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265B1 -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 Google Patents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265B1
KR101743265B1 KR1020160046163A KR20160046163A KR101743265B1 KR 101743265 B1 KR101743265 B1 KR 101743265B1 KR 1020160046163 A KR1020160046163 A KR 1020160046163A KR 20160046163 A KR20160046163 A KR 20160046163A KR 101743265 B1 KR101743265 B1 KR 10174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unting assembly
bar
mounting
grip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광서
구규빈
Original Assignee
구광서
구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서, 구규빈 filed Critical 구광서
Priority to KR10201600461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26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26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거치 어셈블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단 일측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휨성을 갖는 제1그립바 및 제2그립바와, 상기 베이스와 복수개의 상기 그립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상기 거치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거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comprising: a mounting assembly for supporting eith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rst grip bar and a second grip bar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at one side of a side of the base and having a bending property;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grip bars, And an opening device which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es an opening into which the mounting assembly is inserted.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부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세워두거나 손가락 사이에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인 거치 어셈블리와 결합되어 다양한 추가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device which is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is combined with a mounting assembly which is a means for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mounting and fixing the electronic device between the fing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unting apparatus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that provides the func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란 용어는 휴대폰(피쳐 폰: Feature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리모콘(Remote control)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기기의 무게가 적게는 수십g 까지 줄어들었고, 기기의 부피도 상당히 소형화되었으며, 특히 휴대폰과 PDA의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 폰은 기존의 음성 통화 중심의 휴대 전화 기능에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PDA의 네트워크 기능과 스케줄 기능, 개인 정보 관리 기능, Wi-Fi를 통한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는 물론, 화상 통화 및 전송, MP3 기능을 통한 음악 감상과 DMB를 통한 동영상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과 아울러, GPS를 통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소설이나 만화 등도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는 등 그 놀라운 편의성 및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매년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모바일 기기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Generally, the term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portable telephone (Feature Phone), MP3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1 Audio Layer-3), PMP (Portable Media Player) A mobile phone, a laptop, a notebook, a mini-notebook, an 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a tablet PC, a smart phone, a navigation device, a portable game device (Play Station Portable) Remote control) and the like. As the miniaturization technology of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developed day by day, the weight of the device has been reduced to a few tens of grams and the volume of the device has been considerably reduced. In particular, a smartphone,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lephone function,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DA network function and schedule function,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an Internet information search function through Wi-Fi.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via a portable terminal, , Enjoying music through MP3 function and video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DMB. In addition to navigation function through GPS, enjoying game, downloading novel or cartoon, etc., In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we see a And is positioned as the center of mobile devices.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도 하지만, 휴대단말기의 크기가 점차 대형화되면서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거나, 차량거치 등으로 방송이나 영화를 보는데 사용하는 사용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 때, 휴대단말기를 책상 위에 눕힌 상태로 올려놓게 되면 눈과 화면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기 마련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책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Although mobi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are hand held and used, the number of users who use the mobile terminal to view broadcasts or movies by mounting on a desk or a table, or mounting a mobile terminal is increasing as the size of the portable terminal becomes larger and larger. In this cas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laid down on the des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ngle of the eyes and the screen is excessively increased and the image is not easily seen.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radl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inclined relative to the desk is used.

