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937B1 -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937B1
KR101648937B1 KR1020160046159A KR20160046159A KR101648937B1 KR 101648937 B1 KR101648937 B1 KR 101648937B1 KR 1020160046159 A KR1020160046159 A KR 1020160046159A KR 20160046159 A KR20160046159 A KR 20160046159A KR 101648937 B1 KR101648937 B1 KR 101648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portable electronic
electronic device
mounting
ext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1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광서
구규빈
Original Assignee
구광서
구규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광서, 구규빈 filed Critical 구광서
Priority to KR1020160046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9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937B1/en
Priority to PCT/KR2017/004025 priority patent/WO201717992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older comprising: a support having a rear plate to be detachably installed on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nger holding unit formed to be extended at a constant height from the top of the support toward a vertical direction in order to insert adjacent two fingers; and a fixed wing unit formed to be extended in a shape that it gets wider from the top of the finger holding unit.

Description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finger mounting portion,

본 발명은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부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를 세워두거나 손가락 사이에 거치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having a finger mounting por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which is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provide a means for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a mounting device.

일반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란 용어는 휴대폰(피쳐 폰: Feature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리모콘(Remote control)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지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소형화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면서 기기의 무게가 적게는 수십g 까지 줄어들었고, 기기의 부피도 상당히 소형화되었으며, 특히 휴대폰과 PDA의 기능이 융합된 스마트 폰은 기존의 음성 통화 중심의 휴대 전화 기능에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PDA의 네트워크 기능과 스케줄 기능, 개인 정보 관리 기능, Wi-Fi를 통한 인터넷 정보 검색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음성 통화는 물론, 화상 통화 및 전송, MP3 기능을 통한 음악 감상과 DMB를 통한 동영상 방송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과 아울러, GPS를 통한 네비게이션 기능은 물론, 게임을 즐기거나 또는 소설이나 만화 등도 다운로드 받아 볼 수 있는 등 그 놀라운 편의성 및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글로벌 경기 침체 속에서 매년 13%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모바일 기기의 중심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Generally, the term 'portable electronic device' refers to a portable telephone (Feature Phone), MP3 (Moving Picture Experts Group (MPEG) -1 Audio Layer-3), PMP (Portable Media Player) A mobile phone, a laptop, a notebook, a mini-notebook, an 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UMPC), a tablet PC, a smart phone, a navigation device, a portable game device (Play Station Portable) Remote control) and the like. As the miniaturization technology of these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s been developed day by day, the weight of the device has been reduced to a few tens of grams and the volume of the device has been considerably reduced. In particular, a smartphone, In addition to the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telephone function, it has various functions such as a PDA network function and schedule function, a 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 and an Internet information search function through Wi-Fi. In addition to voice communication via a portable terminal, , Enjoying music through MP3 function and video broadcasting contents through DMB. In addition to navigation function through GPS, enjoying game, downloading novel or cartoon, etc., In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we see a And is positioned as the center of mobile devices.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기는 손으로 들고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책상이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방송이나 영화를 보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책상 위에 눕힌 상태로 올려놓게 되면 눈과 화면의 각도가 지나치게 증가되어 화상이 잘 보이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휴대단말기를 책상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대가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to hand-held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smart phone, when the user places a portable terminal on a desk or a table and places the portable terminal on a desk, the angle between the eyes and the screen is excessively increa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cradle for allowing the portable terminal to be inclined relative to the desk is used.

이러한 휴대단말기 거치대의 예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281064호의 “휴대단말기용 거치대”에는 전개 상태에서 길이 방향(X축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폭 방향(Y축 방향)으로 좁게 형성된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외력에 의해 전개상태 또는 절곡상태로 탄성 변형되어 그 형상을 유지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을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상기 판스프링을 누르는 외력에 의해 절곡상태로 변환되고, 상기 판스프링은 외력에 의해 양단이 전개된 막대형상의 전개 상태를 이루거나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며, 상기 판스프링은 전개 상태에서 X축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인 상기 판스프링의 두께 방향(Z축 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볼록하게 휘어져 있고, 상기 판스프링은 절곡상태에서의 높이(h1)가 전개 상태에서의 높이(h2)보다 커 절곡상태로 휴대단말기를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지지하며,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판스프링을 감싸고 양측에 날개부가 돌출 형성된 외피부재와; 상기 날개부를 상기 휴대단말기의 배면에 결합시키는 접착부재로 이루어진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As an example of such a portable terminal cradl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81064 entitled " Cradle for portable terminal " has a rod shape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X axis direction) and narrow in the width direction (Y axis direction) A leaf spring which elastically deforms in an unfolded state or a fold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to maintain its shape; And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leaf spring to a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wherein the leaf spring is converted into a folded state by an external force pressing the leaf spring in an unfolded state, And the plate spring is bent in an arcuate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plate spring is in a state of being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viewed in the X- And the leaf spring is bent in a convex shape in the thickness direction (Z-axis direction), and the leaf spring is bent so that the height h1 in the folded state is larger than the height h2 in the expanded state, Wherein the coupling member comprises: a shell member which surrounds the leaf spring and has wings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an adhesive member for coupling the wing portion to the back surface of the portable terminal.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접착부재로 된 결합부재를 만곡된 판스프링에 부착할 수 없으므로 상기한 만곡된 판스프링의 중앙 양측에 평면상 날개부를 형성하고 일체화하여야 하는 구조로 할 수 밖에 없으므로 전체적인 제조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 시 탄성변형에 의해 판스프링의 탄성변형에 의해 양단이 휴대단말기의 반대방향으로 원호형상으로 휘어진 절곡상태를 이루게 될 때, 거치대 전체에 대하여 탄성변형에 의한 충격이 전달되고 이러한 반복적인 충격에 의해 날개부의 접착성이 저하되어 휴대폰 케이스에서 거치대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inc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cradle can not attach the joining member made of the adhesive member to the curved plate spring, it is necessary to form a planar blade on both sides of the center of the curved plate spring and integrate th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is increased and when the flexible spring is elastically deformed by the elastic deformation in use, both ends are bent in an arcuate shap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adhesive property of the wing portion is deteriorated by such repetitive impac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holder is detached from the cellular phone case.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 10-1481256호의 “휴대용 기기의 액세서리”에는 휴대용 기기의 일면에 고정되는 접착판과,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고리 및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다양한 각도를 가지도록 회전 가능하며, 고리가 접착판에 대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고리의 개방부의 접착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고리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시키는 것으로 휴대용 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편리하게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481256 entitled " Accessory of a portable device " includes an adhesive plate fixed to one surface of a portable device, and a ring and a ring having an opening at one side thereof are rotatable at various angles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And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adhesive plate of the opening portion of the ring so that the ring maintains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adhesive plate, whereby the ring is adjusted and maintained at various angles to facilitate the carrying and mounting of the portable device. .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거치대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평면상에 거치하거나 고리에 고정수단을 끼워 거치 또는 휴대하는 데에만 활용될 수 있어 차량과 같은 불규칙한 진동이 발생하거나 거치할 수 있는 평면이 부족한 공간에서 거치하기 힘들고, 파지하는 것 이외의 방법(걸림수단을 활용한 걸이식 거치, 부착수단을 활용한 고정 거치 등)을 통해 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stand can be used only for mounting or carry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n a flat surface or by inserting a fixing means in a ring, so that it can be mounted in a space lacking in planarity,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apparatus through a method other than gripping (such as a grafting operation using an engaging means, a fixing operation using an attaching means, or the like).

