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795B1 -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795B1
KR101491795B1 KR20130067617A KR20130067617A KR101491795B1 KR 101491795 B1 KR101491795 B1 KR 101491795B1 KR 20130067617 A KR20130067617 A KR 20130067617A KR 20130067617 A KR20130067617 A KR 20130067617A KR 101491795 B1 KR101491795 B1 KR 1014917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erotype
delete delete
actinobacillu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6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5337A (ko
Inventor
정병열
김애란
정석찬
이지연
박혜연
서병주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2013006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795B1/ko
Publication of KR201401453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53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7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7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1Probiotics
    • A61K35/744Lactic acid bacteria, e.g. enterococci, pediococci, lactococci, streptococci or leuconosto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9/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ntigens or antibodies
    • A61K39/02Bacterial antigens
    • A61K39/09Lactobacillales, e.g. aerococcus, enterococcus, lactobacillus, lactococcus, streptococc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07Bacill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Immu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의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KACC 91772P,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예방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Novel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serotype 1 strain, diagnostic composition and vacc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의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예방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돼지 흉막폐렴은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에 의해 감염되는데 일반적으로 급성으로 진행되어 육성돈 또는 비육돈의 급사 등을 야기하는 질병으로서, 주요 증상은 식욕결핍, 호흡곤란, 구토, 청색증, 고열, 코와 입의 출혈, 급사 등이다.
감염 초기에 급성형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서 치료가 어려우며, 만성으로 진행되는 경우일지라도 증체율 감소, 출하 지연 등으로 양돈 산업에 막대한 경제적 피해를 일으키는 질병이다(Bosse JT, Janson H, Sheehan BJ, Beddek AJ, Rycroft AN, Kroll JS, Langford P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pathobiology and pathogenesis of infection. Microbes Infect. 2002. Feb;4(2):225-35., Sebunya TN, Saunders JR, Osborne AD. Dose response relationship of Haemophilus pleuropneumoniae aerosols in pigs. Can J Comp Med. 1983. Jan;47(1):54-56).
돼지 흉막폐렴의 원인균인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는 Apx 독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병원성 인자를 산생하며,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15 종류의 혈청형이 밝혀져 있는데, 각 혈청형간 교차 방어능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유행 혈청형을 파악하는 것이 해당 국가의 흉막폐렴 관리를 위하여 매우 유용하다(Barbara E. Straw et al. Disease of Swine 9th Edition. 2006. p. 563~576. Baclkwell publishing).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는 국가마다 유행하는 혈청형 분포가 다양한데 유럽의 경우 혈청형 2번이 우세하며, 캐나다 및 미국의 경우에는 혈청형 1번과 5번에 의한 흉막폐렴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국가에서는 효과적인 진단 및 예방을 위하여 유행하는 병원체 특성을 파악한 후 이에 적합한 대표균주를 선발하여 다방면에 활용하고 있다.
국내 양돈장의 경우 15종의 혈청형 중 2형 및 5형에 의한 흉막폐렴이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었으나, 최근 외국으로부터 종돈 수입시에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혈청형 1번에 의한 흉막폐렴 발생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종돈 수입과 관련하여, 최근 국내에서는 혈청형 3, 6, 7, 10, 12형에 의한 흉막폐렴의 발생 보고가 있어 이에 대한 대책도 시급히 필요하다 할 것이다.
한편, 국내에서는 돼지 흉막폐렴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백신이 사용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생산되는 백신의 경우에는 최근 유행하고 있는 혈청형 1번이 포함되어 있지 않는 실정이다.