일반적인 종래의 거치대는 별도의 지지수단을 책상이나 차량에 고정하고 그 위에 휴대단말기를 거치시키도록 하였으나, 휴대단말기를 필요에 따라 거치시킬 수 있도록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거치대를 직접 설치하되 사용과 휴대에 불편이 없도록 하는 거치대가 필요하였다.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cradle, a separate supporting means is fixed to a desk or a vehicle and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thereon. However, in order to mount the portable terminal as required, the cradle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portable terminal. I needed a cradle to make sure there was no inconvenience.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281064호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는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 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 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portable terminal crad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1064 entitled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has a rod shap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A leaf spring which elastically deforms in an unfolded state or a fold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to maintain its shape;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a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plate spring is bent in an arcuate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late spring is in a state of being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viewed in the X- And the leaf spring is bent in a convex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is bent so that the height h1 in the folded state is larger than the height h2 in the expanded state, Wherein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shell member which surrounds the leaf spring and has w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wing portion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접착부재로 된 결합부재를 만곡된 판스프링에 부착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만곡된 판스프링의 중앙 양측에 평면상 날개부를 형성하고 일체화하여야 하는 구조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 확장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탄성변형에 의해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에 의해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게 될 때, 거치대 전체에 대하여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날개부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휴대폰 케이스에서 거치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radle can not attach the joining member made of the adhesive member to the curved plate spring, it is necessary to form a planar blade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curved plate spring and integrate th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the expandability is insufficient. In addition, when the elastic spring is elastically deformed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during use, both ends of the leaf spring are bent in an arc- The impact due to the elastic de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entire cradle, and the adhesiveness of the cradle is deteriorated due to such repetitive impact, and the cradle is detached from the case of the mobile phone.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 10-1481256호의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의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고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시키는 것으로 휴대용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481256 entitled " Accessory of a portable device " includes an adhesive plate fixed to one surface of a portable device, and a ring and a ring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re rotatable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adhesive plat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ring so that the ring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whereby the ring is adjusted and maintained at various angles to facilitate the carrying and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평면상에 거치하거나 고리에 고정수단을 끼워 거치 또는 휴대하는 데에만 활용될 수 있어 차량과 같은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평면이 부족한 공간에서 거치하기 힘들고, 파지하는 것 이외의 방법(걸림수단을 활용한 걸이식 거치, 부착수단을 활용한 고정 거치 등)을 통해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tand can be used only for mounting or carry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 flat surface or by inserting a fixing means in a ring,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a space lacking in planarity,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apparatus through a method other than gripping (such as a grafting operation using an engaging means, a fixing operation using an attaching means, or the like).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거치대에 추가적인 확장성을 부가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거치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의 거치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radle mounting device that facilitates carrying and mount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allowing additional expansion to the cradle, thereby allowing mounting and storage in various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와 연계하여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한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unting device which is easy to carry and mount in connec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사용하여 별도의 거치부재에 부착 및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for facilitating attachment and rotation to a separate mounting member using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각도와 위치로 거치 어셈블리를 회전 및 고정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means for rotating and securing the mounting assembly at various angles and position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거치 어셈블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단 일측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휨성을 갖는 제1그립바 및 제2그립바와, 상기 베이스와 복수개의 상기 그립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거치대가 수용되는 수용공간 및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상기 거치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거치 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including: a mounting assembly for supporting on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rst grip bar and a second grip bar each having a bending property and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ase;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grip bars, And a mounting device which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ncludes an opening for inserting the mounting assembly.

추가로,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는, 바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부터 제1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곡면파트와, 상기 제1곡면파트의 끝단에서부터 제2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곡면파트와, 상기 제2곡면파트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단까지 제3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3곡면파트로 이루어진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grip bar and the second grip bar may include a bar-shaped support portion, a first curved portion extending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formed to bend from the first end of the support portion into a first curved line, A second curved part bent from the end of the part to a second curved line and a third curved part bent from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art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by a third curved line, do.

더하여,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되, 양 측변에는 굴곡지게 함입되어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곡면파트로 형성된 돌출면이 상기 안착걸이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assembly is formed to extend in a height direction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and both sides of the mounting assembly are formed with a seating hole, And the engaging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rotruding surface formed by the first curved portion extends to support one side of the seating catch.

덧붙여,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 측변의 높이가 타 측변의 높이보다 높은 편심구조 이고, 상기 거치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서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와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단부에서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보조그립바로 구성되는 익스텐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assembly may have an eccentric structure in which the height of one side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and the mounting device includes a first grip bar and a second grip bar on one side of the base, And an extension bar formed of a guide bar extending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grip bar is bent and an auxiliary grip bar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rip bar and the second grip bar at an end of the guide bar. do.

또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거치대의 적어도 일 측과 맞닿는 부위와 그 주변영역을 라운딩지게 함입한 기울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guide bar may include a tilting control unit which surrounds at least one side of the cradle and a peripheral region thereof so as to be rounded.

또한, 상기 보조그립바는, 바 형상의 보조지지부와, 상기 보조지지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대의 일 측을 접촉 지지하는 보조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grip bar may include a bar-shaped auxiliary support portion and an auxiliary engagement portion protruding from the auxiliary support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on space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cradle.

또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힌지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거치 장치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바의 일 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받침부와 접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경사면을 갖는 거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unting assembly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via a hinge. The receiving device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guide bar,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tapered so as not to contact the portion; And a mounting boar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또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와 힌지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assembly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hooking space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insert at least one finger, and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is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via the cradle and the hinge .

마지막으로,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받침부에는 링 형상의 메인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메인링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링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bearing portion is formed in a laminated structure of a first bearing portion and a second bearing portion, and a ring-shaped main ring is formed on the first bearing portion, and a ring- And is rotatably fitted to the main ring.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mount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대와 연계하여 더욱 높은 위치나 다른 거치대상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1) In conjunction wit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radle, it can be easily mounted to a higher position or other mounting object,

2) 별도의 거치부재에 별도의 링 연결모듈을 장착하여 결착되는 것으로 거치 이후 고정 및 회전이 용이하며,2) It is easy to fix and rotate after mounting by attaching a separate ring connection module to a separate mounting member,

3) 거치대와 연계하여 거치대가 회전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넓은 각도, 방향으로 거치가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3) The holder can be rotated and fixed in conjunction with the holder, so that the holder can be mounted in a wider angle and direction.

