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816B1 - 천장 수납형 침대 - Google Patents

천장 수납형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816B1
KR101491816B1 KR20140013677A KR20140013677A KR101491816B1 KR 101491816 B1 KR101491816 B1 KR 101491816B1 KR 20140013677 A KR20140013677 A KR 20140013677A KR 20140013677 A KR20140013677 A KR 20140013677A KR 101491816 B1 KR101491816 B1 KR 101491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bracket
hinge shaft
hing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3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한
Original Assignee
비아이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아이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아이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40013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8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4Suspended beds, e.g. suspended from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설치대상구역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면서도 침대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설치대상구역의 천장부에 고정되는 베드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수용부와 제1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브라켓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타단과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부를 포함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의 힌지축은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면과 기설정된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힌지연결하되 상기 힌지축이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드브라켓부가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천장 수납형 침대{ceiling recessed bed}
본 발명은 천장 수납형 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설치대상구역내 공간활용성이 향상되면서도 침대 사용의 편의성이 개선된 천장 수납형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오피스텔 또는 선박의 객실은 한정된 실내공간에 다양한 종류의 가구가 배치된다. 특히, 침대의 경우 주로 바닥면에 설치되는데, 실내공간의 큰 면적을 차지하는데 비해 수면시간 또는 잠깐의 휴식시간에만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침대가 배치되는 위치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협소한 공간에 많은 수의 침대를 구비하기 위하여 2층 이상의 다단식으로 형성되는 침대를 배치하였으나, 상기 다단식 침대 역시 바닥면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되므로 실내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다단식 침대 자체의 부피가 커 좁은 실내에 설치될 경우 실내공간에서 활동하는데 제약이 생기고 답답함을 느껴 장시간 생활하는 자에게는 많은 불편감을 주었다.
또한, 일부 벽면으로 접을 수 있는 침대는 바닥면에 설치되는 침대보다는 공간활용성이 다소 개선되었으나, 상기 침대가 설치되는 벽면 쪽의 공간은 여전히 활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와 침대를 벽을 향하여 접을 경우 상기 침대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감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설치대상공간의 천장에 설치되는 침대도 일부 개시되었으나 침대와 천장이 연결되는 부분의 설치과정이 복잡하고 한번 설치한 후에는 침대를 분리 및 재조립하기 어려워 제작 및 조립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0-0024369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천장 수납형 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설치대상구역의 천장부에 고정되는 베드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수용부와 제1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브라켓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타단과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부를 포함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의 힌지축은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면과 기설정된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힌지연결하되 상기 힌지축이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드브라켓부가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부는 중앙부에 힌지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볼트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베드브라켓부가 힌지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힌지축 삽입공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힌지축과,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축이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상기 관통공과 상기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구속하는 구속단턱이 돌출됨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에 상기 체결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상기 볼트부재는 렌치볼트임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하우징과, 상기 힌지축 삽입홈 내측에 배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삽입되는 힌지축과, 일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를 관통하여 체결커버와 나사체결 되도록 돌출되되 상기 힌지축이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베어링의 타측을 가압시 탄성수축력에 의해 상기 회전베어링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힌지축 삽입홈 내측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의 천장 수납형 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힌지축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플레이트를 상기 베드수용부의 양측부 내면에 형성되되 상단부에 구속단턱이 돌출된 가이드홈을 따라 밀어서 걸림 고정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기만 해도 상기 볼트부재로 체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가 렌치볼트로 구비되어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상기 베드브라켓부 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둘째,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체결플레이트를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에 밀착한 후 좌우로 이동시 상기 체결플레이트가 걸리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만 형성되면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을 형성하는데 별도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셋째, 