따라서, 국내 흉막폐렴 혈청형 1번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유행하고 있는 혈청형 1번을 이용한 진단액 생산 및 예방약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하여, 국내 돼지 흉막폐렴 병변에서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들을 분리하였고, 이들 분리주의 병원성, 발육양상, 유전학적인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동물의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수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 돼지유래 흉막폐렴의 진단 및 백신에 유용한 새로운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1형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물의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KACC 91772P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예방용 백신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는 야외 감염 돼지를 색출하기 위한 진단용 항원으로 활용되거나, 이를 포함하는 백신형태로 제조되어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약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2형 및 5형이 주로 발생하였던 과거 상황과는 달리 최근 혈청형 1형의 발생률이 높아지기 때문에, 병원성이 강한 1형을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효과적인 백신주 개발이 가능하며, 흉막폐렴에 대한 면역효과 증진과 흉막폐렴 예방을 통해 양돈 농가에서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크게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더욱이 국내 백신 제조업체의 신제품 개발 및 경쟁력 강화로 수입 백신 대체에 따른 외화 절감 효과 및 국내 백신의 해외 수출 효과 등 국가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돼지 흉막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의 16s rDNA 염기서열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액티로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국내 분리주들에 대해 PFGE법을 사용하여 유전적인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돼지 흉막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의 발육 곡선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동물의 흉막폐렴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KACC 91772P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는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지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는 국립농업과학원의 농업유전자원센터(Korean Agricultural Culture Collection; KACC)에 2013년 02월 26일자로 수탁하고, 수탁번호 KACC 91772P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는 종래의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백신 및 진단액에 사용되지 않은 혈청형 1번인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균주로서, 유전학적으로 국내 분리주의 대표적인 특성을 나타낸다(도 2 및 실시예 2 참조).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국내 분리주에 비하여 발육속도가 빠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균주는 배양 12시간부터 최대 흡광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균주는 10배 농축액에서 고병원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균주는 10배 농축액에서 100%의 폐사율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균주는 다양한 항생제 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항생제는 플로페니콜(florfenicol), 젠타마이신(gentamicin), 네오마이신(neomycin), 옥시테트라싸이클린(oxytetracycline), 스펙티노마이신(spectinomycin) 및 타일로신(tylos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물은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흉막폐렴균이 감염될 수 있는 돼지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에서, 상기 균주는 불활성화되어 병원성을 상실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흉막폐렴 진단용 조성물에서, 상기 균주는 약독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포함하는 동물의 흉막폐렴 예방용 백신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에서, 상기 균주는 불활성화되어 병원성을 상실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백신 조성물에서, 상기 균주는 약독화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는 국내 흉막폐렴 1형 감염증에 대한 특이적 진단 및 예방용 백신주로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를 이용한 백신은 주로 불활성화된 상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KACC 91772P를 이용하여 제작한 약독화 균주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KACC 91772P의 배양액에 불활성화제 (예: 1% formalin)를 첨가하여 불활성화시키고 여기에 보조제 (예: aluminum hydroxide gel)를 첨가하여 불활성화 사균백신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독화 균주는 당업계에 통상적인 약독화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약독화를 일으키는 화학물질, 박테리오파지, 백혈구 등을 이용하거나 유전공학적 기법으로 단일 또는 복수의 유전자를 결손 또는 손상시켜 병원성이 소실 또는 약화된 약독화 균주를 생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KACC 91772P 균주를 돼지 등과 같은 동물의 흉막폐렴 백신에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백신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균주를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다른 혈청형의 균주 및 기타 질병 원인체와 혼합 및 복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의 유전자를 사용하여 생산한 서브유니트(subunit) 백신, 벡터(vector) 백신, 키메라(chimera) 백신, 또는 DNA 백신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그 활용도가 매우 높다.
상기 백신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수의학적으로 수용 가능한 매개체 또는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어쥬번트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백신은 면역증강용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KACC 91772P 균주를 흉막폐렴 진단에 사용하는 경우,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진단액의 제조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KACC 91772P 균주의 배양액에 불활성화제(예: 1% formalin)를 첨가하여 불활성화시켜 응집반응용 진단액으로 사용할 수 있더.