도 1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제1그립바 및 제2그립바의 변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서 익스텐션바를 더욱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거치보드를 더욱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특화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끼움구성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ation structure of a first grip bar and a second grip bar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extension bar is further form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ounting board is further formed in a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mounting apparatu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that is specializ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receiving portion fitting 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devic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10)의 거치 장치(100)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거치 어셈블리(10)의 거치 장치(100)로서, 베이스(30)와, 베이스(30)의 측단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고 휨성을 갖는 제1 및 제2그립바(50, 51)와, 베이스(30)와 제1 및 제2그립바(50, 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거치 어셈블리(1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70) 및, 수용공간(70)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거치 어셈블리(10)가 삽입되는 개방구(90)로 구성된다.1, a mounting device 100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10 is a mounting device 100 of a mounting device 10 that supports eithe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base 30 and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at a side of the base 30 and having a bending property and a base 30 and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51), which is constituted by a housing space (70) in which the mounting assembly (10) is received and an opening (90) in which the mounting assembly (10)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space (70) do.

여기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면,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폰, MP3, PMP, PDA, 랩톱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기, 전자사전, 리모콘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의미하고,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inafte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a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phone, an MP3, a PMP, a PDA, a laptop, a mini laptop, a UMPC, , A portable game machine, an electronic dictionary, a remote controller, and the lik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means covering and protec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거치 어셈블리(10)는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바(막대) 형상의 지지대로 구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나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받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는 미술도구인 이젤을 세우기 위해 후면에 위치한 지지대의 위치를 변경하여 지지하도록 하는 것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The mounting assembly 10 supports such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nd is generally configured as a bar-shaped support so as to support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This serves the same purpose as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upport on the back to support the art tool, the easel.

베이스(30)는 거치 장치의 몸체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부분을 의미한다.The base 30 means the most basic part of the body of the mounting device.

제1 및 제2그립바(50, 51)는 베이스(30)로의 측단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휨성을 갖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side ends toward the base 30 and are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bending property.

수용공간(70)은 베이스(30)와 제1 및 제2그립바(50, 5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베이스(30)를 기준으로 본다면, 높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그립바(50, 51)를 통해 마치 꽃봉오리와 같은 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게 되는데, 해당 공간을 수용공간(70)으로 명명한 것이다.The accommodation space 70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51. When the base 30 is viewed as a reference, a space is formed in a shape like a flower bu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formed in a height direction. ).

개방구(90)는 수용공간(70)에서 베이스(30)의 반대쪽에 위치한 개방된 부분을 의미한다. 이 개방구를 통해 거치 어셈블리(10)가 삽입되어 수용공간(70)에 수용되도록 한다.The open mouth 90 means an open portion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30 in the accommodation space 70. So that the mounting assembly 10 is inserted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70 through the opening.

보다 상세한 형상을 설명하기에 앞서, 형상을 기준으로 방향을 미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ior to describing the more detailed shape, the direction will be described in advance with reference to the shape.

우선 도 1에 나타난 형상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10)가 삽입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을 후방이라 선언한다. 또한, 베이스(30)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 그 반대 방향을 상방이라 선언한다. 이에 따라 높이방향은 베이스(30)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으로 선언하고 설명하도록 한다.First, referring to the shape shown in Fig. 1, the direction in which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10 is inserted is referred to as for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rearward. Further,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30 is positioned is referred to as downward,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upward. Accordingly, the height direction is defined and describ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30 is located.

베이스(30)는 거치 장치의 기본이 되는 부위로서 제1 및 제2그립바(50, 51) 등이 측단에 형성되기 위한 기초 역할을 한다. 베이스(30)는 쉽게 말해 특정한 두께를 갖는 판이며, 그 평면이 평평하지 않고 굴곡지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구성 재질은 500g 이내의 무게를 받치면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한정되지 않는다.The base 30 serves as a base for forming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at the side ends. The base 30 is a plate having a specific thickness. The base 30 can be formed to have a flat surface without being flat. The material of the base 30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capable of retaining its shape within a weight of 500 g or less.

제1 및 제2그립바(50, 51)는 베이스(30)의 측단 일측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서, 휨성을 갖는다. 이를 쉽게 설명하자면 베이스(30)의 양 측단에서 높이방향으로 연장된 두 개의 기둥이되, 이 기둥은 모두 휨성을 가지는 것이다.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ase 30 and have a bending property. To explain this easily, two pillars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30, and these pillars are all bendable.