공간이 협소한 구역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침대를 상기 구역의 천장부에 수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해당 구역의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상기 베드부의 급개방을 방지하도록 댐핑부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1스토퍼와 제2스토퍼가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의 측면을 나타낸 부분투영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드부와 베드브라켓부가 베드수용부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드수용부에 체결플레이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의 측면을 나타낸 부분투영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드부와 베드브라켓부가 베드수용부에 수납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여기서, 상기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사무실, 오피스텔, 선박 내부의 선실 등과 같이 한정된 구역 내에서 공간활용을 최대화하기 위해서 천장의 설치대상면(C)에 침대를 수납할 수 있도록 설치한 후 휴식이나 수면시 필요에 따라 꺼내어 쓸 수 있는 구조의 침대를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베드수용부(10), 베드브라켓부(20) 그리고 베드부(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드수용부(10)는 하측으로 개구된 수용부(12)가 형성되도록 기설정된 폭의 수용플레이트(11)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연결되어 장방형의 수납프레임 형태로 형성되며 선실 등과 같은 실내 천장의 설치대상면(C)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용플레이트(11)는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베드부(30) 전체가 수납되도록 상기 베드부(30)의 폭과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단부 중 일단에는 상기 설치대상면(C)에 고정되는 상측고정부(15)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천장판넬부(P)가 고정되는 하측고정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고정부(15)와 하측고정부(16)는 평판형 플레이트의 길이방향 양단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상세히, 상기 상측고정부(15)는 상기 베드수용부(10)가 상기 설치대상면(C)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고정부(15)가 상기 설치대상면(C)에 고정되도록 고정볼트 등을 사용하여 체결하거나, 경우에 따라 용접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상측고정부(15)가 상기 설치대상면(C)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하측으로 배치되는 상기 하측고정부(16)에는 천장판넬부(P)가 고정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베드브라켓부(20) 및 베드부(30)가 실질적으로는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으로 수납되지만, 상기 베드수용부(10)의 하단부 테두리와 연속적으로 상기 천장판넬부(P)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및 상기 베드부(30)가 실내구역의 천장에 완전히 삽입되어 수납되는 효과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하여, 실내구역의 천장에 상기 침대가 노출되지 않으므로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받을 수 있으며, 실내가 넓어보이는 효과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만족감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판넬부(P)와 후술되는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외면이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루도록 상기 베드수용부(10)와 상기 베드브라켓부(20) 사이에 이격되는 공간을 커버하는 마감몰딩(17)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감몰딩(17)은 상기 천장판넬부(P)와 동일한 소재와 외형으로 구비되되, 후술되는 체결플레이트(41)가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드수용부(10)의 하측으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드브라켓부(20)는 일단이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에 힌지연결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된다. 이때, 상기 베드브라켓부(20)는 회전브라켓(21)과 브라켓서포트(22)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타단부에 상기 베드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베드부(30)는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타단에 힌지연결되되 회전에 의해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함께 수납되며, 매트리스(M) 등이 안착되는 침구안착부(31)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회전브라켓(21)은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양측부 내면에 각각 제1힌지부(40)에 의해 힌지연결되도록 제1힌지관통공(21a)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베드부(30)와 제2힌지부(50)에 의해 힌지연결되도록 제2힌지관통공(21b)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힌지부(40)와 제2힌지부(50)에 의해 상기 베드수용부(10)와 베드브라켓부(20), 그리고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베드부(30)가 각각 힌지 연결됨으로써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가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으로 힌지회전되어 수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제1힌지부(40)에 의해 연결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회전브라켓(21)의 단부이나, 상기 회전브라켓(21)은 상기 베드브라켓부(20)에 포함되는 부재이므로 회전브라켓(21)의 단부와 베드브라켓부(20)의 단부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회전브라켓(21)을 연결하도록 상기 브라켓서포트(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서포트(22)는 상기 베드부(30)가 힌지회전되어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시 하측을 향하게 되는 상기 매트리스(M)의 상면을 지지하여 상기 매트리스(M)가 바닥에 낙하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이때, 상기 브라켓서포트(22)는 한 쌍의 상기 회전브라켓(21)을 연결하는 평판형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격자형틀, 타공판, 메쉬부재 등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그 소재 역시 금속재질뿐만 아니라 합성수지재질 등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21)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매트리스(M)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구비된다면 그 형태 및 재질에 제한을 두지 않으나, 상기 천장판넬부(P)와 동일한 소재와 외형으로 제조하여 연속적인 프로파일을 이룸으로써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힌지부(40) 및 제2힌지부(50)의 힌지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회전브라켓(21)의 일단과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을 연결하는 제1댐핑부(60)와, 상기 회전브라켓(21)의 타단과 상기 베드부(30)의 외측을 연결하는 제2댐핑부(70)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상기 