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617B1 -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617B1
KR101492617B1 KR20130084425A KR20130084425A KR101492617B1 KR 101492617 B1 KR101492617 B1 KR 101492617B1 KR 20130084425 A KR20130084425 A KR 20130084425A KR 20130084425 A KR20130084425 A KR 20130084425A KR 101492617 B1 KR101492617 B1 KR 10149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elastic member
toe
time
cap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84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894A (ko
Inventor
김정섭
Original Assignee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084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617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4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hydraulic or pneuma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5Pneumat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03Constructive detail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4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by raising an ala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내부에 형성된 돌출부로 발가락의 경혈을 반복해서 자극하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는, 발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발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탄력부재; 상기 탄력부재의 적어도 일부의 표면에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탄력부재에 삽입되는 발가락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기체주입/흡입수단; 및 상기 탄력부재가 기설정된 부피이상으로 팽창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력부재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한다.

Description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PORTABLE TOE MASSAGE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가 가능하고 발가락을 끼운 상태에서 내부의 돌출부로 발가락의 경혈을 반복해서 자극하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건강관리법이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특히 사람은 기본적으로 걷어다니기 때문에 신체부위 중에서도 발에 많은 무리가 간다. 따라서 온수로 족욕을 하거나 발을 마사지하여 피로를 풀어주도록 한다.
손만큼이나 발에 대한 건강도 중요하다. 발바닥에는 온몸의 경혈이 모여있어 해당 부위를 지압하면 혈액 순환에 좋고 내장의 기능과 신체의 각 부위를 건강하게 유지하거나 어느 정도의 치료 효과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발바닥에 관한 마사지 장치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발가락을 대상으로 하는 마사지 장치는 매우 적다. 종래의 발가락 마사지 장치는 발가락을 상하방향으로 가압하거나 혹은 전방으로 인장하여 마사지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었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발가락을 계속 움직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마사지 효과도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종래에는 발가락을 정역 회전하는 회동체에 고정시켜 발가락에 대한 인장굴곡과 가압 젖힘의 마사지를 반복하도록 하는 발가락 마사지 장치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장치는 휴대하기 어렵고 발바닥 전체를 이용하므로 사용하기가 번거롭다. 또한, 종래에는 휴대가 가능하며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발가락 마사지 기구가 개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기구는 발가락 사이에 마사지 벨트를 삽입하여 벨트의 구동에 의해 발가락과 발가락 사이의 부분을 마사지하도록 하므로 실질적으로 발가락에 대한 마시지 효과는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6605호 (공고일 : 2011.09.2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32938호 (공고일 : 2013.02.13.)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휴대가 간편하고 간단한 조작으로 쉽게 자신의 발가락을 마사지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뾰족하게 형성된 돌기부로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효과적으로 자극함으로써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두뇌건강을 향상시켜 마자시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는,
발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발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상기 삽입된 발가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상기 캡부재에 삽입된 발가락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 상기 캡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탄력부재;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기체주입/흡입수단; 및 상기 탄력부재가 외측으로 기설정된 부피 이상 팽창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력부재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되어 상기 캡부재가 상기 발가락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외부하우징과 분리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의 표면의 고정부로부터 착탈가능하여 다양한 종류 및 길이별로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원통형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홈이 다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의 절곡홈에 의해 상기 캡부재가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 의해 상기 기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한다.