또한,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 및 베이스(30)를 통해 수용공간(70)과 개방구(90)가 형성된다. 수용공간(70)은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 및 베이스(30)를 3개의 기준점으로 볼 때 형성되는 공간이며, 개방구(90)는 이 수용공간으로 들어오기 위한 입구이다. 다만, 개방구(90)의 경우,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의 측면에 형성된 영역을 모두 포함하므로 개방구(90)가 항상 최상단에만 형성되지는 않으며, 이에 따라 최상단만을 한정짓지는 않는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개방구(90)에서 삽입된 거치 어셈블리(10)가 수용공간(70)에 수용되는 것이다.The receiving space 70 and the opening 90 are formed through the first grip bar 50, the second grip bar 51, and the base 30. The accommodation space 70 is formed when the first grip bar 50, the second grip bar 51 and the base 30 are viewed from three reference points, It is the entrance for. However, since the open mouth 90 includes both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area formed on the side of the second grip bar 51, the opening 90 is not always formed at the uppermost position, It does not limit the top. With this structure, the mounting assembly 10 inserted in the opening 90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space 70.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제1그립바(50) 및 제2그립바(51)의 변형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formed structure of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각 그립바는 바 형상의 지지부(52)와 초승달 모양의 걸림부(53)로 구성된다. 지지부(52)의 경우 도면에 나타나듯이 일자형태로 뻗은 바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며, 걸림부(53)는 지지부(52)의 상단에서 초승달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2, each of the grip bars includes a bar-shaped support portion 52 and a crescent-shaped engagement portion 53. In the case of the supporting part 52, as shown in the figure, the bar shape extends in the form of a rectangle, and the engaging part 53 is formed in a crescent shape at the upp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52.

걸림부(53)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지지부(52)의 일단에서부터 제1곡도로 국곡지게 형성된 제1곡면파트(54)와, 상기 제1곡면파트(54)의 끝단에서부터 제2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곡면파트(55)와, 상기 제2곡면파트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단까지 제3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3곡면파트(56)로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에서 제1곡도와 제2곡도, 제3곡도는 모두 다른 곡도를 가지는 값이되, 제1곡도와 제2곡도는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는 값이고, 제3곡도는 제1곡도 및 제2곡도와는 반대 방향으로 진행되는 값이다.The engaging portion 53 includes a first curved portion 54 formed so as to be curved in a first curved line from one end of the supporting portion 52 and a second curved portion 54 curved in a second curved line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ortion 54, And a third curved part 56 curved from the end of the second curved part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ing part in a third curved line. Here, the first, second and third curves are values having different curves, and the first and second curves are values proceeding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third curves are values having the first and second curves, Lt; / RTI >

제1곡도를 갖는 제1곡면파트(54)를 통해 기존의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만 존재할 때 보다 더욱 개방구(90)를 좁게 만들게 되어 거치 어셈블리(10)가 삽입된 이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t is possible to make the opening 90 narrower than when only the existing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are present through the first curved part 54 having the first curved line, So that it can not be easily released.

제2곡도를 갖는 제2곡면파트(55)를 통해 개방구(90)가 좁게 형성되더라도 거치 어셈블리(10)의 삽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곡면파트(55)는 제1곡면파트(54)와 달리 외부로 뻗어나가 개방구(90)를 넓게 만들게 된다. 이는 마치 풍선의 공기주입구나 고무장갑의 손 삽입부와 같이 거치 어셈블리(1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Even if the opening 90 is narrowly formed through the second curved part 55 having the second curved line, the insertion of the mounting assembly 10 can be further facilitated. Unlike the first curved part 54, the second curved part 55 extends outward to make the opening 90 wide. This serves to facilitate insertion of the mounting assembly 10, such as an air inlet of a balloon or a hand insertion portion of a rubber glove.

제3곡도를 갖는 제3곡면파트(56)의 경우는 이러한 제1곡면파트(54)와 제2곡면파트(55)의 형성으로 이를 마감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며, 일자가 아닌 곡면을 형성하므로 제2곡면파트(55) 또는 제1곡면파트(54)가 변형되는 것을 완충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In the case of the third curved part 56 having the third curved line, the first curved part 54 and the second curved part 55 are formed in order to finish the curved part, The second curved part 55 or the first curved part 54 is deformed.

또한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가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방향을 수직방향이 아닌 서로 점차 가까워지는 각도로 연장시킨다면 이 개방구(90)의 크기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수용공간으로 삽입된 거치 어셈블리(10)의 고정을 강화시켜 제1곡면파트(54)의 역할을 더욱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direction thereof is extended not at a vertical direction but at an angle gradually closer to each other, the size of the opening 90 is remarkably reduced The fixing of the mounting assembly 10 inserted into the receiving space can be reinforced to further assist the role of the first curved part 54. [

도 3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에서 익스텐션바를 더욱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n extension bar is further form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거치 어셈블리(10)는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 측변의 높이가 타 측변의 높이보다 높은 편심구조로 형성된다. 좌우 대칭이 아닌 편심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손가락 사이에 끼웠을 때에 손가락의 형태와 유사한 그립감을 갖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First, the mounting assembly 10 is formed to have a gradually widening shape, and the height of one side is formed to have an eccentric structure that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It is formed in an eccentric structure that is not symmetrical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having a grip feeling similar to the shape of a finger when sandwiched between the fingers.

