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372B1 -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 Google Patents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372B1
KR101491372B1 KR20130156967A KR20130156967A KR101491372B1 KR 101491372 B1 KR101491372 B1 KR 101491372B1 KR 20130156967 A KR20130156967 A KR 20130156967A KR 20130156967 A KR20130156967 A KR 20130156967A KR 101491372 B1 KR101491372 B1 KR 101491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ell
channel
cooling
cell separator
cooling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56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호
심선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569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372B1/ko
Priority to US14/267,125 priority patent/US9525182B2/en
Priority to DE102014208644.2A priority patent/DE102014208644A1/de
Priority to CN201410228302.4A priority patent/CN10471636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막-전극 어셈블리들 사이에서 복수의 채널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하나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로 채널,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다른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유로 채널, 및 상기 제1 유로 채널 및 제2 유로 채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며, 냉각 채널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채널을 분할하는 분할 핀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이 소개된다.

Description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열 전달 능력을 향상시켜 국부 냉각 효과를 향상시킨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에 관한 것이다.
연료 전지 시스템은 크게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연료 전지 스택, 연료 전지 스택에 연료(수소)를 공급하는 연료 공급장치, 연료 전지 스택에 전기 화학 반응에 필요한 산화제인 공기 중의 산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연료 전지 스택의 반응열을 시스템 외부로 제거하고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온도를 제어하는 열 및 물 관리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연료 전지 시스템의 연료 전지 스택에서는 연료인 수소와 공기 중 산소의 전기 화학 반응에 의해 전기를 발생시키고, 반응 부산물로서 열과 물을 배출하게 된다. 연료 전지 스택은 다수의 단위 전지들을 연속적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바, 각각의 단위 전지는 막-전극 어셈블리(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와, 막-전극 어셈블리를 사이에 두고 이의 양측에 각각 밀착되게 배치되는 분리판(separator)을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단위 전지들의 막-전극 어셈블리와 분리판 사이에는 이들 막-전극 어셈블리와 분리판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각각의 분리판에는 연료 및 공기를 막-전극 어셈블리로 공급하거나 배출하고, 반응 부산물인 수분을 배출함과 아울러 냉각수와 같은 냉각 매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매니폴드들을 형성하고 있다.
도 1은 복수의 매니폴드들 사이에 채널이 형성된 전형적인 연료 전지 스택의 분리판 유로 패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연료 전지 스택 운전 중 분리판 냉각수 입구와 출구 부근의 온도 편차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가장 좌측의 경우 가장 온도가 낮으며, 냉각수 출구 쪽으로 갈수록 점점 온도가 높이지다가 타원으로 표시한 부분에서 가장 높은 온도가 검출됨을 알 수 있다. 즉, 연료 전지 스택 운전 중 분리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온도 편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국소적인 온도 상승은 연료 전지 스택을 열화시킬 수 있어 이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문제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13-0027245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분할 핀 및 다공성 전도 물질을 이용하여 국부적으로 냉각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전지 분리판은, 막-전극 어셈블리들 사이에서 복수의 채널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하나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로 채널,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다른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유로 채널, 및 상기 제1 유로 채널 및 제2 유로 채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채널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채널을 분할하는 분할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핀은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물질의 열 전도도는 상기 채널판들의 열 전도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분할 핀의 두께는 상기 채널판들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냉각 채널의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분할 핀은 상기 냉각 채널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핀들은 상기 냉각 채널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핀은 탄소 섬유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냉각 채널을 둘러싸는 채널판들 중 상기 냉각 채널 내부에 접하는 벽면은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요철은 스크래치, 나노 코팅, 플라즈마 처리, 분말 도포 또는 쇼트닝(shorten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핀은 상기 연료 전지 분리판 전체의 운도 분포도에 기반하여 상기 연료 전지 분리판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의 냉각 채널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 전지 스택은 상기 연료 전지 분리판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 내부의 온도 편차를 조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분리판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고온 영역을 국부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어 연료 전지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냉각 매체가 지나면서 접촉하는 전열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료 전지 스택의 단위 셀의 냉각 유로 패턴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중 발생하는 온도 편차 현상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형성 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할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다공성 물질이 삽입된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형성 위치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분할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다공성 물질이 삽입된 방열 구조를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의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도 3은 막-전극 어셈블리(MEA)가 형성된 연료 전지 단위 셀에서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분리판 구조를 채용할 위치를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 전지 스택의 운전 중에 냉각수 입구 부근에는 저온 영역이 형성되고, 냉각수 출구 부근의 중앙 영역에서 고온 영역이 발생하게 되므로, 분리판 내부의 온도 분포도에 기반하여 연료 전지 분리판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에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분리판 구조를 채용하는 것이다. 고온인 영역에 도 4 또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은 분리판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분리판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발생되는 온도 편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료 전지 분리판의 단면 구조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는 4개의 분리판 단면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예시된 단면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A-A' 방향의 단면을 표현한 것이다.