삭제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흡입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수축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의 경혈 자극을 중지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에 기체의 주입과정과 흡입과정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수행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반복적으로 자극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삽입된 발가락의 옆부분과 밑부분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옆부분과 밑부분에 분포된 경혈에 대응하는 위치에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력부재로 상기 기체의 주입 및 배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 상기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흡인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상기 기체의 주입 및 배출 시간이 설정되면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경과시간이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시간,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의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를 더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휴대하면서 언제 어디서나 쉽고 편리하게 발가락 마사지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뾰족하게 형성된 돌기부로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기 때문에 혈액순환, 두뇌건강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정면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측면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서 제어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정면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측면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서의 캡부재에 대한 상세구성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100)는 외관상 크게 마사지부(110)와 제어장치(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마사지부(110)는 마사지하고자 하는 발가락(10)이 삽입되도록 내부에 일정공간이 마련된 원통 형상의 컵(cup)모양으로 구현되어 내부 및 이와 연결된 각종 장치에 의해 발가락(10)을 마사지하도록 한다. 또한 제어장치(120)는 마사지부(110)의 내부에 마련된 각종 장치를 구동 및 제어하여 내부에 삽입된 발가락(10)을 마사지하도록 한다. 도면에는 제어장치(120)가 마사지부(110)에 부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례이며 제어장치(120)가 분리될 수도 있다. 이때, 마사지부(110)와 제어장치(120)는 전기선 및/또는 통신선을 통해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발가락 마사지 장치(100)는 발가락에 끼워서 사용하므로 그 크기를 작게할 수 있어 휴대가 쉽고 용이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마사지부(110)에 발가락을 삽입한 후에 제어장치(120)의 동작에 의해 편리하게 발가락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정면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측면의 단면도로서 발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마사지부(110)에서는 발가락(10)이 삽입가능하도록 발가락(10)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부피가 팽창 및 수축되는 탄력부재(111)가 구비된다. 탄력부재(111)는 발가락(10)이 직접 삽입되며 삽입된 발가락(10)과 접촉된다. 이러한 탄력부재(111)는 연성 또는 탄력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하는 기체주입/흡입수단와 연결되어 기체주입/흡입수단에 의해 내부공간에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된다.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에 기체가 주입되면 탄력부재(111)는 팽창하여 내부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고, 반대로 그 내부공간에 주입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탄력부재(111)는 수축하여 내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탄력부재(111)로는 예컨대 고무재질, 폴리머재질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연성 또는 탄력이 있는 재질이면 모두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탄력부재(111)의 표면에는 탄력부재(111)로 삽입되는 발가락(10)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돌출부(112)는 탄력부재(111)로 발가락(10)이 삽입될 때 그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수지침과 같이 효과를 낼 수 있다. 돌출부(112)는 탄력부재(111)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므로 다른 종류로 교환이 가능하다.
또한, 마사지부(110)는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부피가 주입됨으로써 탄력부재(111)가 팽창될 때 미리 설정된 부피이상으로 팽창됨을 방지하도록 그 탄력부재(111)의 외부에 탄력부재(111)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외부하우징(113)를 포함한다. 이러한 외부하우징(113)은 탄력부재(111)가 팽창될 때 외부로 팽창되는 것을 막아줌으로써 탄력부재(111)가 내부로, 즉 발가락(10)의 방향으로 팽창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탄력부재(111)가 발가락(10)의 방향으로 팽창함으로써 탄력부재(111)의 안쪽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삽입된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발가락(10)의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탄력부재(111)는 평상시에도 그 내부공간에 일정량의 기체가 주입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2는 탄력부재(111)가 팽창함에 따라 외부하우징(113)의 바깥으로 탄력부재(111)의 일부가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컨대 끝단부를 U자 모양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장치(120)는 기체주입/흡입수단(121)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은 탄력부재(111)와 연결되며 탄력부재(111)를 팽창 및 수축시키기 위하여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거나 그 내부공간에 주입된 기체를 흡입한다. 즉, 이러한 기체주입/흡인수단(121)에서 소정의 기체를 그 내부공간에 주입하면 탄력부재(111)가 팽창하게 되고,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에 기주입된 기체를 흡입하면 탄력부재(111)가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체주입/흡입수단(120)은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기체를 주입하여 내부공간에서의 압력이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하고, 반대로 미리 설정된 압력까지 기체를 흡입하여 다른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한다. 이러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에서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 탄력부재(111)가 팽창하여 그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은 예컨대 공지의 공기배출펌프 및 공기흡입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한 제어장치(120)는 선택적으로 시간설정부(122), 타이머(123), 표시부(124), 경보부(125) 및 제어부(12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시간설정부(122)는 기체주입/흡입수단(121)에서 기체를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주입 및 흡입하는 시간을 설정한다. 이러한 기체의 주입 및 흡입시간의 설정은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에서의 압력설정과 연관된다. 즉, 탄력부재(111)의 재질 및 특성이 알려져 있으므로 기체를 주입하는 시간에 따라 내부공간의 압력을 실험으로 사전에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흡입시간도 동일하다. 따라서, 탄력부재(111)에서 기체의 주입 및 흡입시간에 따른 내부공간의 압력은 사전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시간설정부(122)에서는 기체를 어느 정도로 주입할 것인지를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타이머(123)는 기체주입/흡입수단(121)에서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하는 시간 또는 내부공간으로부터 기체를 흡입하는 시간을 카운트한다. 이와 같이 카운트된 시간은 탄력부재(111)의 팽창과 수축과 직접 관련이 있으므로 관리가 중요하다.
