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199B1 -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 Google Patents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199B1
KR101492199B1 KR20130046958A KR20130046958A KR101492199B1 KR 101492199 B1 KR101492199 B1 KR 101492199B1 KR 20130046958 A KR20130046958 A KR 20130046958A KR 20130046958 A KR20130046958 A KR 20130046958A KR 101492199 B1 KR101492199 B1 KR 10149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pool
reel
handl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4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8147A (ko
Inventor
현광호
Original Assignee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3004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199B1/ko
Priority to US13/910,362 priority patent/US9072284B2/en
Priority to CN201310221323.9A priority patent/CN103461291B/zh
Priority to JP2013118774A priority patent/JP5736004B2/ja
Publication of KR2014012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A01K89/01121Frame details
    • A01K89/01123Frame disassembly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갯바위나 기타 비평지 지대에서 조어가 진행되는 경우에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스풀을 분리하는 등의 조작을 위하여 사이드커버를 개방하는 경우에 사이드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원스냅 방식의 손잡이를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권사되는 스풀을 내장하고, 일측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의 결합부를 갖는 릴본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스풀커버와, 이 스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 및 상기 스풀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어셈블리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스풀커버에 횡방향 스윙 운동하도록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스풀커버에 내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방향 스윙 운동 완료 시 완료상태를 강제하여 손잡이의 스윙운동이 원 스냅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REEL FOR FISHING}
본 발명은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상세하게는 갯바위나 기타 비평지 지대에서 조어가 진행되는 경우에도 유지보수 등을 위하여 스풀을 분리하는 등의 조작을 위하여 사이드커버를 개방하는 경우에 사이드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원스냅 방식의 손잡이를 구비한 낚시용 릴에 관한 것이다.
낚시용 릴의 커버 착탈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0652842호(등록일자 2006.11.24.)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릴 본체에 릴 커버를 탈부착함에 있어서 별도로 잠금장치를 작동하지 않더라도 릴 커버를 소정의 힘으로 릴 본체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동작만으로 릴 커버의 잠금 및 해제가 가능한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낚싯줄이 감겨지는 스풀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릴 본체와, 스풀의 회전을 지지하고 낚싯줄이 엉켰을 때 스풀을 상기 릴 본체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릴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릴 커버와, 릴 커버의 내측에 구비되어 스풀의 일측이 삽입되어 회전하는 스풀 커버와, 상기 개구부의 외측에 스풀회전축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설되는 고정핀과, 릴 커버의 내측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절대적으로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와, 사용자가 한 손으로 상기 릴 본체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 릴 커버를 잡고 비틀었을 때 소정의 탄성한계 범위 내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상대적으로 제한하고 그 탄성한계의 범위 밖에서 고정핀의 이동을 허락함으로써 릴 커버를 착탈하는 잠금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발명은 릴커버를 위한 별도의 손잡이를 구비하지 않아 갯바위 등에서의 극한 조어 환경에서 스풀의 교체 등의 작업을 행하기 어렵고,
스풀커버의 자유 회전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양손으로 조어 중 손바닥 등으로 스풀커버의 회전방향으로 가압이 행해지면 릴커버가 열려 스풀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갯바위 등의 극한 조어 환경에서 스풀 교체 등의 작업 중 릴본체와 결합된 스풀커버와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를 해제, 분리 작업을 쉽게 행할 수 있도록 커버어셈블리의 개폐 작동을 수행하는 스풀커버에 원 스냅 방식의 손잡이가 구비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원 스냅 방식의 손잡이의 작동을 보장하기 위한 탄지수단으로써, 손잡이의 걸림돌기에 접촉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과,
상기 판스프링의 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구비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어 중에 손바닥으로 스풀커버나 손잡이를 가압하게 되어 원하지 않는 사이드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상기 스풀커버와 상기 사이드커버에 함몰 형성되는 수용홈을 구비하여 손잡이를 상기 수용홈에 수용시켜 스풀커버의 잠금상태가 가능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갯바위 등의 극한 조어 환경에서 스풀 교체 등의 작업 중 릴본체와 결합된 스풀커버와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를 해제, 분리하여도 릴본체로부터 완전 분리, 이탈되지 않아 분실 위험을 없앨 수 있도록 릴에 구비된 슬라이드부와 연결되고, 커버어셈블리가 릴본체로부터 선(先)인출 및 후(後)선회 운동을 하게 하는 필러를 도입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필러의 선인출 및 후선회 운동을 위하여 릴본체에 별도의 운동공간을 구비하지 않아도 필러의 운동 공간을 확보하여 제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이루어져 신축이 가능한 필러를 도입한 낚시용 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권사되는 스풀을 내장하고, 일측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의 결합부를 갖는 릴본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스풀커버와, 이 스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 및