따라서, 휴대용 전자기기의 휴대와 거치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확장성을 부가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거치가 가능하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된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new and advanc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portable and stationary mounting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while allowing expansion in addition to being capable of being mounted in various environments.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휴대 및 거치가 용이한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having a fingerstall portion that is easy to carry and pla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를 그대로 사용하여 별도의 거치대상을 추가로 부착 및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ans for attaching and fixing a separate mounting object by using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having the finger mounting portion as it is.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거치 이외에도 지압기능 등의 부가기능을 갖춘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ns having an additional function such as a chiropractic function in addition to the mounting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판이 형성된 받침부;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단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손가락거치부와,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상단면에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는 바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comprising: a support unit having a back plate for removably mounting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and th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case; A finger mounting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and a fixed blade portion extending in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from an upper end surface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 ≪ / RTI >

더하여,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정면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tructure of the finger rest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concave and rou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추가적으로,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측면구조는, 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와, 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de structure of the finger res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seating portion, which is recessed to be rounded concavely along the rear surface, so that a portion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can be seated,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Is formed.

덧붙이면, 상기 고정날개부의 정면구조는, 상단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기준호가 위치하고, 상기 기준호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structure of the stationary van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ference arc intersecting the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end is positioned and protruded so as to be rounded upward toward the center around the reference arc.

또한, 상기 고정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제1기준점까지 제1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연장파트로부터 제2기준점까지 연장 형성된 제2연장파트와, 상기 제2연장파트로부터 제3기준점까지 제2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연장파트로부터 제4기준점까지 제3곡도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 제4연장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structure of the fixed vane may include a first extending part formed to be convexly extended to a first curved line to a first reference point, a second extend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ding part to a second reference point, A third extending part formed so as to be convexly extended from the part to a third curved line to a third curved line and a fourth extending part extending concave from the third extending part to a fourth reference point in a third curved line.

또한, 상기 고정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상기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4연장파트 사이의 이음부이자 상기 고정날개부의 첨단부에는,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체로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된 편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ide structure of the fixed vane portion may include an eccentric portion coupled to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third extended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ed portion and protruding from the protruding portion of the fixed vane portion,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손가락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nger fix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oking space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insert at least one finger.

또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손가락거치부와 힌지를 매개로 서로 개폐 가능하게 회동 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receiving portion is coupled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via the finger mount portion and the hinge.

마지막으로,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끼움결합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1받침부에는 링 형상의 메인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메인링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링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inally, the receiving portion is formed by a fitting structure of a first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wherein a ring-shaped main ring is formed o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main ring is rotatably fitted.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의하면,According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와 부착 매개체를 통해 부착되어 평상시에는 포개어진 상태로 보관되다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하려는 경우 외측 방향으로 회동하여 형태를 변화시키는 거치 모듈을 사용하여 휴대용 전자기기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고,1)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re attached to the case through an attachment medium, an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stored in a state of being stacked in a normal stat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rotated The electronic device can be mounted,

2) 별도의 거치대상에 별도의 연결 모듈을 장착함으로써 연결 모듈이 거치 모듈과 결착되는 것으로 부착 및 고정가능하며,2) By attaching a separate connection module to a separate mounting object, the connection module can be attached and fixed by being attached to the mounting module,

3) 거치 모듈에 각종 확장모듈을 추가로 부착하는 것으로서 거치 각도와 거치 대상을 더욱 다양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3) By attaching various expansion modules to the mounting module, it is possible to further diversify the mounting angle and the mounting object.

도 1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
도 3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전면도.
도 4는 고정날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
도 5는 힌지구조를 적용한 사시도.
도 6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7은 손가락거치부의 변형 사시도.
도 8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끼움구성의 사시도.
도 9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회전결합구성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2 is a sid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3 is a front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xed blade in detail;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structure.
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nger rest.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receiving portion fitting structure.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tation coupling structur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support unit.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in the various drawings refer to like elements.

도 1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전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and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도 1과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판이 형성된 받침부(10)와,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받침부(10)의 상단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손가락거치부(30), 손가락거치부(30)의 상단면에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날개부(50)를 포함하는 바디(4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2 and 3,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includes a support portion 10 having a back plate formed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any on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nger mounting portion 30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0 to a height thereof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he fingers; And a body (40) including a part (50).