연료 전지 스택은 수소 이온이 이동하는 전해질 막을 중심으로 막의 양쪽에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나는 전극/촉매층이 부착된 MEA(Membrane Electrode Assembly)와, 반응 기체들을 고르게 분포하고 발생된 전기를 전달하는 기체 확산층(Gas Diffusion Layer : GDL), 반응 기체들 및 냉각수의 기밀성과 적정 체결압을 유지하기 위한 가스켓 및 체결 기구와, 반응 기체들 및 냉각수가 이동하는 분리판으로 구성된다.
연료 전지 단위 셀은 MEA(21)와 분리판(30)을 포함하며, 이러한 연료 전지 단위 셀들이 적층되어 연료 전지 스택을 이룬다. 도 4에 도시된 연료 전지 단위 셀들은 각각 MEA(21), 분리판(30), 제1 채널판(40), 제1 유로 채널(41), 제2 채널판(50), 제2 유로 채널(51), 냉각 채널(60) 및 분할 핀(70)을 포함할 수 있다.
MEA(21)들 사이의 분리판(30)에는 제1 채널판(40)과 제2 채널판(50)을 통해 MEA(21)에 연료를 공급할 수 있는 제1 유로 채널(41)과 다른 MEA(21)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제2 유로 채널(51) 및 제1 유로 채널(41)과 제2 유로 채널(51)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냉각 채널(60)이 형성된다.
제1 채널판(40)은 제1 유로 채널(41)이 일면에 형성되며, 제2 채널판(50)은 일면에 제2 유로 채널(51)이 형성된다. 제1 유로 채널(41)과 제2 유로 채널(51)은 제1 채널판(40) 및 제2 채널판(5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며, 제1 채널판(40)과 제2 채널판(50)은 금속 소재의 박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제1 유로 채널(41) 및 제2 유로 채널(51)은 사다리꼴 형상일 수 있고, 제1 채널판(40)과 제2 채널판(50)의 접합된 부분이 각각 제1 유로 채널(41)의 윗면, 제2 유로 채널(51)의 윗면일 수 있다. 또한 MEA(21)와 접하는 부분이 각각 제1 유로 채널(41)의 아랫면, 제2 유로 채널(51)의 아랫면일 수 있다.
냉각 채널(60)은 단면이 다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육각형 형상일 수 있다. 냉각 채널(60)은 제1 유로 채널(41)과 제1 채널판(40)을 사이에 두고 접하며, 제2 유로 채널(51)과 제2 채널판(50)을 사이에 두고 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 채널(60) 내부로 냉각 매체가 유동시 제1 유로 채널(41) 및 제2 유로 채널(51)을 냉각시킬 수 있다.
분할 핀(70)은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며, 이러한 다공성 물질의 열 전도도는 제1 채널판(40) 및 제2 채널판(50)들의 열 전도도보다 높다. 또한 분할 핀(70)의 두께는 제1 채널판(40) 및 제2 채널판(50)들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또한, 냉각채널(60)은 복수의 분할 핀들(70)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 채널(60) 내의 복수의 분할 핀들(70)은 랜덤하게 놓여질 수도 있다. 냉각 채널(60) 내부의 분할 핀(70)은 냉각 채널(60)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냉각 채널(60)이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분할 핀(70)은 냉각 채널(60)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 연결되어 냉각 채널(60) 내부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분할 핀(70)의 구성은 핀 효과(fin effect)를 이용하는 것으로 고온 영역인 곳에서 방열 면적을 넓히기 위함이다. 분할 핀(70)은 냉각 채널(60) 내부에서 유동하는 냉각 매체가 지나가면서 접촉하는 전열 면적을 확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국부적인 냉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분할 핀(70)은 탄소 섬유, 금속 재질 등으로 구성가능하며, 이들은 열을 전달하는 기능만이 필요하고 유동 저항을 최소화시켜야 하므로, 열관성이 작은 구조여야 한다. 분할 핀(70)은 표면적이 넓으면서 부피는 작고, 무게는 최소화되어야 한다.