상기 스풀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어셈블리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스풀커버에 횡방향 스윙 운동하도록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스풀커버에 내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방향 스윙 운동 완료 시 완료상태를 강제하여 손잡이의 스윙운동이 원 스냅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에서 상기 손잡이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와 연결된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윙축과, 상기 머리부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에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부와 연결된 지지부에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대를 결속시키는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스풀커버 및 상기 사이드커버는 상기 손잡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스풀커버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손잡이의 일방향 스윙 운동 완료 시 탄지수단을 통해 완료 상태가 강제되도록 함으로써, 원 스냅 방식의 손잡이를 통해 사이드커버의 개폐 작업을 매우 손쉽게 행할 수 있어, 갯바위나 선상 등 극악한 조어 환경에서 스풀의 교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져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손잡이의 걸림돌기에 접촉하여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판스프링을 도입하여 상술한 손잡이의 원 스냅 방식의 잠금, 해제 작동이 가능해지고,
상기 판스프링의 지지부를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도입하여 손잡이의 반복된 잠금, 해제에도 판스프링의 탄성력 저하를 방지하여 고장 발생을 저감시켜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손잡이의 잠금 작동 시 수용되는 수용홈을 스풀커버와 사이드커버 모두에 걸쳐 형성하여 손잡이의 잠금 상태 시 스풀커버나 손잡이에 회전 방향으로의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사이드커버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어 중 원하지 않는 사이드커버의 개방이 발생하여 조어를 방해하거나, 낚시용 릴이 파손되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사이드커버 개방 시 커버어셈블리를 릴 본체에 구속하는 필러를 도입하여 스풀 교체 작업 중 커버 어셈블리를 분실하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을 구분하여 도시한 도면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동작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의 분해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필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을 설명함에 있어 낚시용 릴이라 함은 여러 낚시에 사용되는 낚시용 릴 중 특히, 베이트 캐스팅 낚시에 사용되어지는 릴에 관한 것으로써,
낚싯줄을 감거나 푸는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와 연결된 기어 및 구동 방법, 그 밖에 캐스팅 브레이킹 수단, 손잡이 회전 방지수단 등은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적으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생략하고, 당업자라면 낚시용 릴 특히 베이트 개스팅 낚시용 릴에 관한 구체 구성을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이 이용되는 베이트 캐스팅 낚시는 방파제나 연안 갯바위 등에서 원하는 조어 포인트로 루어 등을 투척한 후 이루어지는 낚시의 한 형태로,
대상어의 종류에 따라 루어가 투척되는 조어 포인트가 각각 다르고, 이에 따라 사용하는 낚싯줄의 굵기 및 길이를 다르게 하여 낚시를 즐긴다.
낚싯줄이 권사되는 부분을 스풀이라 하는데, 낚싯줄의 굵기 및 길이가 다양하기 때문에 낚싯줄의 종류에 따라 스풀의 종류나 두께가 각각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낚시를 즐기는 사용자는 낚싯줄의 종류 별로 복수의 스풀을 준비한 후 스풀을 교체하면서 여러 종류의 대상어를 낚시하거나,
상술한 바와 같이 캐스팅에 의하여 원거리의 조어 포인트를 갖기 때문에 낚싯줄이 꼬이거나 대상어에 의하여 낚싯줄이 끊어지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사용자는 릴의 사이드커버를 개방한 후 스풀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등을 행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트 캐스팅 낚시의 특성으로 인하여 갯바위 등의 비평지 지대에서 낚시가 이루어지는 것이 보통이므로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상기 스풀의 유지보수 시 사이드커버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낚시용 릴의 제작자는 낚시의 특성 특히, 베이트 캐스팅 낚시의 특성에 의하여 낚시용 릴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부응하고자 불가피하거나 필연적으로 스풀의 샤프트가 사이드커버를 향하야 돌출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사이드커버의 착탈이 어려워져 낚시용 릴의 제작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풀의 유지 보수 시 사이드커버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고, 분실 위험을 없애고, 제작자가 경박단소화된 낚시용 릴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낚시용 릴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의 측면도를 참고하여 보이는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도 1의 평면도를 참고하여 스풀의 샤프트 형성 방향을 횡방향으로 하고 그와 직교된 방향을 종방향으로 하며, 풀림부가 형성된 방향을 전단으로 그 반대방향을 후단으로 특정하여 설명한다.