표시부(124)는 시간설정부(122)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시간, 타이머(123)에서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의 동작에 따른 상태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를 사용자가 확인함으로써 발가락 마사지 장치(100)의 동작시간을 설정하거나 동작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경보부(125)는 타이머(123)에서 카운트한 경과시간이 시간설정부(122)에서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한다. 이는 사용자가 마사지 시간을 설정한 경우 시간이 완료되면 이를 알려주기 위한 기능이다.
제어부(126)는 제어장치(1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26)는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실시 예의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은 기본적으로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기체의 주입 및 흡입을 반복해서 실행한다. 또한, 제어부(126)에서 특정 제어신호가 수신되면 그 제어신호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어부(126)는 시간설정부(122) 및 타이머(123)에 의해 기체주입/흡인수단(121)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시간설정부(122)에서 동작시간이 설정되면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또한 타이머(123)에서 카운트된 경과시간이 시간설정부(122)에서 설정한 설정시간에 도달하면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의 동작을 정지하도록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발가락(10)을 마사지부(110)의 탄력부재(111)에 삽입하며 제어장치(120)의 제어부(126)에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을 동작시키면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기체를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했다 흡입했다를 반복해서 수행한다. 이러한 기체의 주입 및 흡입에 의해 탄력부재(111)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탄력부재(111)가 팽창하는 경우 외부하우징(113)이 탄력부재(111)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그 외부하우징(113)으로 인해 바깥쪽으로는 더 이상 팽창이 안되므로 안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는 탄력부재(111)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어져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다. 이때 탄력부재(111)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의해 돌출부(112)는 발가락(10)에 대한 경혈의 자극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어장치(120)를 이용하여 경혈을 자극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분리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112)는 탄력부재(111)의 표면으로부터 착탈이 가능하다. 또한 돌출부(112)는 다양한 종류 및 길이별로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하여 탄력부재(111)의 표면에는 고정부(50)가 고정설치되며 그 고정부(50)에는 예컨대 나사산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돌출부(112)는 내부가 콘(corn)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면의 형성된 나사산(미도시)이 고정부(50)의 나사산과 대응하여 서로 결합 및 분리되도록 한다. 이때, 돌출부(112)는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상, 종류, 길이 등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다양한 형상, 종류 및 길이별로 돌출부(112)는 교환도 가능하다. 이러한 교환에 의해 발가락(10)의 경혈을 다양한 실시예로 자극하다. 이는 발가락 마사지를 받는 사용자마다 발가락의 크기나 굵기가 다르다는 것을 감안하여 사용자별로 선호하는 형성, 길이 및 종류별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정면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 대한 측면의 단면도로서 발가락이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는 외관으로 볼 때 상기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100)와 동일하며 마사지부(110')에 내부에 마련된 구성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이러한 차이를 중심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는 발가락(10)이 삽입가능하도록 발가락(10)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상기 삽입된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캡부재(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캡부재(114)는 원통형상의 컵(cup)모양으로 구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제1 실시 예와는 달리 캡부재(114)는 발가락(10)이 직접 삽입되는 부분으로 삽입된 발가락(10)이 접촉된다.
이러한 캡부재(114)의 표면에는 캡부재(114)에 삽입된 발가락(10)의 방향으로 돌출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형성된다. 돌출부(112)는 이러한 캡부재(114)로 발가락(10)이 삽입될 때 그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발가락(10)이 경혈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게 돌출부(112)는 캡부재(114)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고 다른 종류로 교환도 가능하다.