냉각 채널(60) 내부에 형성된 제1 채널판(40) 및 제2 채널판(50)은 그 내부 벽면에 요철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 채널 내부에 접하는 제1 채널판(40) 및 제2 채널판(50)의 벽면에 형성된 요철은 스크래치, 나노 코팅, 플라즈마 처리, 분말 도포 또는 쇼트닝(shortening)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21 : MEA 30 : 연료 전지 분리판
40 : 제1 채널판 41 : 제1 유로 채널
50 : 제2 채널판 51 : 제2 유로 채널
60 : 냉각 채널 70 : 분할 핀

Claims (10)

  1. 막-전극 어셈블리들 사이에서 복수의 채널판들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하나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한 제1 유로 채널, 상기 막-전극 어셈블리들 중 다른 하나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제2 유로 채널, 및 상기 제1 유로 채널 및 제2 유로 채널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매체가 유동하는 냉각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냉각 채널은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냉각 채널을 분할하는 분할 핀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핀은 다공성 물질로 형성되며, 상기 다공성 물질의 열 전도도는 상기 채널판들의 열 전도도 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핀의 두께는 상기 채널판들의 두께보다 얇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의 단면이 다각형인 경우, 상기 분할 핀은 상기 냉각 채널의 꼭지점들 중 적어도 하나의 꼭지점에 연결되는,
    연료 전지 분리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은 복수의 분할 핀들을 포함하며, 상기 분할 핀들은 상기 냉각 채널 내부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핀은 탄소 섬유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채널을 둘러싸는 채널판들 중 상기 냉각 채널 내부에 접하는 벽면은 요철을 갖는,
    연료 전지 분리판.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은 스크래치, 나노 코팅, 플라즈마 처리, 분말 도포 또는 쇼트닝(shortening)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핀은 상기 연료 전지 분리판 전체의 운도 분포도에 기반하여 상기 연료 전지 분리판의 온도가 상대적으로 고온인 영역의 냉각 채널 내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전지 분리판.
  10. 제1 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료 전지 분리판을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20130156967A 2013-12-17 2013-12-17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101491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6967A KR101491372B1 (ko) 2013-12-17 2013-12-17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US14/267,125 US9525182B2 (en) 2013-12-17 2014-05-01 Fuel cell separator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the same
DE102014208644.2A DE102014208644A1 (de) 2013-12-17 2014-05-08 Brennstoffzellenseparator und Brennstoffzellenstapel mit demselben
CN201410228302.4A CN104716369B (zh) 2013-12-17 2014-05-27 燃料电池隔膜和包括其的燃料电池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56967A KR101491372B1 (ko) 2013-12-17 2013-12-17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372B1 true KR101491372B1 (ko) 2015-02-06

Family

ID=52591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56967A KR101491372B1 (ko) 2013-12-17 2013-12-17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525182B2 (ko)
KR (1) KR101491372B1 (ko)
CN (1) CN104716369B (ko)
DE (1) DE102014208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73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24733A (en) * 2014-03-31 2015-10-07 Intelligent Energy Ltd Cooling plates for fuel cells
FR3041481B1 (fr) * 2015-09-21 2017-10-20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etermination d’une distribution spatiale d’un parametre de production electrique d’une cellule electrochimique
FR3041482B1 (fr) * 2015-09-21 2017-12-15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Determination d’une distribution spatiale d’un parametre d’evacuation thermique d’une cellule electrochimique
CN109037726B (zh) * 2018-06-26 2023-10-10 华南理工大学 一种用于燃料电池传热均温的风冷式模块
CN108895581A (zh) * 2018-06-27 2018-11-27 西安交通大学 一种电化学制冷制热系统
CN111180756B (zh) * 2019-12-27 2021-09-21 武汉中极氢能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燃料电池的双极板和燃料电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94B2 (ja) * 1987-03-20 1996-03-04 株式会社東芝 溶融炭酸塩燃料電池用冷却板の製造方法
JP2006210136A (ja) * 2005-01-28 2006-08-10 Toshiba Corp 燃料電池
JP2009266729A (ja) * 2008-04-28 2009-11-1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KR20090128974A (ko) * 2008-06-12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4844A (en) * 1980-04-28 1982-04-13 Westinghouse Electric Corp. Variable area fuel cell cooling
US4649091A (en) * 1982-06-23 1987-03-10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Fuel cell battery with improved membrane cooling
US4824741A (en) 1988-02-12 1989-04-25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Soli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system with porous plate evaporative cooling
US5527363A (en) 1993-12-10 1996-06-18 Ballard Power Systems Inc. Method of fabricating an embossed fluid flow field plate
US5906898A (en) 1997-09-18 1999-05-25 M-C Power Corporation Finned internal manifold oxidant cooled fuel cell stack system
CA2397889A1 (en) 2000-01-19 2001-07-26 Manhattan Scientifics, Inc. Fuel cell stack with cooling fins and use of expanded graphite in fuel cells
US6942941B2 (en) * 2003-08-06 2005-09-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hesive bonds for metalic bipolar plates
JP5000073B2 (ja) * 2003-09-08 2012-08-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の氷点下起動方法、燃料電池スタックの氷点下起動システム、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の設計方法
ITMI20031881A1 (it) * 2003-10-01 2005-04-02 Nuvera Fuel Cells Europ Srl Separatore bipolare per batteria di celle a combustibile.