또한, 상기 약독화 균주를 증식시켜 외막단백질을 추출하여 ELISA 항원으로 사용하여 진단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내용이 이들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분리 및 동정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 균주는 전형적인 흉막폐렴 병변을 나타낸 돼지의 폐를 수거하여 초코렛 아가에서 혐기 상태로 37℃, 24~48시간 정치배양한 후, 유사한 순수 집락을 획득하여 생화학적인 성상검사로 균을 동정하였다. 상기 혐기 상태는 Advanced사의 Anoxomat을 이용하여 형성하였다.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의 Apx toxin 유전자를 이용한 PCR 방법을 통하여 혈청형을 확인하였다 (Rayamajhi et al., J Vet Diagn Invest. 17:359362 (2005)). 또한, 특이유전자인 omlA 및 cps 유전자를 이용한 PCR 방법으로 혈청형 2번, 5번, 6번과 혈청형 1번, 7번, 12번을 정확하게 동정하였다 (Φystein Angen et al., Veterinary Microbiology. 132:312318 (2008)).
혈청형 동정을 한 결과, 상기 KACC 91772P 균주가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임을 확인하였다.
KACC 91772P 균주의 DNA를 추출(Genomic cell/tissue spin mini kit, Genotech)하여 16S rDNA에 대한 DNA 단편을 PCR하였다.
PCR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1F: 5'-AGAGTTTGATCCTGGCTCAG-3'(서열번호 1), 1R: 5'-ACGGCTACCTTGTTACGACTT-3'(서열번호 2)이며, PCR의 반응 조건은 95℃: 프리변성(predenaturation) 5분, 95℃: 변성 45초, 55℃: 어닐링 45초, 72℃: 신장(extention) 60초, 30 싸이클, 72℃: 최후 신장(last extension) 10분이었다.
염기서열 분석에 사용된 프라이머는 2F: 5'-AGTTTGATCCTGGCTCAG-3'(서열번호 3), 2'F: 5'-CCAGCAGCCGCGGTAATACG-3'(서열번호 4), 2R: 5'-GGTTACCTTGTTACGACTT-3'(서열번호 5)이며, ABI BigDye terminatorcycle sequencing ready reaction kit v3.1(ABI)를 이용한 싸이클 시퀀싱 방법으로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염기서열 분석시 PCR 반응 조건은 95℃: 프리변성 2분, 96℃: 변성 10초, 50℃: 어닐링 10초, 60℃: 신장 3분, 30 싸이클이었다.
분석된 염기서열을 NCBI의 데이타 베이스와 비교 분석한 결과,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특이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도 1은 돼지 흉막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의 16s rDNA 염기서열(서열번호 6)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NCBI의 데이타 베이스와 비교한 결과,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와 99% 상동성을 보였다.
< 실시예 2> 국내 분리주간의 유전형 비교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국내 분리균주를 대상으로 미국 CDC에서 유전형 비교 분석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FGE)법으로 국내 분리주간의 유전형을 비교 분석하였다.
PFGE는 분리균주의 전체 염색체 DNA를 apaI 효소로 처리하여 CHEF mapper apparatus (Bio-rad, hercules, USA)에 6.0V/m로 20시간 동안 4초~40초까지 램프 펄스(ramp pulse)로 전기영동하여 밴드를 확인하였다.
각 밴드는 BioNumerics (V5.10, Applied Maths, Belgium) software를 이용하여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with arithmetic means (UPGMA)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도 2는 액티로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국내 분리주들에 대해 PFGE법을 사용하여 유전적인 상관관계를 비교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결과와 같이, 국내에서 분리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형 균주는 90% 근연관계를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크게 2가지 유전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상기 KACC 91772P 균주가 포함된 그룹이 국내 분리주의 대표적인 유전형임을 확인하였다.
국내 분리주의 경우 모두 82% 근연관계 내에 존재하여 높은 근연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외국 분리주와 국내 분리주간의 유전형 차이는 74% 이상으로 낮은 근연관계를 보였다.