베드부(30)가 상기 제1힌지부(40) 및 제2힌지부(50)에 의해 힌지회전시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또는 상기 베드부(30)가 급개방됨에 따른 충격으로 인해 심하게 요동치거나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베드브라켓부(20) 또는 베드부(30)가 요동치거나 이탈되어 사용자가 부상을 당하는 등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제1댐핑부(60) 및 제2댐핑부(7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또는 베드부(30)가 급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히 도 4를 예를 들면, 상기 제1힌지부(40)에 의해 상기 베드수용부(10)와 힌지연결되는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속도가 제한되도록 상기 제1댐핑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댐핑부(60)는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양측부 내면 일측에 구비되는 제1댐핑연결부(62)와 상기 회전브라켓(21)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2댐핑연결부(63), 그리고 상기 제1댐핑연결부(62) 및 제2댐핑연결부(63) 사이를 연결하되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힌지회전됨에 따라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축되도록 구비되는 신축지지부(64)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힌지회전되어 상기 베드부(30)와 함께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된 상태에서는 상기 신축지지부(64)가 신장된 상태로 구비된다. 이때, 수납되어 있던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될 경우 상기 신축지지부(64)가 수축되면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힌지회전된다. 이때, 신축지지부(64)의 수축시 발생되는 댐핑력에 의해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의 급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상기 베드부(30)와 함께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되도록 힌지회전될 경우, 상기 신축지지부(64)가 신장되면서 발생하는 복원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아도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가 수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되므로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는 제1스토퍼(14)가 구비되고, 상기 제2댐핑연결부(63)의 단부에는 제2스토퍼(6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시 상기 제2스토퍼(61)가 상기 제1스토퍼(14)에 근접한 후 안착 고정됨에 따라 회전이 구속되므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일정각도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베드부(30)가 천장면 또는 바닥면과 실질적인 평형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누워도 일측으로 기울지 않고 편안한 상태로 휴식 및 수면을 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베드부(30)가 힌지회전되어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된 상태가 구속유지되도록 안전잠금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타측단부에 형성되는 안전걸림돌기(32)와, 상기 베드부(30)가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시 상기 안전걸림돌기(32)와 대응되는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일단에 구비되는 안전걸림부(13)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베드브라켓부(20)는 한 쌍의 상기 회전브라켓(21)과 그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는 브라켓서포트(2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제1힌지부(40)에 의해 힌지회전되어 상기 베드부(30)와 함께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되면 상기 브라켓서포트(22)가 설치대상구역의 바닥면을 향하도록 배치되는데, 이로 인해 그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매트리스(M) 등이 낙하되지 않도록 커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타측단부에 상기 안전걸림돌기(32)가 돌설되고, 상기 안전걸림돌기(32)와 대응되는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일단에 상기 안전걸림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베드부(30)가 힌지회전되어 수납되면 상기 안전걸림돌기(32)가 상기 안전걸림부(13)에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됨으로써 외부의 진동 등에도 상기 베드브라켓부(20)와 베드부(30)가 안정적인 수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안전잠금수단은 상술된 바와 같이 상호 선택적으로 걸림 고정되는 걸림돌기와 걸림홈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타측단부와 그에 대응되는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각각 자성체가 구비되어 자력에 의해 구속력을 유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속방법은 해당분야에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는 제2힌지부(50)에 의해 힌지 연결되어 회전되되,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 사이의 힌지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제2댐핑부(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댐핑부(70)는 상기 제1댐핑부(60)와 동일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때, 수납되어 있던 상기 베드부(30)와 베드브라켓부(2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시 상기 베드부(30)의 후측단부에는 완충브라켓(미도시)이 돌설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베드부(30)는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21)의 타단부에 제2힌지부(50)에 의해 힌지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힌지부(50)에 의해 힌지회전됨에 따라 바닥면을 향하도록 위치되는 상기 매트리스(M) 등이 낙하되지 않도록 상기 한 쌍의 회전브라켓(21) 사이에 상기 브라켓서포트(2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부(30)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힌지회전시 상기 베드부(30)의 후측단부가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타단부 내측면에 근접하게 되는데, 상기 베드부(30)의 후측단부에 상기 완충브라켓(미도시)이 돌설됨으로써 상기 베드부(30)의 후측단부가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타단부 내측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드부(30)의 힌지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상기 베드부(30)가 상기 천장면 또는 바닥면과 실질적인 평행상태를 이루어 안정적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완충브라켓(미도시)은 외면이 고무재질과 같은 탄성재질로 커버되어 상기 베드부(30)의 후측단부와 상기 브라켓서포트(22)의 타단부 내측면이 힌지회전에 의해 접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요동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천장 수납형 침대(100)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공간이 협소한 구역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침대를 