또 도 1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스풀이 내장된 방향을 내측으로 하고, 릴본체와 커버어셈블리가 위치하는 방향을 외측으로 하여 횡방향과 함께 혼용하여 설명하며, 다른 도면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은 낚시용 릴은 낚싯줄이 권사되는 스풀(20)을 내장하고, 일측 개구부(12)와 이 개구부(12) 둘레의 결합부(13)를 갖는 릴본체(10);
상기 개구부(12)를 덮는 스풀커버(31)와, 이 스풀커버(31)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13)에 고정되는 사이드커버(32)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30); 및
상기 스풀커버(31)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어셈블리(30)가 상기 개구부(12)를 개폐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릴본체(10)의 제1축설부(11)는 상기 스풀(20)의 샤프트(21) 일측이 삽입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릴의 손잡이와 연결된 복수의 기어와 캐스팅 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킹 수단(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릴본체(10)의 제1축설부(11)의 반대측에는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상기 스풀(20)이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12)의 둘레에는 스풀커버(31)와 사이드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커버어셈블리(30)를 위한 결합부(13)가 구비되어 있다.
이어서 상기 릴본체(10)의 공간부(15)는 릴 본체의 전, 후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전방공간부(15A)와 후방공간부(15B)로 이루어진다.
상기 릴본체(10)의 전단 즉, 상기 전방공간부(15A)에는 속칭 레벨 와인더(Level winder)라 불리는 풀림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풀림부는 상기 스풀(20)에 권사되어 있는 낚싯줄을 본 발명의 낚시용 릴이 장착된 낚시 로드의 탑부위로 안내하기 위하여 낚싯줄이 통과되는 안내구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릴본체(10)의 전방공간부(15A)에는 상기 풀림부의 반복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고 구속하기 위한 슬라이딩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본체의 후단부, 즉 상기 후방공간부(15B)에는 속칭 썸바 또는 클러치라 불리는 수동제동부(1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동제동부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수동으로 상기 스풀의 회전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써, 캐스팅 시 백래쉬 현상을 방지하거나 조어 중 사용자가 원하는 데로 스풀을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수동제동부는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가압하여 스풀에 제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누룸부와 상기 누룸부의 스윙(스풀방향 회동)을 위한 누름축(16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낚싯줄이 권사되는 스풀(20)은 샤프트(21)를 통해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샤프트(21)의 일측은 상기 릴본체(10)의 제1축설부(11)에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21)의 타측은 상기 커버어셈블리(30), 보다 바람직하게는 사이드커버(32)에 내장되어 결합되는 스풀커버(31)에 형성된 제2축설부(번호미표기)에 결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릴은 상기 록킹수단을 통하여 상기 커버어셈블리(30)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진다.
상기 커버어셈블리의 잠금 및 해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풀커버(31)에 구비된 결합돌기(33) 와 상기 릴본체(10)의 결합부(13)에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33)가 체결되는 대응부재(13a)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돌기(33) 및 대응부재(13a)의 형태, 개수 및 형성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바,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을 것이다.