이에 대응되도록 거치 장치는 베이스(30)의 일 측에서 상기 제1그립바(50) 및 상기 제2그립바(51)와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바(57)와, 가이드바(57)의 단부에서 상기 제1그립바(50) 및 상기 제2그립바(51)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보조그립바(58)로 구성되는 익스텐션바(61)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ounting device includes a guide bar 57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30 in a bent direction with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And an auxiliary grip bar 58 extending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at an end of the second grip bar 51. [

가이드바(57)는 제1그립바(50)와 제2그립바(51)가 형성되지 않은 공간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가이드바(57)가 형성되었을 때의 형상을 설명하자면, 베이스(30)와 베이스(30)의 양 측단에 돌출형성된 제1그립바(50) 및 제2그립바(51)와 그 사이 공간 중 하나에서 베이스(30)로부터 연장 형성된 가이드바(57)가 위치한다. 또한 가이드바(57)의 단부에는 제1그립바(50) 및 제2그립바(51)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형태로 보조그립바(58)가 형성된다.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guide bar 57 is extended in a space in which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are not formed.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protrude from both ends of the base 30 and the base 30 and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1 and 51, In one, a guide bar 57 extending from the base 30 is located. An auxiliary grip bar 58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bar 57 in such a manner as to exten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이 보조그립바(58) 또한 앞서 제1그립바(50) 및 제2그립바(51)의 제1곡면파트(54)의 역할을 갖도록 수용공간(7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인 보조걸림부(59)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grip bar 58 is also a protrusion that protrudes in the direction of the receiving space 70 so as to serve as a first curved part 54 of the first grip bar 50 and the second grip bar 51, (59). ≪ / RTI >

이러한 익스텐션바(61)를 통해 앞서 제1 및 제2그립바(50, 51) 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더욱 강력한 그립력을 가질 수 있다.It is possible to have a stronger gripping force than the case where only the first and second grip bars 50 and 51 are used in advance through the extension bar 61. [

또한 가이드바(57)에는 거치 어셈블리(10)의 적어도 일 측과 맞닿는 부위와 그 주변영역을 라운딩지게 함입한 기울임제어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기울임제어부(60)는 가이드바(57)에 형성한 반구형의 함입공간으로서, 앞서 거치 어셈블리(10)를 편심구조로 형성했기 때문에 생겨난 상단부의 모서리를 활용하는 것이며, 거치 어셈블리(10)를 수용공간에 삽입할 때에 기울임제어부(60)에 일 모서리가 맞닿도록 삽입하는 것으로 기울임을 제어할 준비가 완료된다. 기울임제어부(60)에 위치한 모서리는 기울임제어부(60)의 형상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거치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가 거치된 기울임의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bar 57 may include a tilting control unit 60 in which a portion of the guide bar 57 abut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mounting assembly 10 and a peripheral region thereof are rounded. The tilting control unit 60 is a hemispherical recessed space formed in the guide bar 57. The tilting control unit 60 utilizes the edge of the upper end formed by previously forming the mounting assembly 10 in an eccentric structure, It is ready to control the tilting by inserting the tilting control unit 60 so that one edge thereof is abutted. The corner located at the tilt control unit 60 can be moved along the shape of the tilt control unit 60 to control the degree of tilting of the moun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도 4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에 거치보드를 더욱 형성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mounting board is further form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치 장치에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베이스(30) 및 가이드바(57)의 일 측면에 부착되고, 거치 어셈블리(10)와 접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111) 및. 제1경사면(111)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경사면(112), 제1경사면(111) 및 제2경사면(112) 사이에 형성되는 제3경사면(113)을 갖는 거치보드(11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4, the mounting device is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30 and the guide bar 57, which is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has a first inclined surface 111 ) And.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mounting board 110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112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 and a third inclined surface 113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 .

거치보드(110)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탄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이스 및 가이드바(57)의 일 측면에 부착되거나 전체에 씌워짐으로써 전체 거치 장치(100)의 일 측면 또는 전체면을 보호하는 역할도 수행한다.The mounting board 110 is preferably made of an elastic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impact. In addition, it also protects one side or the entire surface of the entire mounting device 100 by being attached to the whole surface of the base and the guide bar 57.

