring 20 protruding inward at both lower ends;
The indentation groove 11 into which the projection shaft 21 is inserted is formed, and an incision 13 of a predetermined width is formed on one side, and rotation to support the ring 20 to be erected or laid from the outside by rotation Ring 10; And
A body portion 31 of a predetermined length and an upper plate portion 32 and a lower plate portion 33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otating ring 10 are formed above and below the body portion 31,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rotary ring 10 which is opened by the incision 13, and is attached to the portable terminal or the portable terminal case, and the upper plate portion 32 and the lower plate portion 33 ar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rotary ring 10. Blocking, and the rotary ring 10 is fixed to support to rotat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portion (30);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comprising 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1)은, 상기 회전링(10)의 측면과 상면으로 개방되는 제1 개구부(11a) 및 제2 개구부(11b)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축(21)은, 회전링(10)의 측면에서 상기 제1 개구부(11a)를 통해 상기 요입홈(11)으로 삽입되거나, 상기 회전링(10)의 상부에 제2 개구부(11b)를 통해 상기 요입홈(11)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According to claim 2,
The concave groove 11, the first opening (11a) and the second opening (11b) is opened to the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rotary ring 10 is formed,
The protrusion shaft 21 is inserted into the recess groove 11 through the first opening 11a on the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or the second opening 11b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otating ring 10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nserted through the recess groove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10)은,
상기 요입홈(11)의 전방 또는 후방에 형성되고, 상기 요입홈(11)이 쉽게 벌어지도록 하는 유동홈(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rotating ring 10,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the front or rear of the recess groove 11, the flow groove (12) to allow the recess groove (11) to open easi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링(10)은,
일측에 소정 너비로 형성되고, 고정체(30)의 몸체부(31)가 내측으로 삽입시 쉽게 벌어지도록 하는 절개부(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ring 10,
Finger 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width on one side, the body portion 31 of the fixed body 30 to easily open when inserted inwar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입홈(11)의 내주연에 형성되는 걸림돌기(11c); 및
상기 돌기축(21)의 외주연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1c)가 삽입되는 걸림홈(21a);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ocking protrusion (11c) form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recess groove (11); And
Finger 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projection shaft 21, the locking groove (21a) into which the locking projection (11c) is inser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홈(12)은 상부가 넓고 하부가 좁아지는 "V"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According to claim 4,
The flow groove 12 is a fingering for a mobi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a "V" shape with a wide upper portion and a narrow lower portion.
제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일측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결합부(41)가 상기 상판부(32)의 하측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회전링(10)의 일측을 감싸 고정되는 무선충전용 패드(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용 핑거링.
The method of claim 1 or 2,
The semi-circular coupling portion 41 formed on one side is insert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upper plate portion 32, the wireless charging pad 40 is fixed to wrap around one side of the rotating ring 10,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ngering for portable terminals.
KR1020180129295A 2018-10-26 2018-10-26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KR102131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95A KR102131517B1 (en) 2018-10-26 2018-10-26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295A KR102131517B1 (en) 2018-10-26 2018-10-26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74A KR20200047174A (en) 2020-05-07
KR102131517B1 true KR102131517B1 (en) 2020-07-07

Family

ID=70733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295A KR102131517B1 (en) 2018-10-26 2018-10-26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1517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009B1 (en) * 2011-09-28 2014-02-03 조성목 Gripper for handheld device
KR101062570B1 (en) 2011-01-21 2011-09-05 김혜련 Finger ring for mobile terminal
KR101843247B1 (en) * 2016-03-07 2018-03-28 김영세 Fingering mobile termin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7174A (en) 2020-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5010B1 (en) Ring case
US10361742B2 (en) Case having standing leg for electronic devices
JP3206201U (en) Protective case
US20140131250A1 (en) Video Device Accessory
US20180013463A1 (en) Mobile phone case having an angle adjustable phone hanger ring
US20160357158A1 (en) Wristwatch type smart terminal
US9077436B1 (en) Protective case for a mobile device
KR200454217Y1 (en) Case for mobile Haiti devices with mounting means
KR102131517B1 (en) Fingering for mobile terminal
KR101753173B1 (en) Protection case for smartphone
KR20130007175U (en) Holder ring for mobile phone
KR101133050B1 (en) Free-stop hinge module of folder type mobile phone
KR20110096869A (en)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1172903B1 (en) Accessory for Portable Terminal
KR20160129502A (en)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strap
KR200486975Y1 (en) Stand clip for smart-phone case
KR101724031B1 (en) Cable Protecting Equipment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881069B1 (en) neck bend head-set having hinge portion
KR101850541B1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
KR20160072437A (en) Terminal dock
KR20120056580A (en) Holder for portable device
KR200202194Y1 (en) A cell-phone free catcher
JP3162878U (en) Operation terminal for information terminals
KR20130002421U (en) A case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JP3238853U (en) mobile phone hol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