이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스풀커버(31)를 회전시켜 상기 결합돌기(33)와 대응부재(13a)의 결합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록킹수단은 사용자가 상기 스풀커버(31)의 회전 즉, 잠금 및 해제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스풀커버(31)에 횡방향 스윙 운동하도록 결합된 손잡이(34)와,
상기 스풀커버(31)에 내장되고, 상기 손잡이(34)의 일방향 스윙 운동 완료 시 완료 상태를 강제하여 손잡이(34)의 스윙운동이 원 스냅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34)가 외측 방향으로 스윙 운동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4)를 파지한 후 손잡이(34)를 회전시켜 스풀커버(31)의 잠금 및 해제를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4)의 횡방향 스윙운동을 위하여 상기 손잡이(34)는 파지부(34A)와, 이 파지부(34A)에 연결된 머리부(34C)와, 이 머리부(34C)의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윙축(34B)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풀커버(31) 외측면에는 상기 스윙축(34B)에 힌지 결합되는 결합홈(미도시)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34)는 낚시용 릴의 경박단소화 경향에 발맞춰 상기 스풀커버(31)에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고, 파지부(34A) 일측에 사용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는 투입홈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손잡이(34)가 상기 스풀커버(31)에만 함몰된 형태로 결합되어 있을 경우 손잡이(34)를 펼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바닥 등으로 스풀커버(31)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스풀커버(31)의 회전이 이루어져 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바다의 선상 낚시와 같이, 평탄치 않은 조어 환경에서 사용자가 낚시를 즐길 경우 사용자는 낚싯대를 두 손으로 이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 조어 중 사용자가 손바닥 등으로 상기 스풀커버(31) 전체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면 사용자가 필요로 하지 않는 상황에서 상기 커버어셈블리가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커버어셈블리에 상기 손잡이(34)가 함몰되어 일체화 되도록 설계함으로써, 경박단소화 경향에 부응하면서 스풀커버(31)의 무방비 회전을 방지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풀커버(31) 및 상기 사이드커버(32)에는 상기 손잡이(34)가 수용될 수 있는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31a)(32A)이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4)가 상기 수용홈(31a)(32A)에 수용된 상태, 즉 상기 손잡이(34)를 접은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34)가 상기 사이드커버(32)에 걸림으로써, 상기 스풀커버(31)의 회전을 방지하여 스풀커버(31)의 잠금상태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극한 조어 환경에서 사용자가 손잡이(34)를 접힘, 펼침 작동 시 계속하여 파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손잡이(34)의 접힘, 펼침 작동 상태를 계속 유지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탄지수단을 통해 손잡이(34)의 스윙 운동 완료 상태를 강제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탄지수단은 도 5의 확대도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탄성체로 상기 손잡이(34)의 원 스냅 방식을 구현하는데,
우선 상기 손잡이(34)의 머리부(34C) 내측면에는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34a)가 구비되고,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걸림돌기(34a)에 접촉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접촉부(37A)를 구비한 판스프링(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판스프링(37)은 상기 접촉부(37A)와 연결된 지지부(37B)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37A)와 상기 지지부(37B) 사이에는 탄성절곡부(37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손잡이(34)의 스윙 운동 중에는 상기 걸림돌기(34a)가 상기 접촉부(37A)를 탄성력의 반대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스윙이 이루어지고,
스윙 운동이 완료되면 상기 판스프링(37)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기 접촉부(37A)가 상기 걸림돌기(34a)의 단부를 가압하여 손잡이(34)가 반대 방향 스윙을 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손잡이(34)의 접힘, 펼침 상태 즉, 잠금 및 해제(특히 해제 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하다.
또 상기 걸림돌기(34a)의 모서리부가 소정 간격 회전하게 되면 상기 판스프링(37)의 접촉부(37A)는 상기 걸림돌기(34a)의 회전 반대 방향의 단부를 탄성력을 통해 가압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순간적이 가압만으로도 손잡이(34)의 잠금 및 해제를 매우 쉽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37)은 탄성절곡부(37C)를 통해 탄성력을 확보하는데,
상기 지지부(37B)가 상기 스풀커버(31)에 단순 고정된 상태로 손잡이(34)의 스윙(잠금 및 해제)이 자주 이루어질 경우 상기 탄성절곡부(37C)가 반대방향으로 펴지면서 탄성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지지부(37B)에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판스프링(37)을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38)을 도입하였다.
상기 코일스프링(38)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37B)에는 결합공(37d)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38)의 말단부가 상기 결합공(37d)에 끼워지거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37B)와 탄성절곡부(37C)가 상기 코일스프링(38)의 틈새로 끼워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38)과 상기 판스프링(37)을 상기 스풀커버(31)에 고정하기 위하여 볼트부재(39)가 상기 코일스프링(38)의 중공 및 상기 결합공(37d)을 관통하여 스풀커버(31)에 구비된 나사공(미도시)에 결합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스풀커버(31)의 과회전을 제한하고, 회전 완료 후 완료 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커버 어셈블리의 분리 및 결합을 손쉽게 행할 수 있도록 유지수단을 도입하였다.