상기 구역의 천장부(C)에 수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해당 구역의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베드수용부(10)는 상단부에 형성된 상측고정부(15)가 설치대상면(C) 즉, 실내구역의 원래 천장면에 설치된 후 하측고정부(16)와 연장되어 천장판넬부(P)가 형성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베드부(30)가 실내구역의 천장 내부로 삽입되는 효과를 제공하므로 깔끔하고 고급스러운 외관을 제공받을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댐핑부(60) 및 제2댐핑부(70)가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및 베드부(30)의 힌지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급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댐핑부(60) 및 제2댐핑부(70)는 가스스프링 등의 다양한 댐핑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43)은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으로 기설정된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단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힌지연결함으로써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및 베드부(30)가 힌지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드브라켓부(20)나 베드부(30)를 교체하거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상기 베드브라켓부(20)를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하여야하는데 상기 힌지축(43)의 일단은 상기 체결플레이트(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베어링(44)에 고정됨에 따라 분리작업이 어렵고 복잡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힌지축(43)이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의 B-B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베드수용부에 체결플레이트가 체결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손쉽게 착탈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상세히, 상기 베드수용부(10)와 상기 베드브라켓부(2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힌지부(40)는 체결플레이트(41), 힌지축(43) 그리고 회전베어링(4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플레이트(41)는 상기 베드수용부(10) 양측부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힌지축(43)의 일단이 결합되는 힌지축 삽입공(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43)은 그의 단부가 상기 힌지축 삽입공(41a)에 고정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나사체결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 키결합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드수용부(10)와 상기 베드브라켓부(20)를 힌지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상기 힌지축(43)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43)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 삽입공(41a)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으로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힌지회전되어 수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단부에는 상기 힌지축(43)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힌지축(43)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상기 회전베어링(44)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어링(44)은 상기 힌지축(43)의 타단부가 관통되되 힌지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어링(44a)이 구비된다. 즉, 상기 베드수용부(10)와 베드브라켓부(20)가 힌지축(43)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되, 상기 힌지축(43)의 타단부와 상기 베드브라켓부(20)를 연결하도록 상기 베어링(44a)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체결플레이트(41)는 상기 베드수용부(10) 양측부의 상호 대향되는 내면으로부터 선택적으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체결플레이트(41)는 상기 힌지축(43)이 고정되는 상기 힌지축 삽입공(41a)이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도록 체결하는 볼트부재(4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일측에는 상기 볼트부재(42)가 관통되도록 복수개의 관통공(11c)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41)에는 상기 관통공(11c)을 관통하는 볼트부재(42)의 단부가 체결되도록 복수개의 체결공(41b)이 형성되되, 상기 체결공(41b)은 상기 힌지축 삽입공(41a)의 테두리 외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체결되는 상기 볼트부재(42)는 렌치볼트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베드수용부(10)는 상기 설치대상면(C)에 설치된 후 상기 천장판넬부(P)에 의해 실질적으로 천장 내부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양측부 내면에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용부(12)방향에서 체결해야 하는데, 상기 체결플레이트(41)와 힌지축(43)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회전브라켓(21)이 간섭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볼트부재(42)가 렌치볼트로 구비됨으로써 협소한 위치에서도 육각렌치(W)를 활용하여 손쉽게 체결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힌지축(43)이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과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단부를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연결하므로 상기 볼트부재(42)를 체결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이 확보되므로 설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볼트부재(42)는 체결시에는 상기 관통공(11c)을 관통하여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지만 반대로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분리시에는 상기 관통공(11c)에서 이탈될 정도로만 회전하면 되므로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상기 볼트부재(42)의 분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부재(42)가 상기 관통공(11c)과 상기 체결공(141b)을 동시에 관통한 후 그의 단부가 상기 체결플레이트(41)에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41)의 체결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1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1a)은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면에 밀착하여 이동시킬 경우,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가이드홈(11a)에 걸림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11a)의 깊이는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밀착한 후 좌우로 이동시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가이드홈(11a)에 