US7344798B2 (en) * 2003-11-07 2008-03-18 General Motors Corporation Low contact resistance bonding method for bipolar plates in a pem fuel cell
JP4956000B2 (ja) * 2003-11-28 2012-06-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080050629A1 (en) * 2006-08-25 2008-02-28 Bruce Li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 flow of cooling media in a fuel cell stack
DE102007024161A1 (de) 2007-05-24 2008-11-27 Daimler Ag Bipolarplatte für Brennstoffzellen
GB2457937A (en) 2008-02-29 2009-09-02 First Subsea Ltd Deployment and retrieval of ship's fenders
US8268510B2 (en) * 2008-12-22 2012-09-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Fuel cell fabrication using photopolymer based processes
KR20130027245A (ko) 2011-09-07 2013-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JP6066279B2 (ja) * 2012-05-23 2017-01-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US20140057194A1 (en) * 2012-08-24 2014-02-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roton exchange membrane fuel cell with stepped channel bipolar plat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1394B2 (ja) * 1987-03-20 1996-03-04 株式会社東芝 溶融炭酸塩燃料電池用冷却板の製造方法
JP2006210136A (ja) * 2005-01-28 2006-08-10 Toshiba Corp 燃料電池
JP2009266729A (ja) * 2008-04-28 2009-11-12 Toyota Motor Corp 燃料電池
KR20090128974A (ko) * 2008-06-12 2009-12-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스택용 분리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0673A1 (ko) * 2015-05-27 2016-12-0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US10522848B2 (en) 2015-05-27 2019-12-31 Lg Chem, Ltd. Separating plate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171436A1 (en) 2015-06-18
CN104716369A (zh) 2015-06-17
CN104716369B (zh) 2018-10-16
US9525182B2 (en) 2016-12-20
DE102014208644A1 (de) 2015-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372B1 (ko)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US10468691B2 (en) Bipolar plates for use in conduction-cooled electrochemical cells
US8034506B2 (en) Fuel cell
US8911917B2 (en) Fuel cell
US20090042075A1 (en) Fuel Cell Stack
US10297854B2 (en) Fuel cell stack
US8603692B2 (en) Fuel cell stack
US8722283B2 (en) Fuel cell
US8927170B2 (en) Flow field plate for reduced pressure drop in coolant
US7846613B2 (en) Fuel cell with separator having a ridge member
US10141595B2 (en) Fuel cell stack
US10186717B2 (en) Metal separation plate for fuel cell stack and fuel cell stack having the same
KR20150017402A (ko) 냉각 성능이 우수한 연료전지 스택
US9853314B2 (en) Relief design for fuel cell plates
KR101542970B1 (ko) 연료 전지 스택
KR20130027245A (ko) 연료 전지용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EP3576200B1 (en) Fuel cell stack
KR102034458B1 (ko) 연료전지 스택
US10522848B2 (en) Separating plate and fuel cell stack including same
CN104937760A (zh) 燃料电池系统
KR101637630B1 (ko) 연료 전지 분리판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 전지 스택
KR101806688B1 (ko) 연료전지의 비균등 냉각 분리판
KR20170003268A (ko) 연료전기 스택
JP6401684B2 (ja) 燃料電池スタック
JP2015032489A (ja)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5