여기에서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 넘어가자면,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폰, MP3, PMP, PDA, 랩톱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 태블릿 PC, 스마트폰,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 휴대용 게임기기, 전자사전, 리모콘 등 휴대 가능한 모든 전자단말기를 의미하고,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는 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적어도 일 측면을 덮어 보호하는 것을 의미한다.Her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n be used for a mobile phone, a MP3, a PMP, a PDA, a laptop, a mini notebook, a UMPC, a tablet PC, a smart phone, Refers to all portable electronic devices such as portable game device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remote controls,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means covering and protecting at least one sid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받침부(10)는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판이 형성된 것으로서, 배면판의 형상은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선택될 수 있으나, 앞서 밝힌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적용 가능하다. 또한, 공지된 기술에서 사용되는 방식으로서, 배면판에 회전이나 회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회전부재, 회동부재, 회전판, 회동판 등이 추가적으로 부착되어 받침부(10)가 자체적으로 회전이나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backrest 10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 elliptical shape, and a polygonal shape. However, the shape of the back plate 10 may be variously selected,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shape that can be used for applications such as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s. Further, as a method used in the known technology, a separate rotating member, a rotating member, a rotating plate, a rotating plate, and the like are additionally attached to the back plate so that the back plate can be rotated or pivoted Of course.

바디(40)는 손가락거치부(30)과 고정날개부(50)으로 구성된다. 먼저, 손가락거치부(30)은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받침부(10)의 상단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것으로서, 여기서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이라 함은 엄지와 검지, 검지와 중지, 중지와 약지, 약지와 소지 중 어느 하나를 뜻하는 것이나, 일반적으로 검지와 중지 또는 중지와 약지에 끼웠을 때 가장 적절한 그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ody (40) is composed of a finger rest (30) and a fixed blade (50). First, the finger mount 30 is formed so as to extend from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unit 10 at a predetermined height in the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sandwich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Here, the two adjacent fingers include thumb,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so as to feel the most appropriate grip when the user puts on the index finger, the stop finger, the stop finger and the finger ring.

고정날개부(50)는 손가락거치부(30)의 상단면에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손가락거치부(30)에 끼워진 두 개의 손가락이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상단면에서 걸림수단을 형성한 것이다.The fixed wing portion 50 is extended in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from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30.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provided 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30 so as to prevent the two fingers, .

받침부(10), 바디(40)는 모두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화하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활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에서의 금속 간섭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등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receiving part 10 and the body 40 are all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which does not easily change from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metal interference in wireless charging, which has recently been used, various known materials such as plastic are used Of course.

보다 상세한 형상을 설명하기에 앞서, 형상에 따른 방향을 미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ior to describing a more detailed shape, the direction along the shape will be described in advance.

우선 도 2에 나타난 측면도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도면의 정 중앙을 기준으로 좌측 방향이자, 후술할 제2안착부(32)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방향이자 제1안착부(31)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 고정날개부(50)가 위치하는 방향을 상방, 받침부(10)가 위치하는 방향을 하방이라 선언하고 설명하겠다.Referring to the side view shown in FIG. 2,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seating portion 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located forward an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seating portion 31,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ed blade portion 50 is positioned is referred to as an upward direction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portion 10 is positioned is referred to as downward.

다시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면, 손가락거치부(30)는 정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하단으로 부터 높이방향으로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다. 이를 다시 설명하면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마치 모래시계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손가락거치부(30)가 보여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형태는 손가락거치부(30)에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을 걸어 고정시킨다는 목적에 적합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로 측면이 각각 움푹 파인 형태로 형성된 손가락거치부(30)에 손가락이 안정적으로 걸쳐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The finger mount 30 is recessed to be rounded in the height direction from the lower end when viewed from the front. In other words, when viewed from the front, the finger rests 30 are seen in a form similar to the shape of an hourglass. This configuration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fixing two fingers adjacent to the finger mount 30. The finger mount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nger, And has an effect of being able to be stretched.

손가락거치부(30)를 측면에서 바라본다면, 후측면에는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되는 제1안착부(31)가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안착부(31)가 형성됨으로써 인접한 손가락을 손가락거치부(30)에 끼웠을 때 비교적 부드러운 손가락 사이부위가 일자형상이거나 튀어나온 경우 보다 압박이 가해지거나 이물감이 드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When the finger mount 30 is viewed from the side,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form a first seating portion 31 which is formed to be recessed to be rounded on the rear side. By forming the first seating portion 31, when the adjacent fingers are fitted to the finger rest 30, the portion between the relatively soft fingers may be in the form of a straight line or may be less pressed or impaired than when the finger is protruded.

손가락거치부(30)의 전측면에는 전측면을 따라 곡률지게 함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안착부(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안착부(32)는 별도의 거치부재와 연동하여 사용될 수 있다.At least one second seating portion 32 curvedly embedded along the front surface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nger mount 30. The second seat portion 32 can be used in conjunction with a separate mounting member.

거치부재란 일 측이 바닥이나 부착이 필요한 위치에 부착 또는 결합되고, 제2안착부(32)에 대응되는 형상의 기둥이나 걸이부재를 포함하므로 이 기둥이나 걸이부재에 제2안착부(32)가 걸림으로써 거치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2열의 거치부재에 제2안착부(32)를 걸어 보관하려는 경우, 각 열의 형태에 대응되는 2개의 제2안착부(32)를 전측면에 형성하여 2열의 거치부재와 2개의 제2안착부(32)를 결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을 통해 결합 후에도 쉽게 빠지지 않아 고정을 용이하게 지속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mounting member includes a column or a hook member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 the second mounting portion 32 is attached to the pillar or the hook member, It is possible to mount it by hanging it.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second seating portion 32 is to be held by the two rows of seating members, two second seating portions 32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row shapes are formed on the front side to form two rows of seating members and two 2 seat portion 32 can be coupled to the seat portion 32. Since the seat portion 32 is not easily detached through the engagement, the fixing can be easily continued.