걸리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로만 형성되면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11a)을 형성하는데 별도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예컨대, 상기 베드수용부(10)를 이루는 상기 수용플레이트(11)의 내측면에서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체결되는 위치에 소정 깊이의 상기 가이드홈(11a)을 가압 프레스하여 형성하거나,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걸림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높이로 가이드홈(11a) 테두리를 제작하여 붙이기만 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도 상기 가이드홈(11a)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홈(11a)의 폭은 상기 체결플레이트(41)의 단방향 테두리 폭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가이드홈(11a)에 걸리도록 안착시킨 후 상기 가이드홈(11a)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되고 좌우방향으로의 이동은 제한되므로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정확한 체결위치로 가이드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가이드홈(11a)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플레이트(41)의 체결위치를 구속하는 구속단턱(11b)이 돌출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이드홈(11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된 상기 체결플레이트(41)의 상단부가 상기 구속단턱(11b)에 걸려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상기 베드수용부(10)에 형성된 관통공(11c)과 상기 체결플레이트(41)에 형성된 체결공(41b)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이동이 제한되므로 상기 볼트부재(42)의 체결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속단턱(11b)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면보다 소정폭으로 더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나, 상기 가이드홈(11a) 자체가 이미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면보다 낮은 홈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가이드홈(11a)의 상단부가 상기 구속단턱(11b)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상기 렌치볼트로 구비되는 볼트부재(42)를 육각렌치를 이용하여 체결 또는 해제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상기 베드브라켓부(20)를 용이하게 분리 및 체결할 수 있으므로 설치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상기 베드브라켓부(20)만을 분리하여 수리 및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이때,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a)을 따라 밀어넣은 후 상기 구속단턱(11b)에 걸림고정되는 위치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기만 하면 상기 볼트부재(42)가 상기 관통공(11c)과 상기 체결공(41b)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로 안내할 수 있으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베드브라켓부(20)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볼트부재(42)를 해제한 후에도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가이드홈(11a)을 따라 자연스럽게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경우에 따라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으로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체결플레이트(41)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가이드 삽입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외측에는 상기 가이드홈(11a) 또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된 위치를 가시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가이드표시부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힌지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힌지부를 제외한 기본적은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7a 및 도 7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베드수용부(10)와 베드브라켓부(120)는 제1힌지부(140)에 의해 힌지연결되되, 상기 제1힌지부(140)는 체결하우징(141), 체결부재(142), 힌지축(143) 그리고 회전베어링(1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결하우징(141)은 상기 베드수용부(10) 양측부의 상호 대향되는 내측면에 한 쌍으로 구비되어 체결부재(142)에 의해 고정되되, 중앙부에는 상기 힌지축(143)의 일단이 삽입되는 힌지축 삽입홈(14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드수용부(10)에 상기 베드브라켓부(120)의 일단을 힌지회전되도록 연결하는 상기 힌지축(143)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지축(143)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 삽입홈(141a)에 삽입되고, 타단은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베드수용부(10) 내측으로 상기 베드브라켓부(120)가 힌지회전되어 선택적으로 수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베드브라켓부(120)는 상기 회전브라켓(121)과 브라켓서포트(도1, 22)를 포함하되,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일단에는 상기 베드브라켓부(120)가 힌지축(143)을 중심으로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143)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상기 회전베어링(144)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베어링(144)은 상기 힌지축(143)의 타단부가 관통되되 힌지회전력을 제공하는 베어링(144a)이 구비된다. 즉, 상기 회전브라켓(121)이 힌지축(143)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면에 연결되되, 상기 힌지축(143)의 타단부와 상기 회전브라켓(121)을 연결하도록 상기 베어링(144a)이 구비됨으로써 보다 부드럽게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베어링(144)에는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에 형성된 제1힌지관통공(121a)을 관통하여 체결커버(146)와 나사체결되는 커버고정부(144c)가 돌출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베어링(144)에는 외주를 따라 기설정된 면적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 일면과 접하는 제1밀착면(144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밀착면(144b)으로부터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버고정부(144c)가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 커버고정부(144c)는 상기 제1힌지관통공(121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단부 외주면에 상기 체결커버(146)와 나사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고정부(144c)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체결되도록 내측에 나사홈(146a)이 형성된 상기 체결커버(146)가 구비되되, 상기 체결커버(146)의 일면은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 타면과 접하는 제2밀착면(146b)이 형성된다.