탄력부재(111')는 캡부재(114)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된다. 이러한 탄력부재(111')는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재질 및 기능을 갖는다. 즉, 그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되면 탄력부재(111')는 팽창하여 내부공간의 부피가 증가하고, 반대로 그 내부공간에 주입된 기체가 외부로 배출되면 탄력부재(111')는 수축하여 내부공간의 부피는 감소하게 된다.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탄력부재(111')에 대한 기체의 주입 및 배출은 기체주입/흡입수단(121)에서 수행한다. 이러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에서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 탄력부재(111')가 팽창하여 캡부재(114)를 수축시키도록 함으로써 캡부재(114)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2')가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탄력부재(111')의 외부에는 외부하우징(113')가 그 탄력부재(111')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탄력부재(111')가 바깥쪽으로 일정한 부피이상으로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의 동작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발가락(10)을 마사지부(110)의 캡부재(114)에 삽입하여 제어장치(120)의 제어부(126)에서 기체주입/흡입수단(121)을 동작시키면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기체를 탄력부재(111')의 내부공간으로 기체를 주입했다 흡입했다는 반복해서 수행한다. 이러한 기체의 주입 및 흡입에 의해 탄력부재(111')는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된다. 이때, 탄력부재(111')가 팽창하는 경우 외부하우징(113')이 탄력부재(111')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외부하우징(113')으로 인해 바깥쪽으로는 더 이상 팽창이 안되므로 안쪽으로 팽창하게 된다. 이는 탄력부재(111')에 의해 둘러싸인 캡부재(114)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탄력부재(111')의 팽창에 의해 캡부재(114)가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수축하게 되며, 이는 돌출부(112')가 발가락(10)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이어져 돌출부(112')가 발가락(10)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다. 이때, 제1 실시예와 같이 탄력부재(111')의 팽창과 수축의 반복에 의해 돌출부(112')는 발가락(10)에 대한 경혈의 자극을 반복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20)를 이용하여 경혈을 자극하는 시간을 조정할 수도 있다. 도면부호 22'는 도 3의 22에 대응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에서의 캡부재에 대한 상세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캡부재(114)는 삽입되는 발가락(10)의 모양에 대응하도록 대략적으로 원통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이러한 캡부재(114)에는 그 원통형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홈(1141)이 다수 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절곡홈(1141)으로 인해 캡부재(114)가 수축 및 그 수축에 대한 복원이 가능하도록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캡부재(114)는 예컨대 플라스틱, PET 등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캡부재(114)의 수축 및 복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그림 A는 도 7에 도시된 캡부재(114)의 일부를 확대한 것으로서, 캡부재(114)가 수축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만약, 탄력부재(113')가 팽창하여 캡부재(114)로 힘을 가하게 되면서 그림 A'와 같이 절곡홈(1141)을 중심으로 절곡홈(1141)의 양측 단부(1142,1143)의 거리가 가까워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캡부재(114)는 수축되는 것이다. 이러한 캡부재(114)의 수축은 원통형상이 내부의 발가락(10) 방향으로 둘레가 작아지는 것이다. 이는 절곡홈(1141)과 그 양측 단부(1142,1143)의 상호작용에 의해 구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발가락 마사지의 정도에 따라 캡부재(114)의 두께 및 절곡홈(1141)의 크기는 변경이 가능하다. 만약에, 탄력부재(113')가 수축하면 캡부재(114)는 다시 A' 상태에서 A 상태로 되돌아 가면서 복원이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들의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비록 실시 예에 제시되지 않았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기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본 발명에 대한 모조나 개량이 가능하며, 이들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너무나 자명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마사지부 111,111' :탄력부재
112,112' : 돌출부 113,113' : 외부하우징
114 : 캡부재 120 : 제어장치
121 : 기체주입/흡입수단 122 : 시간설정부
123 : 타이머 124 : 표시부
125 : 경보부

Claims (13)

  1. 발가락이 삽입가능하도록 상기 발가락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외부로부터의 힘에 따라 상기 삽입된 발가락 방향으로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한 캡부재;
    상기 캡부재의 적어도 일부 표면에 상기 캡부재에 삽입된 발가락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
    상기 캡부재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구현되고 그 내부공간으로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됨에 따라 팽창 및 수축되는 탄력부재;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에 상기 기체를 주입 및 배출시키는 기체주입/흡입수단; 및
    상기 탄력부재가 외측으로 기설정된 부피 이상 팽창됨을 방지하도록 상기 탄력부재의 외부에 형성되는 외부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으로 상기 기체를 주입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되어 상기 캡부재가 상기 발가락 방향으로 수축됨으로써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자극하도록 하고,