더하여 손가락거치부(30)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단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까지 수평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이나, 이를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까지 점차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하는 경우이며 이는 다시 말해 손가락을 손가락거치부(30)에 끼웠을 때를 고려한 것으로서 손가락의 두께 또한 끝에서 손바닥과 가까운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 두께가 굵어지는 것에 착안한 것이다. 손가락의 굵기변화와 대응되도록 손가락거치부(30)의 높이 또한 후측면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는 형태로 형성한다면 손가락을 끼웠을 때 보다 안정적인 그립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form the finger mount 30 at a different height. In other words, when the finger is placed on the finger mounting unit 30, the finger mount 3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 And the thickness of the fingers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end to the portion close to the palm of the hand. If the height of the finger mount 30 is gradually increased toward the rear sid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hange in the thickness of the finger, a more stable grip feeling can be felt when the finger is inserted.

고정날개부(50)는 상단면의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을 가로지르는 기준호(51)가 위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이 기준호(51)를 중심으로 양 측방향으로 점차 폭이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날개부(50)는 다시 말해 손가락거치부(30)의 상단면에 일정 높이로 형성된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날개부(50)의 상단면에서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을 가로지르는 기준호(51)를 설정하였다. 이 기준호(51)를 중심으로 양 측 방향으로 폭이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양 측 방향으로 진행될수록 점차 폭이 감소되어 날렵한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형태는 심미적인 효과를 불러올 뿐만 아니라 거치 장치를 손가락에 끼우지 않고 바닥면에 세우는 형태로 거치하는 경우, 고정날개부(50)의 형상을 이용하여 바닥면에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The fixed blade portion (50) has a reference arc (51) crossing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of the top side. Referring to FIG. 2,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is gradually reduced in both lateral directions around the reference arc 51.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30. The fixed wing portion 50 has a reference arc 51 crossing the rear side from the front side at the upper end face of the fixed wing portion 50 Respectively. The width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width in both lateral directions around the reference circle 51, or the width may gradually decrease as the width increases in both lateral directions. Therefore, this form not only brings about an aesthetic effect but also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floor surface by using the shape of the fixed blade 50 when the mounting device is mounted on the floor without putting it on the fingers.

고정날개부(50)를 전측면에서 바라본다면, 기준호(51)를 중심으로 측면을 따라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손가락거치부(30)의 곡면을 따라 연장되어, 볼록한 원형으로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다. 다만, 이 고정날개부(50)을 측면에서 본다면 마치 상어의 지느러미와 같은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는 후술할 도 3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겠다.When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viewed from the front side,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protruded so as to be rounded with respect to the reference circle 51. That is, it extends along the curved surface of the finger holder 30, and is located at the top in a convex circular shape. However, if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viewed from the side, it has the same shape as the fins of a shark,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추가로, 고정날개부(50)의 두께를 8~10mm정도로 형성한다면, 이 고정날개부(50)를 통해 대다수의 자동차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우는 거치도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면, 고정날개부(50)를 전측면에서 보았을 때, 측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이 솟은 부분인 측단부와 상측면을 기준으로 가장 높이 솟은 부분인 첨단부를 기준으로 하여, 고정날개부(50)의 일 측에서 측단부까지 제4곡도로 연장되는 제1라운딩파트(57)와, 상기 측단부로부터 가장 높이가 높은 위치인 첨단부까지 제5곡도로 연장되는 제2라운딩파트(58)로 구성되고, 반대쪽은 앞서 설명한 것을 좌우로 대칭시킨 것으로 구성된다.Further, if the thickness of the fixed blade portion 50 is set to about 8 to 10 mm, it is also possible to mount it between a majority of the automobile air outlet grilles through the fixed blade portion 50. Referring to Fig. 2, when viewed from the front side of the fixed blade portion 50, with reference to the side edge portion which is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side surface and the tip portion which is the highest poin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side, A first rounding part 57 extending from one side to a side end of the second rounding part 50 to a fourth curved line and a second rounding part 58 extending from the side end part to a pointed- And the other side is constituted by symmetrically symmetrical to the above-described one.

여기에서 첨단부와 제2라운딩파트(58)를 살펴보면, 마치 화살촉을 보는 것과 같이, 측단부가 다소 돌출되어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활용한다면 자동차 송풍구 그릴에 삽입된 이후 측단부가 송풍구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Here, looking at the tip end portion and the second rounding portion 58, it can be seen that the side end portion protrudes somewhat as if an arrowhead is seen. Therefore, if this point is utilized, the side end portion of the automobile air outlet grille can be hooked to the ventilation hole.

일반적인 자동차 송풍구 그릴의 간격이 1cm 내외이므로, 고정날개부(5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의 너비를 8~10mm정도로 형성한다면 자동차 송풍구 그릴 사이에 끼움삽입 및 거치가 가능하게 된다. Since the interval between the grilles of a typical automobile air outlet grill is about 1 cm, if the width of the thickest portion of the fixed blade portion 50 is set to about 8 to 10 mm, it is possible to insert and mount the grille between the grilles of the automobile air outlet.

도 4는 고정날개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확대도이다.4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fixed blade in detail.