다만, 거치 어셈블리(10)에 힌지(12)를 갖는 받침부(13)를 형성하여 힌지(12)를 통해 거치 어셈블리(10)를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형태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한데, 이 경우 거치보드(110)의 형상에서 받침부(13)와 가까운 부위가 접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한 제1경사면(111)과, 마주보는 반대 부분을 역시 동일한 방향으로 테이퍼지게 형성한 제2경사면(112)을 이루는 것이다. 이 경우, 제1경사면(111)을 통해서는 경첩이 접혔을 경우 받침부(13)가 위치하는 공간을 피해 거치보드가 형성되어 이동 중 걸림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면(111)과 제2경사면(112) 사이에 제3경사면(113)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제3경사면은 받침부(13)와 가까운 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3경사면(113)을 통해 경첩을 펼쳐 거치 어셈블리(10)를 세우지 않은 접은 상태에서도 거치가 가능한 각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탄성재질의 거치보드(110)를 통해 거치 장치를 보호함은 물론 거치 어셈블리와(10)의 연계를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receiving part 13 having the hinge 12 in the mounting assembly 10 so that the mounting assembly 10 can be folded or unfolded through the hinge 12. In this case, A first inclined surface 111 formed to be tapered so as not to come into contact with a portion close to the receiving portion 13 in the shape of the supporting portion 110 and a second inclined surface 112 formed so as to taper in the opposite direction It is. In this case, when the hinge is folded through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 a hanging board is formed to avoid the space where the receiving portion 13 is located, and the hanging phenomenon can be solved during the movement.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3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111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112. However, the third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close to the receiving portion 13, and the hinge is extended through the third inclined surface 113 to provide an angle at which the mounting assembly 10 can be mounted even in a folded state without erecting the mounting assembly 10.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further strengt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unting assembly 10 and the mounting device through the fixing board 110 made of an elastic material.

도 5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를 특화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that is specialized i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거치 어셈블리(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11)이 형성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삼각고리 또는 사각고리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받침부(13)를 원판 형상으로 형성하되, 힌지(12)를 매개로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힌지(12)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 hooking space 11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of the mounting assembly 10 so that at least one finger can be inserted. The hooking space 11 has a triangular or square ring shape. 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13 may be formed in a disk shape, and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via the hinge 12. In this case, the hinge 12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hereto.

이러한 형상에 따라, 사용자는 이 걸이공간(11)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거나, 줄이나 로프, 다른 고리와 같은 부재를 끼워 더욱 다양한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shape, the user can insert a finger into the hook space 11 or hang a member such as a string, a rope, or another ring so as to perform more various mounting operations.

또한 단순한 일 방향의 회동이 아닌 3차원적인 범위의 회전을 위해 받침부(13)를 더욱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o further deform the receiving portion 13 to rotate in a three-dimensional range, rather than a simple one-directional rotation.

도 6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끼움구성의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receiving portion fitting structure.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부(13)는 판 형상으로서 제1받침부(15)와 제2받침부(14)의 적층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받침부(15, 14)의 결착은 화학적인 부착(본드, 실리콘, 접착제, 테이프 등)도 가능하나 제1 및 제2받침부(15, 14)의 형상을 변형시켜 부착면에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화학적인 부착의 경우 평평한 면에 본드, 실리콘, 접착제, 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받침부에 부착되는 구조이나, 물리적인 결합의 경우 끼움삽입구조나 레일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6, the receiving portion 13 may have a laminated structure of a first receiving portion 15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14 in the form of a plate. The bonding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5 and 14 can be chemically bonded (bond, silicone, adhesive, tape, etc.), but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5, Lt; RTI ID = 0.0 > a < / RTI > In the case of chemical attachment, it can be combin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flat surface is attached with a bond, silicone, adhesive, tape or the like to the support part, or in the case of a physical connection, a fitting structure or a rail structure is applied.

물리적인 결합의 예를 들면, 제1받침부(15)의 결착면에는 일정 깊이 함입된 레일이 형성되고, 제2받침부(14)의 하단면에는 레일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풀러가 형성된다. 레일과 풀러의 함입 및 돌출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톱니 모양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풀러를 레일에 끼움결합시킴으로서 결합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제1받침부(15)가 형성된 받침부(13)만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다가 거치가 필요한 경우 풀러가 형성된 받침부(13)를 끼움결합 시켜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풀러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베이스(30)의 레일 일 측을 막아 끼움결합과 해체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한다면 보다 강한 결합력을 갖출 수 있다.The first receiving portion 15 is provided with a rail embedded in a predetermined depth and a lower end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 is provided with a puller .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variety of known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or a saw tooth shape can be applied to the concave and protruded shapes of the rail and the puller. Only the receiving portion 13 hav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5 formed thereon is normally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through the above structure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3 is attached to the cas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mounting by engaging the receiving portion 13 formed with the puller. Further, if the one side of the rail of the base 30 is closed to allow the fitting and disassembly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puller can not be easily separated, a stronger bonding force can be obtained.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풀러가 끼움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거치를 수행하기는 어렵다. 이 경우 받침부의 적층구조에 회전결합구조를 적용시키는 것으로 해결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t is difficult to engage the fuller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perform the mounting operation at various angl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a rotational coupling structure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우선 기존의 제1받침부(15)와 제2받침부(14) 사이에는 회전이 가능한 결합부인 회전링결합부가 형성된다. 이 회전링결합부는 메인링(17)과 회동부(16)를 결합한 것으로서, 하나의 링이 다른 하나의 링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First,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5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 a rotating ring engaging portion, which is a rotatabl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he rotary ring coupling portion is a coupling between the main ring 17 and the rotary portion 16, and one ring can be engaged with another ring and rotated.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링(17)은 고리형태로 가공된 것으로서,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화하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활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에서의 금속 간섭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등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링(17)은 접착제나 접착패드, 접착 테이프 등의 부착 매개체로 제1받침부(15)의 타측에 형성되고,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후천적으로 부착되거나, 전용 결합단자를 형성하여 해당 결합단자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구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조 시 메인링(17)을 함께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ring 17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at does not easily change from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metal interference in wireless charg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known materials can be used. The main ring 17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5 as an attachment medium such as an adhesive, an adhesive pad or an adhesive tape and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structure in which a coupling terminal is formed and physically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terminal, and a structure in which a main ring 17 is formed togethe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manufactured .