< 실시예 3> 분리균주의 발육 양상 관찰
다양한 국내 분리주와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 균주를 BHI(Brain Heart Infusion) 배지에 37℃, 33시간 배양하면서 일정 시간별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다양한 국내 분리주에 비해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 균주는 발육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랐다. 즉, 돼지 흉막폐렴을 예방할 수 있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KACC 91772P 균주의 발육 곡선을 나타낸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KACC 91772P 균주는 배양 12시간부터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으나, 나머지 국내 분리주는 27시간 또는 33시간부터 최대 흡광도를 나타내었음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4> 시험 균주간의 병원성 비교
KACC 91772P 균주의 병원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5주령된 마우스에 0.2ml, 복강주사로 공격접종하여 병원성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는데, 본 발명의 KACC 91772P 균주는 10배 농축액에서 시험된 모든 마우스가 폐사한 반면, 국내 분리주인 P-APP-10-16-8은 10마리 모두 생존하여 높은 병원성의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시험 균주간의 병원성 비교 조사
시험 균주 접종 O.D.
(405nm)
균액 농도별 5주령 마우스에서의 병원성
100배
농축액
10배
농축액
원액 100배
희석액
KACC 91772P 0.52 0/10a 0/10 10/10 10/10
P-APP-10-16-8 0.52 2/10 10/10 10/10 10/10
a생존 마리수/접종 마리수
< 실시예 5> 항생제 감수성 양상 조사
KACC 91772P 균주의 항생제 감수성 평가는 17종의 항생제를 사용하여 최소발육 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는데, 상기 17종의 항생제 중, 총 6개의 항생제(플로페니콜, 젠타마이신, 네오마이신,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스펙티노마이신, 타일로신)에서 내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KACC 91772P에 대한 18종 항생제의 최소발육 억제농도 측정
검사한 항생제 실험 범위(ug/ml) 최소발육억제농도
Ampicillin 0.25-16 ≤0.25
Ceftiofur 0.25-8 ≤0.25
Chlortetracycline 0.5-8 2
Clindamycin 0.25-16 2
Danofloxacin 0.12-1 0.5
Enrofloxacin 0.12-5 0.5
Florfenicol 0.25-8 ≥8
Gentamicin 1-16 ≥16
Neomycin 4-32 ≥32
Oxytetracycline 0.5-8 ≥8
Penicillin 0.12-8 0.25
Spectinomycin 8-64 ≥64
Tiamulin 0.5-32 16
Tilmicosin 4-64 8
Trimethoprim/Sulphamethoxazole 2-38 ≤2
Tulathromycin 1-64 32
Tylosin 0.5-32 ≥32
본 발명에 의하면, 병원성이 강한 1형을 활용하여 국내 실정에 적합한 효과적인 백신주 개발이 가능하며, 흉막폐렴에 대한 면역효과 증진과 흉막폐렴 예방을 통해 양돈 농가에서 가축질병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를 크게 감소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국내 백신 제조업체의 신제품 개발 및 경쟁력 강화로 수입 백신 대체에 따른 외화 절감 효과 및 국내 백신의 해외 수출 효과 등 국가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농업과학원 KACC91772P 20130226
<110> Animal,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120> Novel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serotype 1 strain, diagnostic composition and vaccin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160> 6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1 agagtttgat cctggctcag 20 <210> 2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2 acggctacct tgttacgact t 21 <210> 3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3 agtttgatcc tggctcag 18 <210> 4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orward primer <400> 4 ccagcagccg cggtaatacg 20 <210> 5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reverse primer <400> 5 ggttaccttg ttacgactt 19 <210> 6 <211> 1360 <212> DNA <213>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220> <221> gene <222> (1) <223> 16s rDNA <400> 6 tcgaacgaaa gaaacggctg ctcaccgcct gcccactcat tacgaaccct tagaccgaat 60 acctccccct attgatgccc tttgacatcg attatggcgc attatagata cctaatttcc 120 caccctgaaa gcccggtgga cggtattcta ctcgggttca ccctaatcca tcaaccaatc 180 catttccgac tggttcggct gctagagatc gaccagactc tcctactggt cggtgtgacc 240 ttgactctgt gccaggtctg aggatgccct ccgtcgtcac cccttataac gtgttacccc 300 ccttgggact acgtcggtac ggcgcactta cttcttccgg aagcccaaca tttcaagaaa 360 gccatcgctc cttccatagt ttaaattatc taaaccatta actgcaattg atgtcttctt 420 cgtggccgat tgaggcacgg