즉, 상기 회전베어링(44)은 상기 제1밀착면(144b)과 제2밀착면(146b) 사이에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되, 상기 체결커버(146)를 회전조작하여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가 가압됨에 따라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베드브라켓부(120)를 상기 베드수용부(10)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커버(146)를 회전하여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밀착면(144b)과 제2밀착면(146b)에는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일단과 체결력이 보강되도록 탄성재질의 실링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회전베어링(144)의 타측을 가압시 탄성수축력에 의해 상기 회전베어링(44)이 상기 베드브라켓부(120)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체결하우징(141)의 내측으로 탄성스프링(14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힌지축 삽입홈(141a)으로 상기 힌지축(143)의 일단이 삽입되되, 상기 힌지축(143)은 힌지축 삽입홈(141a) 내측에 배치된 탄성스프링(145)에 의해 외측을 향하여 탄발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축(143)의 일단이 상기 힌지축 삽입홈(141a)에 삽입되고 타단이 회전베어링(144)에 연결시 상기 탄성스프링(145)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안정적인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체결커버(146)를 회전하여 분리한 후, 상기 회전베어링(144)의 타측을 상기 체결하우징(141) 쪽으로 가압하면, 상기 탄성스프링(145)이 탄성수축되므로 상기 회전베어링(144)이 상기 회전브라켓(121)의 단부에 형성된 제1힌지관통공(121a)으로부터 이탈되어 손쉽게 분리되므로 탈부착이 용이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하우징(141)은 실질적으로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회전베어링(144)의 구속 및 해제에 의해 상기 베드브라켓부(120)가 분리되며, 상기 힌지축(143)은 상기 회전베어링(144) 타단부를 가압시 상기 제1힌지관통공(121a)으로부터 상기 회전베어링(144)이 분리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하우징(141)이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므로 상기 베드브라켓부(120)를 분리시 상기 마감몰딩(17)을 분리하지 않아도 되므로 교체작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천장 수납형 침대(100)는 상기 힌지축(43)의 단부가 고정된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양측부 내면에 형성되되 상단부에 구속단턱(11b)이 돌출된 가이드홈(11a)을 따라 밀어서 걸림 고정되는 위치까지 이동하기만 해도 상기 볼트부재(42)로 체결할 수 있는 정확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볼트부재(42)가 렌치볼트로 구비되어 조립성이 현저히 개선되며 상기 베드브라켓부(20) 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편리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홈(11a)은 상기 체결플레이트(41)를 상기 베드수용부(10)의 내측에 밀착한 후 좌우로 이동시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걸리는 것을 인지할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만 형성되면 되므로 상기 가이드홈(11a)을 형성하는데 별도의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제작이 용이하다.