또한, 제1받침부(15)는 메인링(17)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메인링(17)과 제1받침부(15) 및 그 내부공간까지를 포함하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메인링(17)과 제1받침부(15) 및 그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주변공간까지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메인링(17)의 내부공간인 중앙부위는 외부로 노출이 되는 바 해당 부분에 마크 등의 인쇄물을 위치시킨다면 광고효과를 노릴 수 있고,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메인링(17)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The first bearing portion 15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ring 17 or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the main ring 17 and the first bearing portion 15 and the inner space thereof , The main ring 17,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5, and the inner space, and may include a peripheral space. 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of the main ring 17, which is the inner sp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f a printed matter such as a mark is placed on the portion, the advertisement effect can be aimed. You can see the effect of guiding you to find.

메인링(17)의 상단부에는 메인링(17)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메인링(17)의 상단부를 덮거나 또는 메인링(17)의 하단부에 결착되는 회동부(16)이 위치한다. 이 회동부(16)는 메인링(17)과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동부(16) 또한 메인링(17)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어 제2받침부(14)에 부착되는 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main ring 17 is covered with the upper end of the main ring 17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ring 17 or a pivot portion 16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ring 17 is positioned. The rotary portion 16 is rotatable in combination with the main ring 17. The turning portion 16 is also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ring 17 and attached to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4.

따라서, 이중 회전결합구조를 적용한다면 기존의 힌지(12)만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일 측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었으나 회동부(16)와 메인링(17)의 회전결합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ly, when the doubl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only the conventional hinge 12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only, but it can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coupling between the rotation portion 16 and the main ring 17, It is possible to mount it on the groun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mounting devic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거치 어셈블리 11: 걸이공간
12: 힌지 13: 받침부
14: 제2받침부 15: 제1받침부
16: 회동부 17: 메인링
30: 베이스 50: 제1그립바
51: 제2그립바 52: 지지부
53: 걸림부 54: 제1곡면파트
55: 제2곡면파트 56: 제3곡면파트
57: 가이드바 58: 보조그립바
59: 보조걸림부 60: 기울임제어부
61: 익스텐션바 70: 수용공간
90: 개방구 100: 거치 장치
110: 거치보드 111: 제1경사면
112: 제2경사면 113: 제3경사면
10: mounting assembly 11: hanging space
12: Hinge 13:
14: second support part 15: first support part
16: turning portion 17: main ring
30: base 50: first grip bar
51: second grip bar 52:
53: engaging part 54: first curved part
55: second surface part 56: third surface part
57: guide bar 58: auxiliary grip bar
59: auxiliary locking portion 60: tilting control portion
61: extension bar 70: accommodation space
90: opening 100: mounting device
110: mounting board 111: first inclined surface
112: second inclined surface 113: third inclined surface