tcgtcggcgc cattatgcct cccacgctcg caatagcctt 480 attgacccgc atttcccgtg cgtccgccaa ctaattcact ctacactttc ggggcccgaa 540 ttggaccctt aacgtaaagt atgaccagtt gatctcatga aatccctccc catcttaagg 600 tgcacatcgc cactttacgc atctctacac ctccttatgg cttccgcttc cgtcggggaa 660 cccttacatg actgcgagta cacgctttcg cacccctcgt ttgtcctaat ctatgggacc 720 atcaggtgcg acatttgcga cagctaaacc cctaacccga aattcagacc acgggcttcg 780 attgcactat ttagctggcg gacccctcat gccggcgttc caattttgag tttacttaac 840 tgcccccggg cgtgttcgcc acctcgtaca ccaaattaag ctacgttgcg cttcttggaa 900 tggatgagaa ctgtaggtac cttagaacat ctctatgctc tcacggaagc ccttggtact 960 ctgtccacga cgtaccgaca gcagtcgagc acaacacttt acaacccaat tcagggcgtt 1020 gctcgcgttg ggaataggaa acaacggtcg ctaatccagc ccttgagttt cctctgacgg 1080 ccactatttg gcctccttcc acccctactg cagttcagta gtaccgggaa tgctcatccc 1140 gatgtgtgca cgatgttacc gcatatgtct cccttcgttc taccgctgta cctcgtttag 1200 agtgtttcat gcagattcag gcctaacctc agacgttgag ctgaggtact tcagccttag 1260 cgatcattag cgtttagtct tacaacgcca cttatgcaag ggcccggaac atgtgtggcg 1320 ggcagtgtgg taccctcacc caacatggtc ttcatctatc 1360

Claims (15)

  1. 돼지에서 분리되고, 돼지의 흉막폐렴을 일으키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KVCC-BA1200396 혈청형 1번 균주 (KACC 91772P)로서,
    상기 균주는 10배 농축액에서 100%의 마우스 폐사율을 나타내고,
    상기 균주는 국내 분리주인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P-APP-09-D260 또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P-APP-10-15-8에 비하여 발육속도가 빠르며,
    상기 균주는 플로페니콜, 스펙티노마이신 및 타일로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항생제에 대하여 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KVCC-BA1200396 혈청형 1번 균주 (KACC 91772P).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서열번호 6으로 이루어지는 16s rDNA 염기서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배양 12시간부터 405nm의 파장에서 최대 흡광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주.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20130067617A 2013-06-13 2013-06-13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KR1014917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617A KR101491795B1 (ko) 2013-06-13 2013-06-13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67617A KR101491795B1 (ko) 2013-06-13 2013-06-13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37A KR20140145337A (ko) 2014-12-23
KR101491795B1 true KR101491795B1 (ko) 2015-02-16

Family

ID=52593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67617A KR101491795B1 (ko) 2013-06-13 2013-06-13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7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072A (ko) * 2020-02-10 2022-05-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흉막폐렴균 (1형, 2형, 5형, 7형, 10형, 12형 및 15형) 불활화 사균체를 포함한 돼지 흉막폐렴 백신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7971A (en) 1991-10-22 1995-05-23 University Of Saskatchewan Vaccines fo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KR100191487B1 (ko) 1990-10-31 1999-06-15 기이 말레 돼지헤모필로시스에 대한 예방백신
KR20050062662A (ko) * 2002-11-20 2005-06-23 라보라토리오스 이프라 에스.에이.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독성약화 생백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487B1 (ko) 1990-10-31 1999-06-15 기이 말레 돼지헤모필로시스에 대한 예방백신
US5417971A (en) 1991-10-22 1995-05-23 University Of Saskatchewan Vaccines for Actinobacillus pleuropneumoniae
KR20050062662A (ko) * 2002-11-20 2005-06-23 라보라토리오스 이프라 에스.에이. 돼지 흉막폐렴에 대한 독성약화 생백신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Korean J. Vet. Res., Vol.52, pp.177-181(2012.) *
Korean J. Vet. Res., Vol.52, pp.177-181(2012.)*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1072A (ko) * 2020-02-10 2022-05-12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흉막폐렴균 (1형, 2형, 5형, 7형, 10형, 12형 및 15형) 불활화 사균체를 포함한 돼지 흉막폐렴 백신 조성물