상기 유지수단은 도 4 및 도 5의 하부에 도시된 커버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개략 도시한 확대 투영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커버(32)의 개구부 둘레에 형성되어 내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는 볼부재(32b)와,
상기 스풀커버(31)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돌기(33)와 상기 대응부재(13a)의 결합 및 해제 위치에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볼부재(32b)가 삽입되는 회전홈(31b)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스풀커버(31)는 외분체(31A)와 내분체(31B)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는데, 상기 스풀커버(31) 내분체(31B)의 단부에 상기 회전홈(31b)들이 형성되어 상기 스풀커버(31)가 회전 시 내분체(31B) 단부가 상기 볼부재(32b)를 외측방향으로 가압하면서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후 다른 회전홈(31b)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볼부재(32b)가 내측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스풀커버(31)의 과회전이 방지되고, 스풀커버(31)가 완료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볼부재(32b)의 횡이동을 위하여 상기 사이드커버(32)는 내측면에 상기 볼부재(32b)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32d)가 삽입되는 삽입홀(32c)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코일스프링 류의 탄성체(32d)가 삽입홀(32c)에 삽입되어진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탄성력을 발휘하는 모든 탄성체로 상기 유지수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당업자라면 충분히 예측하여 재현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 해석이 제한되어서는 안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어셈블리의 분리 작업 시 상기 커버어셈블리가 상기 릴본체(10)에 구속되도록 하는 필러(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풀림부와 관련된 구성을 생략하였다.
상기 필러(40)는 상호 결합된 복수의 분체로 구성되어 텔레스코픽(telescopic) 타입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상기 릴본체(10)의 전방공간(15A)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록킹수단을 통해 상기 스풀커버(31)를 회전시켜 커버어셈블리를 횡방향 이동시킨 후 상기 필러(40)를 축으로 하여 커버어셈블리(30)의 회전을 보장하여,(도 5참고)
스풀교체 시 커버어셈블리가 작업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스풀의 교체 작업 중 커버어셈블리가 분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릴본체 11 : 제1축설부
12 : 개구부 13 : 결합부
15 : 공간부 16 : 수동제동부
20 : 스풀 21 : 샤프트
30 : 커버어셈블리 31 : 스풀커버
31A : 외분체 31B : 내분체
31a : 스풀커버의 수용홈
32 : 사이드커버 32A : 사이드커버의 수용홈
33 : 결합돌기
34 : 손잡이 34A : 파지부
34B : 회전축 34C : 머리부
34a : 걸림돌기 37 : 판스프링
37A : 제1접촉부 37B : 지지부
37C : 절곡부 38 : 절곡부
39 : 볼트부재
40 : 필러

Claims (4)

  1. 낚싯줄이 권사되는 스풀을 내장하고, 일측 개구부와 이 개구부 둘레의 결합부를 갖는 릴본체;
    상기 개구부를 덮는 스풀커버와, 이 스풀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에 고정되는 사이드커버를 포함하는 커버어셈블리; 및
    상기 스풀커버를 회전시켜 상기 커버어셈블리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스풀커버에 횡방향 스윙 운동하도록 결합된 손잡이와,
    상기 스풀커버에 내장되고, 상기 손잡이의 일방향 스윙 운동 완료 시 완료상태를 강제하여 손잡이의 스윙운동이 원 스냅 방식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탄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파지부와, 이 파지부와 연결된 머리부와, 이 머리부의 양측 단부에서 돌출 형성된 스윙축과, 상기 머리부의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접촉하면서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휘하는 접촉부를 구비한 판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지수단은 상기 판스프링의 접촉부와 연결된 지지부에 결합되어 외측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커버 및 상기 사이드커버는 상기 손잡이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몰된 형태의 수용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손잡이가 상기 수용홈에 수용되었을 때 상기 스풀커버의 회전을 방지하여 잠금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KR20130046958A 2012-06-05 2013-04-26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KR101492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958A KR101492199B1 (ko) 2013-04-26 2013-04-26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US13/910,362 US9072284B2 (en) 2012-06-05 2013-06-05 Fishing reel having quick-opening side cover
CN201310221323.9A CN103461291B (zh) 2012-06-05 2013-06-05 具有快开侧盖的渔线轮
JP2013118774A JP5736004B2 (ja) 2012-06-05 2013-06-05 クィックオープニングサイドカバ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46958A KR101492199B1 (ko) 2013-04-26 2013-04-26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47A KR20140128147A (ko) 2014-11-05