    상기 탄력부재는 상기 외부하우징과 분리가능하고, 상기 돌출부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캡부재의 표면의 고정부로부터 착탈가능하여 다양한 종류 및 길이별로 교환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캡부재는 원통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원통형의 외주면을 따라 절곡홈이 다수 개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수의 절곡홈에 의해 상기 캡부재가 수축 및 복원이 가능하도록 구현된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 의해 상기 기체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된 상태를 일정시간 동안 유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기체를 흡입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수축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의 경혈 자극을 중지하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에서 상기 탄력부재의 내부공간에 기체의 주입과정과 흡입과정을 기설정된 주기에 따라 반복수행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가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발가락에 분포된 경혈을 반복적으로 자극하도록 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돌출부는 상기 삽입된 발가락의 옆부분과 밑부분에 형성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옆부분과 밑부분에 분포된 경혈에 대응하는 위치에 끝부분이 뾰족하게 형성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력부재로 상기 기체의 주입 및 배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부;
    상기 기체가 주입 및 배출되는 경과시간을 카운트하는 타이머; 및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상기 기체의 주입 및 배출 시간이 설정되면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이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된 경과시간이 상기 시간설정부에서 설정한 시간에 도달하면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의 동작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설정부에 의해 설정되는 설정시간, 상기 타이머에서 카운트되는 경과시간, 상기 기체주입/흡입수단의 동작과정을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경과시간이 상기 설정된 시간에 도달하면 경보를 발생하는 경보부; 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20130084425A 2013-07-17 2013-07-17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KR101492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425A KR101492617B1 (ko) 2013-07-17 2013-07-17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84425A KR101492617B1 (ko) 2013-07-17 2013-07-17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94A KR20150009894A (ko) 2015-01-27
KR101492617B1 true KR101492617B1 (ko) 2015-02-23

Family

ID=52481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84425A KR101492617B1 (ko) 2013-07-17 2013-07-17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6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950B1 (ko) * 2015-02-13 2016-09-28 현계환 양압과 음압을 이용한 치료 장치
KR102290904B1 (ko) * 2021-04-01 2021-08-17 이승웅 발가락 사이 마사지기
KR102405218B1 (ko) * 2021-12-13 2022-06-02 김광석 신체 말단부위의 혈관 확장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64U (ko) * 1989-06-29 1991-02-19
JPH0357023U (ko) * 1989-10-09 1991-05-31
JP3016264U (ja) 1995-03-27 1995-09-26 昌夫 磯 指、腕用マッサージ器
KR19990014347A (ko) * 1998-09-22 1999-02-25 이춘배 물리치료기
KR20110007775U (ko) * 2010-01-29 2011-08-04 김세환 인체 말초부 마사지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6264U (ko) * 1989-06-29 1991-02-19
JPH0357023U (ko) * 1989-10-09 1991-05-31
JP3016264U (ja) 1995-03-27 1995-09-26 昌夫 磯 指、腕用マッサージ器
KR19990014347A (ko) * 1998-09-22 1999-02-25 이춘배 물리치료기
KR20110007775U (ko) * 2010-01-29 2011-08-04 김세환 인체 말초부 마사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894A (ko) 2015-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03659C1 (en) Stimulation device having an appendage
DK2976057T3 (en) STIMULATING DEVICES
KR101759559B1 (ko) 피부 천공수술과정 동안에 발생하는 통증을 줄이기 위한 장치, 기구 및 방법에 대한 개선
JP6133295B2 (ja) 皮膚穿刺中の痛みを軽減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そのための壊れ易いチップ
KR101492617B1 (ko) 휴대용 발가락 마사지 장치
US201103198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in reduction during skin puncture and breakable tip therefor
KR101119600B1 (ko) 체중 펌프 분사식 발 세척 및 마사지장치
KR100833251B1 (ko) 성장판 자극 장치
KR102219497B1 (ko) 복합자극을 통한 뇌 운동 장치
EP1709880A1 (en) Shoe with outer sole provided with electric vibrator device
KR200327780Y1 (ko) 신발용 발바닥 압압장치
KR102133187B1 (ko) 성 기능 향상 마사지 기구
KR200353347Y1 (ko) 다용도 마사지기
KR200240852Y1 (ko) 발 지압 및 마사지장치
KR102369283B1 (ko) 체외 충격파를 이용한 잇몸 마사지기
KR102085434B1 (ko) 피부용 초음파 인젝터
JP2023094161A (ja) マイクロニードル用振動式アプリケータ
KR200257416Y1 (ko) 저주파 치료기
KR20110026631A (ko) 구강치료 장치
KR200446670Y1 (ko) 족부 자동 연속 자극 장치
KR20200085699A (ko) 성 기능 향상 마사지 기구
KR20050004488A (ko) 신발용 발바닥 압압장치
KR19990014347A (ko) 물리치료기
KR20100008354U (ko) 발 및 발가락 진동 마사지기
KR20170000848U (ko) 자기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