KR102464115B1 (ko) 2020-02-10 2022-11-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돼지 흉막폐렴균 (1형, 2형, 5형, 7형, 10형, 12형 및 15형) 불활화 사균체를 포함한 돼지 흉막폐렴 백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5337A (ko) 201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anyuk et al. Occurrence of rare genotypes of Streptococcus agalactiae in cultured red tilapia Oreochromis sp. and Nile tilapia O. niloticus in Thailand—relationship to human isolates?
Wieler et al. Shiga toxin-producing Escherichia coli strains from bovines: association of adhesion with carriage of eae and other genes
Han et al. Atypical Aeromonas salmonicida infection in the black rockfish, Sebastes schlegeli Hilgendorf, in Korea
Sreedhara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rulent Aeromonas veronii from ascitic fluid of oscar Astronotus ocellatus showing signs of infectious dropsy
Oh et al.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of eaeA-positive Escherichia coli and Escherichia albertii strains isolated from healthy wild birds
Wu et al. Prevalence of virulence and resistance to antibiotics in pathogenic enterococci isolated from mastitic cows
Gebreyes et al. Molecular epidemiology and diversity of Salmonella serovar Typhimurium in pigs using phenotypic and genotypic approaches
Lü et al. First report of Rahnella aquatilis infection in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in China
Skowron et al. Characteristics of Strains Isolated from Milk and Humans and the Possibility of Milk-Borne Strains Transmission
Sánchez-Jiménez et al. Distribution of pathogenicity islands among Colombian isolates of Salmonella
Park et al. Phenotypic and genotypic analysis of Edwardsiella tarda isolated from olive f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and Japanese eel (Anguilla japonica)
SHARIFI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actococcus garvieae from diseased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Walbaum) cultured in Iran
Vo et al. Identification, serotyping,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Riemerella anatipestifer isolated from ducks in Vietnam
KR101491795B1 (ko)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Bakshi et al. 55 kb plasmid and virulence-associated genes a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almonella enteritidis pathogenicity in mice and chickens
Torres-Corral et al. Clonality of Lactococcus garvieae isolated from rainbow trout cultured in Spain: A molecular, immunological, and proteomic approach
CN101703769B (zh) 一种新型猪链球菌病四价灭活疫苗
KR101491792B1 (ko)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5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Amer et al. Molecular identification, genotyping of virulence-associated genes, and pathogenicity of cellulitis-derived Escherichia coli
KR101566376B1 (ko) 신규 마이코플라즈마 시노비에 균주
KR101491793B1 (ko)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12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KR101491803B1 (ko) 신규한 액티노바실러스 플로르뉴모니아 혈청형 2번 균주, 이를 포함하는 진단용 조성물 및 백신 조성물
Nafiqoh et al. Aeromonas hydrophila AHL 0905-2 and Streptococcus agalactiae N14G as Combined Vaccine Candidates for Nile Tilapia
Reid et al. Characterization of two groups of Pasteurella skyensis isolates from Atlantic salmon, Salmo salar L., based on serotype and 16S rRNA and rpoB gene partial sequences.
Niwa et al.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genetic characteristics of Salmonella Typhimurium isolated from horses in Hokkaido, Jap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