Claims (10)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를 지지하는 거치 어셈블리;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측단 일측에서 각각 높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휨성을 갖는 제1그립바 및 제2그립바 및, 상기 베이스와 복수개의 상기 그립바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가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일 측에서 개방되어 상기 거치 어셈블리가 삽입되는 개방구를 포함하는 거치 장치;로 구성되되,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는,
바 형상의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서부터 제1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1곡면파트와, 상기 제1곡면파트의 끝단에서부터 제2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2곡면파트와, 상기 제2곡면파트의 끝단에서부터 상기 지지부의 타단까지 제3곡도로 굴곡지게 형성된 제3곡면파트로 이루어진 걸림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A mounting devic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ssembly,
A mounting assembly for supporting any on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rst grip bar and a second grip bar each having a bending property and extending in a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ide of the base; and a space formed between the base and the plurality of grip bars, And an opening device which is opened at one side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into which the mounting assembly is inserted,
Wherein the first grip bar and the second grip bar comprise:
Shaped support portion,
A first curved part extending from the support part and curved in a first curved line from one end of the support part; a second curved part bent from the end of the first curved part to a second curved part; And a third curved part formed to be curved in a third curved line from the end to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part.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되되, 양 측변에는 굴곡지게 함입되어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1곡면파트로 형성된 돌출면이 상기 안착걸이의 일 측을 지지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assembly includes:
A pair of right and left side edges are formed to extend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0027]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ruding surface formed by the first curved part is formed so as to extend to support one side of the seat faste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되, 일 측변의 높이가 타 측변의 높이보다 높은 편심구조 이고,
상기 거치 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일 측에서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와 절곡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바의 단부에서 상기 제1그립바 및 상기 제2그립바의 높이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는 보조그립바로 구성되는 익스텐션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assembly includes:
And the height of one side is an eccentric structure having a height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other side,
The above-
A guide bar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ase in the direction of bending the first grip bar and the second grip bar, and a guide bar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guide bar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first grip bar and the second grip bar And an extension bar formed directly on the auxiliary grip.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거치 어셈블리의 적어도 일 측과 맞닿는 부위와 그 주변영역을 라운딩지게 함입한 기울임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guide bar
And a tilting control unit which includes a tilting control unit for causing a portion of the mounting assembly to contact at least one side and a peripheral region thereof to be roun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그립바는,
바 형상의 보조지지부와,
상기 보조지지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거치 어셈블리의 일 측을 접촉 지지하는 보조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uxiliary grip bar
A bar-shaped auxiliary support portion,
And an auxiliary engaging portion protruding from the auxiliary supporting portion i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space and contacting and supporting one side of the mounting assembly.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힌지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받침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거치 장치는,
탄성재질로 구성되어, 상기 베이스 및 상기 가이드바의 일 측면에 부착되되,
상기 받침부와 접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1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평행하게 형성된 제2경사면을 갖는 거치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mounting assembly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via a hinge,
The above-
And a guide member attached to one side of the base and the guide bar,
A first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tapered so as not to b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And a mounting board having a second inclined surface formed parallel to the first inclined surfac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보드는,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의 사이 공간 중 일 측에서 상기 받침부와 접하지 않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제3경사면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ounting board includes:
Further comprising a third inclined surface tapered from one side of the space between the first inclined surface and the second inclined surface so as not to contact the receiving portion.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받침부는,
원판 형상으로서, 상기 거치 어셈블리와 힌지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The mounting assembly includes:
Wherein a hook space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insert at least one finger,
[0030]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 the form of a disk and is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via the mounting assembly and the hing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적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받침부에는 링 형상의 메인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메인링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링에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어셈블리의 거치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0030]
A first support portion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A ring-shaped main ring is formed on the first bear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bear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ring, and is rotatably fitted to the main ring.
KR1020160046163A 2016-04-15 2016-04-15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KR1017432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63A KR101743265B1 (en) 2016-04-15 2016-04-15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63A KR101743265B1 (en) 2016-04-15 2016-04-15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265B1 true KR101743265B1 (en) 2017-06-02

Family

ID=5922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63A KR101743265B1 (en) 2016-04-15 2016-04-15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26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47Y1 (en) 2020-04-14 2020-12-03 윤여신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220121163A (en) 2021-02-24 2022-08-31 김순라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47Y1 (en) 2006-02-08 2006-04-17 김영임 a hand-phone for fixing
KR101357009B1 (en) 2011-09-28 2014-02-03 조성목 Gripper for handheld device
CN204859814U (en) 2015-01-06 2015-12-09 Aauxx韩国有限公司 Installing compone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4247Y1 (en) 2006-02-08 2006-04-17 김영임 a hand-phone for fixing
KR101357009B1 (en) 2011-09-28 2014-02-03 조성목 Gripper for handheld device
CN204859814U (en) 2015-01-06 2015-12-09 Aauxx韩国有限公司 Installing component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747Y1 (en) 2020-04-14 2020-12-03 윤여신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210002357U (en) 2020-04-14 2021-10-22 윤여신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KR20220121163A (en) 2021-02-24 2022-08-31 김순라 Grip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76475B2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JP3182771U (en) Protective sheath
CN106499927B (en) The accessory of portable electronic, electrical equipment
US10895345B2 (en) Mobile device accessory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US7729493B2 (en) Cover for mobile computer
US9019702B2 (en) Portable terminal with support plate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TWM514711U (en) Protective cover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20160033074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KR101472033B1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40123837A (en) Appartus for keeping smartphone
KR101743265B1 (en)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KR101731827B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20160061751A (en) Portable finger holder for mobile device
KR101618594B1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120008365U (en) Supporting case for display device
KR101338217B1 (en) Apparatus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KR101648937B1 (en)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JP2008505584A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3175063U (en) Stand for mobile devices
CN220337893U (en) Foldable supporting structure
KR200484140Y1 (en) Portable device holder
CN109379474A (en) Baby carriers mobile phone suppor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