더욱이, 상기 볼트부재(42)를 해제하면 상기 체결플레이트(41)가 상기 가이드홈(11b)을 따라 하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되어 상기 베드브라켓부(20)가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더불어, 공간이 협소한 구역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침대를 상기 구역의 천장부(C)에 수납되도록 설치함으로써 해당 구역의 공간활용성이 현저히 향상되면서도, 상기 베드부(30)의 급개방을 방지하도록 댐핑부(60,70)가 구비되어 상기 힌지부(40,50)의 회전속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제1스토퍼(14)와 제2스토퍼(61)가 걸림 고정되면서 상기 베드브라켓부(2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여 사용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한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베드수용부 11 : 수용플레이트
11a : 가이드홈 11b : 구속단턱
12 : 수용부 13 : 안전걸림부
14 : 제1스토퍼 15 : 상측고정부
16 : 하측고정부 20 : 베드브라켓부
21 : 회전브라켓 22 : 브라켓서포트
30 : 베드부 31 : 침구안착부
32 : 안전걸림돌기 40,140 : 제1힌지부
41 : 체결플레이트 41a : 힌지축 삽입공
41b : 체결공 42 : 볼트부재
43 : 힌지축 44 : 회전베어링
50 : 제2힌지부 60 : 제1댐핑부
61 : 제2스토퍼 70 : 제2댐핑부
100,200 : 천장 수납형 침대

Claims (5)

  1. 설치대상구역의 천장부에 고정되는 베드수용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수용부와 제1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브라켓부와, 일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타단과 제2힌지부에 의해 힌지회전되도록 연결되는 베드부를 포함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의 힌지축은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면과 기설정된 폭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 사이를 선택적으로 힌지연결하되 상기 힌지축이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구속이 해제됨에 따라 상기 베드브라켓부가 상기 베드수용부로부터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제1힌지부는
    중앙부에 힌지축 삽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면에 형성되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선택적으로 착탈되도록 구비되는 볼트부재가 체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개의 체결공이 형성된 체결플레이트와,
    상기 베드브라켓부가 힌지회전되도록 일단이 상기 힌지축 삽입공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힌지축과,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에 구비되되 상기 힌지축이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볼트부재가 상기 관통공과 상기 체결공을 동시에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홈의 상단부에는 상기 체결플레이트의 체결위치를 구속하는 구속단턱이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에 상기 체결플레이트를 체결하는 상기 볼트부재는 렌치볼트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부는
    상기 베드수용부 내측면에 고정되며 중앙부에 힌지축 삽입홈이 형성된 체결하우징과,
    상기 힌지축 삽입홈 내측에 배치된 탄성스프링에 의해 탄발지지되어 삽입되는 힌지축과,
    일단이 상기 베드브라켓부를 관통하여 체결커버와 나사체결 되도록 돌출되되 상기 힌지축이 힌지회전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타단부와 체결되는 회전베어링을 포함하되,
    상기 회전베어링의 타측을 가압시 탄성수축력에 의해 상기 회전베어링이 상기 베드브라켓부의 단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힌지축 삽입홈 내측으로 상기 탄성스프링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수납형 침대.
KR20140013677A 2014-02-06 2014-02-06 천장 수납형 침대 KR1014918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677A KR101491816B1 (ko) 2014-02-06 2014-02-06 천장 수납형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3677A KR101491816B1 (ko) 2014-02-06 2014-02-06 천장 수납형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816B1 true KR101491816B1 (ko) 2015-02-11

Family

ID=5259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3677A KR101491816B1 (ko) 2014-02-06 2014-02-06 천장 수납형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8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48A (ja) * 1993-06-25 1995-02-28 Etab Compin 天井の中に引き込み自在のベッドまたは寝台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1148A (ja) * 1993-06-25 1995-02-28 Etab Compin 天井の中に引き込み自在のベッドまたは寝台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8712A1 (en) Wall mounted collapsible chair
US20180110340A1 (en) Adjustable Bed with Low Profile Adjustable Foundation
RU2608236C1 (ru) Терм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101211838B1 (ko)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US20160278532A1 (en) Foldaway wall bed mounting
JP6327598B2 (ja) 椅子
KR101491816B1 (ko) 천장 수납형 침대
JP5562025B2 (ja) 椅子
KR200474929Y1 (ko) 면적이 확장되는 다기능 매트리스 커버
KR101819106B1 (ko) 높이조절 개방형 테이블
WO2013065750A1 (ja) ソファーユニット
KR20150042508A (ko) 다인용 공용 책상의 구획 설비
JP3196533U (ja) 間仕切りパネル
RU155984U1 (ru) Кровать с подъёмным механизмом и ящиком для белья
JP6040566B2 (ja) 椅子
KR200399440Y1 (ko) 수납공간이 구비된 침대
KR20080003591A (ko) 책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170134301A (ko) 서랍이 구비된 침대
KR101595771B1 (ko) 휴대가 가능한 조립식 가구
KR200480320Y1 (ko) 칸막이
US11234532B1 (en) Convertible sofa bed system
KR20130020273A (ko) 학용품을 넣을 수 있는 의자
KR20110005176A (ko) 수납함을 가진 의자
KR200485428Y1 (ko) 다용도로 연출이 가능한 가변형 가구 조립체
JP6471404B2 (ja) トイレ用手す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