도 4를 참조하여 고정날개부(50)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방으로부터 제1기준점까지 제1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1연장파트(52)와, 제1연장파트(52)로부터 제2기준점까지 연장 형성된 제2연장파트(53), 제2연장파트(53)로부터 고정날개부(50)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첨단부(제3기준점)까지 제2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3연장파트(54), 첨단부로부터 후방의 제4기준점까지 제3곡도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 제4연장파트(56)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4, the fixed blade 5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fixed blade 50 includes a first extending part 52 formed to be convexly extended from the front side to a first curved line and a second extending part 52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ding part 52 A third extended portion 53 formed to extend from the second extended portion 53 up to the second reference point to a tip portion (third reference point) located at the highest position in the fixed wing portion 50, An extension part 54, and a fourth extension part 56 which is concavely extended from the tip part to a fourth reference point rearwardly in a third curved line.

제1기준점, 제2기준점, 제3기준점, 제4기준점은 각각 고정날개부(50)를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곡률이 변경되는 임의의 지점을 의미하는 것이다.The first reference point, the second reference point, the third reference point, and the fourth reference point are arbitrary points at which the curvature is changed when the stationary vane unit 50 is viewed from the side.

다만, 제1곡도, 제2곡도, 제3곡도는 서로 같을 수도 있으나 제1곡도, 제2곡도, 제3곡도가 각각 상이한 곡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곡도의 경우 앞서 설명한 손가락거치부(30)의 제1안착부(31)이 오목하게 라운딩지게 함입 형성되는 것의 곡도와 대응되는 것으로서, 제3곡도를 갖는 제4연장파트(56)를 연장하는 것으로서 제1안착부(31)까지 동일한 곡도로 연속적인 이음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However, the first, second and third curves may be the same,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curve, the second curve and the third curve have different curves. In the case of the third curved line, the first extended portion 56 having the third curved line corresponds to a curved line in which the first seating portion 31 of the finger fixing portion 30 described above is recessed and formed to be rounded concavely. A continuous joint portion may be formed in the same curvature up to the first seat portion 31 as an extension.

더하여, 제3기준점이자, 첨단부에는 편심부(55)가 씌워질 수 있다. 편심부(55)는 첨단부의 외부를 감싸는 탄성체 또는 일정한 무게를 갖는 추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거치장치를 손가락에 끼우지 않고 바닥면에 세우는 형태로 거치하는 경우 바닥면에 거치될 때 무게추의 역할을 수행하며, 적절한 마찰력을 추가적으로 부여하여 미끄러지는 것 역시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ccentric portion 55 can be covered with the third reference point and the tip end portion. The eccentric part 55 includes an elastic body for covering the outside of the tip end part or a weight having a predetermined weight. When the eccentric part 55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without putting the fingers on the finger as described above, It plays a role of weight, and it can also prevent slipping by additionally applying appropriate friction force.

추가적으로, 이러한 첨단부는 지압효과를 가질 수도 있는데, 손가락거치부(30)에 손가락을 걸게 되는 경우, 손가락 사이 부위의 위쪽에는 고정날개부(50)의 첨단부가 위치하게 된다는 점을 활용한다. 따라서 첨단부에 부착된 편심부(55)가 손가락 사이 부위를 누르게 되어 지압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지압기능의 경우 손가락거치부(30)에 위치한 손가락을 조금만 움직이더라도 손가락 사이 부위의 다양한 위치를 지압할 수 있어 활용도가 높다.In addition, the tip end portion may have an acupressure effect. When the finger is put on the finger rest portion 30,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fixed wing portion 50 is located above the finger interstice portion. Therefore, the eccentric part 55 attached to the tip end portion presses the area between the fingers, thereby providing a shiatsu effect. Particularly, in the case of such a chiropractic function, even if a finger located at the finger mount 30 is moved a little, it is possible to apply various positions of the area between the fingers.

도 5는 힌지구조를 적용한 사시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inge structure.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부(10)와 손가락거치부(30) 사이에 힌지(20)를 적용하여 받침부(10)와 손가락거치부(30)이 각각 힌지(20)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한 것이다. 다시 말해 받침부(10)에 수형 힌지(20)가, 손가락거치부(30)에 암형 힌지(20)가 형성되거나 받침부(10)에 암형 힌지(20)가, 손가락거치부(30)에 수형 힌지(20)가 형성되어 서로 회동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다만, 회동 시 회동각도와 회동의 안정감을 고려한다면, 받침부(10)에는 수형 힌지(20)가, 손가락거치부(30)에는 암형 힌지(20)가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더욱 견고하고 효과적인 힌지 결합을 위해 수형 힌지(20)에는 회동을 보조할 수 있는 바가 추가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바가 수형 힌지(20)와 함께 암형 힌지(20)에 삽입된다면 더욱 견고한 회동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5, a hinge 20 is applied between the receiving unit 10 and the finger mounting unit 30, so that the receiving unit 10 and the finger mounting unit 30 can be hinged to each other via the hinge 20 So that they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male hinge 20 is formed on the receiving portion 10, the female hinge 20 is formed on the finger mounting portion 30, or the female hinge 20 is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0 to the finger mounting portion 30 And the male hinge 20 is formed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male hinge 20 is provided on the receiving portion 10 and the female hinge 20 is formed on the finger mounting portion 30 in consideration of the rotation angle and the stability of the rotation when rotating. In addition, the male hinge 20 may be additionally provided with a bar that can assist the rotation for more rigid and effective hinge engagement. If such a bar is inserted into the female hinge 20 together with the male hinge 20, a more solid rotation can be formed.

다시 말해, 힌지(20)의 적용은 손가락거치부(30)의 회동을 위한 것이며 이를 통해 평소에는 손가락거치부(30)을 받침부(10)와 나란하게 하여 보관하였다가 손가락 또는 바닥면에 거치가 필요한 경우 손가락거치부(30)을 높이방향으로 회동시켜 거치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거치대로 활용하는 경우에는 특정한 방향이나 형태로 휴대용 전자기기를 받치고 있어야 하므로 힌지(20)에 스토퍼구조를 형성하거나 힌지(20)의 결합면을 마찰력을 갖는 소재로 형성하여 같은 형태로 오랫동안 고정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In other words, the application of the hinge 20 is for the rotation of the finger rest 30, so that the finger rest 30 is normally stored side by side with the rest 10, The finger mount 30 is rotated in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the finger mount 30 can be used as a cradle. Howeve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used as a cradle,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ust be supported in a specific direction or shape. Therefore, a stopper structure may be formed on the hinge 20 or a coupling surface of the hinge 20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 frictional force. .