KR101492199B1 true KR101492199B1 (ko) 2015-02-12

Family

ID=52452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46958A KR101492199B1 (ko) 2012-06-05 2013-04-26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19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8147B1 (ko) 2016-06-07 2017-11-1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타입 오픈레버를 구비한 사이드 커버를 갖는 낚시 릴
KR101828392B1 (ko) 2015-07-17 2018-02-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데코트림 및 배수부를 구비한 낚시릴
KR20190007179A (ko) * 2017-07-12 2019-01-2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향 회전 잠금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 릴
US10271531B2 (en) 2016-04-26 2019-04-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replaceable hood top
KR20220001153U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용 릴의 사이드커버 탈착구조
KR20230001381U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개폐보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70Y1 (ko) 2001-11-20 2002-02-2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200426600Y1 (ko) 2006-03-29 2006-09-19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베이트 릴의 커버 잠금장치
KR100652842B1 (ko) 2005-09-01 2006-12-0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5270Y1 (ko) 2001-11-20 2002-02-2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의 커버 착탈장치
KR100652842B1 (ko) 2005-09-01 2006-12-01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케스팅 릴 커버의 착탈장치
KR200426600Y1 (ko) 2006-03-29 2006-09-19 주식회사 다원이엔지 베이트 릴의 커버 잠금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8392B1 (ko) 2015-07-17 2018-02-1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데코트림 및 배수부를 구비한 낚시릴
US10271531B2 (en) 2016-04-26 2019-04-30 Doyo Engineering Co., Ltd. Fishing reel equipped with replaceable hood top
KR101798147B1 (ko) 2016-06-07 2017-11-16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클릭사운드 타입 오픈레버를 구비한 사이드 커버를 갖는 낚시 릴
KR20190007179A (ko) * 2017-07-12 2019-01-22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향 회전 잠금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 릴
KR101980638B1 (ko) 2017-07-12 2019-05-21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하향 회전 잠금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 릴
KR20220001153U (ko) 2020-11-16 2022-05-24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용 릴의 사이드커버 탈착구조
KR200496536Y1 (ko) 2020-11-16 2023-02-21 주식회사 바낙스 낚싯대용 릴의 사이드커버 탈착구조
KR20230001381U (ko) * 2021-12-28 2023-07-05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개폐보조장치
KR200497934Y1 (ko) 2021-12-28 2024-04-16 주식회사 바낙스 베이트 캐스트 릴의 힌지타입 팜 사이드커버 개폐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8147A (ko) 2014-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2199B1 (ko) 사이드 커버의 개폐가 용이한 낚시용 릴
KR101418029B1 (ko) 사이드커버 분실 방지용 낚시용 릴
JP5736004B2 (ja) クィックオープニングサイドカバーを備えた釣り用リール
JP5361450B2 (ja) リング形引込み式ペット引きひも
US9844857B2 (en) Locking pliers with handle locking mechanism
KR101216733B1 (ko) 잠금장치용 그립형 핸들
US20110168829A1 (en) Retractable lead
JP2575446Y2 (ja) 両軸受リール
US9591838B2 (en) Clutch operating member of a dual-bearing reel
KR101823115B1 (ko) 사이드 커버 분리 방지 안전장치를 구비한 낚시 릴
US20080098564A1 (en) Locking Hinges for Syringe Handles, Syringes Including Locking Hinges, and Associated Methods
JP6198538B2 (ja) 両軸受リール
WO2013179586A1 (en) Separable medical instrument, and operated section and operating section thereof
WO2014054071A1 (ja) 動物用の連結具
JP2015053917A5 (ko)
US8341811B2 (en) Snap ring for fishing implements
EP2682549B1 (en) Case latch assembly
TWI627901B (zh) 釣魚用捲線器
JP6038866B2 (ja) ハイブリッドクラッチ手段を備える釣りリール
US10342225B2 (en) Double bearing reel
US10829341B2 (en) Locking mechanism for pet retractor
KR101366085B1 (ko) 퀵오프닝 사이드커버를 구비한 낚시릴
JP5141670B2 (ja) 伸縮操作装置
US11904209B1 (en) Climbing cams and attachment systems
JP6717761B2 (ja) 両軸受型リ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