또한, 앞서 설명한 편심부(55)를 사용하여 지압기로 활용하는 경우에도 손가락을 거치한 상태에서 약간의 힘을 가하여 힌지(20)를 회동시킴으로서 손가락 사이부위를 다양한 각도로 지압할 수 있게 된다.Also, in the case of using the eccentric portion 55 as described above, even when the eccentric portion 55 is used as a force applicator, a slight force is applied to the hinge 20 while the finger is being held.

추가적으로 이러한 힌지(20)구조를 적용하기 위해 손가락거치부(30)의 하부에는 하부를 따라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는 바디파트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바디파트는 힌지(20)의 회동에 따라 손가락거치부(30)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하여 보다 두꺼운 너비를 갖게 되므로 손가락거치부(30)가 직접 받침부(10)에 닿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a body part may be additionally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finger mount 30 to protrude so as to be rounded along the lower portion thereof in order to apply such a hinge structure. Such a body part is for protecting the finger rest 3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inge 20. The finger rest 30 is provided directly on the receiving part 10 because the finger rest 30 is protruded to be convexly rounded, As shown in FIG.

도 6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6 is a use state diagram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도 6(a)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케이스에 부착한 거치 장치의 모습을, 도 6(b)는 이 거치 장치를 손가락 사이에 끼워 잡은 모습을 나타낸다.Fig. 6 (a) shows a state of a mounting device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Fig. 6 (b)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device is held between fingers.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거치 장치를 부착할 수 있으며, 받침부(10)이 그 부착 대상이 된다. 이렇게 부착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는 제1안착부(31)에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를 걸어 안착시킴으로서 휴대용 전자기기를 파지할 때에 손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그립감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형상을 보고 짐작할 수 있듯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된 상태 그대로도 지면에 받침대로서 세워져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으며, 기타 추가 거치부재에 결합되어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를 지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device can be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nd the receiving portion 10 becomes an object to be attache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attached to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 seats between the fingers and the fingers on the first mounting portion 31, thereby increasing the grip feeling so tha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not easily detached from the hand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gripped. Also, as can be seen from the shape, it can be installed as a pedestal on the ground as it is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cas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 support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May be coupl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도 7은 손가락거치부의 변형 사시도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inger rest.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손가락거치부(30)에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33)을 형성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앞서 설명한 손가락거치부(30)의 형상에서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33)을 형성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삼각고리 또는 사각고리 형태를 갖게 된다. 또한 받침부(10)를 원판 형상의 판재로 형성하되, 손가락거치부(30)과 힌지(20)를 매개로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손가락거치부(30)은 힌지(20)가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단으로 일정길이 연장 형성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And a hook space (33)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so that at least one finger can be inserted into the finger mount (30). In other words, in the shape of the above-described finger mount 30, a hook space 33 penetrating the central portion is formed, thereby forming a triangular or square ring shape. Also, the receiving portion 10 may be formed of a disk-like plate material, and the finger receiving portion 30 and the hinge 20 may be rotatable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finger mount 30 may be extended to a lower end so that the hinge 20 can be easily attached.

이러한 형상에 따라, 사용자는 이 걸이공간(33)에 손가락을 삽입하여 걸거나, 줄이나 로프, 다른 고리와 같은 부재를 끼워 더욱 다양한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is shape, the user can insert a finger into the hooking space 33 or hang a member such as a string, a rope, or another ring so that the user can perform more various mounting operations.

또한 단순한 일 방향의 회동이 아닌 3차원적인 범위의 회전을 위해 받침부(10)를 더욱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후술할 도 8을 통해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Fur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deform the receiving portion 10 to rotate in a three-dimensional range instead of a simple unidirectional rot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8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8은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끼움구성의 사시도이다.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receiving portion fitting structure.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받침부(10)는 판 형상으로서 제1 받침부(11)와 제2 받침부(12)의 결합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받침부(11, 12)의 결착은 화학적인 부착(본드, 실리콘, 접착제, 테이프 등)도 가능하나 제1 및 제2 받침부(11, 12)의 형상을 변형시켜 부착면에 물리적인 결합을 형성할 수도 있다. 화학적인 부착의 경우 평평한 면에 본드, 실리콘, 접착제, 테이프 등이 부착되어 받침부에 부착되는 구조이나, 물리적인 결합의 경우 끼움삽입구조나 레일구조를 적용하는 것으로 결합이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8, the receiving portion 10 may have a plate-like structur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2. The bonding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can be chemically bonded (bond, silicone, adhesive, tape, etc.), but the shape of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can be deformed, Lt; RTI ID = 0.0 > a < / RTI > In the case of chemical attachment, it can be combined with a structure in which a flat surface is attached with a bond, silicone, adhesive, tape or the like to the support part, or in the case of a physical connection, a fitting structure or a rail structure is applied.

물리적인 결합의 예를 들면, 제1 받침부(11)의 결착면에는 일정 깊이 함입된 레일(13)이 형성되고, 제2 받침부(12)의 하단면에는 레일(13)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풀러(14)가 형성된다. 레일(13)과 풀러(14)의 함입 및 돌출된 형상은 직사각형 또는 톱니 모양 등 공지의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풀러(14)를 레일(13)에 끼움결합시킴으로서 결합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조를 통해 평상시에는 제1 받침부(11)가 형성된 받침부만 휴대용 전자기기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부착되어 있다가 거치가 필요한 경우 풀러(14)가 형성된 받침부(10)를 끼움결합 시켜 거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풀러(14)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제1 받침부(11)의 레일(13) 일 측을 막아 끼움결합과 해체가 동일한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한다면 보다 강한 결합력을 갖출 수 있다.A rail 13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binding surfac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ail 13 is formed on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2. For example, A puller 14 protruding at a predetermined height is formed.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a variety of known shapes such as a rectangular shape or a saw tooth shape can be applied to the shapes of the rails 13 and the puller 14 that are embedded and protruded. The fuller 14 is coupled to the rail 13 by being engaged with the rail 13. Through such a structure, only the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formed is normally attached to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or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t is possible to mount the fusing unit 10 on which the puller 14 is formed by fitting the fusing unit. In addition, a stronger coupling force can be provided if the one side of the rail 13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is closed by fitting and disassembling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puller 14 can not be easily disengaged.

다만,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정해진 방향으로만 풀러(14)가 끼움결합되어 다양한 각도로 거치를 수행하기는 어렵다. 이 경우 받침부(10)의 적층구조에 회전결합구조를 적용시키는 것으로 해결이 가능하다.However, in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t is difficult for the puller 14 to be fitted and fixed only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to perform mounting at various angles.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apply a rotational coupling structure to the laminated structure of the receiving portion 10.

도 9는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받침부 회전결합구성의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device receiving portion.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기존의 제1 받침부(11)와 제2 받침부(12) 사이에는 회전이 가능한 결합부인 회전링결합부가 형성된다. 이 회전링결합부는 메인링(15)과 회동부(16)를 결합시킨 것으로서, 회동부(16)에 메인링(15)이 끼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해지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9, the following will be described. First,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eceiving portions 11 and 12, a rotating ring engaging portion, which is a rotatable engaging portion, is formed. The rotation ring coupling portion is a coupling between the main ring 15 and the rotation portion 16, and the main ring 15 is fitted to the rotation portion 16 so that the rotation ring can be rotated.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메인링(15)은 고리형태로 가공된 것으로서, 외력으로부터 쉽게 변화하지 않는 알루미늄 소재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최근 활용되고 있는 무선충전에서의 금속 간섭 등을 고려하여 플라스틱 등 공지의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링(15)은 접착제나 접착패드, 접착 테이프 등의 부착 매개체로 제1 받침부(11)의 타측에 형성되고,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후천적으로 부착되거나, 전용 결합단자를 형성하여 해당 결합단자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에 물리적으로 부착하는 구조,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의 제조 시 메인링(15)을 함께 형성하여 제조하는 것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서 구성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main ring 15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and is made of an aluminum material that does not easily change from an external force. In consideration of metal interference in wireless charg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various known materials can be used. The main ring 15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1 as an attachment medium such as an adhesive, an adhesive pad or an adhesive tape and is attached to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structure in which a coupling terminal is formed and physically attached to a case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rresponding coupling terminal, and a structure in which a main ring 15 is formed together whe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is manufactured .

또한, 제1 받침부(11)는 메인링(15)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메인링(15)과 제1 받침부(11) 및 그 내부공간까지를 포함하는 원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 메인링(15)과 제1 받침부(11) 및 그 내부공간을 포함하고 주변공간까지도 포함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메인링(15)의 내부공간인 중앙부위는 외부로 노출이 되는 바 해당 부분에 마크 등의 인쇄물을 위치시킨다면 광고효과를 노릴 수 있고, 추가적으로 사용자가 메인링(15)의 위치를 용이하게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The first bearing portion 11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ring 15 or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the main ring 15 and the first bearing portion 11 and the inner space thereof A main ring 15, a first receiving portion 11, and an inner space, and may include a peripheral space. At this time, the central portion, which is the inner space of the main ring 15,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f a printed matter such as a mark is placed on the corresponding portion, advertisement effect can be aimed. In addition, You can see the effect of guiding you to find.

메인링(15)에는 메인링(15)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메인링(15)의 상단부를 덮거나 또는 메인링(15)의 하단부에 결착되는 회동부(16)와 하나의 세트가 된다. 이 회동부(16)는 메인링(15)과 결합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동부(16) 또한 메인링(15)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며, 제2 받침부(12)에 형성되거나 메인링(15)과 같이 링 형태의 별도 부재로 형성된 이후 부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main ring 15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at of the main ring 15 and covers the upper end of the main ring 15 or a set with the pivot portion 16 which is engaged with the lower end of the main ring 15. The pivot portion 16 is rotatable by engaging with the main ring 15. The turning portion 16 is also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ring 15 and may be formed o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2 or may be formed as a ring-shaped separate member like the main ring 15 and then attached.

따라서, 이중 회전결합구조를 적용한다면 기존의 힌지(20)만을 적용하였을 때에는 일 측방향으로만 움직일 수 있었으나 회동부(16)와 메인링(15)의 회전결합을 통해 회전시킬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각도로 거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Accordingly, when the double rotation coupling structure is applied, only the conventional hinge 20 can be moved in one direction only, but it can be rotated through the rotational coupling between the rotation portion 16 and the main ring 15, It is possible to mount it on the ground.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having the finger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 받침부 11: 제1 받침부
12: 제2 받침부 13: 레일
14: 풀러 15: 메인링
16: 회동부 20: 힌지
30: 손가락거치부 31: 제1안착부
32: 제2안착부 33: 걸이공간
40: 바디 50: 고정날개부
51: 기준호 52: 제1연장파트
53: 제2연장파트 54: 제3연장파트
55: 편심부 56: 제4연장파트
57: 제1라운딩파트 58: 제2라운딩파트
10: receiving portion 11: first receiving portion
12: second support portion 13: rail
14: Fuller 15: Main ring
16: turning portion 20: hinge
30: Finger mount part 31: First seat part
32: second seat part 33: hook space
40: body 50: fixed wing part
51: Reference number 52: First extended part
53: second extension part 54: third extension part
55: eccentric part 56: fourth extended part
57: 1st rounding part 58: 2nd rounding part

Claims (9)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 및 휴대용 전자기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배면판이 형성된 받침부;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받침부의 상단으로부터 높이방향으로 일정높이 연장 형성된 손가락거치부와,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상단면에서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상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날개부를 포함하는 바디;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날개부의 정면구조는,
상단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는 기준호가 위치하고,
상기 기준호를 중심으로 상방을 향해 볼록하게 라운딩지도록 돌출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제1기준점까지 제1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1연장파트와,
상기 제1연장파트로부터 제2기준점까지 연장 형성된 제2연장파트와,
상기 제2연장파트로부터 제3기준점까지 제2곡도로 볼록하게 연장 형성된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3연장파트로부터 제4기준점까지 제3곡도로 오목하게 연장 형성된 제4연장파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mounting apparatus,
A pedestal provided with a back plate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A finger mounting part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art to a height thereof in a height direction so as to be inserted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And a body including a fixed wing portion extending in a shape gradually increasing in width from an upper end surface of the finger mounting portion,
The front structure of the fixed wing portion includes:
A reference arc is located across the central portion of the top,
And protruding from the reference arc so as to be rounded upward toward the center,
The side structure of the fixed blade portion
A first extended part formed to be convexly extended to a first curved line up to a first reference point,
A second extending part extending from the first extending part to a second reference point,
A third extending part formed to be convexly extended from the second extending part to a third curved line to a second curved line,
And a fourth extending part formed by a third curve extending from the third extending part to a fourth reference point in a concave mann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정면구조는,
길이방향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surface structure of the finger-
Wherein the finger mounting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concave and round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거치부의 측면구조는,
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되어 인접한 두 개의 손가락 사이 부위가 안착될 수 있는 제1안착부와,
전면을 따라 오목하게 라운딩지도록 함입 형성된 제2안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side structure of the finger rest portion,
A first seating part formed to be concave and rounded along the rear surface so that a region between two adjacent fingers can be seated,
And a second seating portion formed to be concave and rounded along the front surface thereof.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개부의 측면구조는,
상기 제3연장파트와 상기 제4연장파트 사이의 이음부이자 상기 고정날개부의 첨단부에는, 구형으로 돌출 형성된 탄성체로서, 착탈이 용이하도록 결합된 편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ide structure of the fixed blade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an elastic body protruding in a spherical shape is further provided at the tip portion of the fixed wing portion as a joint between the third extended portion and the fourth extended portion and further includes an eccentric portion coupled to facilitate detachment and attachment, Wherein the portable electronic device is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거치부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중앙부위를 관통하는 걸이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nger-
Wherein a hook space is formed through the central portion so as to insert at least one fing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손가락거치부와 힌지를 매개로 서로 개폐 가능하게 회동 되도록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0030]
Wherein the finger mount portion is coupled to the finger mount portion so as to be openable and closab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via the finger mount portion and the hinge.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끼움결합 구조로 형성되되,
상기 제1받침부에는 링 형상의 메인링이 형성되며,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메인링과 대응되는 형상의 회동부가 형성되어 상기 메인링이 회전 가능하도록 끼움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거치부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0030]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being formed in a fitting structure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ortions,
A ring-shaped main ring is formed on the first bearing portion,
Wherein the second bearing portion is formed with a rotation portion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main ring so that the main ring is rotatably fitted to the second bearing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46159A 2016-04-15 2016-04-15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KR1016489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59A KR101648937B1 (en) 2016-04-15 2016-04-15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PCT/KR2017/004025 WO2017179928A1 (en) 2016-04-15 2017-04-13 Multi-functional device for hold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159A KR101648937B1 (en) 2016-04-15 2016-04-15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8937B1 true KR101648937B1 (en) 2016-08-17

Family

ID=56873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159A KR101648937B1 (en) 2016-04-15 2016-04-15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9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23A (en)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Finger backing for a mobile phone
KR20150003379U (en) * 2014-03-04 2015-09-14 이호천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35523A (en) * 2011-09-30 2013-04-09 백휘광 Finger backing for a mobile phone
KR20150003379U (en) * 2014-03-04 2015-09-14 이호천 Suction type stands for electronic instru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38829B1 (en) Protection cover for portable terminal
US9671057B2 (en) Support plate
US9013863B2 (en) Protective sheath
KR200466058Y1 (en) Cover Case For Portable Divice Having Support Function
US20130146625A1 (en) Attachable holder with flexible ring for any handheld device
US20180167498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20100320341A1 (en) Universal Stand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942369B2 (en) Mobile electronic terminal holder
US20140049851A1 (en) Device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ing accessories to hand held electronic devices
EP3018889B1 (en) An electronic portable device shell having an integral stand and stand brace
US9737132B2 (en) Movemen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US20160033074A1 (en) Electronic device stand
US10051933B2 (en) Notched case for a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device, such as a cellular telephone, smartphone or tablet device
US20180375980A1 (en) Phone Stand Case
KR101472033B1 (en)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74284A1 (en) Flexible Support Structure
US20070010299A1 (en) Telecommunication apparatus provided with a stop member
US20140159402A1 (en) Phone/tablet holder
KR101743265B1 (en) Bond for portable terminal holder Assembly
KR101648937B1 (en) Portable terminal holder with finger gripping apparatus
US9510662B1 (en) Movement, tilt, and securement features for a structure, particularly a wearable article
KR101731827B1 (en) Holder for portable terminal
KR101338217B1 (en) Apparatus for portable eletronic device
KR200457661Y1 (en) Supporting tool for wide type portable mobile phone
JP2008505584A (en) Support device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